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10:55

첫 문장이 유명한 작품/시


첫 문장이 유명한 작품
첫 문장이 유명한 작품A 첫 문장이 유명한 첫 문장이 유명한 소설( 한국/ 19· 20세기)
A : 종교, 철학, 기록, 교양, 학문, 연설 등



1. 개요

이 문서는 많은 곳에서 인용이 되는 유명한 의 첫 문장이나 도입부를 정리한 문서이다.[1]

한편 항목 내 분류를 위해 항목 순서는 출판 연대를 기준으로 하며, 작성양식은 통일성을 위해 하단 양식을 복사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 제목 ==
원제, 작가, 출판 연도

> 원문
> ----
> 한국어로 번역된 문장

2. 국내

2.1. 고전시가

정형시를 골자로 발달한 한국 현대시사 이전, 시가, 사조, 가사, 산문 등의 고전 시가와 관련된 작품들

2.1.1. 공무도하가

公無渡河歌, 백수광부의 처, 연도 불명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시로,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항상 수록되는 시 중 하나라 인지도가 매우 높다.

2.1.2. 정읍사

井邑詞, 작자 미상, 연도 불명
ᄃᆞᆯ하 노피곰 도ᄃᆞ샤
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
달이시여, 높이금 돋으시어
아아, 멀리금 비추어 주시라

2.1.3. 가시리

작자 미상, 연도 불명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가시리, 가시리이까? 나난[2]

2.1.4. 청산별곡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살겠노라 살겠노라. 청산에 살겠노라.

2.1.5. 관동별곡

關東別曲, 정철, 1580년
애 病이 깊퍼 竹의 누엇더니, 關ᄇᆡᆨ에 方을 맛디시니 어와 聖이야 가디록 罔ᄒᆞ다
자연을 사랑하는 병이 깊어 대나무 숲에 누웠더니, 팔백 리나 되는 강원도를 맡기시니 아아, 임금의 은혜야말로 더욱더 끝이 없도다.
조선 전기 시가의 대표주자인 정철의 대표작, 관동별곡의 첫 문장이다. 아버지 세대도 그렇고 요즘 학생들도 교과서나 EBS 국어교재를 보면 거의 마주치는 문장 중 하나이다. 시험에서는 해석본을 주고 자연에 대한 사랑, 임금에 대한 모애의 감정 등을 주로 물어본다.

2.2. 현대시

한국 현대 시의 태동기로 여겨지는 1910년대부터 현년도까지의 시.

2.2.1. 1910년 ~ 1950년

2.2.1.1. 엄마야 누나야
김소월, 1922년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2.2.1.2. 진달래꽃
김소월, 1922년[3]
나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히 보내드리우리다.[4]
2.2.1.3. 먼 후일
김소월, 1925년
먼 훗날 당신이 찾으시면
그때에 내 말이 '잊었노라'
2.2.1.4. 님의 침묵
한용운, 1926년[5]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6]
2.2.1.5. 향수
정지용, 1927년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 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2.2.1.6. 그날이 오면
심훈, 1930년
그날이 오면 그날이 오면은
2.2.1.7. 고향
정지용, 1932년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
2.2.1.8. 오감도 시제1호
烏瞰圖 詩題一號, 이상, 1934년[7]
十三人의兒孩가道路로疾走하오.(길은막달은골목이適當하오.)
13인의아해가도로로질주하오.(길은막다른골목이적당하오.)
2.2.1.9. 깃발
유치환, 1936년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국어 시간에 역설법을 배울 때 < 모란이 피기까지는>의 '찬란한 슬픔의 봄'과 함께 꼭 나오는 표현이기도 하다.
2.2.1.10. 사슴
노천명, 1936년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짐승이여
언제나 점잖은 편 말이 없구나
2.2.1.11. 승무
조지훈, 1936년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2.2.1.12. 내 마음은
김동명, 1937년
내 마음은 호수요,
그대 노 저어 오오.
나는 그대의 흰 그림자를 안고, 옥 같이
그대의 뱃전에 부서지리다.
2.2.1.13. 남으로 창을 내겠소
김상용, 1939년
남으로 창을 내겠소.
마지막 문장[8] 또한 유명하다.
2.2.1.14. 국화 옆에서
서정주, 1947년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2.2.1.15.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윤동주, 1948년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그 유명한 서시의 첫구절이다. 본래 서시의 제목은 무제, 즉 없다. 이 작품이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서 정지용이 쓴 서문과, 강처중이 쓴 발문 다음 가장 먼저 나오는 시이기에 서시(序詩)라는 명칭이 붙은 것이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가 시집의 제목 뿐 아니라 이 시의 진짜 제목이라는 설도 있다.
아닌 게 아니라 항상 시의 내용과 제목을 연관짓는 윤동주 시의 특성상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가 이 시의 원래 제목인 듯 보인다.
2.2.1.16.
김춘수, 1948년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2.2.1.17. 청산도
박두진, 1949년
산아, 우뚝 솟은 푸른 산아, 철철철 흐르듯 짙푸른 산아.
한컴타자연습의 '긴 글 연습'의 대표주자이다 보니 뒷내용은 몰라도 맨 첫 줄만큼은 저절로 외우게 된다. 소설 장르에서는 메밀꽃 필 무렵이 비슷하게 한컴타자연습의 덕을 봤다.

