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10:43:27

포항고속버스터미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남구 상도동에 위치한 시외버스 터미널에 대한 내용은 포항터미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71b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산시 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문경시
경산 · 대구대 · 진량 · 갈지리 · 남산 · 용성 · 곡란 · 중앙병원 · 남천 · 영남대 · 자인 · 하양 경주고속 · 경주시외 · 불국사· 안강동부 · 안강 ·풍산금속 · 안강휴게소 · 입실 구미 · 공단 · 낙동강구미휴게소 · 선산 · 선산휴게소 · 장천 · 주공 김천 · 김천구미역(하차) · 부곡 문경 · 가은아자개 · 농암 · 점촌북부 · 점촌 · 마성 · 산양
상주시 안동시 영주시 영천시 포항시
상주 · 경북대상주 · 낙서 · 낙동 · 함창 · 화령 · 내서 · 평온 · 양정 · 청리 · 옥산 · 은척 · 성주봉 안동 · 임동 · 일직 · 안기 · 안동대 · 경북도청 · 옹천 · 용상 · 태화오거리 · 안동병원 · 안동초교 · 과학대 영주 · 풍기IC · 꽃동산(하차) · 장수(하차) 영천 · 삼창 · 자천 · 창하 · 고경 · 임고 · 자양 포항고속 · 포항시청 · 포항 · 나루끝 · 송라 · 청하 · 효자(하차) · 흥해 · 죽장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고령군 봉화군 성주군 영덕군
고령 · 축협 · 귀원 봉화 ·법전 · 대현 · 현동 · 황평 · 춘양 성주 영덕 · 강구 · 장사 · 병원 · 도곡 · 영해 · 병곡
영양군 예천군 울진군 의성군
영양 · 입암 예천 · 풍양 · 지보 · 예천삼거리 · 가동 · 16부대(후문/정문) · 개포 · 용궁(터미널/) 울진· 구산 · 매화 · 사동 · 기성 · 평해 · 후포 · 죽변 · 부구 · 온정 · 금강송(쌍전교차로) 의성 · 낙동강의성휴게소 · 도리원 · 단촌 · 다인 · 비안 · 안계 · 춘산 · 탑리 · 가음 · 양지 · 사미 · 빙계2리 · 춘산
}}}
||<tablewidth=100%><tablecolor=#000,#fff><bgcolor=#e12><width=33.3%> 청도군 ||<width=33.3%><bgcolor=#009a5c> 청송군 ||<width=33.3%><bgcolor=#cbbe53> 칠곡군 ||
청도 · 대천 · 동곡 · 동창 · 운문사 · 풍각 · 갈고개 · 김전 · 사전 · 방음 · 신원 · 통점 · 삼계 · 휴양림 · 도계 · 칠성리 · 화양 · 각남 청송 · 안덕 · 월정(불로) · 주왕산 · 진보 · 화목 · 도평 왜관남부 · 왜관북부
시외버스 · 고속버스가 정차하는 경우만 표기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만 정차하는 곳은 표기하지 않음.
(하차)는 하차만 가능한 경우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세종
}}}}}} ||

파일:포항시 CI.svg 포항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철도 고속
철도
파일:KTX BI.svg 포항역
일반
철도
동해선 포항역, 월포역
도로 고속
도로
파일:Expressway_kor_65.svg 동해선, 파일:Expressway_kor_20.svg 새만금포항선, 파일:Expressway_kor_202.svg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국도 7번, 14번, 20번, 28번, 31번 국도
지방도 20번, 68번, 69번, 921번, 929번, 930번 지방도
버스 고속버스
터미널
포항고속버스터미널
고속버스
정류소
포항시청
시외버스
터미널
포항터미널
시외버스
정류소
나루끝, 송라, 청하, 효자, 포항역, 흥해, 기계, 죽장
시내
버스
포항시 시내버스
항만 포항항국제여객터미널
항공 포항경주공항 }}}}}}}}}
경상북도의 교통

