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9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900> | }}} | |
{{{#!wiki style="color: #0089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신칸센 총괄본부 | ||
도호쿠 신칸센 - 조에츠 신칸센 - 호쿠리쿠 신칸센 | |||
모리오카 지사 | |||
■ 도호쿠 본선 - ■ 오후나토선 - ■ 키타카미선 - ■ 카마이시선 -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 하나와선 - ■ 야마다선 - ■ 하치노헤선 - ■ 오미나토선 - ■ 오우 본선 - ■ 츠가루선 | |||
아키타 지사 | |||
■ 오우 본선 (■ 아키타 신칸센) - ■ 키타카미선 -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 우에츠 본선 - ■ 오가선 - ■ 고노선 | |||
센다이 지사 (센다이 대도시근교구간) | |||
■ 도호쿠 본선 (■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 - ■ 센세키토호쿠라인) - ■ 조반선 - ■ 센세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 센잔선 - ■ 이시노마키선 - ■ 케센누마선 - ■ 반에츠토선 - ■ 반에츠사이선 - ■ 타다미선 - ■ 오우 본선 (■ 야마가타선 - ■ 야마가타 신칸센) - ■ 요네사카선 - ■ 아테라자와선 - ■ 리쿠우토선 - ■ 리쿠우사이선 | |||
타카사키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타카사키선 - ■ 죠에츠선 - ■ 아가츠마선 - ■ 료모선 - ■ 신에츠 본선 - ■ 하치코선 | |||
미토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조반선 - ■ 미토선 - ■ 스이군선 | |||
치바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소부 본선 ( 소부 쾌속선 - 츄오-소부선) - 케이요선 - 무사시노선 - ■ 나리타선 - ■ 카시마선 - ■ 소토보선 - ■ 토가네선 - ■ 우치보선 - ■ 쿠루리선 | |||
오미야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도호쿠 본선 ( 우츠노미야선 - 타카사키선 - 케이힌토호쿠선 - 사이쿄선 - 쇼난신주쿠라인) - 무사시노선 - ■ 카와고에선 - ■ 닛코선 - ■ 카라스야마선 | |||
도쿄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도카이도 본선 ( 도카이도선 - 케이힌토호쿠선 - 요코스카선 - 쇼난신주쿠라인 - ■ 우에노도쿄라인 - ■ 힌카쿠선 - 소테츠·JR직통선) - ■ 도호쿠 본선 ( 우츠노미야선 - 타카사키선 - 케이힌토호쿠선 - 사이쿄선 - 쇼난신주쿠라인 - ■ 우에노도쿄라인) - 야마노테선 - ■ 아카바네선 ( 사이쿄선) - ■ 츄오 본선 ( 츄오 쾌속선 - 츄오-소부선) - ■ 소부 본선 ( 소부 쾌속선 - 츄오-소부선) - ■ 조반선 ( 조반 쾌속선 - 조반 완행선 - ■ 우에노도쿄라인) - 케이요선 - 무사시노선 | |||
요코하마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도카이도 본선 ( 도카이도선 - 케이힌토호쿠선 - 쇼난신주쿠라인 - 소테츠·JR직통선) - 요코스카선 ( 쇼난신주쿠라인) - 난부선 - 츠루미선 - 요코하마선 - 네기시선 - ■ 사가미선 - ■ 이토선 | |||
하치오지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츄오 본선 ( 츄오 쾌속선 - 츄오-소부선) - 오메선 - 이츠카이치선 - 난부선 - 무사시노선 - ■ 하치코선 - 요코하마선 | |||
니가타 지사 (니가타 대도시근교구간) | |||
■ 신에츠 본선 - ■ 우에츠 본선 - ■ 죠에츠선 - ■ 에치고선 - ■ 야히코선 - ■ 하쿠신선 - ■ 요네사카선 - ■ 반에츠사이선 - ■ 타다미선 - ■ 이야마선 | |||
나가노 지사 | |||
■ 츄오 본선 - ■ 코우미선 - ■ 시노노이선 - ■ 오이토선 - ■ 신에츠 본선 - ■ 이야마선 | |||
폐선 | |||
츠가루 해협선(2016) - 이와이즈미선(2014) - 신에츠 본선 요코카와~카루이자와 (우스이 급구배 구간)(1997)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gcolor=#fff,#191919> |
[ruby(武蔵野, ruby=むさしの)][ruby(線, ruby=せん)] Musashino Line 무사시노선 |
}}} | |
<nopad> | ||||
E231계 전동차 | ||||
노선 정보 | ||||
분류 | 간선 | |||
기점 | 츠루미역[1] | |||
종점 | 니시후나바시역 | |||
역 수 | 29 | |||
노선기호 | JM | |||
개업일 | 1973년 4월 1일 | |||
소유자 | JR 동일본 | |||
운영자 |
JR 동일본 JR 화물 |
|||
사용차량 |
209계 전동차[2] E231계 전동차[3] |
|||
차량기지 | 케이요 차량센터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00.6㎞ | |||
궤간 | 1067㎜ | |||
선로구성 | 복선 | |||
사용전류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 | |||
신호장비 | ATS-P, ATS-Sn | |||
최고속도 | 100㎞/h |
실측지도 상의 무사시노선[4] |
상행 전구간 주행영상 (케이요선 도쿄방면 직통) |
[clearfix]
1. 개요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츠루미구의 츠루미(鶴見)역부터 치바현 후나바시시의 니시후나바시(西船橋)역까지를 잇는 노선이다. 열차할당기호는 E. 도카이도-우에노도쿄라인 계열의 열차기호랑 같다.2. 상세
야마노테선이 도쿄의 심장부를 순환하는 노선이라면, 이 무사시노선은 도쿄의 외곽을 크게 둘러주는 순환선의 역할을 해준다. 도쿄 메가 루프(東京メガループ)[5]의 주축 노선.도카이도 본선과 도호쿠 본선과의 화물 통로로 쓰이던 야마노테 화물선의 선로 용량이 한계에 도달해 더 이상 도심을 통과하는 화물 열차를 굴리기 어려워졌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심을 피해 멀리 우회하는 바이패스 화물 노선을 건설하게 된다. 그렇게 나온 것이 무사시노선이며, 니시코쿠분지(西国分寺), 무사시우라와(武蔵浦和), 신마츠도(新松戸)역에 각각 츄오 본선, 도호쿠 본선, 조반선과의 연결선이 있어 화물 열차의 효율적 운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연선의 여객 수요를 무시할 수 없었고, 후추혼마치(府中本町) - 니시후나바시(西船橋) 구간에서 여객 영업을 개시하게 되었다. 종점인 니시후나바시(西船橋)역에서는 케이요선과 도쿄까지 직결 운행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심으로의 편리한 진입이 가능하다. 서울 수도권의 경기순환버스와 비슷하게 도쿄 외곽 지역들끼리 연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2019년 11월 30일 소테츠·JR직통선이 개업하며 츠루미역 - 무사시코스기역 구간을 공유하게 되어, 후추혼마치 이후 구간에도 정기 여객열차가 운행한다. 그러나 무사시노선 상에는 승강장이 없어 전 구간 무정차로 운행한다.
