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6:21:37

경복궁 집옥재

집옥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현무문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 옥련정
벽화실 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
청와대
녹지원
춘안당 융문당 관광청 헌춘문
칠궁 양정재 수궁
(구 관저터)
융무당 태화궁
용강문 지희실 경농재
(관풍루)
대유헌 중일각 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 청와대
춘추관
마장 관가문 희맹공신단
금화문 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 금위군직소 춘화문 춘생문
신무문 수문 계무문 광무문 춘도문 수문
숙문당 수문장청 군사방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 각감청 관문각
건청궁
서녹산 어구 동녹산
태원전 영사재 대왕대비전
세답방
순화궁
세답방
중궁전
세답방
종각
빈궁
세답방
공묵재 왕대비전
세답방
가회정 보현당 남여고 육우정 녹직처소 내재실
동장고 통화당 순화궁
외소주방
숙경재 서진설청 선원전 동진설청 경안당
순화궁
내소주방
진전
소주방
진전
생물방
화락당 나인처소
회안전 문경전 서장고 향원정 만화당 벽혜당
(왕대비전
생물방)
대향당 나인처소
정훈당
함화당 집경당 전기등소 만경전 건기당
(왕대비전
내소주방)
요광당
(왕대비전
외소주방)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나인처소
숙설소 영훈당
원역처소 빈궁
생물방
상궁처소 다경합 건복합
제관방 회광당
(빈궁
내소주방)
광원당
(빈궁
외소주방)
수인문 흥복전 중궁전
수방
대왕대비전
수방
제수합 영보당 벽월당
(상궁처소)
중궁전
침방
대왕대비전
침방
국별장직소 원역처소
(접견소)
장방 원역처소 아미산 자미당 자경전 집희당
(대왕대비전
내소주방)
춘소당
(대왕대비전
침방)
취운당
(대왕대비전
수방)
나인처소
침채고 예춘당
(대왕대비전
생물방)
벽로당
(상궁처소)
웅향당
(상궁처소)
국출신직소 함정당
(대왕대비전
외소주방)
계응당
(상궁처소)
하향정 임향당 나인처소
무겸직소 융화당 함원전 건순각 인지당 나인처소 보월당
(상궁처소)
자운당
(상궁처소)
나인처소
경회루 함홍각 교태전 원길헌 복희당
(대전
생물방)
북소위장직소 대재문 흠경각 재성문 만통문
자안당 내순당
보의당
양의문 체인당
승순당
흥안당 대전
내소주방
난지당
(대전
외소주방)
대소대금방
(나인처소)
건상당 응지당 강녕전 연길당 계광당
내성문 지도문
파수각 의안당 경성전 연생전 수경당
수문 건의당 용부문 연소당 향오문 청심당 안지문
영추문 수문장청 내각
(규장각)
검서청
(규장각)
대전장방 습회당 협오당 장원당 천추전 사정전 만춘전 연태문 자선당 비현각 장방 수문장청 건춘문
+ 수정전 + 협선당
용신당
건인각 중궁전
수랏간
왕대비전
수랏간
등촉방 등촉방 장방 관리사무소
군사방 수정문 숭현문 사현문 별감방 군사방
초관직소 장무관직소
(내의원)
입심억석
(내의원)
주원
(사옹원)
사정문 오상방 원역처소
훈국군번직소 침의청
(내의원)
약방
(내의원)
내반원
(내시부)
영화문 향실
예문관
협의문
내삼청
융무루ㅓ
내삼청
충의청
근정전 관광청
양미고
계인문
누상고
ㅏ융문루
서방색
통장청 문기수청 춘방
서소위장직소 의약청
(내의원)
계방
옥당
(홍문관)
검서청
(규장각)
대전
수랏간
숭양문 계조당 훈국군번처소 초관처소
누국 당후
(승정원)
정원
(승정원)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 선전관청 빈청 기별청
유화문
배설방
수각
내병조

