최근 수정 시각 : 2024-04-09 23:55:35

프리드쇼프 난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노벨 평화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rowcolor=#cd9f51> 1901 1902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앙리 뒤낭 프레데리크 파시 엘리 뒤코묑 샤를 알베르 고바
<rowcolor=#cd9f51> 1903 1904 1905 1906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윌리엄 크리머 국제법학회 베르타 폰 주트너 시어도어 루스벨트
<rowcolor=#cd9f51> 1907 1908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에르네스토 모네타 루이 르노 클라스 아르놀드손 프레데리크 바예르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데스투르넬 드 콩스탕 오귀스트 베르나르트 국제평화국 알프레트 프리트
<rowcolor=#cd9f51> 1911 1912 1913 191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적십자 기.svg
토비야스 아서르 일라이휴 루트 앙리 라퐁텐 국제적십자위원회
<rowcolor=#cd9f51> 1919 1920 1921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우드로 윌슨 레옹 부르주아 얄마르 브란팅 크리스티안 랑에
<rowcolor=#cd9f51> 1922 1925 1926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리드쇼프 난센 오스틴 체임벌린 찰스 G. 도스 아리스티드 브리앙
<rowcolor=#cd9f51> 1926 1927 1929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페르뒤낭 뷔숑 루트비히 크비데 프랭크 켈로그
<rowcolor=#cd9f51> 1930 1931 1933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나탄 쇠데르블룸 제인 애덤스 니콜라스 버틀러 노먼 엔젤
<rowcolor=#cd9f51> 1934 1935 1936 193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아서 헨더슨 카를 폰 오시에츠키 카를로스 라마스 로버트 세실
<rowcolor=#cd9f51> 1938 1944 1945 1946
파일:국제연맹기(1939).svg 파일:적십자 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svg
난센 국제난민 사무국 국제적십자위원회 코델 헐 에밀리 발치
<rowcolor=#cd9f51> 1946 1947 1949 195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Quaker_star-T.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존 모트 퀘이커 봉사협회 보이드 오어 랠프 번치
<rowcolor=#cd9f51> 1951 1952 1953 195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UN기.svg
레옹 주오 알베르트 슈바이처 조지 마셜 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
<rowcolor=#cd9f51> 1957 1958 1959 1960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레스터 피어슨 도미니크 피르 필립 베이커 앨버트 루툴리
<rowcolor=#cd9f51> 1961 1962 1963 1964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적십자 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다그 함마르셸드 라이너스 폴링 국제적십자위원회 마틴 루터 킹
<rowcolor=#cd9f51> 1965 1968 1969 1970
파일:유니세프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국제노동기구 로고.svg 파일:미국 국기.svg
유니세프 르네 카생 국제 노동 기구 노먼 볼로그
<rowcolor=#cd9f51> 1971 1973 1974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빌리 브란트 헨리 키신저 레득토 사토 에이사쿠
<rowcolor=#cd9f51> 1974 1975 197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숀 맥브라이드 안드레이 사하로프 베티 윌리엄스 메어리드 코리건
<rowcolor=#cd9f51> 1977 1978 1979
파일:국제앰네스티 로고.svg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국제사면위원회 안와르 사다트 메나헴 베긴 마더 테레사
<rowcolor=#cd9f51> 1980 1981 198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UN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아돌포 에스키벨 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 알바 뮈르달 알폰소 가르시아
<rowcolor=#cd9f51> 1983 1984 1985 1986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레흐 바웬사 데즈먼드 투투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 엘리 비젤