도쿄도 무사시노시(武蔵野市)를 전혀 지나가지 않는다. 옛 율령국인 무사시의 너른 들판을 무사시노(武蔵野)라고 불렀는데, 이걸 기준으로 본다면 무사시노선의 반 이상이 무사시노를 가로지르긴 한다.
3. 노선 데이터
- 관할, 구간
-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츠루미~니시후나바시 : 100.6km
- 신코다이라~쿠니타치 : 미설정
- 니시우라와~요노 : 4.9km
- 미나미나가레야마~키타코가네 : 미설정
- 미나미나가레야마~마바시 : 미설정
- 일본 화물철도 (제2종 철도사업자)
- 츠루미~니시후나바시 : 100.6km
- 신아키츠~일본국유철도선·세이부철도선 분기점 : 1.6km
- 신코다이라~쿠니타치 : 5.0km
- 니시우라와~요노 : 4.9km
- 미나미나가레야마~키타코가네 : 2.9km
- 미나미나가레야마~마바시 : 3.7km
- 궤간 : 1067mm
- 역 수
- 여객역 : 26
- 화물역 : 3
- 복선구간 : 니시코쿠분지~쿠니타치 연락선 제외 전선
- 전화구간 : 전구간 (직류 1500V)
-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
- 신호장비
- ATS-P : 후추혼마치~니시후나바시
- ATS-Sn : 츠루미~후추혼마치
- 표정속도 : 55.2km/h
- 최고속도 : 95km/h
- 운전지령소 : 도쿄 종합지령소 (무사시노 지령)
- 열차종합관리시스템 : 도쿄권 운송지령시스템 (ATOS) (신츠루미 신호장~니시후나바시)
- 차량기지 : 히가시토코로자와 전차구 (히가시토코로자와)
- 수도권 근교구간 (여객영업규칙에 의한) : 후추혼마치~니시후나바시
- 전차특정구간 : 후추혼마치~니시후나바시
- 교통카드 호환지역 : 후추혼마치~니시후나바시
- 영업본부
- 츠루미~카지가야 화물터미널 : 요코하마 지사
- 후추혼마치~니자 : 하치오지 지사
- 키타아사카~미사토 : 오미야 지사
- 미나미나가레야마~신마츠도 : 도쿄 지사
- 신야하시라~니시후나바시 : 치바 지사
4. 차량
취소선은 은퇴 차량8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
101계 전동차[6]- 1973년~1986년 사용 -
103계 전동차[7]- 1980년~2005년 사용 -
201계 전동차[8]- 1986년~1996년 사용 -
205계 전동차 (0・5000번대)[9][10]- 1991년~2020년 사용 - 209계 전동차 (500번대)[11]
- E231계 전동차 (0번대)[12]
4.1. 차량 이동사
하술할 여러 이유로 고성능의 차량이 필요해진 무사시노선.이에 기존에 운행하던 205계의 성능강화를 했다. 무려 계자첨가 여자제어였던 205계의 동력차를 도요전기제 IGBT 인버터로 개조해서 투입하였다.
개조된 205계 동력차는 5000번대의 접수대를 부여하였는데, 재미있는 것은 이 동력차에만 5000번대를 붙였을 뿐 나머지 차량은 기존 차번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어쨌거나 E233계의 대량 증비로 인해 무사시노선 투입 차량의 변화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 현재로서는 209계 일부가 넘어왔을 뿐 별 다른 변화의 조짐은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VVVF개조차량의 존재도 무사시노선 차량의 빠른 교체를 망설이게 하고 있는 듯.
다만 야마노테선에 E235계가 본격적으로 증비되기 시작하면 대규모의 차량 이동이 예상되는데, 가장 큰 변화를 맞을 것으로 보이는 노선이기도 하다.
결국... 뜬금없이 동일본이 마츠도 차량센터에 전속되어 있는 B22편성의 초록색을 벗기고 주황색을 씌우는 장면이 차량기지에서 목격되었다.[13] 이에 따라 무사시노선에서 운행하는 205계의 미래가 어두워졌다.
