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16:39:13

사천시

4000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사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중국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쓰촨성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15a38>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B00;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창원시 CI.svg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15a38 21%, #00ac6d 21%, #00ac6d); font-size: 1em"
]]
창원시
파일:거제시 CI.svg
거제시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
파일:밀양시 CI.svg
밀양시
파일:사천시 CI.svg
사천시
파일:양산시 CI.svg
양산시
파일:진주시 CI.svg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15a38 21%, #005baa 21%, #005baa); font-size: 1em"
]] 진주시
파일:통영시 CI.svg
통영시
}}} 자치군
파일:거창군 CI.svg
거창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고성군
파일:남해군 CI.svg
남해군
파일:산청군 CI.svg
산청군
파일:의령군 CI.svg
의령군
파일:창녕군 CI.svg
창녕군
파일:하동군 CI.svg
하동군
파일:함안군 CI.svg
함안군
파일:함양군 CI.svg
함양군
파일:합천군 CI.svg
합천군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ada6>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천읍 곤명면 곤양면 사남면
{{{#!wiki style="margin: -16px -11px" 서포면 정동면 축동면 }}}
||<width=30%><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ddd><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123b6f> 행정동 ||<-5> 법정동 ||
<colbgcolor=#00ada6> 남양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노룡동 대포동 백천동
송포동 신벽동 죽림동 }}}
동서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늑도동 대방동 동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마도동 서동 신수동 실안동 }}}
동서금동 동금동 서금동
벌용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벌리동 와룡동 용강동 }}}
선구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동림동 선구동 좌룡동 }}}
향촌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15px" 궁지동 봉남동 사등동
이금동 이홀동 향촌동 }}}
}}}}}}}}} ||
경상남도 자치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사천시 CI.svg
사천시
泗川市
Sacheon City
}}}
<colbgcolor=#00ada6><colcolor=#fff> 시청 소재지 용현면 시청로 77 (덕곡리)[1]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하위 행정구역 1 7 6
면적 398.68㎢
인구 108,595명[2]
인구밀도 272.38명/㎢[3]
시장
박동식 (초선)
시의회
9석[4]

3석[5]
도의원
2석[6]
국회의원
서천호
상징 <colbgcolor=#00ada6><colcolor=#fff> 시화 철쭉
시목 은행나무
시조 갈매기
지역번호 055-8XX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인구5. 사천읍과 삼천포의 지역 갈등6. 교통7. 경제
7.1. 금융
8. 관광9. 생활문화
9.1. 교육9.2. 문화시설9.3. 음식9.4. 의료기관9.5. 방송
10. 정치11. 군사12. 하위 행정구역13. 다른 지역과의 관계14. 여담15. 출신 인물16. 자매결연 지역
16.1. 국내16.2. 해외
17. 관련문서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 북쪽으로는 진주시, 서쪽으로는 하동군, 동쪽으로는 고성군과 접하고 있다.

사천(泗川)이란 지명은 유래상 물과 관련이 깊은 고을로, 신라 경덕왕 때의 이름이 사수(泗水)였던 점이나 그 泗水가 노나라(魯) 때 공자가 제자를 가르쳤던 곳의 강 이름과 뜻의 인연이 있다고도 한다. 북한 장진군 사수역의 사수도 한자가 泗水이기 때문에 사천시 유래도 북한 사수역의 지명 유래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사천짜장, 사천탕수육 등의 요리로 한국인에게 친숙한 중국의 사천(川) 지방과는 관련이 없다.[7] 그러나 인지도에서는 한국인들 사이에서도 중국의 사천이 더 높은 탓에 지명도에서 상당히 손해보는 도시다. 그나마 삼천포는 잘 알려져 있지만, 도시명으로가 아닌 다른 의미로 더 유명한 게 문제.[8]

2. 상징

사천시의 CI
파일:사천시 CI.svg
하늘, 바다, 육지를 원의 형태로 조화롭게 구성하여 지역특성, 시민정서, 시민화합과 희망을 표현하였으며, 안정감 속에 역동적인 느낌을 주어 시민의 높은 기상과 사천시의 무궁한 발전을 상징함
사천시의 브랜드슬로건
파일:사천시 브랜드 슬로건.svg
하늘로 : 미래 50년 신 성장 동력인 우주항공산업의 중심도시를 의미
사천시의 마스코트
파일:사천시 캐릭터 기본형.svg 파일:사천시 캐릭터 응용형_브이.svg
"또록이"는 맑고 똑똑한 아이의 뜻을 가진 말로 항공우주시대를 개척하는 선두주자가 된다는 의미이며, 미래의 최첨단 도시 이미지를 함축적으로 표현하였음
사천시의 상징물
<colbgcolor=#fff,#1c1d1f> 시목
은행나무
나무의 모형과 단풍이 곱고 활기차며, 서로 함께 자라야 결실이 이루어지는 것은 시민화합을 상징함
시화
철쭉
와룡산의 야산에 많이 자생하고 우리 시 번영을 상징 하며, 꽃말은 "사랑의 기쁨" 임
시조
갈매기
예리한 관찰력과 부지런하고 협동심이 강한 갈매기는, 한려해상 중심부에 있고, 해양관광도시로 비상하고 있는 우리 시의 진취적 기상과 시민 화합을 상징함

3. 역사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전까지는 동부지역은 사천군과 서부지역은 곤양군이라는 별개의 고을이었다.

삼국시대에는 가야의 사물국(史勿國)과 군미국(軍彌國)으로, 포상팔국의 난에 가담하기도 하는 등 나름 세력이 있었던 소국이었다. 이후 신라 법흥왕대에 신라에게 정복당해 각각 사물현(史勿縣)과 포촌현(浦村縣)이 된다.