<rowcolor=#cd9f51> 1987 1988 1989 1990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일:UN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오스카르 아리아스 유엔 평화유지군 달라이 라마 14세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cd9f51> 1991 1992 1993
파일:미얀마 국기(1974-2010).svg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아웅산 수치 리고베르타 멘추 넬슨 만델라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
<rowcolor=#cd9f51> 1994 199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이츠하크 라빈 시몬 페레스 야세르 아라파트 조지프 로트블랫
<rowcolor=#cd9f51> 1995 1996 1997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퍼그워시 회의 카를로스 벨로 조제 하무스오르타 조디 윌리엄스
<rowcolor=#cd9f51> 1997 1998 1999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국경없는의사회의 로고.svg
지뢰금지국제운동 존 흄 데이비드 트림블 국경없는의사회
<rowcolor=#cd9f51> 2000 2001 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김대중 유엔 코피 아난 지미 카터
<rowcolor=#cd9f51> 2003 2004 2005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국제원자력기구 깃발.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시린 에바디 왕가리 마타이 국제원자력기구 무함마드 엘바라데이
<rowcolor=#cd9f51> 2006 2007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
무함마드 유누스 그라민 은행 앨 고어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패널
<rowcolor=#cd9f51> 2008 2009 2010 2011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마르티 아티사리 버락 오바마 류샤오보 엘런 존슨 설리프
<rowcolor=#cd9f51> 2011 2012 2013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파일:화학무기금지기구 로고.svg
리마 보위 타우왁쿨 카르만 유럽연합 화학무기금지기구
<rowcolor=#cd9f51> 2014 2015 2016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말랄라 유사프자이 카일라시 사티아르티 튀니지 국민4자대화기구 후안 마누엘 산토스
<rowcolor=#cd9f51> 2017 2018 2019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핵무기 폐기 국제 운동 드니 무퀘게 나디아 무라드 아비 아머드
<rowcolor=#cd9f51> 2020 2021 2022
파일:UN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계식량계획 마리아 레사 드미트리 무라토프 메모리알
<rowcolor=#cd9f51> 2022 2023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시민자유센터 알레스 발랴츠키 나르게스 모하마디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ba0c2f> 상징 <colcolor=#000,#fff> 왕의 노래 · 노르웨이 국가
정치 정치 전반 · 노르웨이 왕실 · 노르웨이 국왕 · 노르웨이 총리 · 노르웨이 의회
역사 역사 전반 · 바이킹 · 빈란드 · 레이프 에이릭손 · 북해 제국 · 칼마르 동맹 ·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
외교 외교 전반 · 북유럽 협의회 · 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노르웨이-핀란드 관계 · 노르웨이-핀란드 관계 · 범스칸디나비아주의 · 북극이사회 · 노르웨이 여권
지리 지역구분 · 북유럽 · 스칸디나비아 반도 · 피요르드 · 베어 섬 · 부베 섬 · 스발바르 제도 · 얀마옌 섬 · 노르웨이 해 · 북극 · 백야 · 극야 · 오로라 · 순록
경제 경제 전반 · 노르웨이 크로네 · 오페라
문화 북유럽 신화 · 루터교회( 노르웨이 교회) · 노르웨이 요리 · 노르웨이 영화 · 에드바르 그리그
스포츠 축구 선수/노르웨이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교통 철도 환경 · 베르겐선 · 오포트바넨 · TUI fly 노르딕 · 노르위전 에어 셔틀 · 오슬로 가르데르모엔 국제공항 · 베르겐 공항
언어 고대 노르드어 · 노르웨이어 · 사미어
인물 로알 아문센( 아문센 vs 스콧) · 게르하르 아르메우에르 한센 · 프리드쇼프 난센 · 헨리크 입센
민족 노르드인 · 노르웨이인( 러시아계) · 노르웨이계 미국인 · 노르웨이계 러시아인 · 노르웨이계 캐나다인 · 노르웨이계 뉴질랜드인 · 사미족
국방 노르웨이군 · 노르웨이 해군 · 노르웨이 해안경비대 · 닐스 올라브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치안·사법 노르웨이 국가경찰
}}}}}}}}} ||

