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육·해군 항공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육군 항공대 |
단좌 전투기 | Ki-27,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 Ki-87, ◈ Ki-88, ◈ Ki-94, ◈ Ki-98, Ki-100, †ⓩ Ki-162, ◈ⓩ Ki-200 슈스이, ◈ⓩ Ki-201 카류, †ⓩ Ku-4 | |||
복좌 전투기 | Ki-45 토류, ◈ Ki-83, Ki-102, ◈Ki-93 | |||||
폭격기 습격기 |
BR.20 치코냐,
Ki-21,
Ki-30, Ki-32, Ki-48, Ki-49 돈류, Ki-51, Ki-67 히류, † Ki-91 |
|||||
자살 공격기 | Ki-115 츠루기 | |||||
훈련기 | Ki-9, Ki-6, Ki-17, Ki-55, Ki-54, Ki-79, Ki-86 | |||||
정찰기 | Ki-16, Ki-36, Ki-46 | |||||
해군 항공대 |
<colbgcolor=#2f4f2f> 함재기 |
<colbgcolor=#2f4f2f> A 함상 전투기 |
A5M, A6M 제로센, A7M 렛푸,† 20시 갑전투기,† N1K3-A 시덴 카이 二 | |||
B 함상 공격기 |
B5M, B5N, B6N 텐잔, B7A 류세이 | |||||
C 정찰기 | C3N, C5M, C6N 사이운,▼ D4Y1-C | |||||
D 함상 폭격기 |
D1A, D3A, † D3Y 묘조, D4Y 스이세이 | |||||
E 수상정찰기 | E2N, E7K, E9W, E10A, E13A, E14Y, E15K 시운, E16A 즈이운 | |||||
F 수상관측기 | F1M, F1A | |||||
G 육상공격기 | G3M, G4M, G5N 신잔, G8N 렌잔, † G10N 후가쿠 | |||||
H 비행정 | H6K, H8K, H11K 소우쿠 | |||||
※ J 국지전투기 | J1N 겟코, J2M 라이덴, †J3K 17시 국지전투기, ◈ J4M 센덴, ◈ J5N 텐라이, ◈ J6K 진푸, ◈ J7W 신덴, †ⓩ J7W2/J7W3 신덴 카이, ◈ⓩ J8M 슈스이, ◈ⓩ J9Y 킷카, ▼ N1K-J 시덴, ▼ N1K2-J 시덴 카이, ▼ N1K3-J 시덴 카이 一, ▼ N1K4-J 시덴 카이 三, ▼† A7M3-J 렛푸 카이 | |||||
K 훈련기 | K5Y, K9W 코우요, K10W, K11W 시라기쿠, ▼ A6M2-K, ▼ M6A1-K 난잔 | |||||
L 수송기 | DC-2, L2D, L3Y, L4M, ▼ H6K-L, ▼ H8K-L 세이쿠, ▼ H11K-L 소우쿠, ▼ G5N2-L 신잔 카이 | |||||
M 특수공격기 MX 특수활공기 |
MXY-7 오카, ◈(제식명 불명)N 토카, M6A 세이란, D4Y4 스이세이 | |||||
N 수상전투기 | N1K 쿄후, ▼ A6M2-N | |||||
P 폭격기 | P1Y 긴가 | |||||
Q 초계기 | Q1W 토카이, Q2M 타이요, †Q3W 난카이 | |||||
R 육상정찰기 | ◈ R2Y(세이운, 케이운), ◈ⓩ R2Y2 케이운 카이, ▼ J1N1-R | |||||
S 야간전투기 | ◈S1A 덴코, ▼ J1N-S 겟코, ▼ P1Y1-S 바야코, ▼ P1Y2-S 쿗쿄, ▼ D4Y2-S 스이세이 | |||||
<colbgcolor=#000000> 노획 항공기 |
LaGG-3-8,
I-16, 투폴레프 SB F2A 버팔로, P-40, B-17(D/E), P-51C, F4U 콜세어, F6F 헬캣, 커티스 BT-32, CW-21, DB-7, 마틴 139 호커 허리케인, 브리스톨 블렌헤임 |
|||||
독일로부터 수입한 기체 | 하인켈 72, A7He, AxHe, 하인켈 He 119, 융커스 Ju 87 슈투카, 메서슈미트 Bf 109E-7, 포케불프 Fw 190A-5, 메서슈미트 Me 210 A2, 메서슈미트 Me 410, ⓩ 메서슈미트 Me163, †ⓩ 메서슈미트 Me 262, † 포케불프 Ta 152, † 융커스 Ju 390, † V2 미사일 | |||||
글라이더, 무동력기, 미사일 | † Ki-147, † Ki-148, † MXY8 아키구사 | |||||
◈ 시제, 프로토타입 / † 페이퍼 플랜, 수입 실패 / ⓩ 제트 혹은 로켓 엔진 장착기 / ▼ 타 목적 기체를 유용함 ※ 국지전투기: 일본군이 운용했던 본토 방어 및 폭격기 요격 전용 전투기. 요격기 문서 참조. ※ 나무위키에 문서가 없거나 이 틀에 기재되지 않은 일본군의 항공병기 전체 목록은 일본 항공병기 설계안 문서 참조. ※ 연합군(특히 미국)이 대전기의 일본 항공기를 지칭할때 사용했던 코드에 대해서는 연합국 코드명 문서 참조. ※ 템플릿:일본 제국의 항공병기를 참조해 주세요. 전반적인 내용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일본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
Ki-100 |
1. 개요
제식 명칭 | 5식 전투기 ([ruby(五式戦闘機, ruby=ごしきせんとうき)]) |
제식 기호 | 키100 (キ100) / Ki-100 |
영문명 | Japanese Army Type 5 Fighter Kawasaki Ki-100 |
약 400대 가까이 생산됐지만 대전 말기여서 히엔이나 하야테 같은 별칭도 없었고, 연합국 코드명 또한 받지 못했다.