남북국시대에는 신라 경덕왕대에 전국 지명 한화 정책에 따라 각각 사수현(泗水縣)[9]과 하읍현(河邑縣)이 된다.

고려 제8대 국왕인 현종이 어린 시절 아버지 왕욱의 유배지였던 사수현에서 지낸 인연으로, 즉위 후 1011년 사수현을 사주로 고쳐 불렀다. 하읍현은 신라 말기에 폐현된 것으로 보이며, 고려 시대에 곤명현이 설치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사천[10]현이었다가, 1895년 사천군이 되었다. 곤명현은 1419년 남해현을 편입하여 곤남군이 되었다가, 1437년 남해를 다시 분리하고 진주의 금양부곡을 편입하여 곤양군(昆陽郡)이 된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의해 사천군이 진주군 축동면과 구 곤양군 일원을 편입하였다.[11] 1895년까지 곤양은 종4품 군수가 관할하는 군이었고 사천은 종6품 현감이 관할하는 현이었는데, 이 때 사천군이 곤양군을 흡수하면서 곤양은 작은 면소재지로 쇠락해 버린다.

1918년 문선면과 수남면이 삼천포면으로 통합되었고, 1931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1956년 삼천포읍이 남양면과 합치면서 삼천포시로 승격·분리되었고[12], 사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95년 사천군과 삼천포시가 사천시로 통합되어 다시 하나가 되었다. 2007년 4월 23일 시청을 용현면으로 이전하였다. 시청 위치가 완전 농촌 허허벌판이라 접근성이 극악이다. 사천읍과 구 삼천포시의 중간 지점에 시청을 세웠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사천읍내에 있는 사천군청 청사나 삼천포 시가지 중심에 있는 삼천포시청 청사 한쪽으로 몰아서 쓰기에는 위치가 너무 한쪽으로 치우쳐서 문제가 되고, 청사를 2개 두는 것도 행정에 어려움이 있는 것은 물론 지역 갈등을 조장하는 문제가 발생한다.[13]

4. 인구

파일:사천시 CI.svg 경상남도 사천시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8,522명[1966사천시]
1970년 141,115명[1970사천시]
1975년 143,713명[1975사천시]
1980년 135,596명[1980사천시]
1985년 125,131명[1985사천시]
1990년 115,933명[1990사천시]
1995년 5월 10일 삼천포시 + 사천군사천시로 통합
1995년 113,494명
2000년 111,078명
2005년 106,851명
2010년 114,148명
2015년 115,452명
2020년 111,105명
2024년 10월 108,59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통합 당시만 해도 인구 12만대였으나 지속적인 감소로 2021년 12월부로 인구 11만이 붕괴되었다. 문제는 여타 인구감소지역에서는 인구 증대를 위해 어떻게든 발벗고 나서는 데 비해 사천에서는 항공우주청 설립만 믿고 별다른 대응을 안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구 감소 가속화…사천시 대책 마련 시급하다
읍면동 및 출장소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천읍 17,448명
사남면 17,039명
벌용동 14,966명
정동면 13,648명
용현면 7,103명
향촌동 6,679명
동서금동 6,143명
동서동 5,405명
남양동 4,895명
선구동 4,750명
서포면 3,361명
곤양면 3,154명
곤명면 2,671명
축동면 1,482명
신수출장소 234명
2024년 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