덕양문

수각

봉선문 별군직청 주차장
영제교
춘방 책고 대청 상의원 면복각
신당 덕응방 북마랑 정색 마색 흥례문 결속색
전사청 연고 내사복시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 용성문 어도 협생문 계방 오위도총부
우마랑 국립고궁박물관 좌마랑 창고 연지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남소부장청 동소부장청
견마배청 남마랑 군사방 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 충장장청
서십자각 수문 광화문
( 월대)
수문 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colbgcolor=#bf1400> 경복궁 집옥재
景福宮 集玉齋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 세종로)
건축시기 1891년 (이건)
파일:경복궁_집옥재.jpg
<colbgcolor=#bf1400> 집옥재[1]
문화유산채널에서 제작한 집옥재 영상
1. 개요2. 역사3. 구조4. 부속 건물
4.1. 팔우정(八隅亭)4.2. 협길당(協吉堂)4.3. 보현당(寶賢堂)4.4. 가회정(嘉會亭) 4.5. 시계탑(時計塔)
5. 여담
5.1. 집옥재 작은도서관

[clearfix]

1. 개요

경복궁에 있는 중국풍 전각이다. 어진 도서를 보관하던 곳이다. 경복궁 북문인 신무문의 동남쪽, 건청궁의 서쪽에 있다.

건물 3채로 이루어져 있다. 서쪽에 팔우정(八隅亭), 가운데에 집옥재(集玉齋) 본채, 그리고 동쪽에 협길당(協吉堂)이 있으며, 전각끼리 복도로 붙어있다. 집옥재 본채와 달리 팔우정과 협길당은 전통 한국 양식이다.

이름은 ‘(玉)과 같이 귀한 보배를 모은다(集)’는 뜻이다. 현판 중국 북송의 유명한 서예가였던 미불의 글씨를 조합하여 만들었다.

2. 역사

파일:경복궁 집옥재 헤르만 산더 1906~1907년 촬영(국립민속박물관).jpg
<colbgcolor=#bf1400> 1906년 ~ 1907년 집옥재[2]
원래 창덕궁 함녕전의 별당이었다. 창덕궁 함녕전(수정전) 덕수궁 함녕전과는 이름만 같은 별개의 건물이다. 원래 이름은 수정전이었는데 1881년( 고종 18년)에 함녕전으로 고쳤다. 1891년( 고종 28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고종은 이곳을 어진을 모시고, 을 보관하며, 외국 사신을 접견하는 장소로 사용했다. 고종 개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서양 문물과 관련된 책을 청나라에서 대량으로 구입했다. 고종은 조선 고유의 전통을 지켜나가는 동시에 서구의 새로운 문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그는 중국, 일본, 서양에서 출판한 다양한 서적과 지도를 들여와 약 4만여 권을 경복궁 집옥재에 수장하고 세계에 대한 시야를 넓혀갔다. 이러한 서적의 수집과 유통경로는 영선사 등 중국을 왕래하는 사신이나 사절 단을 통해, 일본을 다녀왔던 조사시찰단에 의해, 박문국을 경유한 서양과의 접촉을 통해 수집되었는데, 국제적 동향과 세계의 역사와 지리를 알려주는 인문학 중심의 교양서를 비롯하여 자연현상을 폭넓게 배울 수 있는 자연과학 분야의 서적까지 다양한 학문 범주에 속하는 서적들이 망라되어 있다. 고종의 서적 수집은 1880년대 개화 정책 추진의 실무에 기초자료가 되었음은 물론, 대한제국기에 가서도 사회적, 교육적으로 활용됨으로써 지식인들이 근대적 문물을 수용하는데 일조하였다고 볼 수 있다.

1896년( 건양 원년) 아관파천으로 고종 왕실 경복궁을 떠나자 집옥재는 빈 건물이 되었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도경비사령부 30경비단이 이 일대에 주둔하면서 한동안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었다. 1996년에 수도경비사령부 30경비단이 부대 이전을 한 뒤 복원, 수리 작업을 거쳐 2006년에 일반에게 공개되어 오늘에 이른다.