2. 제원
출처1형(Ki-100-I) | 2형(Ki-100-II) | |
운용 국가 | 일본 제국 | |
운용 집단 |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 | |
제조사 | 카와사키 항공기 공업 | |
개발 시기 | 1944년 10월 | 1945년 2월 |
초도 비행 시기 | 1945년 2월 | 1945년 5월 |
생산 시기 | 1945년 3월 | 1945년 9월 예정 |
승무원 수 | 1명 | |
전장 | 8.818 m | 8.9245m |
전폭 | 12 m | |
전고 | 3.75 m | |
주익 면적 | 20 m² | |
익면 하중 | 174.8 g/m² | 183.5 kg/m² |
자체 중량 | 2,525kg | 2,700kg |
최대 중량 | 3,495kg | 3,670kg |
엔진 | 하112II(Ha-112-II) 공랭식 엔진, 1,500마력 | 하112II루(Ha-112-IIRu) 공랭식 엔진, 1,500마력 |
프로펠러 | 페26 3엽 정속 프로펠러 | |
최대 속도 | 6,000m에서 580km/h, 마하 0.47 | 10,000m에서 590 km/h |
순항 속도 | 4,000m에서 400km/h | - |
급강하 제한 속도 | 850 km/h | |
항속 거리 | 1,400km[5] | 1,800 km |
상승률 |
5,000m까지 6분 10,000m까지 20분 |
5,000m까지 5분 40초 10,000m까지 18분 |
실용 상승 한도 | 11,500m | - |
무장 |
기수 상단에 20mm 호5(
Ho-5) 기관포 2문, 각 250발 주익 양측에 12.7mm 호103( Ho-103) 기관총 2정, 각 250발 |
|
폭장 | 250 kg 폭탄 2개 | |
생산수 | 378~398대+α[6][7] | 3대[8] |
3. 파생형
전술한 것 처럼 대전 말기에 난잡하게 생산되었기에 1형 갑과 을의 차이에 대해서는 정설이 없다.[9] 보통은 캐노피의 차이를 구분점으로 보는 게 널리 받아들여져 있다.- 키100(キ100) - Ki-100: Ki-61-II개(改)을 개조해서 만든 시제기. 3대가 만들어졌다.
- 5식 전투기 1형 갑[키100-I 갑](五式戦闘機一型甲[キ100-I 甲]) - Ki-100-Ia[10]: Ki-61-II개(改)을 개조해서 만든 첫 양산형. 약 269~275대가 생산됐다.
- 5식 전투기 1형 을[키100-I 을](五式戦闘機一型乙[キ100-I 乙]) - Ki-100-Ib: 물방울형 캐노피를 장착하고 신규로 생산한 기종. 약 118대가 생산됐다.
- 5식 전투기 2형[키100-II](五式戦闘機二型[キ100-II]) - Ki-100-II: 고고도 성능 개선을 위해 터보차저(배기 터빈)를 장착한 시제기. 3대가 만들어졌다.
- 키119(キ119) - Ki-119: Ki-100의 동체를 기반으로한 전폭기. 전황의 악화로 개발이 부진했다. 실물 크기 목업만 만들어졌다.
4. 실전
최초 시제기 비행이 1945년 2월이었다.최초의 격추를 45년 4월 7일에 당했는데 B-29를 요격하러 갔다가 방어 기총에 떨어졌다. 그리고 같은 날 히노키 요헤이 소좌가 5식 전투기로 B-29를 1기 격추했다.
