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22:38:32

자크 랑시에르

랑시에르에서 넘어옴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 <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현상학 후설 · 슈타인 · 레비나스 · 앙리
철학적 인간학 셸러 · 부버 · 겔렌
하이데거
실존주의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해석학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 네그리 · 바디우 · 가라타니 · 지젝 · 피셔
비판 이론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구조주의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아즈마
21세기 실재론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실용주의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프레게 · 괴델 · 브라우어 · 힐베르트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비트겐슈타인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옥스퍼드 학파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언어철학 콰인 · 타르스키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루이스 / 피츠버그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심리철학 퍼트넘 ·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차머스
과학철학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라우든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기술철학
위너 · 엘륄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미디어 철학
매클루언 · 비릴리오 · 한병철
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노직 · 호페 / 사회자유주의: 롤스 ·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기타: 벌린 · 슈클라 · 라즈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보수주의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랜드 · 아롱
윤리학 규범윤리학: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싱어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인식론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골드만
법철학 라드브루흐 · 풀러 · 하트 · 드워킨
종교철학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베유 · · 지라르 · 닐슨 ·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크레이그
탈식민주의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페미니즘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파이어스톤 · 오킨 · 맥키넌 · · 크렌쇼
환경철학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관련문서 대륙철학 · 분석철학 }}}}}}}}}
<colbgcolor=#000><colcolor=#fff> 자크 랑시에르
Jacques Rancière
파일:자크 랑시에르.jpg
본명 자크 랑시에르
Jacques Rancière
출생 1940년 6월 10일
프랑스령 알제리 알제
국적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모교 파리 고등사범학교
경력 파리 제8대학교 교수
파리 제8대학교 명예 교수 (현직)
학파 대륙철학, 마르크스주의, 구조주의
직업 철학자, 미학자

1. 개요2. 생애3. 사상
3.1. 미학 이론3.2. 대의 민주주의 비판
4. 여담5. 저서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프랑스 철학자.

슬라보예 지젝, 안토니오 네그리, 에티엔 발리바르와 더불어 21세기 들어 주목받는 가장 저명한 정치철학자 중 한명이다.

2. 생애

알제리에서 태어난 랑시에르는 대학교 시절, 철학 교수 루이 알튀세르 밑에서 철학을 배웠다. 1968년 랑시에르는 루이 알튀세르, 에티엔 발리바르 등과 함께 <자본을 읽자>를 저술, 유럽 마르크스주의 철학계에서 촉망받는 신예 이론가로 떠올랐다. 그러나 1968년 68혁명 당시 정통 마르크스주의의 입장에서 미묘한 태도를 취한 알튀세르와 달리 랑시에르는 대중의 자발성을 옹호하며 1970년대 초반 알튀세르와 결별하였고[1], 이후 그 어떤 사조에도 속하지 않는 독창적인 철학을 전개하게 된다.

1960년대 이후, 여러 진보 단체에서 활동하던 랑시에르는 1998년 자신의 논문들을 엮은 <불화: 정치와 철학>을 발간해 21세기의 대표적인 정치 철학자로 자리매김하였다. 21세기 들어, 랑시에르는 자신의 분야인 정치 철학 외에 미학 부분에서도 두각을 보이며 활동했다.

그는 1960년대 질 들뢰즈, 알랭 바디우, 미셸 푸코 등과 함께 파리 제8대학교의 설립을 주도하였으며, 8대학교의 교수로 활동해 50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철학을 가르쳤다. 현재는 나이가 들어서 2000년을 끝으로 교수직에서는 은퇴하고 명예교수로 있으며 강연을 다니고 있다.

3. 사상

랑시에르는 처음에는 마르크스주의와 알튀세르주의에서 시작했지만 1974년 알튀세르와 결별하며 원류 서구 맑시즘과는 선을 긋게 된다. 랑시에르에 의하면, 그는 서구 마르크스주의는 물론 포스트 모더니즘, 구조주의, 실존주의 등 대륙철학의 주류 철학적 사조에 모두 일정부분 맞지 않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특정 학파로 분류될 수 없다 한다. 따라서 일부는 아웃사이더적인 성격이 강한 랑시에르를 가장 충실한 미셸 푸코의 후계자라고 말하기도 한다. 굳이 분류를 하자면, 랑시에르는 구조주의와 마르크스주의를 결합한 구조 마르크스주의에 가깝지만 알튀세르 등 주류 구조 맑시스트와도 뜻을 달리하므로 완벽한 구조-마르크스주의자라 할 수도 없다.

3.1. 미학 이론

랑시에르는 정치가 재화를 분배하는 체계라면 예술은 "감각을 배분하는 체계"(distribution of the sensible)이라고 주장하며 루카치 이래 서구 정치 미학에서 꾸준히 전개된 리얼리즘 소설 이론 논의에 다시 한번 불을 붙였다.

