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323-1 | 349 | 356 | |
401[A] | 403 | 405 | 410-1 | 413 | 425 | |
449 | 503 | 509 | 518 | 518-1 | 523 | |
524 | 527 | 564 | 600[A] | 609 | 618 | |
623 | 649 | 650 | 651 | 653 | 655 | |
706 | 708 | 719 | 724 | 726 | 730 | |
750 | 805 | 808 | 814 | 836 | 840 | |
849-1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
대덕교통 차량 | 대명교통 차량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36번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 반야월역)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대천동공영차고지)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평일, 토요일]05:33 / [공휴일] 05:35 |
막차 | [평일, 토요일] 22:13 / [공휴일] 22:10 | 막차 | [평일, 토요일] 22:28 / [공휴일] 22:14 | ||
평일배차 | 12분 | 주말배차 | 14분 | ||
운수사명 |
대덕교통 대명교통 |
인가대수 | 23대[1][2] | ||
노선 | 반야월역 - 반야월시장 - 용계역 - 방촌시장 - 입석중학교 - 동구청 - 복현오거리 - 대구실내체육관 - 침산네거리 - DGB대구은행파크[3] - 서문시장[4] - 대명시장 - 성당시장 - 서부정류장[5] - 상인네거리[남부][북부] - 유천교[8] - 대천동공영차고지 |
중간 출발 정류소 | |
대천동 방면 | 서문시장평일, 토요일, 이마트칠성점평일, 토요일, 산격대우아파트, 아양교역평일, 토요일, 용계역 |
반야월역 방면 | 복현오거리평일, 토요일, 실내체육관, 동산의료원, 대구보건고등학교평일, 토요일, 한영한마음아동병원, 대구교통공사 |
2. 개요
동구 동호공영차고지(8)에서 북구 고성동3가 DGB대구은행파크(3)를 거쳐 달서구 대천동공영차고지(6)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8.5km.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1990년 무렵까지는 평화시장~공고네거리~구.경북도청~성북교 구간을 운행하다가 일반버스 36번(1998년 개편 이후 현 939번)이 복현오거리로 단축되자 해당 구간을 대체 운행하기 위해 동북로와 대구실내체육관 경유로 변경되었다.
- 32번 당시에는 용연사, 옥포읍 신당리, 현풍읍, 고령군 다산면 송곡리를 일부 연장 운행하기도 했었는데 1998년 개편 당시 일반버스 31번[10]이 폐선되고 일반버스 90번[11]이 현풍시외버스터미널로 단축되어 다산면 가지 노선이 사라지면서 31번의 가지 노선[12]과 90번의 다산면 가지 노선까지 모두 전담했다.[13] 1998년 6월에는 11-6번이 1대로 감차되어 금강동으로 운행하지 않아 836번이 금강동도 운행하게 되었다.[14] 그러다가 1999년 1월 3일 개편으로 금강동행은 618번에 넘겨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6년 개편 전까지는 836번은 정말 엄청나게 많은 가지 노선이 있었는데, 금포리 삼리2교차로1[15] 종점으로 가는 본선보다 가지 노선들이 더 많을 정도였다.[16] 가지 노선이 많던 시절에는 가지 노선을 타고 가다 보면 본선을 타야 할 승객이 잘못 타서 다시 내리는 걸 가끔 볼 수 있었다.