포항고속버스터미널
Pohang Express Bus Terminal
파일:external/news.ipohang.org/0028700546_041.jpg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중앙로 166[1]
터미널 코드 830

1. 개요2. 주의3. 노선
3.1. 과거 운행 노선
4. 중간 정류소5. 연계 시내버스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중앙로 166 (해도동)에 위치한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오거리 남쪽에 있으며, 남구 상도동에 있는 시외터미널과는 2.5km 정도 떨어져 있다.[2]

이곳에서 1.1km 정도 걸으면 죽도시장이 나온다. 정 걷기 싫으면 209번, 219번, 302번, 305번, 308번을 타면 죽도시장까지 한번에 간다.

2010년 8월 30일에 신설된 포항시청입구 삼거리 근처의 대이동 우체국 앞에 있는 대잠동 무인 간이 ATM 정류장을 중간 승하차장으로 두고 있으며, 포항IC로 진출입하면 바로 나온다.[3]

동양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이 이 터미널에 들어온다. 천일고속이 매표 업무와 배차를 담당하며, 이 곳 소속 기사들이 천일고속 사내에서 가장 영향력이 막강하다고 한다.[4][5][6]

천일고속이 직영으로 운영하던 시절에는 건물의 외관이나 내부 자체가 시골 읍내 느낌이 날 정도로 심하게 노후화된 상태였다. 특히 화장실은 그 유명한 리모델링 이전의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과 쌍벽을 이룰 정도의 쓰레기같은 화장실로 악명높았다. 그러던 것이 2007년 11월 말 리모델링을 통해 매우 깔끔해졌다. 2014년쯤에 포항역 신 역사가 완공되면 남구 상도동에 있는 시외터미널과 같이 북구 흥해읍으로 이전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고 했으나, 2013년 8월에 발표한 철도시설공단의 신 포항역 조감도에서 이들이 빠져 축소, 발표한 일로 현재는 이전이 거의 백지화된 상태다. 시외터미널 문서에서 자세한 내용을 알아볼 수 있다.

2. 주의

3. 노선

수도권
행선지 운행횟수 운수회사
낙동강구미휴게소
서울
일 27회 동양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포항발 서울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포항시청 발권불가
낙동강구미휴게소 1:20 ₩ 8,000
₩ 12,100(우등)
서울(경부) 3:40 ₩ 23,200
₩ 34,400(우등)
₩ 38,000(프리미엄(월~목))
₩ 44,700(프리미엄(금~일, 공휴일))
₩ 37,800(심야우등)
₩ 41,800(심야프리미엄(월~목))
₩ 49,100(심야프리미엄(금~일, 공휴일))
운행시각표 (월~목) 05:00, 05:40, 06:20, 07:00, 08:00, 08:30, 09:00, 09:50, 10:40, 11:30, 12:20, 13:10, 14:00, 15:00, 15:30, 16:00, 16:30, 17:00, 17:30, 18:20, 19:10, 20:00, 21:00, (심야)22:00, 23:20, 01:00
운행시각표 (금~일) 05:00, 05:40, 06:20, 07:00, 08:00, 08:30, 09:00, 09:50, 10:40, 11:30, 12:20, 13:10, 14:00, 14:30, 15:00, 15:30, 16:00, 16:30, 17:00, 17:30, 18:20, 19:10, 20:00, 21:00, (심야)22:00, 23:20, 01:00
고속버스 서울경부-포항 참조.

08:00 ~ 19:10 낙동강구미휴게소를 경유한다. (프리미엄 제외)

일반 및 우등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14:30 출발 차량(일반고속)은 금, 토, 일요일 및 (징검다리 연휴의) 공휴일에만 운행하지만, 평일에도 결행이 풀릴 때도 있다.

