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4 10:53:51

네카라쿠배

네카오에서 넘어옴
취업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취업
형태별 정규직 · 비정규직 · 계약직 · 무기계약직 · 공무직 · 전문직 · 경력직( 중고 신입) · 아르바이트
분야·학력별 취업/문과 · 취업/이과 · 취업/SW · 미술/업계 · 취업/고졸 · 마이스터고등학교 · 특성화고등학교
국가별 대한민국/실업 · 미국/취업 · 일본/취업 · 해외취업( 국가별 현황) · 현지채용 · 다국적 기업
회사별 대기업/채용( 삼성 · 현대 · LG) · 공공기관/채용 · 공무원 시험
채용 과정
자기소개서 · 적성검사 · NCS · 블라인드 채용 · 면접 · 신입 연수 · 직무교육 · 인턴 · 직장생활
취업난과 전망
청년실업 · 대한민국의 청년실업/원인 · 취업/전망 · 청년창업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백수( 백조) · 취준생 · 공시생 · 기술적 실업 · 마찰적 실업 · 경력단절 · 구직단념자 · 니트족 · 캥거루족 · 히키니트 · 히키코모리 · 탕핑족( 바이란) · 안티 워커
취업 관련 속어
N포세대 · 남방한계선 · 삼슼현 · 롯동금 · 효웅코사일 · 고삼동풍 · 네카라쿠배 · 덕업일치 · 디지털 노마드 워라밸 · 월급 루팡 · 일머리 · 자택경비원 · 잡호핑족 · 취집
취업 관련 범죄
취업 사기 · 나이 제한( 연령차별) · 직장 내 괴롭힘
}}}}}}}}} ||

파일:네이버 로고.svg 파일:카카오(기업) 로고.svg 파일:쿠팡 로고.svg 파일:Coupnag dark logo.png

1. 개요2. 상세3. 파생4. 전망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IT업계에서 네이버, 카카오, 라인, 쿠팡, 배달의민족( 우아한형제들)을 함께 묶어 부르는 말이다. 대한민국 IT기업 5대 공룡.

미국 빅테크 기업을 일컫는 MAGA, FAANG, 매그니피센트 7과 같이 한국의 대형 IT 서비스 기업을 모아서 부르는 말이다. 다만, MAGA 등이 주식쪽 용어라면 이쪽은 개발직군을 노리는 취준생들 위주로 쓰이는 것이 강하다. 미국 대형 테크 기업과 비교하면 작은 규모이지만, 네이버, 카카오는 각각 2021년 상반기 코스피 시가총액 3위를 기록했으며(우선주 제외), 한일합작 기업 라인은 일본 메신저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쿠팡은 한국 유니콘 기업 최초로 NYSE에 상장되었으며 상장 첫날 100조가 넘는 시가 총액을 기록했다. 배달의민족은 5조에 가까운 금액으로 독일 기업인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 SE)와 M&A를 체결하였다.

2. 상세[1]

기업명 설립일 시가총액(원) 매출(원) 업종
네이버 1999.06.02. 34.6조 8.2조 검색 포털
카카오 1995.02.16.[2] 25조 7.1조 메신저
라인 2011.06.23. 27.1조[3] 15.6조 메신저, 검색 포털
쿠팡 2010.07.01. 42조 37.9조 이커머스
배달의민족[4] 2011.03.10. 7.6조[5] 2.9조 배달 플랫폼

전통적으로 취준생들에게 선망받는 기업이었던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등과 다르게 이들 기업은 B2C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기업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기업은 일반적으로 개발자 중심의 수평적인 기업문화가 정착되어 있으며, 제조업 기반 기업에 비해 이직이 수월하기 때문에 개발자들에게는 기성 대기업에 비해 훨씬 매력적인 기업이다. 최근의 지속적인 개발자 처우 개선으로 금전적 보상 수준까지 기성 대기업들에 비해 높아지고 있어서 취준생들의 선망이 하늘을 찌른다. 공통적으로 서울, 분당의 수도권 알짜 지역에서 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도권 거주 취업준비생들의 선호도가 높다.

2020년 하반기 기준으로 이 기업들의 신입(및 주니어)의 초봉은 계약 5~6천만원 / 상여금 500~1,000만원이다.[6] 게임 업계에서는 넥슨 엔씨소프트, 넷마블, 크래프톤의 신입 초봉이 이 정도 된다.

