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장 비서실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6px" {{{#E6B36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11B2B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초대 강창호 |
제2대 배원량 |
제3대 이재호 |
제4대 김윤태 |
제5대 이봉한 |
|
제6대 강치관 |
제7대 김하열 |
제8대 배보윤 |
제9대 손인혁 |
제10대 김진욱 |
|
제11대 이승환 |
제12대 우승아 |
제13대 김정원 |
|||
제14대 우승아 |
제15대 이승환 |
제16대 김소연 |
제17대 성왕 |
|
|
이름 | 김하열 (金河烈) |
출생 | 1963년 10월 12일 ([age(1963-10-12)]세) |
경상북도 대구시 (現 대구광역시) |
|
학력 |
대구 영신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 법학 /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법학[1] / 석사[2]) 고려대학교 대학원 ( 법학[3] / 박사[4])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KATUSA) 병장 전역 |
현직 |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약력 |
제31회
사법시험 합격 제21기 사법연수원 수료 서울지방검찰청 남부지청 검사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 제7대 헌법재판소장 비서실장 ( 이강국 소장) 한국공법학회 부회장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장 헌법재판연구원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검사, 헌법연구관 출신 교수. 사법연수원 21기 출신이다.2. 생애
제31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사법연수원을 21기로 수료했다.1992년 서울지검 남부지청 검사를 거쳐, 1993년부터 2008년까지 15년간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으로 근무하였다. 헌법연구관 재직 중 1995년부터 1996년 사이에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연수하였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2006년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이강국 헌법재판소장의 비서실장을 역임하였고, 이후 2008년 고려대학교 법학대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으며, 현재는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헌법을 가르치고 있다.
헌법연구관 시절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심판 등 다수의 중요 사건을 담당하였고, 현재 헌법재판소에서 이루어지는 헌법재판의 기초가 되는 다수의 법리를 연구하고 토대를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후 탄핵 사건이 벌어질 때마다 언론에서 김하열의 논문이나 인터뷰를 실은 것을 찾아볼 수 있다.[6]
위와 같은 경력으로 헌법소송법 및 헌법재판실무에 관하여 국내 최고의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2018년 헌법재판관후보추천위원회가 헌법재판관으로 추천한 7명 명단에 올랐다. 하지만 이 중에서 김명수 대법원장은 이석태를 지명했다. #
2019년 대한변호사협회 추천으로 헌법재판소 재판관 추천 명단에 올랐다. #
2023년 9월 9일 제7대 헌법재판연구원장으로 취임하여 1년 동안 헌법재판연구원을 이끈 뒤, 2024월 9월 8일 퇴임하였다.
3. 저술 활동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서 박영사에서 출판된 '헌법강의', '헌법소송법' 교과서를 집필하였고, 헌법재판소 헌법연구원에서 발간한 '주석 헌법재판소법'에 공저자로 참여하였다. '법률해석과 헌법재판: 법원의 규범통제와 헌법재판소의 법률해석', '민주주의 정치이론과 헌법원리: 자유주의적 이해를 넘어' 등 약 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2022년 박영사에서 출판된 '젠더와 법'에 공저자로 참여하여 '젠더평등과 평등헌법' 부분을 집필하였다.4. 경력
- 1982 대구 영신고등학교(26회) 졸업
- 1989 고려대학교 졸업
- 1989 제31회 사법시험 합격
- 1992 제21기 사법연수원 수료
- 1992 서울지방검찰청 남부지청 검사
- 1993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보
- 1996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
- 1995~1996 독일 프라이브루크 대학교 연수
- 1999~2001 숙명여자대학교 겸임교수(정법학부)
- 2000 고려대학교 대학원 졸업(석사)
- 2006 고려대학교 대학원 졸업(박사)
- 2007~2008 제7대 헌법재판소장비서실장
- 2008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2015. 1.~2015. 12. 한국공법학회 부회장
- 2015. 3.~2017. 2. 헌법재판소 헌법연구위원
- 2016. 6.~2020. 6. 국가인권위원회 정책자문위원
- 2021. 3.~2023. 2.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장
- 2022. 9.~ 사학분쟁조정위원회 위원
- 2023. 9. 9. ~ 2024. 9. 8. 제7대 헌법재판연구원장
5. 여담
- 자타공인 탄핵 전문가 답게, 변호사시험 공법 기록형에 탄핵 문제가 나온 적이 없다는 것을 안타까워하며 손수 제작한 탄핵 기록형 모의고사 문제를 풀게 시킨다.