===# 읍면동 및 출장소별 인구 #===
파일:사천시 CI.svg 사천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289명
1970년 16,957명
1975년 17,855명
1980년 16,179명
1985년 15,790명
1990년 14,237명
1995년 15,344명
2000년 15,958명
2005년 16,024명
2010년 17,106명
2015년 18,660명
2020년 18,003명
2024년 2월 17,44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사천시 CI.svg 정동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513명
1970년 7,603명
1975년 7,266명
1980년 6,061명
1985년 5,250명
1990년 5,227명
1995년 7,087명
2000년 9,165명
2005년 12,094명
2010년 12,247명
2015년 11,488명
2020년 12,968명
2024년 2월 13,64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사천시 CI.svg 사남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125명
1970년 9,664명
1975년 9,246명
1980년 7,672명
1985년 6,630명
1990년 5,227명
1995년 5,314명
2000년 6,296명
2005년 6,949명
2010년 11,203명
2015년 14,572명
2020년 15,549명
2024년 2월 17,03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사천시 CI.svg 용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932명
1970년 9,890명
1975년 9,590명
1980년 8,813명
1985년 8,012명
1990년 6,925명
1995년 5,386명
2000년 4,666명
2005년 4,221명
2010년 6,105명
2015년 8,343명
2020년 7,584명
2024년 2월 7,10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사천시 CI.svg 축동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141명
1970년 6,675명
1975년 6,287명
1980년 5,416명
1985년 4,432명
1990년 3,257명
1995년 3,123명
2000년 3,252명
2005년 2,794명
2010년 2,184명
2015년 1,913명
2020년 1,615명
2024년 2월 1,48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사천시 CI.svg 곤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645명
1970년 10,538명
1975년 9,979명
1980년 7,976명
1983년 2월 15일 서포면 무고리·맥사리 → 곤양면 편입
1985년 7,806명
1990년 6,331명
1995년 5,452명
2000년 5,249명
2005년 4,420명
2010년 4,417명
2015년 3,882명
2020년 3,443명
2024년 2월 3,15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사천시 CI.svg 곤명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760명
1970년 12,252명
1975년 10,764명
1980년 8,502명
1985년 6,752명
1990년 5,119명
1995년 3,841명
2000년 3,251명
2005년 3,084명
2010년 3,387명
2015년 3,175명
2020년 2,839명
2024년 2월 2,67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사천시 CI.svg 서포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948명
1970년 13,721명
1975년 12,993명
1980년 10,274명
1983년 2월 15일 서포면 무고리·맥사리 → 곤양면 편입
1985년 7,983명
1990년 6,779명
1995년 5,381명
2000년 4,866명
2005년 4,474명
2010년 4,374명
2015년 3,893명
2020년 3,545명
2024년 2월 3,36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사천시 CI.svg 동서동 인구 추이[20]
(1966년~현재)
1961년 12월 ??일 동동 + 서동 → 동서동 조정
1966년 14,182명[1966동서동]
1969년 8월 8일 삼천포시 행정동제 실시
대방동(법정동) → 대방동(행정동)
실안동 + 마도동 → 실마동 신설
늑도동(법정동) → 늑도동(행정동)
1970년 14,722명[1970동서동]
1975년 16,005명[1975동서동]
1980년 16,039명[1980동서동]
1985년 15,536명[1985동서동]
1990년 15,636명[1990동서동]
1995년 5월 1일
동서동 + 실마동 일부 + 늑도동 + 신수동 → 동서동 합동[27]
실마동 일부 + 대방동 → 대방동 합동
1995년 12,963명[1995동서동]
1998년 9월 12일 동서동 + 대방동 → 동서동 합동
2000년 10,985명
2005년 8,312명
2010년 8,658명
2015년 7,459명
2020년 6,167명
2024년 2월 5,40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사천시 CI.svg 선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088명[1966선구동]
1969년 8월 8일 삼천포시 행정동제 실시
선구동(법정동) → 선구동(행정동)
동림동 + 좌룡동 → 동좌동 신설
1970년 10,820명[1970선구동]
1975년 12,445명[1975선구동]
1980년 12,870명[1980선구동]
1985년 11,608명[1985선구동]
1990년 10,841명[1990선구동]
1995년 10,177명[1995선구동]
1998년 9월 12일 선구동 + 동좌동 → 선구동 합동
2000년 8,605명
2005년 7,503명
2010년 7,030명
2015년 5,980명
2020년 5,155명
2024년 2월 4,75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사천시 CI.svg 동서금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년 ??월 ??일 동금동 +서금동 → 동서금동 신설
1966년 6,773명
1970년 7,832명
1975년 10,468명
1980년 11,288명
1985년 11,732명
1990년 11,951명
1995년 9,784명
2000년 8,229명
2005년 7,078명
2010년 6,460명
2015년 5,692명
2020년 6,434명
2024년 2월 6,14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사천시 CI.svg 벌용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월 ??일 용강동 + 와룡동 → 용강와룡동 신설
1966년 3,293명[1966벌용동]
1969년 8월 8일 삼천포시 행정동제 실시
벌리동 + 용강와룡동 → 벌룡동 신설
1970년 3,841명
1975년 4,740명
1980년 7,908명
1985년 8,801명
1990년 11,529명
1995년 5월 10일 벌룡동 → 벌용동 개칭
1995년 17,053명
2000년 17,888명
2005년 16,564명
2010년 16,931명
2015년 16,972명
2020년 15,438명
2024년 2월 14,96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사천시 CI.svg 향촌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085명[1966향촌동]
1969년 8월 8일 삼천포시 행정동제 실시
봉남동 + 이금동 → 봉이동 신설
이홀동 + 궁지동 + 사등동 → 이궁사동 신설
향촌동(법정동) → 향촌동(행정동)
1970년 7,291명[1970향촌동]
1975년 7,023명[1975향촌동]
1980년 7,415명[1980향촌동]
1985년 6,773명[1985향촌동]
1990년 6,354명[1990향촌동]
1995년 5월 1일
봉이동 + 이궁사동 일부[43] → 봉이동 합동
이궁사동 일부[44] + 향촌동향촌동 합동
1995년 6,251명[1995향촌동]
1998년 9월 12일 봉이동 + 향촌동향촌동 합동
2000년 6,460명
2005년 6,833명
2010년 7,450명
2015년 7,185명
2020년 6,775명
2024년 2월 6,67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사천시 CI.svg 남양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369명[1966남양동]
1969년 8월 8일 삼천포시 행정동제 실시
백천동 + 신벽동 → 백신동 신설
노룡동 + 대포동 → 노대동 신설
송포동, 죽림동(법정동) → 송포동, 죽림동(행정동)
1970년 7,931명[1970남양동]
1975년 7,688명[1975남양동]
1980년 7,870명[1980남양동]
1985년 6,990명[1985남양동]
1990년 5,671명[1990남양동]
1995년 5월 1일
송포동 + 죽림동 → 남양1동 합동
백신동 + 노대동 → 남양2동 합동
1995년 5,601명[1995남양동]
1998년 9월 12일 남양1동 + 남양2동 → 남양동 합동
2000년 5,568명
2005년 5,895명
2010년 6,209명
2015년 5,905명
2020년 5,322명
2024년 2월 4,89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사천시 CI.svg 신수출장소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16명
1969년 8월 8일 삼천포시 행정동제 실시
신수동(법정동) → 신수동(행정동)
1970년 1,378명
1975년 1,332명
1980년 1,313명
1985년 1,026명
1990년 849명
1995년 5월 1일 신수동(행정동) 폐지 및 동서동 편입
삼천포시 신수동 → 삼천포시 신수출장소 전환
1995년 5월 10일 삼천포시 + 사천군 통합
삼천포시 신수출장소 → 사천시 신수출장소 조정
1995년 737명
2000년 640명
2005년 556명
2010년 387명
2015년 333명
2020년 268명
2024년 2월 23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천 명

5. 사천읍과 삼천포의 지역 갈등

사살상 경상남도판 성남 본시가지 vs 분당신도시로 봐도 될 정도로 구 사천군 지역과 삼천포시 지역간의 갈등이 심각하다.