2017년 11월 다이아 개정에 무사시노선 E231계가 운행을 시작했다. 이제 205계가 폐차장으로 가거나 자카르타로 팔려나갈 일만 남은듯(..)
2017년에는 209계마저 모두 추진제어장치가 기존 GTO에서 신형 IGBT소자[14]로 교체되고 있다. 2017년 1월에는 M72편성이, 2017년 10월에는 M71편성이 교체되었는데, 같은 해 12월에는 M73편성마저 교체되어 무사시노선 내 GTO 차량은 전부 사라지게 되었다.
2018년 2월 28일에 JR 동일본이 내놓은 자료에 의하면, 현재 운행하는 무사시노선의 205계는 전 차량을 자카르타로 양도한다고 밝혔다.
2018년 4월, 예상과는 다르게 E231계가 아닌 209계가 추가로 양도되었다. 츄오-소부선 C516편성 출신이고 M74편성을 부여받았다. 2018년 5월 말, 또 209계 500번대 1대가 추가로 양도되었다. 츄오-소부선 C506편성 출신이고 M81편성을 부여받았다. 205계 전동차는 2020년 10월 19일, 마지막으로 남은 M20편성을 끝으로 현역에서 모두 은퇴하였다.
5. 운행 계통
5.1. 무사시노선 열차
대부분의 열차가 중간 종착 없이 전 구간에서 운행된다. 차량기지가 히가시토코로자와(東所沢)역에 있기 때문에, 상행 열차는 이 역에서 종착하는 경우도 있다. 하행 방향으로는 대부분의 열차가 케이요선에 직결하며, 도쿄역 방향과 카이힌마쿠하리역 방면(단, 이 쪽은 미나미후나바시역에서 짤리는 열차가 많다.)으로 1:1로 나뉘어져 운행된다.2013년 봄의 다이어 개정으로 케이요선에 직결하는 열차는 모두 케이요선 내에서 각역정차하게 되었다. 개정 이전까지만 해도 도쿄 발착 열차의 경우 케이요선 내에서는 쾌속으로 운전하고 있었다.
5.2. 무사시노호(むさしの号), 시모우사호(しもうさ号)
츄오 본선의 하치오지(八王子)역을 출발하여, 쿠니타치(国立)역과 신코다이라(新小平)역의 분기선을 경유하여 도호쿠 본선 오미야(大宮)역까지 운행하는 무사시노호(むさしの号)가 운행되고 있다. 당시 도호쿠 신칸센이 오미야(大宮)역까지만 개통되어 있었기 때문에, 신칸센 릴레이 열차로써 운행을 시작했다. 그러나 막상 굴려보니 제법 통근객들에게 인기가 있어, 정규열차화 되어 하루에 3~4회씩 운행되고 있다.도쿄 메가 루프 계획의 일환으로, 동쪽 구간에도 똑같은 열차를 2010년 12월 4일부터 운행하고 있다. 케이요선의 카이힌마쿠하리역(海浜幕張)을 출발하여, 무사시우라와역(武蔵浦和)의 직결선을 경유하여 도호쿠 본선 오미야역(大宮)까지 운행하는 시모우사(しもうさ号)가 하루 3회씩 운행되고 있다. 케이요선 도쿄역의 환승이 매우 끝내주는 문제도 있고, 어차피 도쿄 - 오미야간에서는 신칸센 열차가 빨리 달릴 수 없기 때문에, 도호쿠 신칸센과 도호쿠 본선과의 릴레이 열차로써 활용되는 중.
5.3. 특급열차 등
주말 한정으로 요시카와미나미역을 출발해 츠루미역 쪽으로 가서 요코스카선 카마쿠라역까지 운행하는 특급열차 카마쿠라가 있다. 임시특급이지만 주말마다 꾸준히 운행해 사실상 무사시노선의 유일한 상설 특급열차에 가깝다.2019년에 쇼난신주쿠라인과 도카이도 화물선을 경유하여 소테츠 신요코하마선으로 들어가는 소테츠·JR직통선이 신설되면서 후추혼마치역 이후 구간에도 상설 여객열차가 다니게 되었다. 도카이도 화물선으로 접속하기 위해 잠시 경유하며, 무사시노선 선로상에 승강장이 없어 이 구간에서 열차가 정차하지는 않는다.
이 외에도 온갖 형태의 임시열차들이 존재한다. 무사시노선을 경유하면 수도권 JR선 어디와도 직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운행 계통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 실제로 우에노도쿄라인 개통 이전, 도호쿠 본선 - 도카이도 본선간 임시열차는 거의 다 이 노선을 경유했다. 이외에도 임시쾌속 문라이트 센다이는 도쿄역에서 센다이를 잇는 평범한 쾌속열차처럼 보이지만, 케이요선 도쿄역에서 무사시노선을 경유해서, 오미야역에서 도호쿠 본선을 타고 올라가는 형태였다. 물론 힌카쿠선과 야마노테 화물선도 있지만 사이쿄선과 쇼난신주쿠라인으로 인해 포화되어 화물선의 기능은 수행하긴 힘든지라(...).
간간히 치바의 우치보선에서 출발해서 케이요선을 거쳐 무사시노선에 입선, 신마츠도역에서 조반선으로 연결되는 임시특급이 운행하기도 하는데, 문제는 무사시노선-조반선의 연결선이 한 방향으로만 연결되어 있다는 점. 그래서 미나미나가레야마역 바로 전에 운전정차한 후 무려 스위치백(!)으로 열차 방향을 바꾼 다음 조반선을 탄다. 여담이지만 2024년 봄에 해당 스케줄로 임시특급 ”미토카이라쿠엔키미츠호(水戸偕楽園君津号)“가 운행한 적이 있는데, 이 열차는 심지어 니시후나바시역에서 조반선 임시승강장인 카이라쿠엔역까지 직통하는 열차였다(…). 이렇듯 정말로 다양하고 이상한 운용이 많은 편이다.