소수만 생산돼서 주로 본토 방공전에만 투입되었기에[11] 다른 기체들과 달리 일본 외 국가에서의 노획과 운용 사례는 없었다.
5. 평가
일본군의 보급과 정비 사정 때문에 온갖 문제가 빈발하던 수랭식 엔진 대신 여러 면에서 검증받은 킨세이를 장착하여 정비성이 올라갔고[12] 무게 등 여러 면에서도 한층 나아졌으며 전방위 시야가 제공되는 신형 캐노피를 장착한 버젼도 생산되었다. 거기다가 최대 속도는 비록 별로 오르지 못하였지만, 3식 전투기 히엔( Ki-61)보다 신뢰성이 높고, 운동성이 높아서 히노키 요헤이 소좌 등 일선 조종사들은 머스탱과 대등하게 싸울 수 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제대로 된 정비를 받기 힘들어서 허구한 날 엔진이 깽판을 치는 히엔이나 하야테보다는 신뢰성이 있었고, 또한 하야부사보다는 한 단계 성능이 좋은 기체였기 때문이다.하지만 최대 출력이 1,500마력, 실제 전투 출력은 1,200마력 안팎 수준인 킨세이 엔진의 한계는 명확했기에, 제 성능을 내던 4식 초기 생산분을 몰아본 파일럿들은 4식보다 못하다고 평했고, 모의전을 위해 머스탱을 몰던 파일럿들 또한 머스탱과의 대등한 전투는 무리라고 평했다.
다만 전쟁 후반 막장스러운 군수능력으로 인해 일본기들이 제 성능을 내지 못한 것을 생각해 보면[13] 이 기체 역시 제대로 된 조건 하에서는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줬을 것이다.[14]
6. 대중매체
6.1. 게임
Ki-100 | Ki-100-II |
-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에서 정규트리의 일본 육군트리 102레벨에서 등장한다. 성능은 완벽한 ki-61의 하위호환 취급으로, 히엔에 비해 공격력 속도 기동 모두 후딸리기 때문에 아무도 쓰지않는 지뢰 취급이다.
- KARDS에서는 자신의 턴에 피해면역을 가진 공격력6과 방어력 4인 강력한 전투기로 나온다..만 11월28일 피와 강철 업데이트와 함께 예비세트로 이동했다
7. 둘러보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해군의 금성, 즉 킨세이 엔진
[2]
원래 수랭식 엔진을 위해 개발된 기체에 공랭식 엔진을 얹어 성능이나 평판이 확 올라간 케이스. 당장 2차대전 소련 최고의 전투기인
La-5/
7 계열도 원래는 수랭식 엔진에 맞춘
LaGG-1/3에 공랭식 엔진을 얹었더니 성능이 확 올라간 경우이다. 하지만 C.200같이 수랭식 비행기에 공랭엔진을 달아 망한 경우도 있다.
[3]
전후 살아남은 에이스들은 인터뷰에서 5식전 대신 키백이라는 뜻의 '키노햐쿠(きのひゃく)'라고 부르기도 했다.
[4]
그래도 기체형상은 잘 다듬어져 있다.
마키 C. 200 사에타와 비교해 보자.
[5]
외부 연료 탱크 사용 시 2,200 km.
[6]
시제기 3대, 갑형 중 약 269~275대가 Ki-61-II개(改)을 개조해서 만들어짐, 을형 118대
[7]
Ki-61-II개(改)를 개조해서 만들고 폭격을 많이 맞던 대전 말기에 생산되기까지 한 바람에 정확한 생산수가 알려지지 않았다. 생산수가 다 다르지만 2형 포함해서 약 400대 미만이 생산됐다고 본다.
[8]
미완성 시제기 1대 미포함.
[9]
오히려 구분조차도 안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10]
a 대신 甲을 그대로 읽어서 Ki-100-I Ko라고도 한다. 이하 을(Otsu)도 같다.
[11]
그 소수 생산된 것마저도 히엔이나 하야테보다 신뢰성이 높았기에 적극 투입되었고, 패전 당시 남는 기체가 적을 수밖에 없었다.
[12]
킨세이가 당시 일본에서 얼마나 적절한 엔진 취급이었냐 하면, 제로센 최후기형에도 이걸 달아 성능을 올려 보자는 이야기가 있었으며 해군 함폭
D4Y 스이세이는 애초에 수랭식 엔진으로 양산되었지만 엔진의 정비 문제 등으로 결국 킨세이를 장착한다.
[13]
라이덴 같은 경우 일본 자체 테스트로는 최대속력이 596kph였으나 전후 미군에서 딱히 개조 없이 소모품과 연료만 제대로 된 것을 넣었는데도 670kph가 나올 정도였다.
[14]
비슷한 크기에 엔진파워는 더 약한
G.55 첸타우로가 623kph가 나온 것을 생각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