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f6af30>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6af30><colcolor=#fff> 가창 | ||
서구 | |||
남구 | |||
달서 | |||
달성 |
달성3[a]
|
||
동구 | |||
북구 | |||
성서 | |||
수성 | |||
칠곡 | |||
팔공 |
팔공2[a]
팔공3[a]
|
||
행사 |
비슬1[a]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1. 노선 정보
|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다사-세천-장기)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연화리)[1]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달서아트센터) | ||
종점행 | 첫차 | 05:40 | 기점행 | 첫차 | 05:35 |
막차 | 22:21 | 막차 | 22:11 | ||
배차 | 35분(공통 구간 23분)[A] | ||||
운수사명 | 우진교통 | 인가대수 | 통합 6대[3][4] | ||
노선 | 연화리 - 다사고교 - 대실역(4번출구) - 성서5차산업단지(세천리) - 세천초교 - 다사읍사무소 서재출장소 - 건영캐스빌 - 와룡고교 - 성서고교 - 용산육교 - 서부지원지청 - ( 용산역6번출구→장기영남네오빌→장기초교/←학생문화센터←대구전자공고) - 달서아트센터 |
- 【가지노선 접기/펼치기】
- ||<-6><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6af30><bgcolor=#f6af30>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다사-이천-장기) ||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연화리)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달서아트센터) 종점행 첫차 07:12 기점행 첫차 08:14 막차 20:45 막차 21:41 배차 136분(1일 9회)(공통 구간 23분)[A] 운수사명 우진교통 인가대수 통합 6대 노선 연화리 - 다사역 - 다사주공아파트 - 다사초교 - 이천리 - 다사체육공원 - 달천리 - 박곡리 - 서재문화체육센터 - 건영캐스빌 - 와룡고교 - 성서고교 - 용산육교 - 서부지원지청 - ( 용산역6번출구→장기영남네오빌→장기초교/←학생문화센터←대구전자공고) - 달서아트센터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다사-이천-팔달시장)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연화리)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정수사업소)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 막차 16:56 막차 - 배차 1일 3회 운수사명 우진교통 인가대수 통합 6대 노선 연화리 - 다사역 - 다사주공아파트 - 다사초교 - 이천리 - 다사체육공원 - 달천리 - 박곡리 - 서재문화체육센터 - 서대구역(북측) - 서부소방서 - (북부정류장 → 팔달시장 → 원대시장 → 인지초등학교) 이하역순 밑줄친 부분은 양방향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니 행선지를 잘 보고 탑승할 것.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다사-세천-팔달시장)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연화리)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정수사업소) 종점행 첫차 07:46 기점행 첫차 - 막차 18:22 막차 - 배차 1일 2회 운수사명 우진교통 인가대수 통합 6대 노선 연화리 - 다사고교 - 대실역(4번출구) - 성서5차산업단지(세천리) - 세천초교 - 다사읍사무소 서재출장소 - 서재문화체육센터 - 서대구역(북측) - 서부소방서 - (북부정류장 → 팔달시장 → 원대시장 → 인지초등학교) 이하역순 밑줄친 부분은 양방향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니 행선지를 잘 보고 탑승할 것.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매곡공영차고지에서 달서구 장기동 달서아트센터[6]를 거쳐 다시 매곡공영차고지로 순환 운행하는 우진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지선버스.다사-세천-장기-세천-다사(배차간격 : 37분)
다사-세천-장기-이천-다사(배차간격 : 일 3회)
다사-이천-팔달시장-이천-다사(배차간격 : 일 3회)
다사-이천-장기-이천-다사(배차간격 : 일 6회)
다사-세천-팔달시장-세천-다사(배차간격 : 일 2회)
다사-이천-장기-세천-다사(배차간격 : 일 1회)
3. 역사
- 2006년 2월 19일 노선개편 때 폐선된 마을버스 5번 신당동, 용산동, 장기동 일부 구간과 52-2번, 514번이 운행하는 가지 노선들 중 세천리, 이천리방면 지선을 인수해 신설했다. 이 때는 지금 달서1번 경로인 청남타운과 달구벌대로 분리노선도 있었다.
