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8c95>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 | |||
중구 |
[[울산광역시청| 시청 ]]
남구
|
동구 |
북구 |
|
자치군 | ||||
울주군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14da2>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014da2> 달동 | 달동 {{{#!wiki style="margin: -5px -11px -16px;" |
구청
삼산동 |
}}} | |||
삼산동 | ||||||
신정1~5동 | 신정동 | |||||
옥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옥동 | 두왕동 | }}} | ||
대현동 | 야음동 | |||||
수암동 | ||||||
야음장생포동 | ||||||
매암동 | 여천동 | 장생포동 | ||||
선암동 | 선암동 | 고사동 | 남화동 | |||
부곡동 | 상개동 | 성암동 | ||||
용연동 | 용잠동 | 황성동 | ||||
무거동 | 무거동 {{{#!wiki style="margin: -5px -11px -16px;" | }}} | ||||
삼호동 |
울산광역시의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남구
南區 Nam-gu |
}}} | |||
<colbgcolor=#014da2><colcolor=#fff> 구청 소재지 | 돋질로 233 (달동) | |||||
광역자치단체 | 울산광역시 | |||||
하위 행정구역 | 14 동[1] | |||||
면적 | 73.47㎢ | |||||
인구 | 304,801명[2] | |||||
인구밀도 | 4,148.64명/㎢[3] | |||||
구청장 |
|
서동욱 (3선) | ||||
구의회 |
|
8석[4] | ||||
|
6석[5] | |||||
시의원 |
|
5석[6] | ||||
|
1석[7] | |||||
국회의원
|
<colbgcolor=#014da2><colcolor=#fff> 갑 |
|
김상욱 (초선) | |||
을 |
|
김기현 (5선) | ||||
상징 | 구화 | 벚꽃 | ||||
구목 | 소나무 | |||||
구조 | 백로 | |||||
구수 | 고래 | |||||
지역번호 | 052 | |||||
| | | | | |
[clearfix]
1. 개요
울산광역시의 중남부에 위치한 자치구. 태화강을 경계로 중구와 북구를 맞대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동해와 동구, 서쪽에는 울주군으로 둘러싸여 있다.원래는 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 중구가 울산의 중심지였으나 서울의 강남처럼 논밭이던 곳을 개발하여 웬만한 도심 기능을 집어넣으면서 기존에 제1도심으로서 기능하던 구도심을 잡아먹은 케이스이다.
2. 상징
남구의 CI |
심벌마크는 남구가 지향하는 이미지를 집약하여 표현한 상징물로서 남구 CI(City Identity)시스템의 모든 시작정보 활동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심벌마크의 디자인 콘셉트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구민의 환경, 문화, 복지를 중시하는 도시로 삼았다. |
남구의 브랜드슬로건 |
브랜드슬로건은 '새롭게 발전하는 “울산중심” 남구로서 구민 한 사람, 한사람의 행복을 세심하게 살피는 남구의 긍정적이고 따뜻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
남구의 마스코트 | |||
2014년 교체되어 사용 중인 현 캐릭터 '장생이'. 종전의 공업도시 인상을 떨쳐내고, 생태도시와 전국 유일의 고래도시 이미지를 살리기 위해 고래로 유명한 장생포의 천연기념물 귀신고래[8]를 형상화하였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마스코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colbgcolor=#fff,#1c1d1f>
2004년 ~ 2013년 |
캐릭터 타비는 울산 남구 이미지 형성의 주요시각 아이덴티티 요소 중 하나이다. 타비는 남구의 대표 조형물인 공업탑을 소재로 개발 했으며, 공업탑의 구체성을 표현하면서 자연친화적인 의미를 달아 '아름다운 도시 살고싶은 남구' 라는 미래비전을 제시한다. 남구의 산업과 문화의 미래를 상징하며 밝은 내일을 약속하는 7세 소년의 이미지로 제작되었다. | }}}}}}}}}}}}}}} |
남구의 상징물 | |
<colbgcolor=#fff,#1c1d1f> 구목 소나무 |
솔마루길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소나무의 사시사철 푸른 잎과 곧은 줄기는 변하지 않는 충절과 절개를 가진 남구민의 기상과 번영을 상징한다. |
구화 벚꽃 |
남구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벚꽃은 남구의 대표적인 꽃으로 상징되기에 적합하다. 흰색의 꽃은 결백과 정신적 아름다움을 의미하며, 남구민의 맑고 순수한 마음을 상징한다. |
구조 백로 |
예로부터 백로가 찾아오는 곳은 사람살기에 좋은 땅으로 전해져왔으며, 희고 깨끗한 자태는 청렴한 선비의 상징으로 남구의 무궁한 번영과 고귀한 기풍을 상징한다. |
구상징동물 고래 |
고래는 역동의 상징으로 역사와 현대, 산업과 문화가 조화를 이루어 고래도시 남구가 세계를 향해 나아감을 상징한다. |
3. 역사
남구가 속한 지역은 삼한시대에는 진한에 속하였고, 신라시대에는 굴아화현의 일부였다. 이후 흥례부가 되었다가, 고려 전기인 1018년(현종 9년) 울주로 승격한 후, 1413년(태종 13년) 울산군이 되었다.1599년(선조 32년) 5월 15일 울산도호부로 승격하였고, 이후 대현면에 속하였다가 1895년(고종 32년) 울산군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태화강 이남의 신정동· 달동· 삼산동· 옥동 지역은 내현면으로, 여천천 이남은 외현면으로 구분하였다. 1911년 외현면이 다시 현북면과 현남면으로 분리되어 3개 면으로 나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내현면의 일부인 상부 지역(現 중구 일부)은 울산면에 이관되고, 현북면과 현남면은 대현면에 통합되었으며, 1931년 11월 1일 울산면이 울산읍으로 승격하였다.