3.2. 대의 민주주의 비판

part des san parts
몫 없는 자들의 몫
랑시에르에 의하면 민주주의의 본래 의미는 어떤 사회의 형태거나 국가 형태가 아니다. 국가 논리가 인민 권력을 제한하기 위해 만드는 한계를 깨부수려는 어떤 행위에 본래 의미가 있는 것이다. 오늘날 자칭 대의 '민주국가'들은 사실상 과두제 국가이다.

랑시에르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담화 참여자들이 평등하게 모이는 공론장의 민주주의이다. 그러나 이는 하버마스의 개념과 크게 다른데, 하버마스에 있어 공론장 민주주의는 의사소통 합리성에 기댄 체제인 반면 랑시에르는 공론장의 평등함을 유지하는 힘이 불화[2]에 있다고 본다. 기존 체계의 불합리성의 모순을 드러내고, 폭로하며 세상을 변혁하는 힘의 원천으로 공론장을 주목한 것이다. 더 나아가 랑시에르는 체계-생활세계의 이분법화를 통해 "체계"의 변혁을 포기한 하버마스를 비판하며, 자유로운 공론장의 존재가 곧 "몫을 가지지 못한 자들의 목소리"를 정치에 전달시키며 평등한 체제를 앞당긴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랑시에르는 아렌트-하버마스 이래 "의사소통의 합리성"으로 대표되어왔던 정치적 공공성을 마르크스주의의 방법론을 통하여 전복함과 동시에 재평가하고자[3] 했다.

4. 여담


* 2022년, EBS의 위대한 수업에 출연해 일시적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와 별개로, 한국에서는 알튀세르 및 프랑스 현대 철학 연구의 권위자인 고려대학교 교수 진태원이 꾸준히 랑시에르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번역 작업을 추구하고 있다.
  • 글을 어렵게 쓰는 것으로 유명한데, <불화>를 비롯한 그의 여러 책들은 마르크스주의를 비롯한 서양 근대 철학의 조류들은 물론 유럽 현대사, 문화사 등 풍부한 인문학적 지식을 요구한다. 거기다 프랑스 지식인들의 고질병인 장광설까지 들어가 글을 읽는 것을 즐기는 사람이 아닌 이상 랑시에르의 글을 읽으면 쉽게 지치게 된다.
  • 프랑스 대선 후보 세골렌 루아얄이 과거 랑시에르를 가장 존경하는 철학자라고 한 적이 있다. 그런데 제3의 길, 중도 성향 정치인인 루아얄과 달리 랑시에르는 급진 마르크스주의자이기 때문에, 루아얄이 랑시에르를 제대로 이해한게 맞는지에 대해 논란이 있었고 루아얄은 망신만 샀다(...).

5. 저서

  • Le Maitre Ignorant(무지한 스승) 1987 [4]
해방시키지 않고 가르치는 자는 바보를 만든다.[5]
사람은 누구든지 스스로 배우고 알려고 할 때 자기 자신의 욕망이나 긴장 또는 상황의 강제 또는 자기 자신을 둘러싼 환경의 이미 적절히 베풀어져있는 정보들 덕분에 설명해주는 스승 없이도 혼자 배울 수 있다[6]라는 맥락(context)의 해방(release)이라는 표현을 기술하고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철학적 교육학적 패러다임과 이슈를 재정립했다고 평가받는다.

6. 관련 문서


[1] 알튀세르는 나중에 랑시에르의 주장을 평가하길, 그는 어느 부분에서는 흥미로운 점도 있긴 하지만 근본적으로 공격적인 "좌익주의자"이며 애매모호하고 알 수 없는 말을 한다고 혹평했다. 다만 당시에는 랑시에르의 정치철학 전반의 사상을 정리한 "불화"가 출간되기 전이었으며 미학이론도 정립되지 않았던 시절임을 감안해야한다. [2] 랑시에르가 1997년에 내놓은, 그의 가장 유명한 책의 제목도 여기에 기인한다. [3] 이는 바디우와의 가장 큰 차이점인데, 바디우는 플라톤주의를 기반으로 새로운 "철학적 정치 체계"를 구축해 민주주의의 대중 소외 현상을 극복하고자 한다면 랑시에르는 민주주의의 기본적인 특징들이 마르크스주의에서도 계승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4] Le Maitre Ignorant(무지한 스승) 자크 랑시에르 1987 ISBN(10) 8958203927 [5] 무지한 스승 ,자크 랑시에르, 출판사 궁리 2016.08.25. [6] 자크 랑시에르·양창렬 역, 『무지한 스승』(궁리, 2016년), 2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