상술한 카마쿠라호 같이 도카이도 본선 방향으로 가는 임시열차를 타면 화물열차 전용 구간인 후추혼마치~츠루미 구간을 직접 지나가볼 수 있다. 당연히 그 사이의 화물역에는 정차하지 않으며, 츠루미역에서 운전수 교대를 위해 선로만 빽빽한 역 구내에서 운전정차한다.
6. 문제점
6.1. 화물 노선에서 여객 노선으로의 전환, 그리고 그 부작용
노선 개업이 1970년을 넘어서 완료되었다. 1970년대의 수도권은 이미 크게 개발되어 있는 상태였고, 지상으로 평범하게 뚫으면서 가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 특히 무사시우라와(武蔵浦和) - 츠루미(鶴見) 구간은 대부분의 구간이 대심도 터널로 개통되었다. 또한, 화물 노선으로써 계획된 노선이었기 때문에 딱히 여객 수요가 많은 곳을 지날 필요도 없었고, 다른 노선과의 환승을 생각할 필요도 없었다.화물 열차를 위해 만든 노선이기 때문에, 여객 열차 선로쪽에 분기기 속도 제한이 걸리는 곳이 몇 군데 존재한다.
6.2. 환승 지옥
여객 영업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여객 영업을 개시하긴 했지만, JR그룹선과의 연계는 자사끼리도 엉망인 환승을 자랑한다. 원래는 화물노선이었으니 인구 과밀 지역을 약간씩 비켜나게 설정하는 것이 좋긴 했지만, 여객 영업을 시작하면서는 이 점이 독이 되고 있다.일단 니시코쿠분지( 츄오 쾌속선), 미나미우라와( 도호쿠 본선 계열. 이 역에서는 케이힌도호쿠선만), 신마츠도( 조반선), 니시후나바시( 츄오-소부선 각역정차, 케이요선)은 모두 상대 노선의 각역정차만 정차하는 역이다. 신기한 건 그 근처나 바로 옆이 하나같이 핵심 역들이라는 것[15]. 니시고쿠분지의 경우 명색이 츄오 쾌속선 정차역이라 급행열차를 탈 수 있지 않냐고 반문할 수 있지만... 거기 정차하는 쾌속은 말이 좋아 쾌속이지 실제론 거의 각역정차다. 애초에 노선명 자체에 쾌속이 있기 때문에 기본 등급인 쾌속은 가장 낮은 등급[16]이다. 더 자세한 등급 정보는 츄오 쾌속선 등급 항목 참고. 다시 말하면, 니시고쿠분지는 사실상 완행만 서는 역이다. 특쾌 계열들은 전부 통과한다. 미나미우라와 역시 도호쿠 본선이 지나가지만 거기 서는 건 각역정차하는 케이힌도호쿠선[17]. 무사시우라와역은 사이쿄선 전 열차가 정차하니 그나마 낫지만, 니시후나바시역 방면으로의 환승거리는 좀 긴 편. 사이쿄선에서 후추혼마치역 방면으로 환승한다면 개념환승에 가깝다.
대형 사철과의 환승은 더 심각하다. 케이세이 전철, 도부 철도, 세이부 철도,
6.3. 도박(Gamble) 노선
연선에 경마장이 세 개나 있다. 경마장 뿐만 아니라 각종 공영 도박 시설이 타 노선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아, 이러한 별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2002년 12월 1일 다이어 개정 전까지는 주말 한정으로 쾌속 "무사시노드림(むさしのドリーム)"호가 운행되었었다. 지금은 케이요선 쾌속으로 합쳐져 운행되고 있다.
경마가 끝난 뒤 경마장에서 쏟아져 나오는 사람들 때문에 열차가 지연되는 경우도 있다. 경마공원역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을 그대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6.4. 천재지변에 취약한 노선
바로 아래에 직결하는 케이요선의 명성이 워낙 높아 잘 알려져있지 않지만, 이 노선도 강풍에 매우 약하다. 폭우에도 쉽게 운휴가 되며, 지하 구간이 많아 침수에도 약한 편. 신코다이라(新小平)역이 폭우로 침수되어 운휴가 되었던 적이 있다.사실 강풍으로 인한 운행차질은 좁은 협궤(1067mm)를 사용한 탓이 매우 크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서울 이남 지상구간, 서울 지하철 2호선의 광진구 도심고가구간이나 당산철교에서도 태풍이 부는 날에도 웬만하면 정상운행되는 것을 보면 궤간의 폭이 열차 운행에 영향을 얼마나 끼치는지 알 수 있다.
6.5. 다소 혼란스러운 운행계통
니시코쿠분지(西国分寺)역에서는 츄오 본선 쾌속, 무사시노선에는 보통(각역정차) 도쿄역행 열차가 들어온다. 아무 것도 모르고 무사시노선에 탔다간...마찬가지로 니시후나바시(西船橋)역에서는 츄오-소부선을 타도, 무사시노선을 타도 니시코쿠분지(西国分寺)로 갈 수 있다. 무사시노선을 타게 되면 신나는 수도권 철도 투어를 하게 된다.