프리미엄 : 평일의 월~목으로는 15% 할인 요금으로, 마일리지 적립 불가능하며, 나머지의 요일은 2% 적립된다.

만약 시간대가 맞지 않다 싶으면 포항역으로 가서 고속열차를 이용해도 된다.[7]
}}} ||
호남권
행선지 운행횟수 운수회사
광주 일 3회 (월~목)
일 4회 (금~일)
금호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포항발 광주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포항시청 발권불가
광주(유스퀘어) 3:50 ₩ 31,000(우등)
운행시각표 (월~목) 08:10, 13:00, 18:00
운행시각표 (금~일) 08:10, 13:00, 16:30, 18:00
고속버스 포항-광주 참조.

금호고속 2팀(직행부)에서 운행하지만 티머니 E-Pass가 장착되어 수동으로 검표하지 않는다.
}}} ||
  • KTX 개통으로 생존의 위협을 느꼈는지, 결국 2015년 12월 1일 자로 서울 ↔ 포항 노선에 우등고속 한정으로 요금 인하를 단행했다. 우등고속 기준 31,800원에서 28,000원으로, 심야우등은 34,900원에서 30,800원으로 할인되었다. 일반고속은 상주영천선 개통 후 요금이 인하됐고, 우등고속은 애초에 할인한 게 있어서 상주영천선 개통 후에도 요금이 동결됐다. 거기에 마산, 진주, 광주행처럼 KTX의 영향으로 포항행까지 110km/h로 증속했었지만 2017년 7월달 부터 다시 105km/h로 하향했다고 한다.[10]
  • 상주영천고속도로가 개통하는 2017년 6월 28일 이후 거리는 33Km, 운행시간은 약 20분 가량 단축되어 3시간 40분대가 되었다. 고속열차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4시간 이내에 강남까지 진입할 수 있고, 강남 지역이 최종 목적지인 경우에는 KTX 대비 시간적으로 큰 차이가 나지 않게 되었다. 이 정도면 포항역( 흥해) ↔ 남구 지역의 나쁜 접근성[11] KTX의 절반에 불과한 고속버스 요금을 감안하면, 버스도 경쟁력이 있어 승객들의 선택권이 넓어졌다 할 것이다.
  • 포항 ↔ 광주 노선의 경우, 독점의 폐해를 여실히 보여주는 노선이라 할 수 있겠다. 2024년 1월 1일부로 금호고속이 동양고속으로부터 해당 노선을 인수한 후, 2024년 6월 기준, 금, 일요일 2회 감차, 그 외 요일은 1회가 감차되어 평일/주말 구분 없이 일 3회만 운행하고 있으며, 명절이나 연휴 특송 기간에도 임시차가 잘 배차되지 않는다. 심지어 일반고속도 운행하지 않는다. 만약 표를 구하지 못했다면, 경주를 경유하여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시외버스 노선을 이용하거나, 동대구터미널까지 나가서 환승을 해야 한다. [15]

3.1. 과거 운행 노선

충청권
행선지 운행횟수 운수회사
대전 일 3회 천일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포항발 대전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포항시청 발권불가
대전 2:40 ₩ 22,600(우등)
운행시각표 08:20, 13:00, 18:00
고속버스 대전복합-포항 참조.
동해선 KTX의 존재와 동양고속의 노선 철수로 운행 횟수가 11회에서 3회로 대거 감회되고 막차도 이르다. 따라서 막차 시간 이후에는 포항역으로 가야 한다. 2023년 6월 1일부터 운행중단되었다.
}}} ||
영남권
행선지 운행횟수 운수회사
마산 일 5회 동양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포항발 마산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마산 2:00 ₩ 10,000(우등)
운행시각표 06:50, 10:10, 13:30, 16:50, 20:10
과거 천일고속과 공배로 일 8회[16] 운행했으나 천일고속은 미리 철수했고, 시외버스에 밀려 2012년 4월 폐지되었고, 노선과 차량을 금아여행에 넘긴 후 폐선되었다.
}}} ||
  • 그 외, 광명행 노선도 존재했으며, 한진고속에서 운행했다.[17]