1962년 6월 1일 시 승격과 함께 경상남도 울산시에 속하게 되었다. 1963년 11월 1일 옛 울산읍 지역에 무거와 두왕이 편입되며 중앙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2년 10월 1일 동제가 실시되며 현재 남구에 속한 무거·다운을 무거동, 옥동·두왕을 옥동, 달동·삼산을 달동, 선암·상개를 선암동, 부곡·고사를 부곡동, 황성·성암을 황성동, 용연·남화를 용연동으로 개편하였다.
1976년 4월 20일 중앙출장소와 장생포출장소가 폐지되었고, 1977년 11월 1일 신정동을 신정1동과 신정2동으로 분동하고, 용잠동을 장생포동에 편입하였다. 1979년 5월 1일 신정1동을 신정1동과 신정3동으로, 야음동을 야음1동과 야음2동으로 분동하였다. 1982년 9월 1일에는 신정2동을 신정2동과 신정4동으로 분동하였다.
1985년 7월 15일 울산시에 구제[2구, 1출장소, 40개 동]가 실시되며 울산면 일부( 태화강 이남 지역)와 대현면을 모태로 남구가 설치되었다. 같은 해 10월 야음2동에서 야음3동으로 분동되었다.
1995년 3월 2일 신정3동을 신정3동과 신정5동으로, 달동을 달동과 삼산동으로, 무거동을 무거1동과 무거2동으로 분동하였다. 같은 해 5월 1일에는 부곡동·황성동·용연동을 통합하여 개운동으로, 여천동을 야음1동에, 매암동을 장생포동에 통폐합하였다.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가 출범하며 자치구인 울산광역시 남구가 되었다.
1998년 10월 17일 과소 행정동의 통폐합으로 야음1동과 장생포동이 야음1장생포동으로, 선암동과 개운동이 선암동으로 통폐합되고, 2002년 8월 30일에는 무거1동 일부가 울주군 범서읍에, 울주군 범서읍 일부가 남구 무거1동에 각각 편입되는 행정 구역 조정이 있었다. 2007년 2월 26일 행정동 명칭 변경에 따라 무거1동이 삼호동, 무거2동이 무거동, 야음1장생포동이 야음장생포동, 야음2동이 대현동, 야음3동이 수암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4. 인구
울산광역시 남구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5년 7월 15일 울산시 남구 설치 |
1985년 195,978명
|
1990년 256,151명
|
1995년 304,488명
|
2000년 335,409명
|
2005년 347,162명
|
2010년 344,131명
|
2015년 343,598명
|
2020년 320,064명
|
2024년 10월 304,80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삼산동 47,912명
|
대현동 32,645명
|
|
무거동 31,228명
|
|
달동 26,170명
|
|
옥동 25,163명
|
|
신정2동 24,725명
|
|
신정4동 19,833명
|
|
삼호동 19,499명
|
|
신정1동 18,128명
|
|
수암동 16,092명
|
|
신정3동 15,952명
|
|
선암동 13,639명
|
|
신정5동 8,426명
|
|
야음장생포동 8,378명
|
|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법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정동 87,439명
|
야음동 56,101명
|
|
무거동 51,026명
|
|
달동 39,942명
|
|
삼산동 34,498명
|
|
옥동 21,958명
|
|
선암동 12,521명
|
|
두왕동 3,361명
|
|
상개동 1,160명
|
|
장생포동 766명
|
|
매암동 311명
|
|
여천동 71명
|
|
용연동 12명
|
|
성암동 6명
|
|
황성동 6명
|
|
부곡동 5명
|
|
용잠동 1명
|
|
고사동 0명
|
|
남화동 0명
|
|
2023년 9월 기준 법정동별 (행정동 통반 단위) 성/연령별 주민등록 인구수, 그래프 최대 값은 9만 명 |
===# 행정동별 인구추이 #===
신정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5,086명
|
1970년 11,127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신정동(법정동) → 신정동(행정동) |
1975년 27,375명
|
1977년
11월 1일 신정동 → 신정1동, 신정2동 분동 1979년 5월 1일 신정1동 → 신정1동, 신정3동 분동 |
1980년 17,303명
|
1985년 22,080명
|
1990년 24,414명
|
1995년 22,139명
|
2000년 17,546명
|
2005년 18,911명
|
2010년 19,454명
|
2015년 19,831명
|
2020년 19,117명
|
2023년 9월 18,20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신정2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
1977년 11월 1일 신정동 → 신정1동, 신정2동 분동 |
1980년 25,530명
|
1982년 9월 1일 신정2동 → 신정2동, 신정4동 분동 |
1985년 17,659명
|
1990년 23,391명
|
1995년 23,831명
|
2000년 20,602명
|
2005년 22,970명
|
2010년 22,804명
|
2015년 26,524명
|
2020년 24,772명
|
2023년 9월 24,77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신정3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
1979년 5월 1일 신정1동 → 신정1동, 신정3동 분동 |
1980년 16,993명
|
1985년 24,553명
|
1990년 32,358명
|
1995년 3월 2일 신정3동 → 신정3동, 신정5동 분동 |
1995년 20,277명
|
2000년 15,920명
|
2005년 15,373명
|
2010년 11,371명
|
2015년 17,871명
|
2020년 16,361명
|