- 2006년 개편 때 달성군청을 경유하고 종점을 경북교통 차고지에서 동호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고령군 성산면 득성리, 다산면 노곡리는 달성1번, 나머지 가지 노선들은 신설된 달성2번에 넘겼다.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유천네거리 이남 대곡역~화원읍~옥포읍~논공읍 구간이 몽땅 날아갔다.[17] 기존 구간은 600번, 650번이 대체한다. 또한 공차거리 감소를 위해 대명교통이 공동 배차에 참가하여 공동 배차 노선이 되었다. 왕복 80km에 가까웠던 장대 노선이었지만 단축으로 인해 현재는 왕복 60km에 미치지 않는 노선이 되었다. 동시에 5대가 감차되었지만 워낙 길었던 구간이 단축된지라 배차간격이 크게 늘어나지는 않았다.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 2024년 11월 1일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 시범 사업을 개시한다.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DGB대구은행파크, 대구실내체육관을 모두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가 대구를 연고로 하던 시절에는 이 버스를 타고 농구를 보러 가는 승객들도 많았다. 또한, 삼성 라이온즈의 경기가 있으면 이 노선을 타고 오는 경우가 많았다.[18] 다만 2021년부터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가 새로운 구장이 신축될 때까지 대구실내체육관을 사용하기로 하면서, 농구 경기가 있는 날에는 헬게이트 오픈이 확정되었다.
- 2009년 설화리로 단축될 뻔했다. 사월보성아파트~설화리 구간을 운행하던 604번을 사월보성아파트 대신 가창면 대일리로 바꾸고 설화리 대신 금포리로 연장하려고 했는데[19] 설화리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서 836번을 조정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바꾸면 수요가 나오지 않는다고 당시 604번을 운행하던 세진교통이 반대해 무산되었다.[20]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604번은 폐선되어 버렸고, 836번은 설화리는커녕 달성군으로 들어가지도 않는 노선이 되었다.[21]
- 2014년 6월 그동안 오랫동안 많이 이용하는 노선 1위를 차지하고 있던 726번을 제치고 9월까지 4개월 연속으로 많이 이용하는 노선 1위를 달성한 적이 있다. 겉보기에도 수요가 많아 보이는데, 구간 수요가 특히 많아서 그렇다. 대천동 단축 이후에는 상위 10위권에서 벗어날 정도로 수요가 감소했고 이 때문에 2015년 8월 개편 이후에 하차단말기 2대 설치 노선에서 제외되었다. 그래도 단축 전까지는 아니지만 기존 구간의 수요도 많고 동구 구간의 수요가 단축 전보다 늘어나서 여전히 이용객 수는 상위 20위권 안에 들어갈 정도로 많다.
- 836번의 단축은 화원, 논공, 옥포 주민들의 반발로 이어졌다. 화원 지역에서는 836번이 정차하지 않게 되자 고령 606번, 650번, 651번의 수요가 모두 늘어났다.[22] 836번 단축으로 인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600번이 동년 9월에 KT남대구지사로 연장되었고, 2016년 2월 보완 개편 때 623번이 옛 세한여객 차고지로 연장되었다. 그러나 623번은 동산병원 정문이 아닌 큰장네거리로 가며, 달서구청, 안지랑역, 서구청 굴곡이 있어서 836번에 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 동구 구간에서는 동구와 복현동, 산격동을 오가는 구간 수요가 개편 전보다 늘어났다. 보조 노선이었던 동구1(-1)번이 복현동에서 철수하면서 836번만 반야월 ~ 동촌 ~ 동구청 ~ 복현오거리/복현네거리/ 산격동을 연결해 주기 때문이다. 평소에도 해당 구간에서 수요가 많으며, 출퇴근 시간에는 중고교 통학 수요와 영진전문대 통학 수요도 많이 나온다. 덕분에 719번, 동구2번[23]과 더불어 동촌로(입석네거리 방향) 승차량 TOP3에 들어간다.
- 단축 후에는 월배로와 달서대로를 연결함에 따라 836번을 타고 대천동으로 들어와서 성서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달서대로에서 가까운 진천역을 환승하는 단거리 구간 수요가 새로 생겼다. 609번도 월배로와 달서대로를 오갔지만 진천역에서 이마트 월배점과 조암로로 들어갔으며, 2017년 1월 21일 개편으로 유천네거리 대신 달서구자동차검사소로 구간이 조정되었다. 따라서 월배로와 달서대로를 왕복으로 오가는 노선은 836번만 남았다.
- 시내버스 탑재형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설치되어 있는 노선 중 하나다.
- 동호공영차고지 방면 막차는 대덕교통이, 대천동공영차고지 방면 막차는 대명교통이 고정 분담한다.