4. 중간 정류소

2010년 8월 30일부터 새만금포항고속도로 포항IC 진입 직전에 포항시청 근처 대잠동의 대이동[18] 우체국 앞에 설치된 간이 정류장에서 승하차가 가능해졌다. 대이동 우체국 간이 정류장 내 벤치에 있는 한네트 ATM 무인 발권기에서 발권할 수 있지만 현장 발권만 가능(화면에서는 예약발권 표시가 없고, 현장발권 거래만 표시)하며, 대잠동 무인 매표소에서 발권한 승차권으로 포항고속버스터미널에서 탑승하거나 포항고속버스터미널에서 발권한 승차권으로 대잠동 간이 정류장에서 탑승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당연히 카드만으로 결제할 수 있다. 한네트 ATM 발권에 따른 추가 발권 수수료는 없으며, ATM에서 최대 4명까지 발권할 수 있다. 그리고 코버스의 안내에 따르면 포항고속버스터미널 매표소에서 직접 구매했거나, 인터넷으로 예매하여 발권했거나, 예약한 후 곧바로 카드 결제 승인을 받아 홈 티켓으로 발권한 승차권은 포항고속버스터미널에서만 승차할 수 있고 포항시청 간이 정류장에서는 승차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런데 이 무인발권기 겸용 ATM에서 발권해도 출발지는 "포항시청"이 아닌 "포항"으로 표시됐었다.
  • 현재는 포항시청으로 선택이 가능하며, 코버스 터미널 코드는 828번이다.
  • 포항시청 정류장에서 승차하는 경우에도 요금은 포항고속버스터미널에서 승차하는 것과 동일하다.