2023년 9월 15,96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신정4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2년 9월 1일 신정2동 → 신정2동, 신정4동 분동 |
1985년 18,137명
|
1990년 25,031명
|
1995년 24,597명
|
2000년 20,940명
|
2005년 23,004명
|
2010년 26,147명
|
2015년 24,367명
|
2020년 21,448명
|
2023년 9월 19,95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신정5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5년 3월 2일 신정3동 → 신정3동, 신정5동 분동 |
1995년 9,864명
|
2000년 8,636명
|
2005년 8,273명
|
2010년 8,589명
|
2015년 9,023명
|
2020년 8,855명
|
2023년 9월 8,53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
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2,157명
|
1970년 2,570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달동 + 삼산동 → 달동 신설 |
1975년 6,755명
|
1980년 11,365명
|
1985년 14,029명
|
1990년 16,606명
|
1995년 3월 2일 달동 → 달동, 삼산동 분동 |
1995년 24,133명
|
2000년 30,674명
|
2005년 30,644명
|
2010년 30,872명
|
2015년 29,601명
|
2020년 27,340명
|
2023년 9월 26,28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삼산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303명
|
1970년 1,668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삼산동 일시 폐동 → 달동 편입 |
1975년 -명
|
1980년 -명
|
1985년 -명
|
1990년 -명
|
1995년 3월 2일 달동 → 달동, 삼산동 분동 |
1995년 23,546명
|
2000년 34,787명
|
2005년 44,800명
|
2010년 49,209명
|
2015년 51,357명
|
2020년 48,826명
|
2023년 9월 48,15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
삼호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829명
|
1970년 2,284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무거동(법정동) → 무거동(행정동) |
1975년 3,815명
|
1980년 5,596명
|
1985년 5,929명
|
1990년 15,312명
|
1995년 3월 1일 무거동 → 무거1동, 무거2동 분동 |
1995년 24,222명
|
2000년 30,448명
|
2005년 26,534명
|
2007년 2월 26일 무거1동 → 삼호동 개칭 |
2010년 24,738명
|
2015년 25,661명
|
2020년 20,841명
|
2023년 9월 19,59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무거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5년 3월 2일 무거동 → 무거1동, 무거2동 분동 |
1995년 19,963명
|
2000년 31,206명
|
2005년 40,322명
|
2007년 2월 26일 무거2동 → 무거동 개칭 |
2010년 38,702명
|
2015년 36,500명
|
2020년 32,325명
|
2023년 9월 31,43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옥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672명(옥동 1,038명 + 두왕동 634명)
|
1970년 1,779명(옥동 1,111명 + 두왕동 668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옥동 + 두왕동 → 옥동 신설 |
1975년 2,857명
|
1980년 3,208명
|
1985년 3,074명
|
1990년 16,374명
|
1995년 23,505명
|
2000년 27,562명
|
2005년 26,879명
|
2010년 29,062명
|
2015년 27,141명
|
2020년 26,716명
|
2023년 9월 25,31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대현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
1979년 5월 1일 야음동 → 야음1동, 야음2동 분동 |
1980년 17,311명
|
1985년 10월 15일 야음2동 → 야음2동, 야음3동 분동 |
1985년 18,108명
|
1990년 23,239명
|
1995년 25,117명
|
2000년 33,908명
|
2005년 34,569명
|
2007년 2월 26일 야음2동 → 대현동 개칭 |
2010년 31,926명
|
2015년 29,217명
|
2020년 30,503명
|
2023년 9월 32,55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수암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5년 10월 15일 야음2동 → 야음2동, 야음3동 분동 |
1985년 10,775명
|
1990년 14,180명
|
1995년 16,425명
|
2000년 14,811명
|
2005년 11,457명
|
2007년 2월 26일 야음3동 → 수암동 개칭 |
2010년 18,659명
|
2015년 17,328명
|
2020년 16,986명
|