상하행의 방향도 조금 다른데, 일반적인 노선은 도쿄 방향이 상행이지만, 무사시노선은 츠루미 기점으로 한바퀴 도는지라 도쿄 방향이 하행이다. 사실 직결 운행에서 상하행을 따지는 것은 그리 의미있는 것은 아니지만...
또 하나의 문제는 직통운행을 하고 있는 케이요선 열차와의 편성 불균형이다. 케이요선 열차는 10량편성으로 운행하고 있는데, 무사시노선 열차는 8량 편성이기 때문에 수송용량도 적고 무엇보다 열차가 도착할 때마다 정차위치가 달라져서 사람들이 정차위치를 찾아 달리는 경우가 많다. 이것이 출퇴근 러시타임에 발생할 경우 가뜩이나 혼잡한 케이요선의 혼란은 더욱 커지게 된다. [22]
6.6. JR 동일본 고객 만족도 최하위 노선
매년 실시하는 고객 만족도 조사에서 거의 항상 꼴찌를 달린다. 조사 대상이 수도권 노선뿐만 아니라 도호쿠 지방 등의 로컬선도 다 합한 것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
너무 긴 배차간격
화물 열차와 선로를 공유하기 때문에, 여객 열차의 증차에 한계가 있다. RH 5분 간격, NH 10분 간격으로 운행되지만 하행 방향의 경우 도쿄행과 미나미후나바시행으로 나뉘기 때문에 도쿄 방향 배차 간격은 RH 10분, NH 20분(!)에 달한다. 2013년 3월 시각표 개정으로 NH 배차가 12분에서 10분으로 단축된 것이지만 그래도 도쿄행 배차는 20분에 달해 이용이 어렵다. 도쿄역 방향으로 굳이 가겠다면 니시후나바시역, 미나미우라와역, 무사시우라와역에서 츄오-소부 완행선, 케이힌토호쿠선, 사이쿄선을 이용하면 되지만 하나같이 문제가 있어서[23][24] 가는 데 환승이 많아지기 때문에 후행 열차와 별로 도착 시간이 차이나지 않게 되어 버린다. -
너무 짧
고 낡은 열차
긴 배차 간격으로 인해 혼잡시 200% 가까운 혼잡도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차가 8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조금만 신경을 쓰면 10량으로 증결할 수 있는데도 그러질 않으니 후술하듯 지역 시민들이 이런 문제들을 떠나 "JR동일본이 명백히 무사시노선을 업신여기고 있다"는 불만을 터뜨리는 것이다. 또한 구형 열차인 205계가 계속 운용된다는 불만이 있었으나, 현재는 츄오소부선 출신 E231계와 209계 후기형으로 완전히 대차되어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물론 다른 수도권 주요간선들이 E233계, E235계로 도배된 걸 생각하면 아직도 구형열차가 폐차 전에 거치는 짬통 신세를 벗어나지 못한 건 매한가지다. -
날씨에 너무 영향을 많이 받는다
고규격 노선으로 지어진 탓에, 고가와 터널 구간이 많다. 덕분에 강풍으로 운휴되는 것이 너무 잦고, 게다가 직결운행하는 노선이 하필이면 또 강풍으로 지연이 잦은 케이요선이기 때문에 지연이 심하다. 터널 구간이라고 날씨에 영향을 안 받는 건 아닌 것이, 폭우가 와서 수틀리면 선로 침수로 인해 운행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
쾌속 열차가 없다
쾌속 등급이 있던 시절에도, 무사시노선 내에서는 전부 각역정차였다. 대피선로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2013년 시각표 개정으로 모든 열차가 직결 구간 안에서까지 각역정차하게 되며 쾌속이 전멸해버렸다. 도호쿠 본선 직결 열차인 시모사나 무사시노호는 도호쿠선 내에서만 통과역이 있다. 무사시노선 내 각역정차. 다만 무사시노선을 경유하거나 무사시노선 내에서 시종착하는 임시열차들은 무사시노선 내에서 통과역을 설정하기도 한다.[25] -
위험한 화물 열차의 통과
별도 선로 없이 여객 플랫폼으로 그냥 화물 열차가 통과한다. 특히 도쿄 구간에서는 지하로 화물이 통과하는데, 매우 위험하고 시끄럽다.
게다가, 지역 시민들은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를 떠나 " JR 동일본은 명백히 무사시노선을 업신여기고 있다. 단지 수도권 순환 노선이고, 거의 환승용으로만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돈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무사시노선을 수도권 중요 노선의 하나로써 인식하지 않고 있다" 라고 강력한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개선을 요청하지만 Good으로 변화하는게 없으니 점점 여론이 나빠지고 있는 것.
7. 오해
7.1. 심한 수준의 선로 경사?
지상과 지하를 넘나드는데다, 고가도 자주 지나가기 때문에, 무사시노선은 구배가 심한 노선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오히려 지하-지상을 왔다갔다한다는 것 덕분에 구배는 작다. 구배를 낮추기 위해 지형 굴곡 그대로 왔다갔다하는 바람에 지상, 지하, 고가가 나타난 것. 무사시노선의 개통 목적중 하나가 상술한 내용인 화물열차 우회인데, 현재의 기관차 능력으로도 우메다 화물선 지하 신선의 23.5퍼밀을 주 기관차 단독으로 올라가기 힘들어서 보조 기관차를 연결하고 운행하는 마당이다.해당 구간의 전동차들은 MT비 조정이 이루어진 채로 무사시노선을 들락날락하기에 발생된 오해같아 보인다. MT비 조정의 이유는 화물노선의 여객화로 역간거리가 길었고 선로 규격도 높게 지어졌기 때문에 장시간 고속 운전에 따른 전동차의 전동기 부하를 낮추기 위함이었고, 직통하는 케이요선의 도쿄연장 부분의 구배가 30퍼밀이나 되기 때문이다.