5. 연계 시내버스

고속버스터미널(294011·312002)
급행
간선
지선

[1] 해도동 33-7 [2] 302번을 타면 시외터미널과 고속터미널을 오갈 수 있다. 하지만 시내버스 개편으로 107번이 폐지되어 포항역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3곳을 모두 찍는 시내버스 노선은 없어졌다. [3] 2009년에 포항IC 포항터미널, 포항고속버스터미널을 바로 잇는 직통도로가 개통되어 과거 용흥동의 좁은 주택가를 거쳐야 해서 교통체증이 일어났던 왕복 2차로 도로를 더 이상 거치지 않게 되어 정류장을 신설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시외터미널 중 대구행 일부 차량의 경우 7번 국도 - 북경주IC - 20번 국도 - 건천IC 쪽으로 가기도 했다. [4] 대전 ↔ 포항 노선을 운행하는 기사들이 20~22년차고 서울 ↔ 포항 노선을 운행하는 기사들 역시 20~25년차라고 하며 특히 대전 - 포항 노선의 경우 현재는 천일고속이 단독 운행중이다. 경주, 포항, 울산이 최고참 기사들로만 이루어져 있는데 경북 동부권과 경북 동부 지역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울산-경주-포항 이 3지역은 교류가 많은 나머지 해오름 동맹을 맺은 지역이다.) 경주, 울산도 20년차부터 진입이 가능하고 그 중에서도 포항 노선에는 20년차 이상 기사들 중에서도 무사고 15년 이상의 기사들로만 엄선한다고 한다. 동양고속 역시 한진고속을 인수했을 때 당시의 포항 노선 전담 고참 기사들을 그대로 배치했으며, 이들의 경력 또한 무사고 10년 이상+입사 20년차 이상(견장 무궁화 2장)이라고 하며 한일고속도 같은 수준이라고 한다. 이렇게 된 이유는 KTX 개통 전에 답이 없었던 포항시의 철도교통망 때문에(서울에서 포항까지 새마을호를 타면 5시간 40분 정도 걸렸으며 동대구역도 2시간은 걸렸다.) 버스 이용률을 늘리기 위한 목적이 있었고, 새만금포항고속도로 도동 - 포항 구간 개통 이전에는 경부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위해 경주 건천 또는 영천까지 국도로만 운행했기 때문인데 그래서 한동안 특A급 최신 차량이 들어가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지금은 차급이 확 떨어진 상태다. 참고로 그 당시의 20번 국도 28번 국도는 포항에 아예 들어오지 않고 각각 경주 건천/경주 강동에서 종착했으며 7번 국도는 지금과는 전혀 다른 막장 수준이였다.(경주 방면으로 가려면 그 전국 교통사고율 1위이었던 악명높은 외팔교를 건너야했으며 화물차도 지금과 달리 매우 많이 다녔다.) [5] 그 외에도 부산 소속 기사들도 사내에서 강한 영향력을 자랑한다. [6] 이로 인해 예전 새만금포항고속도로/ 28번 국도 강동~흥해간 도로 개통/ 20번 국도 건포산업로 개통/ 7번 국도 유강터널 개통 이전에는 포항공항과 김포공항을 잇는 비행기의 영향력이 강했다. [7] 단, 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중 포항역에서 고속열차로 환승 없이 갈 수 있는 역은 서울역, 수서역뿐이다. 용산역, 청량리역, 영등포역으로 가려면 더 이동해야 한다. [8] 중고생 및 경로 할인이 적용된다. [9] 내서에도 무정차했다. 그리고 이 때 동양고속의 하이클래스 1대 및 에어로 HSX 1대도 금아여행에 매각되어 여생을 보냈다. [10] 하지만 천일고속은 여전히 100~103km/h 정도로 저속운행했다가 지금은 그래도 105km/h까지 내주고 2018년 추석 때 들어온 새차들은 108km/h까지 주행한다. 한일고속 동양고속처럼 107~110km/h로 주행한다. [11] 하지만 북구에서도 신 포항역까지 100% 접근성이 좋은 건 아니다. 특히 우창동(특히 창포동 쪽. 우현동은 308번이 다니기에 덜하다.), 환여동, 장량동, 두호동 일대는 심각하다고 한다. 자차로는 가까우나, 버스로는 불편하기 때문이다. 단지 남구에 비해 좀더 가까울 뿐. 물론 남구에 있는 포공이나 포스코 제철소 쪽에서 신 포항역은 포항에서 경주 가는 만큼의 거리감이 있을 정도로 멀다고 한다. [12] 오전 9시, 오후 3시, 저녁 6시. 오전 9시는 동양고속이 고정으로 운행하며 오후 3시와 저녁 6시는 천일고속 한일고속이 번갈아가며 운행하였다. 하루는 3시에 천일고속이 운행했다면 다음날 3시에는 한일고속이 운행하는 방식으로. 서울발은 오전 8시와 11시 차량이 천일과 한일이 번갈아가며 운행하고 저녁 6시 차량은 동양고속이 고정으로 운행한다. [13] 동양고속 3대, 한일고속과 천일고속이 각 2대씩 서울발 3대(동양, 한일, 천일 각 1대씩 운행한다.), 포항발 4대(동양 2대, 한일, 천일 각 1대씩 운행한다.)로 운행한다. [14] 동양고속 2대 천일고속 한일고속 각 1대씩 증회되었다. [15] 문제는 시외버스 노선도 광주-경주 구간에만 임시차를 배차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라 포항에서 광주를 오가는 승객들에게는 불편이 야기된다. [16] 일반고속 4회, 우등고속 4회. 각사 일반, 우등 각 1대씩 운행 [17] 경부고속철도 개통 이전의 이야기로, 당시에는 철산역 정류소도 없던 시절이라 광명터미널까지만 직통으로 운행했다. [18] 행정동이며, 산하 법정동은 대잠동과 이동이 있다. [19] 9000번은 포항경주공항과도 연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