2.2.2. 1951년 ~ 1999년

2.2.2.1. 낙화
이형기, 1957년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2.2.2.2. 김일성 만세
김수영, 1960년
'김일성 만세'
2.2.2.3. 저녁 눈
박용래, 1966년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말집 호롱불 밑에 붐비다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조랑말 발굽 밑에 붐비다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여물 써는 소리에 붐비다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변두리 빈터만 다니며 붐비다
2.2.2.4.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 1967년
껍데기는 가라
4월도 알맹이만 남기고
껍데기는 가라
2.2.2.5. 타는 목마름으로
김지하, 1975년
신새벽 뒷골목에
네 이름을 쓴다 민주주의여
2.2.2.6. 귀천
천상병, 1979년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새벽빛 와 닿으면 스러지는
이슬 더불어 손에 손을 잡고
2.2.2.7. 내가 너를
나태주, 1980년
내가 너를
얼마나 좋아하는지
너는 몰라도 된다.
끝문장 '나는 이제 너 없이도 널 좋아할 수 있다.' 또한 유명하다.
2.2.2.8. 옥수수밭 옆에 당신을 묻고
도종환, 1986년
견우직녀도 이 날만은 만나게 하는 칠석날
나는 당신을 땅에 묻고 돌아오네
2.2.2.9. 가난한 사랑 노래
신경림, 1988년
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모르겠는가
2.2.2.10. 흔들리며 피는 꽃
도종환, 1994년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다 흔들리면서 피었나니
2.2.2.11. 너에게 묻는다
안도현, 1994년[9]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2.2.3. 2000년 ~ 현재

2.2.3.1. 나도 못생겼지만
마광수, 2010년
못생긴 여자가 여권(女權)운동하는 것을 보면
측은한 마음이 생긴다
그 여자가 남자에 대해 적개심을 표시할 땐
더 측은한 마음이 생긴다
[10] 마지막에 ‘그것 참 가관일거야 / 그것 참 재미있을 거야 / 그것 참 슬픈 풍경일 거야’로 끝나는 문장도 유명하다.
2.2.3.2. 풀꽃
나태주, 2015년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너도 그렇다.

3. 국외

3.1. 고대 ~ 18세기

3.1.1. 일리아스

ΙΛΙΑΣ, 호메로스, 기원전 8세기
μῆνιν ἄειδε θεὰ.
여신이여, 분노를 노래하소서.

3.1.2. 천자문

千字文, 주흥사, 5세기
天地玄黃 宇宙洪荒
천지현황 우주홍황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 거칠다.

3.1.3. 신곡

Comedía, 단테 알리기에리, 1321년
Nel mezzo del cammin di nostra vita
mi ritrovai per una selva oscura,
ché la diritta via era smarrita.
우리 인생길의 한중앙,
올바른 길을 잃고서
어두운 숲을 헤매이고 있었다.

3.1.4. 셰익스피어 소네트 18번

Sonnet 18, 윌리엄 셰익스피어, 1609년
Shall I compare thee to a summer’s day?
그대를 여름날에 비길 수 있으랴?

3.2. 19세기

3.2.1. 갈까마귀

The Raven, 에드거 앨런 포, 1845년
Once upon a midnight dreary, while I pondered, weak and weary,
Over many a quaint and curious volume of forgotten lore
While I nodded, nearly napping, suddenly there came a tapping,
As of some one gently rapping, rapping at my chamber door.
"Tis some visitor," I muttered, "tapping at my chamber door—
Only this and nothing more."
어느 음울하고 쓸쓸한 밤, 내가 잔뜩 지친 채로 생각에 잠겨,
사람들이 잊은 전설들이 담긴 진기하고 흥미로운 책을 읽고 있던 중에,
그만 졸다가 고개를 끄덕일 때쯤, 갑자기 두드리는 소리가 들려왔다.
누군가 부드럽게 두드리는, 내 방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아마 방문객인가 보군," 나는 중얼거렸다. "지금 내 방문을 두드리는 이는—
단지 그것뿐이야."