8. 역 목록
8.1. 본선
<rowcolor=#fff> 표기 | 이름 |
む | 보통 '무사시노' |
し | 보통 '시모우사' |
통과하는 열차는 연회색으로 표기되어 있다. |
JR 동일본 무사시노선 본선 | |||||||
역번호 | 역명 |
후추 km |
츠루 km |
우등 | 환승노선 | 위치 | |
- |
츠루미 (鶴見) |
0.0 |
¶
JR 동일본
도카이도 본선 본선, 화물지선(타카시마선, 도카이도 화물선) |
카 나 가 와 현 |
요코하마시 츠루미구 |
||
- |
신츠루미신호장 (新鶴見信号場) |
3.9 | ¶JR 동일본 힌카쿠선, 난부선 싯테단축선 |
카와사키시 사이와이구 |
|||
- |
카지가야 화물터미널 (梶ヶ谷貨物 ターミナル) |
12.7 |
카와사키시 미야마에구 |
||||
JM35 |
후추혼마치 (府中本町) |
0.0 | 28.8 | む し | ¶JR 동일본 난부선 (JN20) |
도 쿄 도 |
후추시 |
JM34 |
키타후추 (北府中) |
1.7 | 30.5 | む し | |||
JM33 |
니시코쿠분지 (西国分寺) |
3.9 | 32.7 | む し | ¶JR 동일본 츄오 쾌속선 (JC17) | 코쿠분지시 | |
↖ 직결운행 | 보통 무사시노 : 일부열차 쿠니타치부터 츄오 쾌속선 경유 하치오지까지 직통 | ||||||
JM32 |
신코다이라 (新小平) |
7.4 | 36.2 |
む し [26] |
¶JR 동일본 무사시노선 쿠니타치지선 ¶ 오메카이도역 : 세이부 철도 타마코선 (ST03) |
도 쿄 도 |
코다이라시 |
JM31 |
신아키츠 (新秋津) |
13.0 | 41.8 | む し | ¶ 아키츠역 : 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선 (SI16) | 히가시무라야마시 | |
JM30 |
히가시토코로자와 (東所沢) |
15.7 | 44.5 | む し |
사 이 타 마 현 |
토코로자와시 | |
- |
니자 화물터미널 (新座貨物 ターミナル) |
19.4 | 48.2 | む し | 니자시 | ||
JM29 |
니자 (新座) |
19.7 | 48.5 | む し | |||
JM28 |
키타아사카 (北朝霞) |
22.8 | 51.6 | む し | ¶ 아사카다이역 : 도부 철도 토죠 본선 (TJ13) | 아사카시 | |
JM27 |
니시우라와 (西浦和) |
27.8 | 56.6 |
む し [27] |
¶JR 동일본 무사시노선 오미야지선 |
사이타마시 사쿠라구 |
|
JM26 |
무사시우라와 (武蔵浦和) |
29.8 | 58.6 |
む し [28] |
¶JR 동일본 사이쿄선 (JA21), 무사시노선 니시우라와지선 |
사이타마시 미나미구 |
|
JM25 |
미나미우라와 (南浦和) |
31.7 | 60.5 | む し | ¶JR 동일본 케이힌토호쿠선 (JK42) | ||
JM24 |
히가시우라와 (東浦和) |
35.4 | 64.2 | む し |
사이타마시 미도리구 |
||
JM23 |
히가시카와구치 (東川口) |
39.2 | 68.0 | む し | ¶ 사이타마 고속철도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SR25) | 카와구치시 | |
JM22 |
미나미코시가야 (南越谷) |
43.5 | 72.3 | む し | ¶ 신코시가야역 : 도부 철도 이세사키선 (TS20) | 코시가야시 | |
- |
코시가야 화물터미널 (越谷貨物 ターミナル) |
43.9 | 72.7 | む し | |||
JM21 |
코시가야 레이크타운 (越谷レイクタウン) |
46.3 | 75.1 | む し | |||
JM20 |
요시카와 (吉川) |
48.2 | 77.0 | む し | 요시카와시 | ||
JM19 |
요시카와미나미 (吉川美南) |
49.8 | 78.6 | む し | |||
JM18 |
신미사토 (新三郷) |
51.3 | 80.1 | む し | 미사토시 | ||
JM17 |
미사토 (三郷) |
53.4 | 82.2 | む し | |||
JM16 |
미나미나가레야마 (南流山) |
55.4 | 84.2 | む し |
¶JR 동일본 무사시노선 키타코가네·마바시 지선 ¶ 수도권 신도시 철도 츠쿠바 익스프레스 (TX10) |
치 바 현 |
나가레야마시 |
JM15 |
신마츠도 (新松戸) |
57.5 | 86.3 | む し |
¶JR 동일본
조반 완행선 (JL25) ¶ 코야역 : 류테츠 ■ 나가레야마선 (RN2) |
마츠도시 | |
JM14 |
신야하시라 (新八柱) |
61.6 | 90.4 | む し | ¶ 야바시라역 : 신케이세이 전철 신케이세이선 (SL05) | ||
JM13 |
히가시마츠도 (東松戸) |
64.0 | 92.8 | む し |
¶
호쿠소 철도
호쿠소선 (HS05) ¶ 케이세이 전철 나리타 공항선 |
||
JM12 |
이치카와오노 (市川大野) |