참고로 삼천포는 일제강점기 시절인 1931년에 읍으로 승격했으며, 사천읍은 삼천포가 시로 승격된 1956년에야 읍으로 승격된다.

실제 사천 출신과 삼천포 출신에게 사는 곳을 물어보면 각각 사천, 삼천포라 대답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삼천포 출신은 사천 사람이냐고 물어보면 묘하게 좋아하지 않는 편.

행정구역상 같지만 실제론 두 지역간 거리가 제법 멀기도 하고[53] 시가지가 따로 떨어져있을 뿐더러 교류도 많지 않다. 사천읍에선 삼천포보단 바로 옆 진주시가 거리상 더 가깝고 교통도 더 좋으며 심지어 택시비도 더 적게 나오기 때문에 삼천포를 찾을 일이 별로 없고 삼천포 역시 자기네보다 도시규모가 작은 사천읍을 들러야 할 일이 잘 없기에 서로 다른 지역으로 인식하는 편이다.

1995년 통합 당시에도 통합을 하냐마냐, 시명을 무엇으로 하냐를 놓고 대립이 극심했으며, 시청 자리를 어디다 놓느냐로 논란이 많았는데, 결국 사천읍과 삼천포의 중간 지역에 시청을 세우기로 하는 것으로 일단락지었다. 문제는...

파일:사천시청(2010년).jpg
2010년 무렵의 사천시청

위와 같은 지역안배 논리 때문에 허허벌판 한가운데 사천시청이 생겼다. 사천시청이 있는 곳은 용현으로, 덕분에 사천시청면 지역에 위치한 유일한 기초자치단체 청사 타이틀을 갖고있다.[54][55]

파일:sacheoncityhall2017.jpg
2020년대 기준, 사천시청 앞 공원 조성 및 도로 연결이 되고 주변에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사천시법원, 지적공사, 체육센터 등이 들어섰고, 아파트 단지와 식당들도 생기면서 예전보다는 그나마 모습을 갖춰가고 있다. 최근 모습.근처에 초등학교만 있어서 중·고등학생들은 통학에 어려움을 겪는 등 부족한 부분도 여전히 많다 물론 기존의 사천군민과 삼천포시민들의 불편함은 그대로다 사실 사천의 교통 결절점은 사천읍이니 곤양, 곤명, 서포 쪽 주민들을 위해서는 사천읍이 더 타당했을지도 모른다. 그나마 현재는 사천대교(사진에 보이는 다리)가 개통되어 곤양, 곤명, 서포에서도 사천읍을 거치지 않고 용현면을 올 수 있지만 사천대교가 없었다면 곤양 쪽에서 삼천포가 아닌 용현면 갈 때도 사천읍을 거쳐야 한다. 삼천포는 사천시 동남쪽 맨 끝이다.

사천시청을 새로 지으면서 예전에 쓰던 구 사천군청은 사천읍행정복지센터 및 주민복지를 위한 행정복지센터 보건소, 평생학습센터로, 구 삼천포시청은 사천시청소년수련관으로 리모델링하여 사용하고 있다.

2011년 5월엔 구 삼천포 시내에 '삼천포 사랑', '잊지마라 삼천포시'라며 낙서를 하고 다닌 50대가 붙잡히기도 했다. 빗나간 애향심.

사천과 삼천포 통합 문제는 2013년 tvN에서 방영했던 응답하라 1994 10화에 나오기도 했다. 삼천포에서 태어난 삼천포(응답하라 1994)가 친구들을 데리고 고향에 놀러 갔지만 통합 문제로 데모에 참가하게 되고 사천시의 의견과 삼천포시의 의견을 존중하니 칠천포로 명칭을 짓자는 황당한 답변을 내놓기도 했다. 여담으로 여기에서 이름을 따온 '칠천포'라는 시민단체가 사천시에 존재한다(...)

6.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천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경제

농업·수산업·공업이 주요 산업이다. 삼천포의 경우 어항 기능이 굉장히 오래 된 도시로 1956년에 시로 승격했을 만큼 연근해 수산업이 번성했던 곳이다. 특히 쥐치의 가공업이 유명했으나 쥐치는 삼천포화력발전소가 건설되면서 씨가 마른 지 몇십 년 됐고 쥐포 공장도 가동을 멈춘 지 오래됐다.

현재 사천시의 경제를 지탱하는 산업은 항공 관련 제조업이다. 국내 유일의 완성 항공기와 우주선 제조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의 본사와 우주탐사 R&D센터, 공장이 위치해 있으며 항공국가산업단지가 조성 중인데다 우주항공청이 들어서는 국내 항공우주 산업의 메카이다. 프랑스의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공장도 사천공장으로 이전될 예정이다 한다. # 국내 항공산업이 부울경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국가산업단지로는 여기가 유일하기 때문에 전국적으로도 경쟁력이 있다. 항공우주기술은 4차 산업혁명과도 관련이 있어 관련 기업들이 대거 유치될 예정이다.

경상국립대학교의 산학협동지원단지가 용현면에 위치하고 있다. 경상국립대와 협정을 맺은 여러 기업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브리티쉬 아메리칸 토바코의 공장이 사남면 유천리에 있다. 여기서 던힐 담배가 생산 중이다. 방지리에는 스카니아 출하센터가 있다.