- 개편 전 앞뒤 스티커 행선판은 반야월역 ← 서문시장 → 논공, 반야월역 - 복현오거리 - 서문시장 - 논공 이었다.
-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836번 노선버스이다.
- 서부정류장에서 두류공원으로 직진하는 노선들 중 650번과 함께 유이하게 서부정류장(관문시장앞)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36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16,429명 | - |
2015년 | 17,189명 | △ 760 |
2016년 | 13,294명 | ▽ 3,895 |
2017년 | 12,724명 | ▽ 570 |
2018년 | 12,836명 | △ 112 |
2019년 | 10,855명 | ▽ 981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9,118명 | ▽ 1,737 |
2022년 | 9,132명 | △ 14 |
2023년 | 10,087명 | △ 955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2015년 8월 개편으로 인해 유천네거리 이남 수요가 빠져나가 승차량이 감소하였다. 그런데 2021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수요 감소율은 16%로 다른 노선들에 비해 타격을 덜 받았다.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반야월역, 용계역, 방촌역, 해안역, 동촌역, 아양교역, 동구청역[24], 서부정류장역[25], 송현역, 월촌역, 상인역, 월배역, 진천역, 대곡역[26]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청라언덕역[27]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달성공원역, 서문시장역, 청라언덕역[28], 남산역[29]
6. 둘러보기
대구 안심 연계 버스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경산 | ||
영천 | 55, 555 |
대구 월배 연계 버스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고령 | 606 |
경북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산격캠퍼스 | ||||
정문 동문 |
410-1 | 503 | 937 | 동구2 | |
북구2 | |||||
북문 제2북문 |
급행6[정차] | 300 | 306 | 410-1 | |
523 | 706 | 719 | |||
서문 | 급행6 | 순환2-1 | 300 | 304 | |
306 | 323-1 | 403 | 410-1 | ||
523 | 623 | 706 | 719 | ||
체육관 | 300 | 306 | 323-1 | 410-1 | |
523 | 706 | 719 | |||
쪽문 | 순환2-1 | 306 | 403 | 503 | |
동구2 | |||||
테크노문 | 순환3-1 | 323-1 | 410-1 | 413 | |
719 | 836 | 937 | 북구1 | ||
북구2 | |||||
상주캠퍼스 | |||||
시내버스 | 500번대 | 610번 | |||
시외버스 | 김천 ↔ 안동 | 대구북부 ↔ 점촌 | 동대구 ↔ 점촌 | 청주 ↔ 안동[미정차] | |
[정차] : 북문만 정차, 제2북문 미정차 [미정차] : 상주종합버스터미널 미정차 |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효성캠퍼스 | 급행5 | 518-1 | 708 | 808 |
814 | 840 | ||||
803 | 809 | 818 | 818-1 | ||
911 | 진량1 | 진량2 | 하양-와촌1 | ||
하양2 | 와촌2 | ||||
55 | 555 | ||||
동대구-포항(국도) | 울산-대구대 | 영천-구미 | |||
루가캠퍼스 | 급행6 | 순환3-1 | 503 | 609 | |
618 | 623 | 650 | 706 | ||
805 | 836 | 남구1-1 | 서구1-1 | ||
606 | |||||
유스티노캠퍼스 | 순환2-1 | 204 | 300 | 304 | |
306 | 349 | 405 | 410-1 | ||
503 | 509 | 518 | 609 | ||
649 | 650 | 651 | 706 | ||
805 | 808 | 836 | 남구1-1 | ||
동구2 | |||||
606 |
대구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산 캠퍼스 | 급행5 | 708 | 808 | 814 |
840 | |||||
818 | 818-1 | 진량1 | 399 | ||
울산-대구대 | 영천-구미 | ||||
대명동 캠퍼스 | 509 | 609 | 618 | 650 | |
706 | 805 | 808 | 836 | ||
남구1-1 | 달서4-1 | 서구1-1 | 순환2-1 | ||
606 |
영진전문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복현캠퍼스 | ||||
정문 | 503 | 719 | 북구1 | 동구2 | |
후문 | 순환3-1 | 323-1 | 410-1 | 413 | |
719 | 836 | 937 | 북구1 | ||
북구2 | |||||
글로벌캠퍼스 | |||||
정문 | 성서2[1] | 250-1 |
[1]
대평 방면만 경유.
