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편성번호 · 열차번호고속 · 열차번호일반 · 열차번호광역 · 열차번호화물 · 차량번호 · 차량번호여섯 자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전동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고속열차 |
<colbgcolor=#fff,#1c1d1f> |
간선열차 | ||
관광열차 | 200000호대(8호기 한정) | |
광역전철 | ||
도입 예정 |
[[KTX(차량) #s-5|{{{#ffffff EMU-370}}}]]
연구중 |
|
개번 전 차량번호 |
2030호대(1993~2011) |
|
전량 퇴역 |
1000호대( 상세)(1974~2020) · 초저항(1974~2014) |
|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디젤동차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고속열차 |
<colbgcolor=#fff,#1c1d1f> |
간선열차 | ||
관광열차 | ||
광역전철 | ||
도입 예정 | ||
개번 전 차량번호 | 2030호대/현황 | |
전량 퇴역 | 1000호대/현황 | |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현황 보기 · 디젤동차 현황 보기 | ||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 |
상위 문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위키백과의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항목의 구분법을 따른다.
1. 1세대
1.1. 1차분 (1974)
- 1x01편성~1x14편성 (6량 14개 편성)
- 1x29편성~1x35편성 (6량 7개 편성)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첫 개통을 대비하여, 일본에서 6량 21개 편성을 직수입하였다. 수입된 제작사는 아래와 같다.
니혼샤료 : 39량 (1001~1701, 1002~1702, 1003~1703, 1004~1704, 1005, 1205, 1305, 1029, 1129, 1030, 1130호)
가와사키중공업 : 39량 (1105, 1405~1705, 1006~1706, 1007~1707, 1008~1708, 1009~1509, 1031, 1131, 1032, 1132, 1033호)
도큐차량제작소 : 24량 (1112, 1412~1712, 1013~1713, 1014~1714, 1134, 1035, 1135호)
긴키차량제작소 : 24량 (1109, 1609, 1709, 1010~1710, 1011~1711, 1012, 1212, 1312, 1133, 1034호)
1차분 차량의 특징은 출입문 안쪽에 연두색으로 페인트칠이 칠해져 있는 것인데, 이후의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점이었다.
1x02편성의 경우 휘경역 추돌사고로 인해 1002, 1202가 폐차되고 1002, 1102호는 1979년산을 이용하고 1202호의 경우 1986년에 신조 제작하였다. 대신 당시 1006호가 1114호로 바뀌었는데 당시 1042호가 폐차되어서 그렇게 된 것이다.
- 1x01편성~1x14편성은 1998년~1999년에 전량 폐차 후 신형차량 3차분으로 대체되었다.[1]
- 1x29편성~1x35편성은 1998년~1999년에 전량 폐차 후 신형차량 7차분으로 대체되었다.
1.2. 2차분 (1976~1979)
- 1x15편성~1x28편성 (6량 14개 편성)
- 1x36편성~1x41편성 (6량 6개 편성)
1976년 대우중공업에서 일본 측과의 기술 제휴로 국내 조립에 성공하여 1979년까지 6량 20개 편성이 추가 도입되었다.
- 1x15편성~1x28편성은 2001년~2004년에 전량 폐차 후 신형차량 4차분과 신형차량 5차분으로 대체되었다.
- 1x36편성~1x40편성은 2002년~2003년에 전량 폐차 후 신형차량 7차분으로 대체되었다.
- 1x41편성은 2004년에 폐차 후 신형차량 9차분으로 대체되었다.[2]
1979년 기준으로 총 6량 41개 편성이 재적되었다.
1.3. 3차분 (1980~1981)
- 1x29편성~1x40편성 (6량 → 8량 증차)
국철 구간의 이용객 폭증으로 증결을 위해 현대정공과 대우중공업을 통해 동력 부수 객차 68량이 도입되었다.
- 1x29편성~1x35편성의 부수 객차는 2005년~2006년에 전량 폐차 후 신형차량 7차분으로 대체되었다.
- 1x36편성~1x40편성의 부수 객차는 2005년~2006년에 전량 폐차 후 신형차량 7차분으로 대체되었다.
1981년 기준으로 재적된 편성이다.
1x01편성~1x39편성 | 8량 |
1x40편성 | 4량[3] |
남는 TC 4량은 1986년까지 구로차량사업소에서 장기간 휴차 되었다.[4]
1.4. 4차분 (1984~1986)
- 1x01편성~1x35편성 (8량 → 10량 증차)
8량으로도 한계에 봉착하자, 전국 지하철 최초로 10량화가 되면서 도입되었다.
1984년 7월~8월 | 대우중공업 | 1x01편성~1x15편성의 무동력차 30량 |
1984년 12월 | 현대정공 | 1x16편성의 무동력차 2량 |
1985년 6월, 12월[5] | 현대정공 | 1x17편성~1x35편성의 무동력차 38량 |
1986년 1월, 9월[6] | 대우중공업 | 1202호 동력차 + 1x40편성~1x41편성의 동력차 6량 + 1x36편성~1x38편성의 무동력차 6량 |
1986년 기준으로 재적된 편성이다.
1x01편성~1x38편성 | 10량 |
1x39편성~1x40편성 | 8량 |
1x41편성 | 4량[7] |
2000년대 중반 대부분의 저항차량들에 혼재되어있던 차량들이며, 대다수의 차량이 2005년~2006년에 운행을 중지하고 2010년까지 병점차량사업소에 장기간 유치되어 있다가 폐차/매각되었다. 단, 일부 차량[8]은 2009년 내구연한 연장심사를 통과하고 2014년까지 운행하였다.[9]
[1]
유일하게 1001호가 의왕
철도박물관에 보존되었다.
[2]
1x41편성 대체분이 2012년에 만들어진 이유는 선두칸을 제외한 부수 객차가 1986, 1989년식이기 때문에 1986년산 부수 객차가 2013년 1월에 운행 중단 되었기 때문이다. 한동안은 1x47편성의 8, 9번째칸으로 운용하였다. 최초의 국내조립 전동차인 1115, 1315호가 의왕
철도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대다수는 대전정비창/수색에서 고철 분해 되었다.
[3]
당시 용산 ~ 성북 구간 운행
[4]
당시 차호 1121,1123,1124,1126
[5]
1x17편성~1x30편성 : 6월 / 1x31~1x35편성 : 12월
[6]
1202호 : 1월 / 1x40편성~1x41편성 : 1월 / 1x36~1x38편성 : 9월
[7]
당시 용산 ~ 성북 구간 → 안산선 구간 운행 변경
[8]
2006년에 내장재개조가 이루어진 차량
[9]
1x55편성에 편입된 1836,193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