많이 알려져 있는 것 같지는 않지만 농산물은 등이 특산물이다.

7.1. 금융

사천시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사천우체국 (11)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4)
시중은행
우리은행 (1) 국민은행 (1)
지방은행
경남은행 (3)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삼천포농협 (5) 사천축산농협 (6) 사천농협 (6) 정동농협 (2)
용현농협 (1) 사남농협 (2) 서포농협 (1) 곤명농협 (2)
수산업협동조합
삼천포수협 (4) 사천수협 (4) 근해유망수협 (1)
새마을금고
사천새마을금고 (1) 사남새마을금고 (1) 삼천포새마을금고 (2) 노산새마을금고 (2)
한국항공우주산업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남해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사천시산림조합 (1)

8. 관광

명승고적으로 다솔사(多率寺)[59]·선진리성(船進里城)[60]과 함께 한려 해상공원에 딸린 섬들이 있다.

2004년부터 사천공항에 위치한 공군 제3훈련비행단에서 경남사천항공우주엑스포를 개최하고 있다. 다만 오산 에어파워데이 및 서울에어쇼 급의 행사를 기대하고 갔다가는 십중팔구 실망할 것이다. 소도시 지역 행사니 어련히 감안하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부 지방에서 서울까지 에어쇼 보러가는 것이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닌지라 대체재로서의 인기가 엄청나다. 축제 기간만 되면 행사장과 인접한 3번국도가 꽉 막힌다. 앞에서 언급한 KAI 산하 항공우주박물관도 연관된 관광지.

매년 말에 정동면에서 현종대왕제라는 축제를 행한다. 원래는 아버지 왕욱과 아들 왕순의 부자상봉제였으나 명칭이 2020년 기준으로 현종대왕제로 바뀌었다.

삼천포 대교 옆에 사천바다케이블카가 있다. 또한 아라마루 아쿠아리움도 시내에 있다.

삼천포 대교 밑에는 대방진이 있다. 대교 밑으로 가면 군영숲이 있고, 대방진 안쪽으로 가면, 대방진 굴항이 있는데, 이곳은 이순신 장군이 거북선과 같은 선박을 숨겨둔 곳이라고 한다.

9. 생활문화

9.1. 교육

파일:사천시 CI_White.svg 경상남도 사천시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곤명초등학교 곤양초등학교 남양초등학교 노산초등학교 대방초등학교
대성초등학교 동성초등학교 문선초등학교 사남초등학교 사천초등학교
삼성초등학교 삼천포초등학교 삼천포초등학교신수도분교장 서포초등학교 수양초등학교
용산초등학교 용현초등학교 정동초등학교 축동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사천시 CI_White.svg 경상남도 사천시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곤명중학교 곤양중학교 남양중학교 사천여자중학교
사천중학교 삼천포여자중학교 삼천포제일중학교 삼천포중앙여자중학교
삼천포중학교 서포중학교 용남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사천시 CI_White.svg 경상남도 사천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남자영고등학교 곤양고등학교 사천고등학교
사천여자고등학교 삼천포고등학교 삼천포공업고등학교
삼천포여자고등학교 삼천포중앙고등학교 용남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KAI와 항공조선계열 마이스터고등학교인 삼천포공업고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공군정비 부사관 양성학교인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를 제외하면 항공 계열 마이스터고는 삼천포공업고등학교가 유일. 대학교는 한국폴리텍대학 항공캠퍼스가 있다.

삼천포 지역은 제일중학교, 중앙여자중학교, 중앙고등학교를 제외하고는 다 사립이었다. 한때는 삼천포 지역의 모든 사립학교의 재단이 같았다. 삼천포고등학교, 삼천포중학교, 삼천포여자중학교, 백진학원 등 하지망 재단의 자금난으로 인해 삼천포여자고등학교를 은혜교육학원에 매각하며 더 이상 그렇지 않게 되었다. 삼천포여자고등학교가 의외로 이름이 알려져 있는 편인데, 그 이유는 여자농구 출신들을 많이 배출했고, 항상 우승권이기 때문에 언론노출도 잦은 편이었다.

사천 지역은 용남중학교, 용남고등학교, 사남초등학교, 사천초등학교, 동성초등학교, 삼성초등학교, 사천중학교, 사천여자중학교, 사천고등학교, 곤양고등학교, 사천여자고등학교, 경남자영고등학교 등이 있다.

9.2. 문화시설

사천시의 문화기능은 같은 경남권인 진주시에 상당 부분을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 구 사천군 지역에서는 삼천포보다 진주가 더 가까운 영향도 있다. 심지어 교통비(버스, 택시)도 진주방향이 더 싸다!

통합 전까지만 해도 삼천포시에 2개, 사천읍에 2개가 있던 영화극장이 진주시에 멀티플렉스가 들어서면서 문을 닫았다. 그래서 시청에서 정부 지원을 받아 사천읍 구 선관위 건물에 작은영화관을 지을 계획이었는데, 뜬금없이 2015년 6월에 민간사업자가 영화관을 짓겠다고 건축허가를 냈고, 결국 3달 후인 9월 15일 메가박스 사천이 개관했다. # 당연히 작은영화관 설립 계획은 취소. 5년간의 브랜드 계약을 마치고 2020년 9월 15일부터는 롯데시네마 사천으로 간판을 바꿨다. 하지만 주말에도 좌석이 10석 미만으로 찰 정도로 인기가 없다고 한다.