2023년 9월 16,19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선암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2,708명(선암동 1,981명 + 상개동 1,198명 + 부곡동 3,010명 + 고사동 833명 성암동 661명 + 황성동 1,749명 + 용연동 1,178명 + 남화동 643명 + 용잠동 1,455명)
|
1970년 17,826명(선암동 4,214명 + 상개동 967명 + 부곡동 4,448명 + 고사동 741명 성암동 673명 + 황성동 1,774명 + 용연동 1,532명 + 남화동 1,607명 + 용잠동 1,870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선암동 + 상개동 → 선암동 신설 부곡동 + 고사동 → 부곡동 신설 성암동 + 황성동 → 황성동 신설 용연동 + 남화동 → 용연동 신설 용잠동(법정동) → 용잠동(행정동) |
1975년 18,347명(선암동 5,194명 + 부곡동 5,718명 + 황성동 2,848명 + 용연동 3,060명 용잠동 1,527명)
|
1977년 11월 1일 용잠동(행정동) 주민이주로 폐동 → 장생포동 합동 |
1980년 20,156명(선암동 7,176명 + 부곡동 6,742명 + 황성동 3,090명 + 용연동 3,148명)
|
1985년 20,823명(선암동 8,748명 + 부곡동 6,716명 + 황성동 3,057명 + 용연동 2,302명)
|
1990년 25,224명(선암동 14,339명 + 부곡동 5,761명 + 황성동 2,856명 + 용연동 2,268명)
|
1995년 5월 1일 부곡동 + 황성동 + 용연동 → 개운동 합동 |
1995년 20,079명(선암동 16,725명 + 개운동 3,354명)
|
1998년 10월 17일 선암동 + 개운동 + 장생포동 일부 → 선암동 합동 |
2000년 17,909명
|
2005년 17,416명
|
2010년 17,708명
|
2015년 16,789명
|
2020년 14,588명
|
2023년 9월 13,71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야음장생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8,633명(장생포동 2,542명 + 여천동 7,144명 + 야음동 3,398명 + 매암동 5,549명)
|
1970년 28,104명(장생포동 2,938명 + 여천동 9,464명 + 야음동 6,520명 + 매암동 9,182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장생포동, 여천동, 야음동, 매암동(법정동) → 장생포동, 여천동, 야음동, 매암동(행정동) |
1975년 36,645명(장생포동 3,326명 + 여천동 7,222명 + 야음동 17,133명 + 매암동 8,964명)
|
1977년
11월 1일 용잠동(행정동) 주민이주로 폐동 → 장생포동 합동 1979년 5월 1일 야음동 → 야음1동, 야음2동 분동 |
1980년 41,601명(장생포동 4,354명 + 여천동 7,186명 + 야음1동 20,685명 + 매암동 9,376명)
|
1985년 40,852명(장생포동 3,465명 + 여천동 6,726명 + 야음1동 22,058명 + 매암동 8,603명)
|
1990년 40,051명(장생포동 2,847명 + 여천동 1,980명 + 야음1동 28,303명 + 매암동 6,921명)
|
1995년
5월 1일 야음1동 + 여천동 → 야음1동 합동 장생포동 + 매암동 → 장생포동 합동 |
1995년 27,057명(장생포동 3,881명 + 야음1동 23,176명)
|
1998년 10월 17일 야음1동 + 장생포동 일부 → 야음1·장생포동 합동 |
2000년 19,318명(야음1·장생포동)
|
2005년 16,888명(야음1·장생포동)
|
2007년 2월 26일 야음1·장생포동→ 야음장생포동 개칭 |
2010년 14,890명
|
2015년 12,388명
|
2020년 11,386명
|
2023년 9월 8,50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
5.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14d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14da2>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014da2> ㄱ | <colbgcolor=#ffffff,#191919> 갈밭로 · 강남로 · 개운로 · 거마로 · 고사로 · 꽃대나리로 | |
ㄴ | 남부순환도로 · 남산로 · 남중로 · 남창로 · 납도로 | ||
ㄷ | 달삼로 · 대공원로 · 대공원입구로 · 대암로 · 대학로 · 도산로 · 돋질로 · 동산로 · 두왕로 | ||
ㅁ | 매암로 · 문수로 | ||
ㅂ | 번영로 · 법대로 · 봉월로 · 부곡로 · 부두로 · 북부순환도로 | ||
ㅅ | 산업로 · 사평로 · 산안로 · 삼산로 · 삼산중로 · 삼신로 · 삼호로 · 상개로 · 선암로 · 수암로 · 신남로 · 신두왕로 · 신복로 · 신선로 · 신여천로 · 신정로 · 신항로 · 신화로 | ||
ㅇ | 야음로 · 야음본로 · 어은로 · 여천로 · 옥현로 · 온산로 · 와와로 · 왕생로 · 용연로 · 용잠로 · 울밀로 · 웅촌로 · 월평로 · 은월로 · 이예로 | ||
ㅈ | 장생포고래로 · 장생포로 · 정광로 · 정동로 · 중앙로 | ||
ㅊ | 처용로 · 청량로 | ||
ㅌ | 테크노산업로 | ||
ㅍ | 팔등로 | ||
ㅎ | 화합로 | ||
울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철도 교통의 경우 여객은 동해선 개운포역[9]과 태화강역이 있어 무궁화호와 동해선 광역전철이 다니지만 시가지 중심부를 지나가지 않아 시내 교통으로는 사실상 기능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런 상태는 2029년 울산 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되어 동해선과 연계되면 나아질 예정이다. 울산 1호선은 남구 내에서만 다니며 남구 경계 바깥을 전혀 벗어나지 않는다.