65.9 | 94.7 | む し | 이치카와시 | ||
JM11 |
후나바시호텐 (船橋法典) |
68.9 | 97.7 | む し | 후나바시시 | ||
JM10 |
니시후나바시 (西船橋) |
71.8 | 100.6 | む し |
¶JR 동일본
케이요선 (직결운행),
츄오-소부선 (JB30) ¶ 도쿄메트로 도자이선 (T-23) ¶ 토요 고속철도 토요 고속선 (TR01) ¶ 케이세이니시후나역 : 케이세이 전철 본선 (KS20) |
||
↓ 직결운행 |
보통 시모우사/무사시노선 보통 :
케이요선
카이힌마쿠하리까지 직결운행 보통열차 : 케이요선 도쿄까지 직결운행 |
8.2. 지선
<rowcolor=#fff> 역명 | 영업㎞ | 접속노선 | 소재지 | |
쿠니타치 지선 | ||||
신코다이라 (新小平) |
0.0 | 무사시노선 본선 |
도 쿄 도 |
코다이라시 |
쿠니타치 (国立) |
5.0 | 츄오 본선 | 쿠니타치시 | |
오미야 지선 | ||||
니시우라와 (西浦和) |
0.0 | 무사시노선 본선 |
사 이 타 마 현 |
사이타마시 사쿠라구 |
벳쇼신호장 (別所信号場) |
1.3 | 무사시노선 니시우라와지선 |
사이타마시 미나미구 |
|
요노 (与野) |
4.9 | 도호쿠 본선 |
사이타마시 우라와구 |
|
니시우라와 지선 (영업거리 설정 없음) | ||||
무사시우라와 (武蔵浦和) |
- | 무사시노선 본선 |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미나미구 |
|
벳쇼신호장 (別所信号場) |
- | 무사시노선 오미야 지선 | ||
키타코가네 지선 | ||||
미나미나가레야마 (南流山) |
0.0 | 무사시노선 본선 |
치 바 현 |
나가레야마시 |
키타코가네 (北小金) |
2.9 | 조반선 | 마츠도시 | |
마바시 지선 | ||||
미나미나가레야마 (南流山) |
0.0 | 무사시노선 본선 |
치 바 현 |
나가레야마시 |
마바시 (馬橋) |
3.7 | 조반선 | 마츠도시 |
9. 기타
- 신미사토(新三郷)역은 상하행 승강장 사이가 가장 먼 역(360m)으로 유명했었지만 상행 선로를 1999년에 이설하여 지금은 멀쩡한 역으로 돌아왔다. 이는 원래 신미사토역의 상하행 승강장 사이에 '무사시노조차장'이라는 당시 일본 최대의 화물열차터미널이 있었기 때문이다.
- 화물전용구간인 후추혼마치 - 츠루미 구간에도 JR 동일본의 영업거리가 설정되어 있지만, 화물선을 경유하는 JR의 임시여객열차는 이 영업거리를 사용하지 않고 난부선과 힌카쿠선을 경유한 것으로 계산한다.
- 어째 Natural High 브랜드 AV에서 전철씬만 나왔다 하면 이 노선이 나온다. 그래서 AV촬영용 임시 회송 열차가 있다는 소문이 돌았지만, 전철 내부 씬은 세트장에서 찍기 때문에 그냥 낭설에 불과했다. 무사시노선에 실제로 E231계 도입되기 전에 전철 내부가 E231계라는 것이 증거. 관련 마토메 다만 플랫폼씬은 사람이 별로 타지 않는 평일 낮에 찍었을 가능성이 있다.
- 무사시노선 연선에는 우라와라는 이름이 들어간 역들이 4개 연속으로 등장한다. 니시우라와- 무사시우라와- 미나미우라와- 히가시우라와가 그 주인공으로 이름이 비슷비슷해서 까딱하면 내릴 역을 놓칠 법한 구간이다.
- 노선 자체가 중심지를 우회해서 지어진 탓에 신(新) 또는 방위명이 붙은 역명이 굉장히 많다. 무사시노선내 전체 여객역 가운데 2/3를 차지할 정도.
10. 관련 문서
[1]
여객열차는
후추혼마치역을 기점으로 한다.
[2]
500번대
[3]
0, 900번대
[4]
노선도에 표기된 것과 달리
오미야역 방향으로는
케이힌토호쿠선이 아닌
우츠노미야선으로 직결되며 요노역은 무정차 통과하고
도호쿠 본선상에서 오미야역에만 정차한다.
[5]
무사시노선,
케이요선,
난부선,
요코하마선을 통틀어 칭하는 명칭이다.
[6]
차량색깔이 전체적으로 주황색이라서
츄오 쾌속선에 운행했었던 101계 전동차와 똑같아보인다고 생각하는사람들도 많았었다.
[7]
차량색깔이 전체적으로 주황색이라서
츄오 쾌속선에 운행했었던 103계 전동차와 똑같아보인다고 생각하는사람들도 많았었다.
[8]
차량색깔이 전체적으로 주황색이라서
츄오 쾌속선에 운행했었던 201계 전동차와 똑같아보인다고 생각하는사람들도 많았었다.
[9]
0번대는 1991년에 들어온 205계 최후기형 차량 5편성 뿐이었으나, 1대가 2005년에 5000번대로 개조되었고, 2008년에
케이요선에서 야마노테선 출신 차량 1편성이 전입해 왔지만 1년만에
요코하마선으로 재이적되었다. 그러다 2015년에 난부선에 E233계 전동차 투입에 따라 1990년산 2개 편성이 전입해와 2019년까지 운행했다.
[10]
5000번대는 1989년산 3개 편성과
야마노테선에서 온 1985~1988년산 32개 편성, 1991년산 0번대 출신 1편성 이렇게 36개 편성이 운행했다.