<colbgcolor=#000><colcolor=#fff> 프리드쇼프 난센
Fridtjof Nansen
파일:Portrett_av_Fridtjof_Nansen,_1922.jpg
본명 프리드쇼프 베델야를스베르그 난센[1]
Fridtjof Wedel-Jarlsberg Nansen
출생 1861년 10월 10일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 스토레프뢰엔
사망 1930년 5월 30일 (향년 68세)
노르웨이 뤼사케르
국적
[[노르웨이|]][[틀:국기|]][[틀:국기|]]
직업 탐험가, 외교관, 과학자
배우자 에바 난센 (1889년 ~ 1907년, 사별)
시그룬 문데 (1919년 결혼)
자녀 5명
수상 노벨평화상
성 올라프 훈장
다네브로그 훈장
레지옹 도뇌르 훈장
성 스타니슬라오 훈장
컬럼 지오그래피컬 메달
베가 메달
콘스탄틴 메달
학력 오슬로 대학교
종교 무종교( 무신론)[2]
서명 파일:프리드쇼프 난센 서명.png

1. 개요2. 탐험 활동
2.1. 그린란드 횡단2.2. 북극 탐험
3. 과학 활동4. 정치 활동5. 기타

[clearfix]

1. 개요

노르웨이 탐험가, 정치가, 과학자.

본업인 탐험뿐만 아니라 과학, 정치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업적을 쌓은 노르웨이의 역사상 첫 국가영웅이다.[3] 그의 이름은 노르웨이 해군이 도입한 첫 이지스함 함명으로도 붙여졌고, 이는 그가 자신의 모국에서 얼마나 높이 평가받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특이하게 노벨과학상 외의 노벨상만을 수상한 과학자이기도 하다.[4]

2. 탐험 활동

2.1. 그린란드 횡단

1888년 난센은 그린란드 빙원을 동에서 서로 횡단하였다.

2.2. 북극 탐험

1893년, 자신이 설계한 '프람 호'[5]를 타고 북극점 정복을 시도했다.[6] 하지만 북극점 도달이 프람 호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자, 동료 얄마르 요한센(Hjalmar Johansen)과 함께 걸어서 북쪽으로 향했다.

1895년 4월 북위 86° 14´ 지점에 도달했다. 이는 이때까지 인간이 도달한 지점 중 가장 북쪽에 간 것이다. 그러나 식량 부족으로 북극점을 밟지는 못하고 귀환을 선택, 바다코끼리 북극곰을 잡아 연명하면서 남쪽으로 향하다가 프레더릭 조지 잭슨(Frederick George Jackson)의 영국 탐험대에게 구조되었다.

북극에서 돌아온 뒤에는 새로 독립한 조국 노르웨이의 정치 관련 일이 바빠지면서 탐험가로서는 은퇴하고, 후배 탐험가인 로알 아문센의 후원자가 되었다. 난센은 아문센에게 '프람 호'를 물려주었고, 자신의 동료 얄마르 요한센도 데려가게 했다.[7] 이것이 요한센에게는 오히려 불행이 되었지만…[8]

그 외에도 남극 탐험에 나서는 영국의 어니스트 섀클턴에게도 여러가지 조언을 해주었다. 그러나 새클턴은 조랑말과 설상차(스노모빌) 대신, 썰매개를 권한 난센의 조언을 무시했다가 결국 남극 탐험에 실패했다.[9] 그래도 새클턴은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실패를 인정하고 대원들을 살려서 귀환했다. 그러나 로버트 스콧은 섀클턴의 실패를 무시하고 난센과 아문센의 조언도 무시하며 고집을 부렸다가 비참하게 사망했다. 아문센 vs 스콧 항목에서 나오듯이 난센은 스콧을 무모하다고 비난했는데[10] 난센의 비난과 지적은 확실히 들어맞았다.[11]

3. 과학 활동

난센은 프람호를 이용한 북극 탐험에서 유빙을 따라 떠다니며 탐험을 진행하기도 했는데, 이 과정에서 바람 방향과 유빙의 방향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는 이 연구 자료를 해양학자 에크만에게 전달하였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에크만은 후일 취송류 이론을 확립하게 된다.

