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23:26:20

진사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국 위나라의 진사왕(陳思王)에 대한 내용은 조식(삼국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온조왕 다루왕 기루왕 개루왕
<rowcolor=#fbe673>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초고왕 구수왕 사반왕 고이왕
<rowcolor=#fbe673>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책계왕 분서왕 비류왕 계왕
<rowcolor=#fbe673>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근초고왕 근구수왕 침류왕 진사왕
<rowcolor=#fbe673>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아신왕 전지왕 구이신왕 비유왕
<rowcolor=#fbe673>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개로왕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rowcolor=#fbe673>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무령왕 성왕 위덕왕 혜왕
<rowcolor=#fbe673> 제29대 제30대 제31대
법왕 무왕 의자왕
}}}}}}}}}}}}


백제의 왕자
[[틀:백제의 왕자/온조왕 ~ 진사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006666;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AB2D, #4CCB3B 20%, #4CCB3B 80%, #3DAB2D);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왕 · 태자
왕자 : 온조왕 ~ 진사왕 · 아신왕 ~ 의자왕
? 아들인지 논란이 있는 경우
}}}}}}}}}

백제 제16대 국왕
진사왕 | 辰斯王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출생
(음력)
340년대 추정[1]
백제
사망
(음력)
392년 11월 (향년 40-50대 추정)
백제 구원 행궁
능묘 미상
재위기간
(음력)
백제 제16대 국왕
385년 11월 ~ 392년 11월 (8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성씨 부여(扶餘)
진사(辰斯) / 휘(暉)(?)[2]
부모 부왕 근구수왕
모후 아이부인
형제 부여침류
왕후 부여진손의 모후
왕자 부여진손[3]
조카 부여아신
종교 불교
왕호 진사왕(辰斯王) }}}}}}}}}

1. 개요2. 생애3. 《 삼국사기》 기록4. 가족관계5. 기타6. 대중매체에서의 진사왕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백제의 제16대 군주, 건길지.

2. 생애

2.1. 의문의 즉위

삼국사기》에는
침류왕이 승하했는데 태자(훗날 아신왕)가 어리므로 숙부인 진사가 왕위에 올랐다(枕流之薨也 太子少 故叔父辰斯卽位)”
라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 일본서기》에는
" 백제의 침류왕이 죽자 왕자 아화의 나이가 어리므로 숙부인 진사가 왕위를 빼앗아 왕이 되었다(百濟枕流王薨 王子阿花年少 叔父辰斯奪立爲王)"
고 직설적으로 적혀 있다. 현대의 학자들도 《일본서기》 내용대로 수양대군 진사왕이 침류왕 사후 어린 조카 아신한테서 왕위를 찬탈했다고 간주하고 있으며 침류왕이 젊은 나이에 갑자기 승하한 것으로 보아 진사왕 또는 그를 지지하는 세력이 침류왕을 시해한 후 왕위를 찬탈했을 가능성도 크다고 보고 있다.

특히 침류왕이 불교를 본격적으로 도입한 임금이기 때문에[4] 백제의 토착 신앙 세력이 불교를 미는 침류왕에 반발해 침류왕이 그들 세력에 의해 시해당했다고 보기도 한다. 불교 공인 과정에서 토착 신앙 세력과 대결이 벌어진 것은 신라, 일본에서도 있었기 때문에 백제에서도 비슷한 과정이 있었을 거라고 보는 것이다.

이외에도 이름에 포함된 '진(辰)'이라는 글자가 아들 진손왕, 5대손 진이왕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데 이 글자를 진국의 '진(辰)'과 동일한 것으로 보아 이들을 진한, 마한과 연관성이 있거나 부여씨가 아닌 토착 마한인으로 간주하는 견해도 있다. 아무튼 진사왕의 즉위 과정에 잡음이 많았던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었고 정통성에도 하자가 있었으므로 임금으로서 지지를 얻기 위해서 신료들에게 뭔가 보여줘야 했다. 본인은 사람됨이 굳세고 용감하며 총명하고 어질었으며 지략이 많았다고 한다.

2.2. 백제 전성기 연장의 꿈

386년(진사왕 2년) 봄, 15세 이상의 백성을 동원하여 청목령(靑木嶺: 지금의 개성시)에서 북으로는 팔곤성(八坤城), 서쪽으로는 바다에 이르는 관방(關防)을 쌓았다.