그리고 2017년 7월 20일 신화랜드에서 만든 아르떼리조트 안에 메가박스 삼천포점이 개관했다. 3개관 규모로 좌석은 총 90석이다. 국내 최초로 리조트 내에 입점했고 바다가 보이는 영화관이다. 단, 좌석은 모두 커플석. 솔로 지못미

9.3. 음식

육전을 얹어주는 진주냉면이 유명하다. 대표적인 맛집으로는 하주옥(구 하연옥), 사천냉면과 재건냉면[61] 특히나 재건냉면은 건물규모에서 우위를 차지한다. 하주옥과 재건냉면은 서부경남 지역에서 냉면 먹으러 오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1시간 이상 기다리는 것을 당연시 할 정도라고 한다. 다만 하주옥은 사천사람은 안간다. 진주밀면, 부산밀면 등과 함께 육전냉면(혹은 진주냉면)은 부산경남지역 면요리 중 으뜸이라고. 진주냉면도 있었지만 2010년대 중반에 폐업했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사천 풋 마늘(Sacheon Green Garlic)이 등록되어 있다.

바닷가 지역답게 각종 해산물도 풍부한 지역인데, 특히 사천은 전어잡이가 유명하다. 삼천포 항에서는 전어 축제가 열릴 정도. 실제로 수산시장 또한 위치해있다. 그 외 풍부한 해산물을 바탕으로 한 실비집도 제법 유명하다. 소주값만 받고 안주는 해산물이 많음에도 공짜인데, 문젠 술값이 비싸다. 소주 한병에 만원정도. 세상에 공짜는 없단다 가격은 인당 3~4만원 정도. 술값은 별도이다. 하지만 수요는 있는건지, 옆동네 진주 사람들도 회랑 장어 먹으러 종종 온다고 한다. 참고로 진주에서도 실비집은 있는데, 거리가 서로 가깝기 때문에 여러가지로 닮은 구석이 많다.

다만 위와 다르게 타지 이주해온 사람들은 사천에 딱히 유명한 음식은 없다고 체감하는 편이다. 물론 현지 토박이들은 전어와 해산물을 극찬한다.

프랜차이즈는 2023년 기준으로 사천읍내 시외버스터미널 지역 중심으로 맥도날드, 스타벅스, 롯데리아, 버거킹,(2023년 폐점 삼천포점은 운영중) 탐앤탐스(2022년 페점), 카페베네(2021년 페점), 쥬시 등이 영업 중이다. 이 외에도 투썸플레이스, 카페 띠아모 등 각종 패스트푸드와 커피숍들이 많이 있다. 구 삼천포시는 삼천포 공설운동장을 중심으로 스타벅스, 공차, 버거킹 등이 있고 각종 체인점들도 점점 들어오는 추세다. 또 사천愛특산물 을 중심으로 팔고있는 깐깐한 농부 참다래 젤리, 감젤리가 유명하고 사천 바다 케이블카 기프트 샵을 중심으로 남양 만남의 광장, 사천 만남의 광장 데이 앤 데이, 백천사 건어물, 사천시 내 농협 등 많은 곳에서 3천원 할인 가격인 1만 3천원에 판매되고 있는 중이다. 참다래 ,감젤리 류동열 대표도 서경방송 활력기업 이나 여러 라디오에 나온 기록이 있다

9.4. 의료기관

종합병원은 없다. 병원급으로 삼천포제일병원(223병상)과 삼천포서울병원(449병상)이 가장 큰 병원이다. 과거 사천중앙병원도 있었으나 현재는 요양병원으로 변경되었다. 진주가 가까워 진주시내 종합병원, 아니면 경상대학교병원으로 많이 가는 편이다.

9.5. 방송

삼천포 지역에서 라디오 방송을 들을 때 진주 방송보다는 여수, 순천 방송이 더 잘 잡힌다. 진주에서 송출하는 전파가 와룡산 때문에 막히기 때문이다. 단, 진주MBC는 하동 금오산에 송신소가 있기 때문에 잘 잡힌다. 이 때문에 삼천포 지역 택시기사들이 순천 방송을 듣기도 한다.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천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군사

공군의 도시라고 불려도 손색이 없을 만큼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다. 대한민국 공군 제3훈련비행단, 제52시험평가전대, 공군방공관제사령부 예하 제34방공관제전대,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제1미사일방어여단 예하 방공포대가 사천공항에 주둔하고 있다. 제3훈련비행단은 현재 공군의 비행교육과정 중 중추적인 역할인 중등비행과정과 공중기동기( 수송기) 고등비행과정을 담당하고 있다. 덕분에 카카오맵 등에서 사천읍내를 보면 읍내 서쪽이 울창한 숲으로 뒤덮여 있다. 그 외 군부대는 아니지만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있다 보니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육군은 제201신속대응여단 예하부대와[62] 예비군관리대대가 위치하고 있다.

군 비행장이 있다보니 훈련기 날아다니는 소리가 허구한날 들려 주민들의 불평을 자아내기도 한다. 근데 사천기지서 운용하는 KT-1은 프로펠러 비행기라서 상당히 조용한 기체라 기지 안에서도 별로 시끄럽다는 느낌은 없다. 오히려 근처에서 배달 다니는 개조한 오토바이의 소리[63]가 더 시끄럽다는 이야기도 있다. 물론 같이 주둔하는 52전대가 T-50 계열을 사용하고 기지 바로 옆에는 KAI에서 KF-21 보라매 비행시험 등등이 있으니 비행기 소음이 없지는 않겠지만... 2000년대 초반까지 운용했던 BAE 호크나 T-37 같은 기종들은 좀 시끄럽기는 하지만 10년도 더 지난 이야기다.