후렴구에 가까운 구절 " Nevermore"로도 유명한 시이다.

3.2.2. 애너벨 리

Annabel Lee, 에드거 앨런 포, 1849년
It was many and many a year ago,
In a kingdom by the sea,
That a maiden there lived whom you may know
By the name of Annabel Lee;
And this maiden she lived with no other thought
Than to love and be loved by me.
아주 오래고 또 오래된 옛날
바닷가의 어느 왕국에
그대도 알고 있을 한 소녀가 살고 있었으니
그 이름 애너벨 리였다.
이 소녀의 삶에 다른 생각은 전혀 없었으니
오직 나를 사랑하고 또 내게 사랑받는 생각뿐이었다.

3.2.3. 고독

Solitude, 엘라 휠러 윌콕스, 1883년
Laugh, and the world laughs with you
Weep, and you weep alone
웃어라, 온 세상이 너와 함께 웃을 것이다.
울어라, 너 혼자 울 것이다.
영화 올드보이에 인용되면서 매우 유명해졌다.

3.3. 20세기

3.3.1. 가을날

Herbsttag, 라이너 마리아 릴케, 1902년
Herr: es ist Zeit. Der Sommer war sehr groß.
주여, 때가 되었습니다. 지난 여름은 참으로 위대했습니다.

3.3.2. 가지 않은 길

The Road Not Taken, 로버트 프로스트, 1915년
Two roads diverged in a yellow wood,
And sorry I could not travel both
And be one traveler, long I stood
And looked down one as far as I could
To where it bent in the undergrowth
단풍 든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더군요.
몸이 하나니 두 길을 다 가 볼 수는 없어
나는 서운한 마음으로 한참 서서
잣나무 숲 속으로 접어든 한쪽 길을
끝 간 데까지 바라보았습니다

3.3.3. 황무지

The Waste Land,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1922년
Nam Sibyllam quidem Cumis ego ipse oculis meis vidi in ampulla pendere, et cum illi pueri dicerent: Σιβυλλα τι θελεις;respondebat illa: αποθανειν θελω.

For Ezra Pound
il miglior fabbro.

I. the Burial of the Dead

April is the cruellest month, breeding
Lilacs out of the dead land, mixing
Memory and desire, stirring
Dull roots with spring rain.
쿠마이의 시빌이 항아리 속에 있는 걸 보았다. 소년들이 말했다. "시빌라여, 원하는 게 무엇인가?", 그녀가 대답하길, " 죽는 걸 원한다."[11][12]

한층 훌륭한 예술가, 에즈라 파운드에게

1장. 죽은 자의 매장

4월은 가장 잔인한 달.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내고,
기억과 욕망을 뒤섞어,
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운다.

3.3.4. 울부짖음

Howl, 앨런 긴즈버그, 1955년
I saw the best minds of my generation destroyed by madness, starving hysterical naked,
dragging themselves through the negro streets at dawn looking for an angry fix,
나는 광기에 파괴된 내 세대 최고 지성들이
발작적으로 벌거벗길 갈망하며,
새벽에 흑인들 거리에서 몸을 질질 끌며 성난 환각주사를 찾는 것을 보았네.


[1] 자세한 정의와 분류는 첫 문장이 유명한 작품 문서의 개요 참고. [2] 나난은 운율을 맞추기 위한 여음구로, 뜻이 없다. [3] 잡지 <개벽> 25호, 1922년 7월 [4] 한국 현대시 100년 대표작 10선 [5] 회동서관 간행 <님의 침묵>, 1926년 [6] 한국 현대시 100년 대표작 10선 [7] 조선중앙일보, 1934년 7월 24일 [8] "왜 사냐건 웃지요." [9] <외롭고 쓸쓸한>, 1994년 [10] 이렇게만 보면 단순 여성혐오적 작품으로만 볼 수 있지만, 바로 다음 행이 여기서 정확히 남자의 성보수주의로 치환하고 나머지는 거의 똑같은 내용이다... 즉 모두까기. [11] 제정 로마 시기 소설 사티리콘의 한 구절이다. 시빌라가 그리스인인 것을 감안해서인지 라틴어와 그리스어가 섞인 것이 특징. [12] 여담으로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시빌라는 아폴론 신으로부터 불사의 능력을 부여받았지만 불로의 능력은 받지 못한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