- 2006년 9월 24일 개편 때 용산지하차도 구간으로 분리 구간을 통합했다.[7] 팔달시장 가지노선도 이 때 생겼다.
- 2011년 달서아트센터에 회차지가 조성되어 이 곳에서 잠시 대기했다가 출발한다.
- 2012년 2월에 세천리 수요 증가로 2대 증차되었다.[8]
- 2015년 8월 개편부터 달구벌버스 대신 우진교통이 성서3번을 운행한다.
- 2022년 3월 31일 서대구역 개통에 따라 팔달시장지선이 서대구역 2번 출구(북편)를 경유한다. 정류장에 시간표가 있으며, 성서3번 정류장 반대쪽에는 시외버스 중간 승차장 및 무인매표소가 있다.
4. 특징
- 성서의 오지 지역을 운행하는 노선이다. 세천리가 개발되며 성서5차산단과 아파트가 조성된 시기인 약 2015년 전후로 사실상 일반 지선이 됐다.
- 본선은 세천을 경유하는 노선이며 하루 10번 이천리를 경유하는 가지노선이 있다. 대다수는 세천리를 경유하는 노선은 되돌아 올 때도 세천리를, 이천리를 경유하는 노선은 되돌아 올 때도 이천리를 경유하지만, 딱 2회는 세천리와 이천리를 교대로 경유하는 편도 형태로 운행된다.
- 주 이용층은 524번과 함께 선원로와 용산로를 오고 가는 고등학생과 직장인 승객들이다. 정류소별 이용 통계에 의한 수요를 보면 성서5차산단과 2호선의 접점인 대실역으로 부터 나오는 성서5차산단 근로자 수요가 압도적이고, 그 뒤를 이어 성서고등학교, 성산고등학교, 와룡고등학교 통학 수요며[9] 이어 용산1동, 용산2동 주민 수요, 세천리 아파트 단지 조성으로 서재리와 세천리의 아파트 단지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 원래는 배차간격이 35분이었던터라 수요가 이렇게 많지 않았으나, 세천리의 개발로 달구벌버스 운행 시절때부터 2대 증차돼 6대로 운행하게 되면서 배차간격이 23분으로 줄어들고, 나름대로 성서 지선으로서의 경쟁력을 갖게되어 성서2번과 대등한 수요를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524번 및 비슷한 지선인 달서3번의 배차간격도 만만치 않게 길고 달서3번보다도 오히려 더 좋은 2호선 환승 여건[10], 2015년 노선 개편 이후 202, 202-1번의 수요까지 흡수하면서 이 수요는 더욱 늘어났다.
- 이렇듯, 선원로 일대와 서재리, 세천리 일대에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지선이며 세천리에 아파트 단지가 더 늘어나면서 증차 요구가 한때 빗발쳤었다. 지금은 달서1, 425가 세천리에 진입하면서 상당 부분 해소되었다.
- 다만 출퇴근 시간 한정으로 수요가 터져나가는 수준인 점과 아직까지는 팔달시장 지원운행을 나가는 등 오지 노선이라는 특징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요적 측면에서 당장 성서3번을 증차하기는 어려운 터라, 성서1, 성서1-1번이 1대씩 증차되어 성서3번과 동일한 배차간격으로 세천리에 들어오고 있다. 이거로도 모자랐는지, 2017년 1월 21일부터는 달서1번도 신당동에서 세천리로 들어온다.
- 달구벌버스 시절을 보자면, 신설 초기에도 가스차량이 성서3번에 들어갔다. 가스 충전소가 있는 매곡리 착발이라 오지노선 치고는 가스 충전 여건이 꽤 좋은 것도 있었고, 주력인 202, 202-1번은 2013년에 와서야 상리동CNG충전소가 영업을 시작해 가스 충전이 편리해질 정도로 그만큼 충전이 불편했기 때문이었다.