- 위헌법률심판 심판청구나 제청신청 서면을 쓰라는 시험문제에 학생이 대통령령이나 고시등 형식적 법률이 아닌 법령을 넣어 쓰면 시험 답안지를 학생들 앞에서 읽어준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 }}}}}} |
{{{#fff,#ddd {{{#!wiki style="min-height: 26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8879,#003324>
헌법 憲法 |
조문 | <colbgcolor=#fafafa,#1F2023> 전문 · 총강 · 기본권 · 통치구조 ( 국회 / 정부 / 법원 / 헌법재판소 / 선거관리 / 지방자치) · 경제 · 헌법개정 | |
관련 법령 |
감사원법 · 감염병예방법 · 감정평가법 · 개인정보 보호법 · 계엄법 ·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 공공외교법 · 공직선거법 · 국가인권위원회법 · 국가재정법 · 국가회계법 · 국고금 관리법 · 국감국조법 · 국군조직법 · 국민투표법 · 국적법 · 국회법(국회도서관법 · 국회사무처법 · 국회예산정책처법 · 국회입법조사처법 · 국회증언감정법 · 인사청문회법) · 군사법원법 · 대통령직인수법 · 모자보건법 · 방송법 · 범죄피해자 보호법 · 법원조직법(법관의 보수에 관한 법률 · 법관징계법 · 법원설치법 · 판사정원법) · 변호사법 · 사면법 · 선거관리위원회법 · 신문법 · 언론중재법 · 정당법( 정치자금법) · 정부조직법( 검사정원법 · 검찰청법 · 경찰법 · 국가정보원법 ·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 · 집시법 · 청원법 · 출입국관리법 · 통신비밀보호법 · 지방자치법(주민소환에 관한 법률) · 테러방지법 · 헌법재판소법 | |||
학자 | 유진오 · 김철수 · 계희열 · 권영성 · 허영 · 성낙인 · 정종섭 · 장영수 · 정회철 | |||
결정례 | 주요 헌재결정례 · 노무현 탄핵 심판(2004헌나1) · 박근혜 탄핵 심판(2016헌나1) · 통합진보당 해산 심판(2013헌다1) · 군가산점 제도 위헌(98헌마363) · 게리맨더링 관련 결정례 모음(95헌마224 등) | |||
사회법 社會法 |
경제법 | 공정거래법 · 기업활동 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 · 무역거래기반조성에 관한 법률 · 물가안정법 ·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 부정경쟁방지법 · 소비자기본법 · 약관법 · 유통산업발전법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 | ||
노동법 | 고용보험법 · 공무원노조법 ·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 근로기준법 ( /내용) ·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 남녀고용평등법 · 노동조합법 · 산업재해보상법 · 임금채권보장법 · 채용절차법 · 최저임금법 · 파견법 | |||
사회보장법 | 국민건강보험법 · 국민연금법 · 기초생활보장법 · 노인복지법 · 사회보장기본법 · 장애인복지법 · 장애인연금법 | |||
육법 |
행정법 |
형사법 |
민사법 |
현행 법률 [[틀:대한민국 헌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f7f5; font-size: .9em;"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 }}}}}} |
{{{#fff,#dd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조항 | <colbgcolor=#fafafa,#1c1d1f> [ruby(총강, ruby=제1장)](1~9조) · [ruby(국민의 권리와 의무, ruby=제2장)] (10~39조) · [ruby(국회, ruby=제3장)] (40~65조) · [ruby(정부, ruby=제4장)] (66~100조) · [ruby(법원, ruby=제5장)] (101~110조) · [ruby(헌법재판소, ruby=제6장)] (111~113조) · [ruby(선거관리, ruby=제7장)] (114~116조) · [ruby(지방자치, ruby=제8장)] (117~118조) · [ruby(경제, ruby=제9장)] (119~127조) · [ruby(헌법개정, ruby=제10장)] (128~130조) | ||
역사 | 홍범 14조 · 대한국 국제 · 임시헌장 · 제헌 헌법 | |||
개헌 | 1차( 발췌) · 2차( 사사오입) · 3차 · 4차 · 5차 · 6차( 3선) · 7차( 유신) · 8차 · 9차 · 10차 | |||
헌법 원리 | 민주주의원리 · 법치주의원리( 명확성 원칙 · 법률유보의 원칙 · 포괄위임금지원칙 · 신뢰보호의 원칙 · 비례의 원칙) · 사회국가원리 | |||
개별 기본권 | 인간의 존엄과 가치 · 행복추구권 · 평등권 · 자유권적 기본권( 신체의 자유 · 거주·이전의 자유 · 재산권) · 종교의 자유 ·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 개인정보자기결정권) · 기본권 제한 · 사회권적 기본권 | |||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조항 | 제1조 · 제2조 · 제84조 | |||
공법 |
행정법 |
형사법 |
민사법 |
현행 법률 [[틀:행정기본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e1fd; font-size: .9em;" |
}}}}}}}}}}}} |
[1]
헌법 전공
[2]
석사 학위 논문 :
權限爭議審判에 관한 硏究 : 憲法裁判所法의 解析論을 中心으로
[3]
헌법 전공
[4]
박사 학위 논문 :
彈劾審判에 관한 硏究
[5]
관련기사
https://m.khan.co.kr/national/court-law/article/201612252226015/amp
[6]
예컨대
임성근 법관 탄핵소추 및 심판에서 임성근에 대한 탄핵이 인용되기는 어려울 것이라 전망했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