화물은 2023년 현재 실질적으로 화물 수송을 받는 역으로는 울산신항선 울산신항역 뿐이다. 화물 전용 역으로는 장생포선 장생포역과 울산항선 울산항역도 있지만 장생포역은 SK에너지 공장이 역사를 먹어 외부인 접근이 불가능한데다 SK가 화물 수송을 중지하면서 사실상 폐역되었고, 울산항역은 울산항선이 도시철도 및 수소전기트램 실증노선으로 선정되어 울산 최초로 수소전기트램이 다닐 예정이라 2022년부터 화물 취급이 중단된 상태다.
도로 교통 중 시내버스는 주요 노선이 거의 지나가 편리하고 무엇보다도 울산의 주요 환승 거점인 공업탑, 신복교차로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다.
시외버스와 고속버스도 삼산동에 터미널 2개가 붙어 있어 이용하기 편리하지만, 낙후도가 심각하고 코로나 시국 이후 장거리 교통 수요가 고속철도로 옮겨감에 따라 이용도는 높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자가용의 경우 다른 대도시들처럼 러시 아워에는 도 닦는다고 생각하는 게 편하다. 러시 아워를 제외한 시간에는 그래도 나쁘진 않다. 물론 남구는 대체로 최근에 그리고 도로망이 격자형으로 건설되어 차선이 울산의 다른 자 치 구· 군에 비하면 직선으로 뻗어 있고 넓이도 넓은 편이라 인프라 자체는 뛰어나지만, 기본적인 교통량도 가장 많아서 차량 흐름이 원활하지는 않은 것이다. 특히 공업탑, 태화로터리, 신복로터리, 달동, 삼산동은 준상시 정체라고 보면 된다.
시티투어버스인 '트롤리버스'가 구내 곳곳을 지나간다. 울산시민은 할인도 해주니 바람 쐴 겸 이용해보자.
Lime, 알파카 공유킥보드가 서비스되는 곳이다.
항구와 어항 보유현황으로는 울산항(신항포함), 장생포항등 2곳이 있다.
6. 경제
야음장생포동과 선암동 등 구 동쪽에는 울산 경제의 한 축이 되는 석유화학공단이 밀집해 있다.사업장이 있는 기업들만 해도 다음과 같다. 다만, 이러한 공장들은 동해선을 중심으로 동쪽에만 있으며, 서쪽 시가지와는 완벽하게 구분된다.
- 금호석유화학, 롯데케미칼, 이수화학, 코오롱인더스트리, 태광산업, 한화솔루션, 한화종합화학, 동서석유화학, 대한유화, 효성화학, KPX케미칼, S-OIL, 카프로, SK이노베이션, SK케미칼 , 후성
6.1. 금융
울산 남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 |||
제1금융권[괄호] | |||
중앙은행 | |||
한국은행 (1) | |||
국가기관 | |||
남울산우체국 (16) | |||
국책은행 | |||
한국산업은행 (1) | 중소기업은행 (4) | ||
한국수출입은행 (1) | |||
특수은행 | |||
수협은행 (1) | 농협은행(중앙회) (13) | ||
시중은행 | |||
신한은행 (6) | 우리은행 (3) | ||
SC제일은행 (2) | 하나은행 (5) | ||
국민은행 (5) | 한국씨티은행 (1) | ||
iM뱅크 (1) | |||
지방은행 | |||
경남은행 (13) | 부산은행 (3) | ||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 |||
농업협동조합 | |||
중앙농협 (7) | 울산원예농협 (3) | 울산축산농협 (6) | 청량농협 (1) |
수산업협동조합 | |||
울산수협 (5) | |||
새마을금고 | |||
서울산새마을금고(4) | 새울산새마을금고(3) | 남울산새마을금고 (4) | 울산제일새마을금고 (4) |
우리새마을금고 (4) | 신정새마을금고 (3) | 강남새마을금고 (4) | 중앙새마을금고 (4) |
울산항운노동조합새마을금고 (1) | SK케미칼새마을금고 (2) | 효성새마을금고 (1) | |
신용협동조합 | |||
울산행복신용협동조합 (3) | 울산강남신용협동조합 (2) | 울산남부신용협동조합 (3) | 울산태화신용협동조합 (1) |
울산치과의사신용협동조합 (1) | 삼호신용협동조합 (1) | 롯데정밀화학신용협동조합 (1) | SK신용협동조합 (1) |
산림조합 | |||
울산광역시산림조합 (1) | |||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 |||
진주저축은행 (1) | 예가람저축은행 (1) | IBK저축은행 (1) |
7. 지역 특징