- 이 노선은 2023년까지 저상버스가 투입되지 않았다. 서울 774번에 저상버스를 투입하지 않는 이유와 같은데, 이천리 구간의 과속방지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천리 경유 코스가 과속방지턱 높이가 꽤 높은데다, 고정적으로 특정 코스를 전담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차량이 번갈아가며 세천, 이천을 들어가기 때문에 도로 시설 개량이 선행되어야 했다. 이제는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북다사IC 연결도로 공사와 더불어 도로 시설이 개선되었고 대구시 실사조사 결과도 저상버스 운행 자체는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달서3번처럼 중간에 장산초교 및 달구벌종합복지관을 경유하여 용산역으로 내려오지만, 달서아트센터 방면 한정으로 용산역으로 내려올 때 우방죽전타운 대신 용산역 6번 출구 옆에 있는 농협하나로클럽 성서점 바로 앞에 세워 준다. 다사방면으로 올라갈 때에는 우방죽전타운에 정차한다.
- 2015년 개편 이후 용산1동의 남쪽으로는 달서3번을 백업하면서 수요가 늘어났다.[11] 이러한 이유는 배차가 길어도 운 좋게 성서3번이 걸리면 착석이 보장되고, 은근히 빠른 운행 속도에 용산역 2, 3, 6번 출구와 버스 정류소 용산역까지 길어 봐야 1분 이내 거리로 코 앞에 데려다 주기 때문에 202, 202-1번과 마찬가지로 용산역과 공생하고 있었던 노선이기 때문. 물론 직접적인 원인은 혼잡하고 긴 배차 간격에 은근히 굴곡도가 높은 달서3번 때문이다.
- 결국 2016년 들어서는 기어이 아침 7시 이후에 좌석의 90% 이상을 다 채우고서 장기동 방면으로 운행하는 모습이 목격되어 충공깽을 선사했고, 이 수요는 202, 202-1번이 환원되지 않는 이상 점점 늘어나고 있다. 거기다, 용산동에서 늘어난 수요가 기어코 아침 시간대 다사 방면으로도 입석을 세워 다니기 시작했다. 성서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유동인구가 많고 버스 이용객이 많은 곳이 용산1동인데, 여기서 선원로상의 고등학교와 성서5차산단으로 출근하는 노선을 한 번에 잇는 건 성서3번 밖에 없어서인 듯 하다.
- 성서3번 이천리행 한정으로 대구 시내버스를 통틀어 유일하게 2호선 다사역과 연계된다.
- 2021년 4월부터 중간 분기 구간인 세천리와 이천리가 전면부 LED 행선판에도 표출된다. 보조행선판을 안보더라도 어느 방향으로 분기하는 지 알 수 있다.
- 이천리행이 다니는 이현고개삼거리 정류장에서 다사역 방면 대신 반대쪽으로 우회전해서 3km 올라가면 하빈면사무소가 나온다. 문제는 이 길이 커브가 심하고 고갯길이라서, 이현고개삼거리에서 하빈면사무소 사이 도로에는 단 한 대의 시내버스도 운행하지 않는다.[13] 이 길은 하빈면에 사는 주민들이나 하빈면 쪽으로 많이 가는 사람들 외에는 잘 이용하는 도로가 아니라서 수요도 거의 없으며, 실제로 가 보면 와인딩까지는 아니어도 경사진 커브길이 좀 있고 롤러코스터를 느낄 수 있다. 게다가 야간에는 상당히 어두워서 야간에 이 구간을 자차로 갈때는 상향등(빔)이 필수다. 2026년 이후에는 다사-왜관 광역도로의 개통으로 왕복4차선의 고속화도로를 이용할 수 있지만 시내버스 투입 여부는 불분명하다. 그렇지만 하빈면의 노선 공백이 너무 심하여 2025년 개편 때 간선이나 지선 하나가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14]
4.1. 팔달시장 방면
- 팔달시장 방면으로 1일 5회(이천리 3회 + 세천리 2회) 지원운행이 있다. 2006년 9월에 생겼다. 1998년 개편 전에는 205-1번[15][16], 1998년 개편 후부터 2006년 개편 전까지는 52-2번이 담당했던 구간이다.
- 2017년 7월 20일 부로 위생처리장 정류소를 무정차 통과하도록 변경되었다.