또한 세계최초의 국제 해양학기구인 ICES(International Council of the Explonation of the Sea)의 멤버로서, 오슬로에 Standard Sea Water Service를 설립하였다.

4. 정치 활동

난센은 본래 공화파였으나, 외교관이자 작가였던 왕당파 시구르 입센(Sigurd Ibsen)[12]의 주장에 감화를 받아 당시 노르웨이와 동군연합을 이루고 있던 스웨덴의 오스카르 2세로 하여금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8세의 차남인 칼 왕자가 노르웨이 왕위를 받을 수 있도록 설득하는 데에 큰 공헌을 하였다. 국민투표 결과 왕정론이 우세하여, 칼 왕자가 " 호콘 7세"로 즉위하고 1905년 6월 7일 노르웨이는 스웨덴으로부터 왕국으로 독립하였다. 만약 당시 노르웨이가 왕국이 아닌 공화국으로 독립했다면 난센이 총리 또는 대통령이 되는 것이 유력했다고 한다.[13]
[navertv(43996295)]
[다큐] 영상의 세기 PREMIUM 제10부 - 난민. 희망을 향한 여로中 [14]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연맹의 고등판무관으로서 난센은 국적이 없는 난민들에게 발행하는 "난센 여권" 사업을 시작했고[15] 이는 1942년까지 지속되어 총 45만 명의 난민을 구제했다. 그 공로로 그가 사망한 후인 1938년에는 난센 국제 난민 사무소가 평화상을 받게 된다. # 하지만 훗날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 남미를 비롯한 해외로 도주하려는 일부 나치 전범들이 난센 여권으로 자신의 책임을 피하는 데에도 악용된 어두운 역사 역시 존재한다.

그 외에도 전쟁포로의 환송이나 전쟁의 피해로 고통받는 난민 문제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었는데 특히 1921~1922년에 러시아 내전으로 발생한 러시아 대기근으로 인해 수백만 명이 굶어죽었고, 살아남은 사람들도 서로 잡아먹는 참상이 벌어지자 사재를 털어 구호소를 설립했다. 이미 참혹한 피해를 입었지만 그나마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이 공로로 그는 1922년에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게 된다. 또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할 그 무렵에는 그리스-튀르키예 전쟁으로 발생한 수십만 명의 아나톨리아 출신 그리스인 난민을 목격하고 그리스와 튀르키예, 양측에 서로의 영토에 살고 있는 그리스인과 터키인을 교환하자는 인구 교환을 제안하여 그것을 성사시켰다. 또한 경제적 사정으로 난민을 정착시키는데 어려움을 겪는 그리스 정부를 위해 자금을 지원하였다. 인구 교환 과정에서 많은 논란과 어려움이 있긴 했지만 결과적으로 난센은 전쟁 이후 튀르키예군의 보복을 받을 것이 분명했던 1백만이 넘는 그리스인의 목숨을 살렸다. 이후에는 아르메니아인 대학살에서 생존한 아르메니아인 난민의 재정착 운동을 지원하였다.

5. 기타

노르웨이 해군의 이지스 호위함의 1번함은 이 사람의 이름을 따 프리드요프 난센함이라 명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노르웨이의 파시스트인 비드쿤 크비슬링이 젊은 시절 난센의 비서로 일했다. 일할 당시 아르메니아인 난민의 소련 정착 사업에 관여했다.

급격히 도래한 빙하기로 절멸하기 직전의 인류 문명을 다룬 게임 프로스트펑크에서도 간접적으로 등장한다. 국가가 멸망하고 그나마 덜 추운 북극[16] 근방에 최후의 도시가 건설되자 본인의 목숨까지 내놓으면서 수많은 피난민들을 이끌어 주인공 도시까지 인도하는 데 성공한 영웅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정황상 -150도에 달하는 폭풍을 조사하러 태풍의 눈까지 간 거 같은데 그 무서운 대폭풍 중심으로 뚫고 가는 도중에도 포경선원들을 난센의 폭풍 연구기지에 숨겨 구한다. 이후 난센은 -150도의 추위에서도 살아남고 대폭풍 이후의 기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다른 곳으로 향했다. 여러모로 위버멘쉬적인 사람인 듯 하다.