코딩 교육업체에서는 6천만원의 연봉을 강조하며 개발자 입문 코스를 선동 홍보하고, 심지어는 비전공자들도 쉽게 배워서 개발자가 되어 네카라쿠배에 입사하여 누구나 6천만원의 초봉을 받을 수 있는 것처럼 말하지만 당연히 얼토당토 않은 헛소리다. 학습 경험이 6개월~1년 정도에 불과한 '코더'가 네카라쿠배급 대기업에 개발직으로 입사하려면 일단 코딩 인터뷰라는 거대한 벽을 넘어야 한다. 어떻게 통과를 했더라도 그 뒤에는 전공 지식이나 프로젝트 경험 등을 집요하게 물어보는 기술면접이 기다리고 있다. 아무리 경력과 학력에 무관하게 뽑는다고 해도 결국 괜찮은 실력의 전공자가 유리한 이유가 이런 점 때문이다. 게다가 자율주행, 로보틱스, 인공지능, 빅데이터가 떠오르면서 일부 직군은 학사로도 모자라 석사 이상의 컴퓨터과학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기도 한다. 물론 어느 분야나 그렇듯 초보자도 시간을 들이면 이런 대기업에 갈 수 있지만, 그야말로 뼈를 깎는 노력이 필요하다. 탄탄한 전공 지식은 물론이고 최소한 소규모 협업 프로젝트 경험이 포함된 본인의 포트폴리오가 있어야 한다.

이 회사들과 삼슼현 등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대기업군의 또 다른 차이점이라면 개발자 직군과 비개발 직군의 대우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 특히 계약 연봉은 아예 다르게 책정하게 된다. 전통의 대기업 직군은 어느 직군으로 입사해도 신입은 사업부에 따른 성과급이나 개별 고과의 차등은 있으나 기본적인 연봉은 동일 선상에서 출발한다. 반면 IT기업은 개발자 몸값이 금값이다 보니 차등화해서라도 대우를 해야한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발자 중심의 수평적 문화와 복지가 비개발 직군에도 적용되고 수도권 알짜 지역에서 근무할 수 있는 대기업이라는 점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비개발직군 역시 선호받는다.

3. 파생

  • 네카: 대한민국 2대 IT 기업만 뽑아서 이렇게 부른다.[7]
  • 네카라쿠배당토
  • 네카라쿠배 당토직야 두몰센

이 중 일부만 차용하기도 한다. 당토는 당근, 토스를 뜻하는데, 2021년 초봉을 6천만원선으로 크게 올리며 네카라쿠배 다음 가는 복지를 갖췄다고 평가받는다. 직야는 직방 야놀자를 뜻한다. 출처 몰두센은 복지 수준에서 그 네카라쿠배를 웃돈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의 신 3대장으로 불리는데, 각각 몰로코, 두나무, 센드버드라는 신생 기업이다. 몰로코 센드버드 소개 2022년 초 들어 개발자들에게 네카라쿠배 이상의 '신의 직장' #으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두나무를 제외하면 이렇다 할 BM은 없어 안정성 면에서 뒤떨어진다. 애초 저 용어 자체가 구직자들의 용어라기보단 홍보성을 띄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4. 전망