3. 구조

파일:집옥재 일대 배치도.png }}} ||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집옥재 일대 내부 구성도
* 원래는 보현당(寶賢堂), 가회정(嘉會亭), 시계탑(時計塔)등의 부속 건물들도 있었으나 현재는 없다. 원래의 경복궁 2차 복원 계획에선 이 건물들이 복원될 예정이었으나 복원계획 축소로 취소되었다.

4. 부속 건물

4.1. 팔우정(八隅亭)

파일:detail-in-n5.jpg
<colbgcolor=#bf1400> 팔우정[3]
景福宮 八隅亭

역사는 집옥재와 같다. 서책을 보관하던 곳이다. 건물의 특징은 이 포스팅을 참조.

4.2. 협길당(協吉堂)

파일:detail-in-n6.jpg
<colbgcolor=#bf1400> 협길당[4]
景福宮 協吉堂

역사는 집옥재와 같다. 고종이 휴식을 취하며 머물던 곳이다. 건물의 특징은 이 포스팅을 참조.

4.3. 보현당(寶賢堂)

파일:보현당 현판.png
<colbgcolor=#bf1400> 현재 남아있는 보현당 현판
景福宮 寶賢堂

집옥재 남쪽에 있던 어진 봉안을 하거나 고종이 외국 공사를 접견하는 곳이었다. 동쪽의 행각은 창고로 이용했다.

4.4. 가회정(嘉會亭)

景福宮 嘉會亭

집옥재 남서쪽에 있던 어진 봉안을 하거나 고종을 알현하려는 외국 공사의 휴게실이였다. 북서쪽의 복도는 신무문으로 이어졌다.

4.5. 시계탑(時計塔)

景福宮 時計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 시계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여담

  • 집옥재에서 보관했었던 도서들에 대한 으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소장 중인 《집옥재서목(集玉齋書目)》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보관 중인 《집옥재목록외서책》이 있다. 집옥재에 있던 도서 목록은 경술국치 이후 《집옥재서적조사기》로 다시 정리되었다. 1915년에 집옥재 도서의 대부분은 조선총독부 소유로 넘어갔다. 이후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에 있었다가 현재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보관 중이다. 저 때 조선총독부가 아닌 이왕직으로 넘어간 도서들은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소장 중이다. #

5.1. 집옥재 작은도서관

파일:CkVPSkaUoAAKbez.jpg
파일:CkVPS-zUkAAVmaS.jpg
<colbgcolor=#bf1400> 집옥재 도서관 내부[5]
2016년 4월 27일에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은 집옥재의 실내를 작은도서관으로 꾸며 일반에 개방했다. 조선 시대 역사, 인물, 문화 등과 관련한 도서 1000여 권과 왕실 자료 영인본 350여권, 그리고 한국문학 책 번역본 230여 권을 비치해두었다. 대청 양쪽에 있는 책상 의자를 두어 편히 앉아서 책을 읽을 수 있다.
파일:520160428_Jibokjae_05.jpg
<colbgcolor=#bf1400> 북카페가 된 팔우정 1층 내부[6]
팔우정은 궁중 을 파는 북카페로 활용되고 협길당은 열람실로 개방된다. 북카페의 운영 주체는 한국문화재재단이다.

매년 3월부터 11월까지 경복궁 개관 시간대(오전 9시 ~ 오후 5시 30분)에 한해 언제든 이용할 수 있다. 단, 문화재 보호를 위해 최대 수용인원인 50명이 넘을 경우 입장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정기적으로 시민들을 위한 왕실문화강좌도 열고 있다. 신청은 경복궁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하면 된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사진 출처 - 국립민속박물관. 저 링크에서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다. [3]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 [4]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 [5] 사진 출처 - 문화재청 트위터. [6] 사진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