울산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자치구이며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국회의원 선거구가 울산의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유일하게 갑, 을 둘로 분구되어 있어 정치적인 영향력이 가장 강하다. 울산시청, 울산지방법원, 울산지방검찰청, 울산소방본부 등 행정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각종 기업의 울산지사가 가장 많이 있는 자치구라 경제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또한, 울산에서 가장 큰 상권인 삼산도 남구에 있는 등 상권의 중심지이기도 하며, 울산 교육의 1번지라고 할 수 있는 옥동에도 우수한 학군이 발달해 교육의 중심지이기도 하다.교육의 경우 옥동과 신정동[13]은 울산의 대치동 포지션으로서 울산에선 부촌이라 땅값과 집값이 가장 비싼 동네이다. 삼산동은 울산 제1 번화가 '삼산로'가 있는 곳으로서 맛집, 영화관, 쇼핑몰이 울산에서 가장 밀집한 곳이다. 삼산로를 중심으로 북쪽은 낮에, 남쪽은 밤에 활성화되는 상권인 것이 특징이다. 옆에 있는 달동도 주거지와 사무실, 먹자골목이 얽혀 삼산동 못지 않은 상권을 자랑한다.[14] 야음동은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노후 주거지와 공장들이 혼재하는 동네였으나, 2010년대 중후반부터 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신흥 주거지역으로 올라선 동네이다. 울산대학교가 있는 무거동은 울산 시내지역과 서울산 및 시외를 잇는 교통의 관문으로서 울산광역시를 대표하는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인 울산대학교, 울산과학대학교가 있는 곳으로서 인근 바보사거리와 신복로터리 상권은 울산 내에서 세 번째로 큰 상권이다.[15]
울산의 문화·예술 인프라가 집중되어 있다. 영화관 3사가 모두 입점하여 좌석 수도 가장 많고 스크린 품질도 가장 좋다. 또, 울산문화예술회관과 KBS홀, 울산CBS, 그리고 CK아트홀[16]등이 있어 울산에서 하는 공연이나 전시회는 남구에서 거의 무조건 열린다.
울산에 세 곳 있는 백화점 중에서 두 곳이 남구에 있다. 나머지 한 곳인 현대백화점 울산동구점이 매출 규모나 상품 구성이 다소 아쉬운 채 상징적인 지점으로 운영되고 있는 상황[17]을 고려하면 사실상 울산 시내 백화점이 남구에 몰려 있다고 봐도 될 정도이다.
8. 교육
울산광역시 남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삼일고등학교 | |||||
성광여자고등학교 | <colbgcolor=#ffcbcb,#340000> 신선여자고등학교 | 울산강남고등학교 | |||
◈
울산공업고등학교
|
울산여자고등학교 | 울산제일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울산광역시 남구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대현중학교 | 동평중학교 | 무거중학교 | 문수중학교 | ||
삼호중학교 | 신일중학교 | 신정중학교 | 야음중학교 | ||
옥동중학교 | 옥현중학교 | ||||
월평중학교 | 태화중학교 | 학성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울산광역시 남구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강남초등학교 | 개운초등학교 | 격동초등학교 | 남산초등학교 |
대현초등학교 | 도산초등학교 | 동백초등학교 | 동평초등학교 | |
두왕초등학교 | 백합초등학교 | 삼산초등학교 | 삼신초등학교 | |
삼호초등학교 | 선암초등학교 | 수암초등학교 | 신복초등학교 | |
신정초등학교 | 야음초등학교 | 여천초등학교 | 옥동초등학교 | |
옥산초등학교 | 옥서초등학교 | 옥현초등학교 | 용연초등학교 | |
월계초등학교 | 월봉초등학교 | |||
월평초등학교 | 청솔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교육기관은 초등학교 30개교(전교 공립), 중학교 16개교(남학교 1, 여학교 1. 전교 공립), 고등학교는 일반계 13개교(남학교 4, 여학교 4, 남녀공학 5. 사립 4, 공립 7)와 전문계 2개교(남학교 1, 여학교 1. 전교 공립), 학성고등학교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가 있고, 고등교육기관은 무거동에 울산대학교와 울산과학대학교 서부캠퍼스가, 그리고 두왕동 울산테크노일반산업단지에 울산대학교와 UNIST의 산학융합 캠퍼스가 각각 동일한 부지 내에 있다.