[1] 노르웨이어 이름인 Fridtjof는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집에는 '프리드쇼프'로 규정되어 있으나 실제 노르웨이어 발음은 '[ˈfɾɪ̂tːjɔf\](프리티오프 혹은 프리트요프)'에 가깝다. 덴마크-노르웨이어에서 유성음(l,r,n) 뒤나 치음/치경음(s, t) 앞의 파열음(d,t)은 자주 탈락한다. 이 묵음 d,t는 앞의 모음을 단모음으로 발음하라는 표시이다. [2] " Fridtjof Nansen", ffrf.org [3] 넓게 따져봐도 노르웨이에서 전세계적인 업적을 쌓은 사람은 지구의 두 극점 최초 정복자인 로알 아문센, 인형의 집을 쓴 헨리크 입센 정도가 끝이다. [4] 후보 추천을 받은 사람 중에는 파브르 곤충기를 써서 노벨문학상 후보로 추천된 장앙리 파브르도 있다. [5] 이름의 뜻은 '전진'. 배의 바닥이 둥글린 형상이였는데. 이는 유빙이 압박을 가하면 자연스럽게 위로 미끄러져 나오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프람 호의 자세한 구조 [6] 이때 난센은 "몇 년간 표류하다 보면 알아서 북극점에 도달하겠지."라는 비범한 생각으로 8년치 연료와 6년치 식량을 싣고 갔다. [7] 이때 아문센이 남극 탐험 계획을 밝히며 난센에게 조언을 구하자 나이만 좀 젊었으면 나도 따라가는 건데 라며 아쉬워했다고 한다. 물론 난센이 일행에 합류하는순간 리더가 바뀌게 될 것이므로 현실성은 전혀 없었지만. [8] 물론 대다수의 문제는 요한센 본인이 자초한 것도 있긴 했다. [9] 물론, 섀클턴이 스콧처럼 무작정 무시한 건 아니고, 나름의 계산으로 조랑말을 택했던 것이다. 문제라면, 남극이 섀클턴의 예상 이상으로 극한지대였다는 것. [10] 앞서 탐험가들이 극지방 탐험에서 사용한 개썰매를 두고 "잔인한 동물학대"라고 비난하는 스콧의 면전에서 "그러면 사람이 썰매를 끌게 하는 건 어떻게 생각하는데요?"라고 받아쳤다. [11] 물론 스콧도 마냥 대책없이 아무튼 개썰매 안 된다고 말한 것은 아니라서 남극점 정복때 조랑말과 설상차 심지어 개썰매까지 동원했지만 조랑말과 설상차는 너무 무거웠으며 심지어 조랑말은 너무 추워서 얼어죽고 설상차도 물에 빠져 고장나는 등 도움이 안 되었고 개썰매마저 베이스캠프를 세우는데는 썼지만 정작 남극점 탐험때는 안 썼다. [12] 그 유명한 헨리크 입센의 아들이다. [13] 공화국인 유럽 국가들은 대개 의원내각제나 이원집정부제 체제를 택한 나라들이 대부분이어서 대통령보다 총리의 권한이 강하다. [14] 2018년 8월 11일 방영. 영상 매체의 탄생 이후 20세기의 시작과 함께 기록된 "난민"을 주제로 세계 각국의 영상 기록 보관소에서 수집한 영상으로 편집한 다큐 [15] 가장 처음으로 난센 여권의 혜택을 받은 사람들은 적백내전 당시 러시아를 떠날 수밖에 없던 백군 측 군인이나 귀족들의 가족이었다. [16] 추워 죽겠는데 북극이 왠말이냐 하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냉기가 남쪽으로부터 온다는 정보가 있기 때문. 그리고 북극은 이미 추운 지방이라 그곳의 동물들도 어느정도 추위에 적응되어있어, 고기를 얻을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