2022년, 하반기 들어 미 연준의 연이은 자이언트 스텝 금리인상으로 전 세계 경제가 급격하게 침체기로 들어서고, 한국은행도 점진적으로 금리인상을 추격하고 있는 정세에 많은 스타트업들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2024년, 대한민국 IT기업 공룡도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기업명 문제점
쿠팡 2024년 알리, 테무 경쟁사의 등장, 갑질, 블랙리스트 논란
네이버, 라인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 논란 #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대기업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24년도
지정순번
23년도
지정순번
변동
기업집단명
동일인
계열사
(24년도)
계열사
(23년도)
24년도 지정
자산총액(24Y)
23년도 지정
자산총액(23Y)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
1 1 - 파일:삼성 로고.svg
삼성
이재용 63 63 566.8조 486.4조
2 2 - 파일:SK 로고.svg
SK
최태원 219 198 334.3조 327.2조
3 3 -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svg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70 60 281.3조 270.8조
4 4 - 파일:LG 로고.svg
LG
구광모 60 63 177.9조 171.2조
5 6 1↑ 파일:포스코 CI.svg
포스코
포스코홀딩스(주) 47 42 136.9조 129.6조
6 5 1↓ 파일:롯데 로고.svg
롯데
신동빈 96 98 129.8조 129.6조
7 7 - 파일:한화 로고.svg 파일:한화 로고 화이트.svg
한화
김승연 108 96 112.4조 83.0조
8 9 1↑ 파일:HD현대 로고.svg 파일:HD현대 로고 화이트.svg
HD현대
정몽준 29 32 84.7조 80.6조
9 8 1↓ 파일:GS그룹 로고.svg
GS
허창수 99 95 80.8조 81.8조
10 10 - 파일:농협 로고.svg 파일:농협 로고.svg
농협
농업협동조합 73 76 78.4조 78.4조
11 11 - 파일:신세계 영문 CI_좌우.svg 파일:신세계 영문 CI_좌우 White(1).svg
신세계그룹
이명희 53 52 62.0조 60.4조
12 12 - 파일:KT 로고.svg 파일:KT 로고.svg
KT
(주)KT 48 54 46.8조 40.6조
13 13 - 파일:CJ 로고.svg 파일:CJ 로고.svg
CJ
이재현 55 54 39.8조 40.6조
14 14 - 파일:한진그룹 로고.svg 파일:한진그룹 로고 화이트.svg
한진그룹
조원태 34 34 39.0조 37.8조
15 15 - 파일:카카오(기업) 로고.svg
카카오
김범수 128 147 35.1조 34.2조
16 16 - 파일:LS그룹 로고.svg 파일:LS그룹 로고 화이트.svg
LS그룹
구자은 67 59 31.9조 29.4조
17 17 - 파일:두산 로고.svg
두산그룹
박정원 22 21 26.9조 26.5조
18 18 - 파일:DL그룹 로고.svg 파일:DL그룹 로고 화이트.svg
DL그룹
이해욱 45 41 26.7조 26.3조
19 27 8↑ 파일:셀트리온 로고.svg 파일:셀트리온 로고 화이트.svg
셀트리온
서정진 8 9 25.6조 15.1조
20 19 1↓ 파일:HMM CI.svg 파일:HMM CI.svg
HMM
HMM(주) 5 5 25.5조 25.8조
21 20 1↓ 파일:중흥그룹 로고.svg 파일:중흥그룹 로고 화이트.svg
중흥그룹
정창선 53 52 24.9조 23.3조
22 24 2↑ 파일:미래에셋 로고.svg 파일:미래에셋금융그룹 CI_White.svg
미래에셋금융그룹
박현주 30 36 23.2조 20.2조
23 25 - 파일:네이버 로고.svg
네이버
이해진 54 51 22.8조 20.9조
24 23 3↓ 파일:현대백화점그룹 로고.svg
현대백화점그룹
정지선 27 28 22.1조 21.6조
25 29 2↑ 파일:S-OIL 로고.svg
S-OIL
(주)S-OIL 2 2 21.6조 19.7조
26 25 3↓ 파일:부영그룹 로고.svg
부영그룹
이중근 21 22 21.0조 21.1조
27 25 18↑ 파일:쿠팡 로고.svg
쿠팡
쿠팡(주) 13 13 17.6조 11.1조
28 29 1↓ 파일:금호아시아나 로고.svg 파일:금호아시아나 로고 화이트.svg
금호아시아나
박삼구 24 25 17.3조 17.9조
29 30 1↓ 파일:하림 로고.svg
하림그룹
김홍국 45 50 17.3조 17.0조
30 33 1↑ 파일:SM그룹 CI.svg 파일:SM그룹 CI_화이트 폰트.svg
SM그룹
우오현 58 61 17.0조 16.4조
31 32 1↓ 파일:HDC 로고.svg
HDC
정몽규 35 35 16.9조 16.7조
32 31 3↓ 파일:영풍그룹 로고.svg
영풍그룹
장형진 28 28 16.8조 16.8조
33 34 1↓ 파일:효성그룹 로고.svg 파일:효성그룹 로고 화이트.svg
효성그룹
조현준 57 54 16.5조 15.8조
34 36 - 파일:호반건설 CI.svg 파일:호반건설 CI_white.svg
호반건설
김상열 39 42 16.0조 14.6조
35 50 13↑ 파일:DB그룹 로고.svg
DB그룹
김준기 25 21 15.7조 10.3조
36 37 1↓ 파일:KT&G 로고.svg
KT&G
(주)KT&G 14 13 14.9조 15.0조
37 38 1↓ 파일:KCC 로고.svg
KCC그룹
정몽진 14 14 14.2조 13.3조
38 39 1↓ 파일:장금상선 로고.svg
장금상선
정태순 27 27 14.2조 12.4조
39 54 13↑ 파일:교보생명 로고.svg
교보생명
신창재 14 15 13.2조 8.9조
40 41 1↓ 파일:코오롱그룹 로고.svg
코오롱
이웅열 48 47 13.0조 12.0조
41 40 3↓ 파일:OCI 로고.svg
OCI그룹
이우현 24 21 12.7조 12.2조
42 42 2↓ 파일:태영 심볼.svg
태영그룹
윤세영 82 80 12.3조 11.9조
43 45 - 파일:넥슨 로고.svg 파일:넥슨 로고 다크.svg
넥슨
유정현 19 18 11.9조 11.6조