- 방천리 종점에서 비산염색공단으로 가는 방향에 달성군 다사읍과 서구 상리동의 경계가 있으며, 위생처리장 아랫쪽 상리지하차도로 가면 234번과 서구1, 서구1-1번이 들어오는 가르뱅이 종점으로 가는 길이 있다.[19]
4.2. 시간표
매곡 (출발) |
경유지 | 장기동 | 경유지 |
매곡 (도착) |
- | - | 05:30 | 세천 | 06:22 |
- | - | 05:50 | 세천 | 06:47 |
05:30 | 이천 |
팔달시장 06:05 |
이천 | 06:50 |
05:30 | 세천 | 06:30 | 세천 | 07:35 |
05:55 | 세천 | 06:55 | 세천 | 08:00 |
06:20 | 세천 | 07:20 | 세천 | 08:25 |
06:45 | 세천 | 07:49 | 세천 | 08:55 |
07:10 | 이천 | 08:16 | 이천 | 09:20 |
07:35 | 세천 | 08:45 | 세천 | 09:48 |
07:45 | 세천 |
팔달시장 08:45 |
세천 | 09:45 |
08:25 | 세천 | 09:30 | 이천 | 10:35 |
08:50 | 세천 | 09:55 | 세천 | 10:58 |
09:15 | 이천 | 10:17 | 세천 | 11:20 |
09:40 | 세천 | 10:43 | 세천 | 11:45 |
10:05 | 이천 |
팔달시장 10:47 |
이천 | 11:40 |
10:30 | 세천 | 11:33 | 세천 | 12:35 |
10:55 | 세천 | 11:58 | 세천 | 13:00 |
11:18 | 이천 | 12:20 | 이천 | 13:20 |
11:40 | 세천 | 12:43 | 세천 | 13:45 |
12:05 | 세천 | 13:08 | 세천 | 14:10 |
12:25 | 세천 | 13:28 | 세천 | 14:30 |
12:50 | 세천 | 13:53 | 이천 | 14:55 |
13:15 | 세천 | 14:18 | 세천 | 15:20 |
13:40 | 세천 | 14:42 | 세천 | 15:45 |
14:05 | 세천 | 15:08 | 세천 | 16:10 |
14:30 | 이천 | 15:32 | 이천 | 16:36 |
14:50 | 세천 | 15:53 | 세천 | 16:55 |
15:15 | 세천 | 16:18 | 세천 | 17:21 |
15:40 | 이천 | 16:43 | 이천 | 17:50 |
16:05 | 세천 | 17:09 | 세천 | 18:15 |
16:30 | 세천 | 17:34 | 세천 | 18:40 |
16:56 | 이천 |
팔달시장 17:42 |
이천 | 18:40 |
17:22 | 세천 | 18:32 | 세천 | 19:35 |
17:48 | 세천 | 18:56 | 세천 | 20:00 |
18:14 | 세천 |
팔달시장 19:15 |
세천 | 20:15 |
18:40 | 세천 | 19:45 | 이천 | 20:45 |
19:05 | 세천 | 20:08 | 세천 | 21:10 |
19:30 | 세천 | 20:34 | 세천 | 21:35 |
19:55 | 이천 | 20:57 | 이천 | 22:00 |
20:20 | 세천 | 21:21 | 세천 | 22:20 |
20:40 | 이천 | 21:40 | 이천 | 22:40 |
21:05 | 세천 | 22:05 | 세천 | 23:05 |
21:30 | 세천 | 22:30 | 세천 | 23:25 |
21:55 | 세천 | 22:55 | - | - |
22:20 | 세천 | 23:15 | - | - |
4.3.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 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3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854명 | - |
2015년 | 835명 | ▽ 19 |
2016년 | 1,073명 | △ 238 |
2017년 | 1,120명 | △ 47 |
2018년 | 994명 | ▽ 226 |
2019년 | 986명 | ▽ 8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710명 | ▽ 276 |
2022년 | 841명 | △ 131 |
2023년 | 933명 | △ 92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대구광역시 저상버스 예외 승인 노선 |
2025년 저상버스 예외 승인 노선 없음 |
저상버스 도입 예정 노선(2024년 이후 순차적 대폐차) [[좌석버스| 좌석형 ]] · · · · · · · [[입석| 입석형 ]] · · · · · · · · ·
|
대구 성서 연계 버스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성주 | 250 |
[1]
법정 구역은 매곡리를 유지중이나, 행정 구역상 연화리로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칠곡군의 동명지명으로 인해 오해소지가 있을수 있다.