- 고등학교
- 대현고등학교 (야음동 789-11)
- 무거고등학교 (무거동 1000)
- 문수고등학교: 구 굴화고등학교 (무거동 266-1)
- 삼산고등학교 (삼산동 1535-4)
- 삼일여자고등학교 (선암동 650-6)
- 성광여자고등학교 (옥동 907-1)
- 신선여자고등학교: '울산신선여자고등학교'로 리다이렉트되나, 실제 명칭은 그냥 '신선여자고등학교'임. (야음동 789-11)
- 신정고등학교: 구 우석고등학교→울산남자고등학교 (신정2동 1650-1)
- 우신고등학교: 구 울산제일여자고등학교 (신정2동 1650-1)
- 울산강남고등학교 (신정5동 341)
- 울산공업고등학교: 구 울산공립농업학교→울산공립농업중학교→울산공립농업고등학교→울산농림고등학교→울산실업고등학교→울산농공고등학교 / 1951.9.1. 울산제일중 분리 (신정3동 167-8)
- 울산여자고등학교 (신정2동 1209-1)
-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신정4동 787)
- 울산제일고등학교 (옥동 910-1)
- 학성고등학교: 부설 방송통신중, 방송통신고 존재 (신정2동 1674)
- 중학교
- 울산강남중학교: 구 태화여자중학교 (삼산동 1535-1)
- 대현중학교 (달동 1330-2)
- 동평중학교 (달동 633-9)
- 무거중학교 (무거동 996)
- 문수중학교 (무거동 488-17)
- 삼호중학교 (무거동 1454-1)
- 신일중학교: 구 신정여자중학교 (신정4동 906-7)
- 신정중학교 (옥동 163-6)
- 야음중학교 (야음동 789-2)
- 옥동중학교 (옥동 648-1)
- 옥현중학교 (무거동 476)
- 울산서여자중학교 (신정2동 1632-6)
- 울산중앙중학교 (신정4동 859-3)
- 월평중학교: 구 울산중앙여자중학교 (신정3동 592-3)
- 태화중학교 (야음동 10-1)
- 학성중학교 (신정2동 1632-1)
- 초등학교
- 강남초등학교 (달동 633-9)
- 개운초등학교 (선암동 559-11)
- 격동초등학교 (옥동 259)
- 남산초등학교 (옥동 1396)
- 대현초등학교 (야음동 687-2)
- 도산초등학교 (야음동 540)
- 동백초등학교 (달동 194-1)
- 동평초등학교 (달동 119-9)
- 백합초등학교 (삼산동 1533)
- 삼산초등학교 (삼산동 173)
- 삼신초등학교 (삼산동 1510-1)
- 삼호초등학교 (무거동 292-5)
- 선암초등학교 (선암동 180)
- 수암초등학교 (신정4동 951-8)
- 신복초등학교 (무거동 810)
- 신정초등학교 (신정1동 1245)
- 야음초등학교 (야음동 865-4)
- 여천초등학교 (야음동 256)
- 옥동초등학교 (옥동 157-3)
- 옥산초등학교 (무거동 480)
- 옥서초등학교 (옥동 638)
- 옥현초등학교 (무거동 1218)
- 용연초등학교: 1998년 폐교 이후 복교함. # (야음동 789-11)
- 울산남부초등학교 (야음동 762)
- 울산중앙초등학교 (신정3동 592-2)
- 월계초등학교 (무거동 488-11)
- 월봉초등학교 (신정5동 266)
- 월평초등학교 (신정4동 791-9)
- 장생포초등학교 (장생포동 329-1)
- 청솔초등학교 (달동 813)
9. 의료기관
종합병원은 신정2동의 중앙병원(299병상), 신정5동의 울산병원(293병상), 무거동 좋은삼정병원(294병상)이 있으며, 병원 크기는 별 차이가 없다. 나머지 병원들은 일반 병원급으로 분류되며, 19개소가 있다. 이들 종합병원에서 해결이 되지 않을 경우 동구의 울산대학교병원이나 양산의 양산부산대병원 또는 부산까지 간다.요양병원은 노블레스 요양병원이 있다.
보건소는 옛 야음1동에 있었다가 삼산동으로 옮겼고, 의료오지인 장생포동에 보건지소가 있다.
울산남구보건소는 몇몇 의료직원들이 굉장히 적대적이고 불친절하기로 유명하니 주의할 것. 어리버리한 환자들한테 '다시는 오지 말라'고 화내거나 인격모독적인 말을 퍼붓는다.
10. 스포츠
체육시은 울산체육공원 내에 2002 한일월드컵 구장이자 K리그1의 울산 HD FC의 홈 경기장인 월드컵 축구장과, 롯데 자이언츠의 제2구장인 야구장, 국제규격 수영장, 사격장, 양궁장이 있고, 각종 실내 경기에 사용되는 종하체육관[18]과 울산대공원 내 국궁경기장 울산정, 울산대학교 내 아산스포츠센터가 존재한다.게임장은 경남에서 꽤 유명했던 오락실인 ' 게임사령부'가 공업탑 로터리에 위치해 있었고, 2012년 초 바로 옆건물도 '골목대장'이라는 오락실이 되었다. 또한, 울산 시내에서 몇 안 되는 게임매장 중 하나인 '게임라인'도 바로 게임사령부의 길 건너편에 위치하고 있었다. 현재는 세 곳 모두 폐업한 상태이다.
2012년에 개장 10주년을 맞이한 울산대공원에서 울산체육공원으로 이어지는 길도 주민들에게 인기있는 코스. 원래는 솔마루길이라는, 선암호수공원에서 십리대숲까지 이어지는 24km의 길의 일부인데, 솔마루길은 울산 어울길[19]의 7구간으로 지정되어 있다.
울산문수축구경기장의 보조구장을 홈으로 사용하는 대한민국 5부 축구리그 K5리그 울산리그 참가구단인 울산 시터스 FC의 소재지다.
11. 정치
자세한 내용은 남구(울산광역시)/정치 문서 참고하십시오.12. 하위 행정구역
13. 교류도시
13.1. 국내교류도시
13.2. 국제교류도시
14. 출신 인물
자세한 내용은 분류:남구(울산) 출신 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1]
19개
법정동, 14개
행정동
[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3]
2024년 10월 기준.