44 44 2↓ 파일:세아그룹 로고.svg
세아그룹
이순형 26 28 11.7조 11.7조
45 46 1↓ 파일:LX그룹 로고.svg
LX그룹
구본준 17 15 11.3조 11.2조
46 43 5↓ 파일:넷마블 로고.svg 파일:넷마블 로고 화이트.svg
넷마블
방준혁 35 33 11.3조 11.7조
47 64 15↑ 파일:에코프로 로고.svg
에코프로
이동채 23 26 11.2조 6.9조
48 47 3↓ 파일:이랜드그룹 로고.svg
이랜드그룹
박성수 31 33 10.9조 10.6조
공시대상 기업집단(준대기업)
49 48 3↓ 파일:한국앤컴퍼니 로고.svg 파일:한국앤컴퍼니 로고 화이트.svg
한국앤컴퍼니
조양래 24 24 10.3조 10.4조
50 53 1↑ 파일:태광산업 로고.svg
태광그룹
이호진 20 19 9.6조 9.0조
51 51 2↓ 파일:금호석유화학그룹 로고.svg 파일:금호석유화학그룹 로고 화이트.svg
금호석유화학그룹
박찬구 14 13 9.5조 9.3조
52 52 2↓ 파일:다우키움그룹 로고.svg
다우키움그룹
김익래 48 49 9.5조 9.1조
53 61 6↑ 파일:두나무 로고.svg
두나무
두나무(주) 12 13 9.4조 7.3조
54 50 6↓ 파일:삼천리그룹 로고.svg
삼천리그룹
이만득 47 47 9.4조 9.8조
55 55 2↓ 파일:동원그룹 로고.svg
동원그룹
김남정 26 27 9.3조 8.9조
56 56 2↓ 파일:KG그룹 로고.svg 파일:KG그룹 로고 컬러 화이트.svg
KG그룹
곽재선 34 31 9.1조 8.8조
57 57 2↓ 파일:HL그룹 CI.svg 파일:HL그룹 CI_white.svg
HL그룹
정몽원 13 13 8.8조 8.5조
58 60 2↓ 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svg 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svg
한국GM
한국지엠(주) 3 3 8.8조 6.9조
59 59 2↓ 파일:아모레퍼시픽 로고.svg 파일:아모레퍼시픽 로고 화이트.svg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13 12 8.3조 8.3조
60 60 2↓ 파일:대방건설 CI.svg 파일:대방건설 CI 화이트.svg
대방건설
구교운 42 42 8.1조 7.6조
61 63 - 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가로.svg 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가로.svg
한국항공우주산업
구교운 42 42 8.1조 7.6조
62 65 1↑ 파일:애경그룹 로고.svg
애경그룹
장영신 31 34 7.1조 6.9조
63 67 2↑ 파일:엠디엠 CI.svg 파일:엠디엠 CI 화이트.svg
엠디엠
문주현 15 15 7.0조 6.3조
64 69 3↑ 파일:크래프톤 로고.svg 파일:크래프톤 로고 화이트.svg
크래프톤
장병규 8 5 6.9조 6.3조
65 68 1↑ 파일:삼양사 로고.svg 파일:삼양그룹 로고 화이트.svg
삼양그룹
김윤 13 13 6.9조 6.3조
66 72 3↑ 파일:보성그룹 로고.svg
보성그룹
이기승 65 69 6.8조 6.0조
67 66 4↓ 파일:동국제강그룹 CI.svg 파일:동국제강그룹 CI 화이트.svg
동국제강그룹
장세주 12 10 6.7조 6.5조
68 - 재지정 파일:현대해상 CI.svg 파일:현대해상 CI 화이트.svg
현대해상
정몽윤 13 - 6.7조 -
69 62 10↓ 파일:중앙그룹 로고.svg 파일:중앙그룹 로고 화이트.svg
중앙그룹
홍석현 54 90 6.6조 7.5조
70 73 - 파일:글로벌세아 CI.svg
글로벌세아그룹
김웅기 20 19 6.3조 6.0조
71 71 3↓ 파일:아이에스동서 CI.svg
아이에스동서
권혁운 36 42 6.3조 5.6조
72 70 5↓ 파일:유진그룹 로고.svg
유진그룹
유경선 60 52 6.2조 5.3조
73 - 신규 파일:영원무역 로고2.jpg
영원무역
성기학 50 - 6.0조 -
74 75 2↓ 파일:DN오토모티브 CI.svg
DN그룹
김상헌 8 8 5.8조 5.8조
75 71 7↓ 파일:고려해운 로고.svg
고려해운
박정석 24 28 5.8조 6.0조
76 76 3↓ 파일:OK금융그룹 로고.svg 파일:OK금융그룹 로고(화이트).svg
OK금융그룹
최윤 16 18 5.8조 5.6조
77 84 4↑ 파일:BGF그룹 로고.svg
BGF그룹
홍석조 18 17 5.8조 5.0조
78 - 신규 파일:대신증권 로고.svg
대신증권
양홍석 117 - 5.7조 -
79 78 4↓ 파일:하이트진로 CI.svg
하이트진로그룹
박문덕 11 15 5.5조 5.5조
80 81 2↓ 파일:농심그룹 로고.svg 파일:농심그룹 로고 화이트.svg
농심그룹
신동원 23 32 5.4조 5.2조
81 74 10↓ 파일:신영그룹 CI.svg 파일:신영그룹 CI 화이트.svg
신영그룹
정춘보 33 33 5.3조 5.9조
82 79 6↓ 파일:한솔그룹 로고.svg
한솔그룹
조동길 21 23 5.3조 5.4조
83 83 3↓ 파일:반도건설 로고.svg 파일:반도건설 로고 화이트.svg
반도건설
권홍사 18 20 5.3조 5.1조
84 82 5↓ 파일:삼표그룹 로고.svg
삼표그룹
정도원 33 50 5.2조 5.2조
85 - 신규 파일:HYBE 로고.svg 파일:HYBE 로고 화이트.svg
HYBE
방시혁 15 - 5.2조 -
86 - 신규 파일:Sono_light.svg 파일:Sono_dark.svg
대명소노그룹
박춘희 23 - 5.1조 -
87 - 신규 파일:원익 로고.svg
원익
이용한 54 - 5.0조 -
88 - 신규 파일:파라다이스 그룹 로고.svg
파라다이스 그룹
전필립 14 - 5.0조 -
※ 동일인이 미지정된 기업: (주)포스코홀딩스,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주)케이티, 에이치엠엠(주), (주)케이티앤지, 한국항공우주산업(주) 6개사
※ 동일인이 외국인인 기업: 에쓰-오일(주), 오씨아이(주), 쿠팡(주), 한국지엠(주) 4개사
※ 다음 업종의 기업 중에서 중소기업법에서 정하는 중소기업의 규모보다 더 큰 기업(가. 금융업, 나. 보험 및 연금업, 다.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
}}}}}}}}}