[A]
공통 구간은 건영캐스빌~달서아트센터 구간.
[3]
이 6대 중 일부 차량이 특정 시간대 이천리나 팔달시장으로 빠진다.
[4]
평일 / 토요일 / 공휴일 모두 구분 없이 6대로 운행
[A]
공통 구간은 건영캐스빌~달서아트센터 구간.
[6]
舊
달서구 첨단문화회관, 웃는얼굴아트센터
[7]
청남타운 구간은
508번을 거쳐 현재
달서1번이 운행중
[8]
202(-1)에서 1대씩 감차했다.
[9]
통학 수요는 세천리나 이천리나 꽉꽉채워 다닌다.
[10]
내리자마자 지하철역이 바로 코앞에 있는 환경이 대구에는 은근히 드물어서
[11]
202, 202-1번의 폐지로 인한 불편 민원과
달서3번의 불편 민원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12]
비슷한 속성으로, 달서 지선들 중
달서4, 달서4-1이 성서권으로 들어오지 않는다. 감삼동이 있긴 하지만 여긴 성서권과 달서구 북쪽권역의 경계지점이라(...)
[13]
예전 52-2번도 이현고개삼거리에서 매곡리(
다사역)로 빠진 후
하빈면사무소로 운행했다.
[14]
개편 계획에 따르면 서비스가로의 거리가 늘어날 예정. 그나마 성서3번이나 564번이 들어갈 가능성은 있다. 564번을 운행하는 우진교통이 근처이기 때문.
[15]
북부정류장~염색공단~다사~계명대~(달구벌대로 직통)~동산병원~북구청네거리~팔달시장~북부정류장 구간을 운행했던 노선, 그 전에는 죽전네거리에서 남쪽으로 빠져서 본리네거리,
서부정류장, 성당시장을 경유해서 서문시장으로 운행하기도 했다. 이 때의 노선이
대구 버스 202와 유사했다.
[16]
더 오래 전에는 205번도 이 구간으로 다녔으나, 1995년에 폐선된 후
전혀 다른 노선으로 신설되었다.
[17]
방천리의 경우
234번이 풀 타임으로
방천리공영차고지 - 상리동CNG충전소 -
북부정류장,
팔달시장으로 다닌다. 단, 서부소방서 및 염색산단 대신 가르뱅이,
서대구IC입구, 평리네거리로 나온다. 그 외에는
팔달시장으로 갈 때
방천리공영차고지에서
북구4번으로 환승해도 되지만, 금호지구를 한 바퀴 돌고 가는 데다가 주말휴일에는 일부가 사격장으로 올라가고
방천리로 돌아올 때는
매천시장역 입구에서 U턴한다. 그러나
방천리공영차고지 정류장은 차고지착발 노선만 승하차가 가능하기 때문에
방천리공영차고지에서는
급행7번과 연계할 수 없다.
[18]
하빈면이나
다사읍으로 갈 때
달구벌대로 대신 비산염색공단, 상리동CNG충전소, 와룡대교입구 및 달천리로 빠지는 게 더 단거리일 수 있다. 단, 그 구간을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이 노선 하나뿐이고 1일 5회밖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자차 이용시에 한정한다.
[19]
그리고 방천리와 상리동 위생처리장 사이에 와룡대교가 개통되어
북구 사수동(금호지구)으로도 바로 연결된다. 서재리, 방천리 방향 노선 타고 졸다가 종점을 지나 상리동CNG충전소까지 와서 모종의 사유로 내렸다면, 이 노선의 버스정류장이 있다고 무턱대고 기다렸다가 낭패보지 말고(1일 5회뿐이다)
204번,
234번,
240번,
309번,
서구1, 서구1-1번을 이용하자.
[20]
이천리 지원운행 한정
[21]
팔달시장 지원운행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