[4]
남구 가선거구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5동): 이정훈
남구 나선거구 (신정4동, 옥동): 이지현
남구 다선거구 (삼호동, 무거동): 이소영
남구 라선거구 (삼산동, 야음장생포동): 김장호
남구 마선거구(달동, 수암동): 김대영, 최신성
남구 바선거구 (대현동, 선암동): 이상기
남구 비례대표: 이양임 [5] 남구 가선거구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5동): 김예나
남구 나선거구 (신정4동, 옥동): 최덕종
남구 다선거구 (삼호동, 무거동): 임금택
남구 라선거구 (삼산동, 야음장생포동): 박인서
남구 바선거구 (대현동, 선암동): 박영수
남구 비례대표: 이혜인 [6] 남구 제2선거구 (신정4동, 옥동): 이장걸 (초선)
남구 제3선거구 (삼호동, 무거동): 안대룡 (초선)
남구 제4선거구 (삼산동, 야음장생포동): 방인섭 (초선)
남구 제5선거구(달동, 수암동): 김동칠 (초선)
남구 제6선거구 (대현동, 선암동): 이영해 (재선) [7] 남구 제1선거구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5동): 안수일 (재선) [8] 정확히는, 북구-동구-남구-울주군의 귀신고래 회유해면이 천연기념물이다. 1962년에 지정되었지만 5.16 군사정변으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세워져 울산이 산업화된 이후, 더 이상 귀신고래가 관측되지 않는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계속되는 환경오염으로 인해 울산시와 울산군은 1980년대 ' 온산병'이라는 크리티컬 히트를 맞았고, 결국 광역시 승격 직후부터 울산은 생존을 위해 생태도시화를 부르짖게 되었다. [9] 신호장. 2021년 12월 28일, 동해선 광역전철 전용 역으로 개통되었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3] 옥동에 붙은 신정2동 한정 [14] 최근에는 상권이 성남동 다음으로 큰 규모로 올라섰다. 특히, 식당과 술집 상권은 성남동을 넘어선 듯하다. [15] 1위는 당연히 삼산동. 2위는 중구 성남동. [16] 이 쪽은 동명의 ' 치과가 운영하는' 예술관이다. [17] 현대백화점 1호점이다. 그러나 매출은 전국 백화점들 중 최하위권이다. [18] 이 지역 토호였던 이종하 선생이 토지와 건립비용을 지급한 체육관이다. 관련 기사 [19] 전체길이 75km, 소요시간 35시간의 걷기여행길이다.
남구 나선거구 (신정4동, 옥동): 이지현
남구 다선거구 (삼호동, 무거동): 이소영
남구 라선거구 (삼산동, 야음장생포동): 김장호
남구 마선거구(달동, 수암동): 김대영, 최신성
남구 바선거구 (대현동, 선암동): 이상기
남구 비례대표: 이양임 [5] 남구 가선거구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5동): 김예나
남구 나선거구 (신정4동, 옥동): 최덕종
남구 다선거구 (삼호동, 무거동): 임금택
남구 라선거구 (삼산동, 야음장생포동): 박인서
남구 바선거구 (대현동, 선암동): 박영수
남구 비례대표: 이혜인 [6] 남구 제2선거구 (신정4동, 옥동): 이장걸 (초선)
남구 제3선거구 (삼호동, 무거동): 안대룡 (초선)
남구 제4선거구 (삼산동, 야음장생포동): 방인섭 (초선)
남구 제5선거구(달동, 수암동): 김동칠 (초선)
남구 제6선거구 (대현동, 선암동): 이영해 (재선) [7] 남구 제1선거구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5동): 안수일 (재선) [8] 정확히는, 북구-동구-남구-울주군의 귀신고래 회유해면이 천연기념물이다. 1962년에 지정되었지만 5.16 군사정변으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세워져 울산이 산업화된 이후, 더 이상 귀신고래가 관측되지 않는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계속되는 환경오염으로 인해 울산시와 울산군은 1980년대 ' 온산병'이라는 크리티컬 히트를 맞았고, 결국 광역시 승격 직후부터 울산은 생존을 위해 생태도시화를 부르짖게 되었다. [9] 신호장. 2021년 12월 28일, 동해선 광역전철 전용 역으로 개통되었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3] 옥동에 붙은 신정2동 한정 [14] 최근에는 상권이 성남동 다음으로 큰 규모로 올라섰다. 특히, 식당과 술집 상권은 성남동을 넘어선 듯하다. [15] 1위는 당연히 삼산동. 2위는 중구 성남동. [16] 이 쪽은 동명의 ' 치과가 운영하는' 예술관이다. [17] 현대백화점 1호점이다. 그러나 매출은 전국 백화점들 중 최하위권이다. [18] 이 지역 토호였던 이종하 선생이 토지와 건립비용을 지급한 체육관이다. 관련 기사 [19] 전체길이 75km, 소요시간 35시간의 걷기여행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