<colcolor=#000,#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옐로모바일 로고.svg 파일:위메프 로고.svg 파일:야놀자 로고.svg
파일:토스(금융) 로고.svg 파일:토스(금융) 로고 화이트.svg 파일:무신사 로고.svg 파일:무신사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이프로젠 로고.svg
파일:컬리 로고.svg 파일:티몬 로고.svg 파일:티몬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두나무 로고.svg
파일:리디주식회사 로고.svg 파일:당근(플랫폼) 로고.svg 파일:빗썸 로고.svg
파일:오늘의집 로고.svg 파일:오늘의집 로고 화이트.svg 파일:직방 로고.svg 파일:여기어때 로고.svg
파일:APR 로고.svg 파일:APR 로고 화이트.svg 파일:Tridge_Logo_Blue.jpg 파일:IGAW_logotype_rgb_color.png
L&P코스메틱 GP클럽 A사(기업명 비공개)
기준: 중소벤처기업부 발표 2022 국내 유니콘 기업 및 2023년 언론 보도 현황
}}}}}}}}} ||



[1] 2023년 5월 기준. [2] 구 다음커뮤니케이션즈 기준 설립일이며 실질적으로 '카카오'라고 불리는 기업으로서의 설립일은 2006년 11월 29일. [3] LINE야후의 시가총액이다. [4] 정식 사명은 '우아한형제들'이지만 대표 앱 이름이 '배달의민족'이기 때문에 회사 자체도 '배달의민족' 내지는 '배민'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당장 이 문서에서도 네카라쿠우가 아니라 네카라쿠배인 것을 생각해보자. [5] 인수 평가액 기준 [6] 출처 [7] 간혹 라인을 끼워서 네카라라고 부르기도 한다. 당근 토스 배민 쿠팡의 부상 이전에 자주쓰이던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