[1]
대덕교통 14대 / 대명교통 9대
[2]
공휴일 18대 운행
[3]
동편과 남편(야구장) 정류소 모두 경유한다.
[4]
반야월 방면 정류소 이름은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앞1
[5]
반야월 방면은 서부정류장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한영한마음아동병원 정류소에만 정차한다.
[남부]
대천동 방향: 성모여성병원/반야월 방향: 성모여성병원
[북부]
대천동 방향: 롯데백화점상인점건너/반야월 방향:
대구교통공사)
[8]
대천동 방면 한정으로 월배로와 달서대로 정류소 모두 경유한다. 반야월 방면은 좌회전 문제로 월배로의 유천교 정류소에만 정차하고 달서대로의 경우
유천초등학교 정류소에 정차한다.
[9]
같은 코스의 좌석버스로는 1997년 신설되었다가 1998년 개편 때 폐선된 352번이 있었다.
[10]
화원유원지~경북교통 차고지 구간을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일부 시간대에 본리1리, 본리2리를 운행했다.
[11]
서문시장~
현풍시외버스터미널을 운행하던 노선으로 다산면 가지노선 외에도 유가읍, 구지면 가지 노선을 운행했다. 1998년 개편 때 도심 구간이 단축되고 현풍시외버스터미널~유가, 구지 오지노선으로 단축되어 66-1번, 66-2번, 66-3번, 66-4번으로 분리되었다가 2006년 개편 때
구.달성4번,
달성5번,
달성6번,
달성7번으로 변경되었다.
[12]
본리1리, 본리2리
[13]
다만 신당리, 노이리, 노곡리, 득성리는 32번 시절부터 운행하고 있었다. 신당리는 원래 본선이었으나, 금포리 연장 후 가지노선으로 변경됐다.
[14]
1998년 5월 개편 이전에는 30번이, 5월 개편 후에는 11-6번이 2대로 운행하면서 금강동을 운행했다.
[15]
前 달성군예비군훈련장
[16]
가지 노선이 연달아 2대가 지나가는 경우 본선은 배차간격이 30분까지 벌어지기도 했다.
[17]
금포리 예비군훈련장 종점은 공터로 남아 있다.
[18]
과거형인 이유는 2016년부터
새 야구장에서 홈경기를 치르기 때문이다. 새 야구장은 수성구 연호동 수성알파시티역 앞에 있다.
[19]
가창면 ~ 달성군청 직통 노선 신설을 위함이었다.
[20]
대신
604번은 2012년 2월 18일 기존
대구미술관~
대구스타디움~시지종점~사월보성아파트 구간 대신
대구미술관~
수성IC(연호지)~
수성알파시티역~
연호역~범안로~율하지구~
신기역~
동호공영차고지 구간으로 조정되었다.
[21]
설화리는 현재 같은 시기에 연장된
653번의 회차지로 사용되고 있다.
[22]
그러나 606번은 월배로 - 성당로 직통이지만 빨리 끊기며,
651번은 동산병원 앞으로 가지만 월성2동행정복지센터 및 삼각지네거리/
안지랑역 경유라 606번에 비해
굴곡이 크다.
[23]
두 노선은 입석네거리에서
아양교역, 큰고개오거리를 통해 복현네거리로 가는 836번과 달리, 입석네거리에서
대구국제공항, 불로삼거리(공항교)를 거쳐서 복현네거리로 간다.
[24]
동구청 또는 큰고개오거리 정류장
[25]
반야월방면은 한영한마음아동병원 정류장
[26]
유천교/유천초등학교 정류장
[27]
남산초등학교 정류장
[28]
남산초등학교 정류장
[29]
경북공고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