12.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천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다른 지역과의 관계

1995년 사천군과 삼천포시의 통합 이후에도 다른 지역과의 통합 논의가 종종 나오는 지역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한때 사천 내에선 거리도 비교적 가깝고 생활권도 겹친 부분이 있으니 진주시와 통합하자는 의견도 많았는데, 애초에 삼천포 지역 사람들은 또 통합이냐며 반대했다 구 사천군 지역 사람들도 처음엔 뒤숭숭하다가 사천에 조선소가 들어오고 KAI가 사남면 유천리로 본사를 이전해오자 진주시와의 통합을 반대하는 분위기가 되었다.

한편, 19대 국회를 이끌었던 정의화 전 국회의장은 이곳과 여수, 광양, 순천, 남해, 하동을 엮어서 일명 ' 섬진강시'를 만들자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 # 물론 사천시 입장에서는 어이가 안드로메다로 가는 통합안이라 찬반논쟁도 없이 그냥 흐지부지되었다.

2000년 초에는 남해군과 지역갈등을 겪기도 했다. 이유는 삼천포와 남해군 창선면을 잇는 대교를[64] 삼천포대교로 할 것인가, 창선연륙교로 할 것인가 때문이었는데 결론은 천안아산역처럼 삼천포와 창선을 둘 다 쓰는 걸로 마무리되어 창선삼천포대교가 되었다. 경남일보나 부산일보 기사, 한국어 위키백과 표제어 등에서 창선·삼천포대교로 표기되었으며 심지어 사천시청 블로그에서도 창선·삼천포대교로 지칭하였다. #

14. 여담

2022년에 3x3 농구 세계대회인 FIBA 3x3 Challenger Sacheon을 삼천포대교공원에서 개최했다.

2016년 경남 사천의 한 공군 부대에 자영업자가 빵집을 열었다. 개업 일주일만에 손님이 끊겼는데, 군부대는 병사들이 제과점에 들어갈 수 없도록 제약을 걸었다. 이유는 황당했다. 빵집 근처에 간부 관사가 있는데 병사들이 몰리니까 소란스럽고, 간부 가족들이 매장에서 음식 먹을 자리도 좁아지기 때문이라고 공문에서도 밝혔다. 손님이 끊겨 막대한 손해를 본 빵집 측에서 간부들에게 항의를 했는지 현재는 철회된 것으로 보인다.