[11]
츄오-소부 완행선 출신. 3편성은
케이힌도호쿠선과
케이요선을 거쳐 2010년에 들어왔고 나머지는 2018년부터 들어왔다.
[12]
2017년 11월 1일부터 운행 시작,
츄오-소부 완행선 출신. 이적 과정에서 8량화 및 출입문 개보수, 신형 IGBT로의 개조가 이루어졌다.
[13]
다른 말로 하면 무사시노선에
E231계가 투입되는게 확실시 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14]
E231계 추진제어장치 교체 차량이 쓰는 그 소자 맞다.
[15]
각각 코쿠분지, 우라와, 마츠도, 후나바시와 인접하며, 이 네 역은 하나같이 지역 거점역이다. 넷 다 JR 단독으로 일평균 승하차 8만명을 가뿐히 찍는 대형 역이다. 또한 우라와역을 제외한 세 역은 모두 JR 동일본의 승차량 랭킹의 50위에 들며, 우라와역도 바로 다음인 51위를 차지하고 있다.
참고자료 그나마 니시후나바시역이 지하철이나 사철도 들어오는 꽤 큰 역이다.
[16]
니시코쿠분지역 기준으로 타카오 방면으로는 모두 각역정차, 도쿄 방면으로는 평일에는
나카노까지 주말에는
키치죠지까지 각역정차한다.
[17]
케이힌도호쿠선에는 쾌속열차가 운행을 하고는 있지만 미나미우라와 인근에서는 아무 의미가 없다. 야마노테선과 병주하는 구간에서만 쾌속운행을 하기 때문.
[18]
직접 붙어있는 환승역이 없다.
후추역에서
후추혼마치역이 가깝긴 하지만…
[19]
그나마 히가시마츠도의 경우
호쿠소 철도를 이용해서 나리타 공항으로 들어가는 액세스 특급이 서기 때문에 스카이라이너를 타지 못할 뿐 크게 불편한 건 아니라 할 수 있다. 오히려 스카이라이너보다 접근성이 더 뛰어나서 여기서 액세스 특급으로 갈아타면 나리타든 하네다든 다 갈 수 있다.
[20]
양대 간선인 본선, 토죠선과는 각각
미나미코시가야역(신코시가야역),
키타아사카역(아사카다이역)과 교차를 하는데, 딱 한 정거장만 내려가면 이미
코시가야역과
시키역에 어지간한 등급의 열차가 정차하던 상황. 그런데도 수고롭게 역사를 신설하고 대피선까지 설치해 줬기에 최소 급행등급까지 환승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무사시노선 입장에서는 정말정말 감지덕지해야 하는 상황. 특히
아사카다이역엔 쾌속열차까지 선다!
[21]
코다이라시 지역에는 수많은 세이부 철도 노선이 그물처럼 분기, 접속하고 있지만 역은 정작 엉뚱한 곳에 건설해 놓았다. 사실 이쪽은 역을 건설할 위치가 너무 애매해서 차라리 엉뚱한 데에 위치해 있다고 치자. 더 북쪽으로 가면 세이부 철도로서는 유일한 환승역인 아키츠역(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은 쾌속, 준급, 통근준급, 보통이 정차하지만, 한노 방향으로는 모두 각역정차하고, 이케부쿠로 방향으로는 히바리가오카까지 나가야 상위 등급으로 갈아탈 수 있다. 설상가상으로 쾌속과 통근준급은 항상 운행되는 종별이 아니라서 결국 실질적으로 2종류밖에 안 서는 셈.
[22]
이것은 8량짜리
요코하마선 열차와 10량짜리
케이힌토호쿠선 열차가 모두 정차하는
네기시선에도 나타나는 문제이다. 한국의 경우
안산선 일부 구간에서 10량짜리
수도권 전철 4호선 열차와 6량짜리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열차가 모두 같은 플랫폼에 정차하는 비슷한 문제가 있다.
[23]
니시후나바시역에 정차하는 츄오-소부 완행선은 도쿄역으로 안 가서
소부 쾌속선 열차가 서는
이치카와역에서 갈아타야 하고 결정적으로 그 쪽 도쿄역은 케이요선 플랫폼보다는 가깝다 뿐이지 지하 방공호다.
[24]
케이힌토호쿠선으로 갈아타면 도쿄역까지 35-40분 가까이 걸린다.
사이쿄선은 신주쿠 쪽으로 빠지기 때문에
무사시우라와역에서 사이쿄선으로 갈아타면
아카바네역, 아무리 늦어도
이케부쿠로역에서는 반드시 환승해야만 도쿄역으로 갈 수 있다. 이게 다
도호쿠 본선이 우라와~아카바네 논스톱이라 생기는 문제
[25]
예시로
요시카와미나미역과
요코스카선
카마쿠라역 간을 운행하는 임시특급 '카마쿠라(鎌倉)'가 있다. 임시열차로 설정되어있지만, 매주 주말에 왕복 1회 운행하기에, 어떻게 보면 실질적인 무사시노선의 정기특급열차라고 볼 수도 있다.
[26]
여기서 하치오지행과 후추혼마치행이 서로 갈린다. 하치오지행은 여기서 츄오 연락환승선을 타고 츄오 쾌속선으로 진입, 하치오지까지 운행한다.
[27]
여기서 무사시노는 오미야지선을 타고
도호쿠 본선으로 빠져나간다. 전열차 오미야까지 운행.
[28]
시모우사 역시 오미야부터 도호쿠 화물선을 타다가 오미야지선, 니시우라와지선을 타고 본선에 합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