15. 출신 인물

* 박상길 (1964)사천신문 창간 및 대표이사, 회장

16. 자매결연 지역

16.1. 국내

16.2. 해외

17. 관련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특이하게도 면 지역에 시청이 있다. [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3] 2024년 10월 기준. [4] 사천시 가선거구 (사천읍, 정동면): 김민규
사천시 나선거구(사남면, 용현면): 강명수, 구정화
사천시 다선거구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김규헌, 진배근
사천시 라선거구 (동서동, 선구동, 동서금동, 남양동): 윤형근
사천시 마선거구 (벌용동, 향촌동): 박정웅, 전재석
사천시 비례대표: 임봉남
[5] 사천시 가선거구 (사천읍, 정동면): 박병준
사천시 라선거구 (동서동, 선구동, 동서금동, 남양동): 최동환
사천시 비례대표: 정서연
[6] 사천시 제1선거구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임철규 (초선)
사천시 제2선거구 (동서동, 선구동, 동서금동, 벌용동, 향촌동, 남양동): 김현철 (재선)
[7] 사실 사천짜장이나 사천탕수육도 한국에서 만든 요리지 정작 쓰촨성에는 존재하지도 않는다. 마파두부 마라탕 등 진짜 쓰촨 요리들도 인지도가 생겼다. [8] 당연하지만 주민들은 잘 나가다가 삼천포로 빠진다라는 말을 좋아하지 않는다. SBS의 인기 드라마 시크릿 가든 방영 당시 "왜 자꾸 삼천포로 빠져?"라는 대사가 나왔다가 사천시 측의 항의로 제작진이 공식적으로 사과한 바 있다. # [9] 음차(勿, 물)를 훈차(水, 물 수)로 바꾼 것. 즉, 다른 이름으로 바꾼 것이 아니라 그냥 한자식으로 다듬은 것이다. [10] 행정구역상 주(州)가 아닌 곳은 천(川)으로 글자가 바뀌었다. 사천 외에도 인천, 포천, 영천 등이 그러한 예이다. [11] 구 곤양군 중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만 해당, 금양면, 서면은 하동군에 편입되어 현재의 금남면, 금성면(금남면에서 다시 분리), 진교면이 되었다. [12] 지금 규모나 인지도에 비해 시 승격은 꽤 빨리 이뤄졌다. 충주시랑 승격 동기이고, 제주시, 강릉시, 원주시, 경주시, 통영시, 구 진해시와는 1년밖에 차이가 안 나며, 울산광역시, 천안시보다도 시 승격이 빠르다. [13] 실제로 여수시 삼여통합 이후 20년 넘도록 통합청사를 못 만들고 청사 3개를 유지하고 있는 탓에 매년 공무원들의 이동시간 낭비 및 헛걸음하는 시민들의 불편과 더불어 지역 간 아귀다툼의 근원이 되고 있다. # [1966사천시] 삼천포시 53,144명 + 사천군 95,378명 [1970사천시] 삼천포시 53,815명 + 사천군 87,300명 [1975사천시] 삼천포시 59,716명 + 사천군 83,997명 [1980사천시] 삼천포시 64,703명 + 사천군 70,893명 [1985사천시] 삼천포시 62,466명 + 사천군 62,665명 [1990사천시] 삼천포시 62,831명 + 사천군 53,102명 [20] 법정동 신수동은 행정동상 동서동에 속하지만 시 직할 출장소로 따로 집계되기에 제외함. [1966동서동] 동서동 8,373명 + 대방동 1,683명 + 실안동 2,060명 + 마도동 645명 + 늑도동 1,421명 [1970동서동] 동서동 9,290명 + 대방동 1,911명 + 실마동 2,211명 + 늑도동 1,310명 [1975동서동] 동서동 10,376명 + 대방동 2,285명 + 실마동 2,096명 + 늑도동 1,248명 [1980동서동] 동서동 10,654명 + 대방동 2,391명 + 실마동 1,960명 + 늑도동 1,034명 [1985동서동] 동서동 10,609명 + 대방동 2,453명 + 실마동 1,682명 + 늑도동 792명 [1990동서동] 동서동 10,933명 + 대방동 2,673명 + 실마동 1,366명 + 늑도동 664명 [27] 단 신수동은 행정동상으로만 폐지되었을 뿐 곧바로 삼천포시 신수출장소로 승계되어 실질적으로는 합동되지 않음(아래의 신수출장소 인구는 제외됨) [1995동서동] 동서동 9,665명 + 대방동 3,298명 [1966선구동] 선구동 8,854명 + 동림동 1,539명 + 좌룡동 695명 [1970선구동] 선구동 8,649명 + 동좌동 2,171명 [1975선구동] 선구동 10,238명 + 동좌동 2,207명 [1980선구동] 선구동 10,383명 + 동좌동 2,487명 [1985선구동] 선구동 9,302명 + 동좌동 2,306명 [1990선구동] 선구동 8,592명 + 동좌동 2,249명 [1995선구동] 선구동 7,065명 + 동좌동 3,112명 [1966벌용동] 벌리동 1,622명 + 용강와룡동 1,671명 [1966향촌동] 봉남동 1,516명 + 이금동 937명 + 이홀동 999명 + 궁지동 921명 + 사등동 694명 + 향촌동 3,018명 [1970향촌동] 봉이동 2,201명 + 이궁사동 2,214명 + 향촌동 2,876명 [1975향촌동] 봉이동 2,005명 + 이궁사동 1,978명 + 향촌동 3,040명 [1980향촌동] 봉이동 1,945명 + 이궁사동 2,008명 + 향촌동 3,462명 [1985향촌동] 봉이동 1,835명 + 이궁사동 1,730명 + 향촌동 3,208명 [1990향촌동] 봉이동 1,365명 + 이궁사동 1,402명 + 향촌동 3,587명 [43] 이홀동, 궁지동 [44] 사등동 [1995향촌동] 봉이동 2,051명 + 향촌동 4,200명 [1966남양동] 송포동 2,570명 + 백천동 499명 + 신벽동 878명 + 대포동 1,080명 + 노룡동 1,078명 + 죽림동 2,264명 [1970남양동] 백신동 1,238명 + 노대동 1,993명 + 송포동 2,605명 + 죽림동 2,095명 [1975남양동] 백신동 1,142명 + 노대동 1,944명 + 송포동 2,595명 + 죽림동 2,007명 [1980남양동] 백신동 1,046명 + 노대동 1,996명 + 송포동 2,734명 + 죽림동 2,094명 [1985남양동] 백신동 914명 + 노대동 1,549명 + 송포동 2,510명 + 죽림동 2,017명 [1990남양동] 백신동 733명 + 노대동 1,250명 + 송포동 2,087명 + 죽림동 1,601명 [1995남양동] 남양2동 1,861명 + 남양1동 3,740명 [53] 사천읍과 삼천포 사이 거리는 대충 직선으로 그어도 17km 정도 나온다. 그래서 버스 타고 올때 표 잘못 끊으면 상당히 난감해진다. [54] 시청 소재지이면서 동이 아닌 사례로 보면 유일한 사례는 아니다. 경기도 화성시의 시청이 남양읍에 있기 때문. 다만 저쪽은 시청이 들어오면서 동으로 승격이 됐다가 인구, 농촌 혜택 등의 문제로 주민들이 먼저 나서서 읍 전환을 요구함으로써 저렇게 됐다는 차이점이 있다. [55] 군 지역의 경우 군청 소재지는 인구수에 관계없이 읍으로 승격 가능하다. 그러나 시는 그런 조항이 없으므로 용현면이 읍으로 승격하려면 일반적인 승격 조건인 인구 수 2만 이상을 달성해야 한다. 그러나 시청이 들어섰음에도 용현면의 인구는 여전히 7천명 남짓한 수준이라 읍 승격 가능성은 요원하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59] 근처에 다솔사역이 있었다. [60] 임진왜란 왜군이 쌓은 왜성(倭城)이다. 특히 정유재란 당시에 시마즈 요시히로 등이 주둔하고 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0년대인 지금은 단골 소풍 장소로 쓰이며 벚꽃이 유명하다. 그리고 천수각 터에는 공군 위령비가 세워져 있다. [61] 다만 현재 재건냉면은 호불호가 엄청 갈린다. [62] 205특공여단 부지에 위치하고 있음. [63] 소리가 매우 크게 나게끔 불법으로 개조한 오토바이들을 종종 볼 수 있다. [64] 정확히는 5개의 교량(삼천포대교, 초양대교, 늑도대교, 창선대교, 단항교)으로 구성된 삼천포-창선 연도교 전체를 의미한다. [65] 지역구: 서울특별시 동작구 갑 [66] 당시 지역구는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였다. [67] 지역구: 서울특별시 관악구 을 [68] 원래 삼천포시가 먼저 자매결연지역을 맺었으나 1995년 통합 사천시 출범된 이후, 2001년 계승하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