386년 7월에는 서리가 내려 농사를 망쳤다고 한다.

386년 4월 동진의 열종 효무제가 백제 왕세자(百濟王世子) 여휘(餘暉)를 '사지절(使持節) 도독(都督) 진동장군(鎭東將軍) 백제왕(百濟王)'으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해당 기사에 나오는 백제 왕세자 여휘가 선왕인 침류왕이 받은 관직을 잇는 점으로 볼 때 '휘(暉)'는 진사왕의 다른 이름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그가 왕세자 신분이 아니었던 데다가 잘 보면 백제 왕세자를 왕으로 임명한 것이고[5] 음운상 유사성도 약한데다가 이후 즉위하는 아신왕이 별도로 봉작되지 않는 점 때문에 그와 동일인으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 참고로 이 봉작은 침류왕 2년에 행해진 조공에 대한 보상으로 보인다. 당시 고구려 중국 대륙이 비수대전 이후 혼란한 틈을 타 고국양왕이 384년 잠깐 요동을 먹었다가 모용선비의 후연이 강해져서 1년도 못 채우고 다시 빼앗긴 상태였다. 이에 고구려는 요동 진출이 불가능해지자 공세를 남쪽으로 돌려 386년 8월 백제를 공격했다. 《삼국사기》에는 공격했다는 것만 있고 과정과 결과가 없다.

387년 9월에는 말갈이 쳐들어와 관미령에서 싸웠지만 이기지 못했다고 한다.

진사왕은 앞선 고구려 침공에 대한 보복으로 390년 달솔(達率) 진가모(眞嘉謨)로 하여금 고구려의 도곤성(都坤城)을 공격하게 하여 200여 명을 포로로 잡는 전과를 올렸다. 진사왕은 대승리에 기뻤는지 390년부터 궁궐 증축과 사냥을 통해 여유를 즐기며 왕권강화를 도모했다.

여기까지만 보면 근초고왕 - 근구수왕 - 침류왕 대로 이어지는 전성기 백제 분위기를 유지할 능력이 되어보이는 꽤 괜찮은 임금이 될 수도 있었다. 고구려가 백제를 개발살낼 가능성은 낮았는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다..

2.3. 고구려의 대역습

얼마 안 가 고구려에서 한국사 희대의 정복군주 광개토대왕이 즉위하자 백제는 처참하게 당하게 된다. 당시 고구려는 광개토대왕의 북진 정책을 위한 사병 폐지 및 국군 통합으로 인해 군사력이 강력해진 상태였는데 광개토대왕이 정예병을 추려 백제의 구원 행성을 392년 7월에 40,000명의 병력으로 침공하자 진사왕은 그들이 본진일 거라고 생각하여 직접 나가 싸우게 된다. 그러나 그 때 광개토대왕은 별동대를 이끌고 나가 석현성을 치고 있었고 석현성에서 보낸 구원 요청이 진사왕에게 도달했을 때는 이미 석현성은 함락된 뒤였다. 석현성을 비롯하여 한수 이북의 10성을 빼앗겼다.[6]

8월 전략 요충지 관미성마저 빼앗기자 진사왕이 쫄아서 제대로 대응을 못 하는 사이 백제의 북쪽이 제대로 털리고 만다. 이 관미성이 핵심이었는데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광개토대왕 기록을 보면 관미성은 사방이 험한 절벽이고 그 주위에는 바닷물이 있어서 병력을 7방면으로 나누어 20일 동안 총공격하고 나서야 겨우 점령할 수 있었다고 나와 있다. 이 관미성은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오두산성(烏頭山城) 혹은 강화도[7] 황해 옹진 반도 어딘가로 추정된다. 결국 백제는 진사왕 때 잃은 황해도와 경기 북부 일대를 다시는 되찾지 못했다.[8] 한강 유역이야말로 백제의 옛 수도이자 고토였는데 멸망할 때까지 다시는 되찾지 못했다.[9]

2.4. 의문의 최후

광개토대왕에게 철저히 패하고 있었을 때 진사왕은 구원의 행궁에서 사냥을 했다. 나라에 외적이 침입했는데 한가하게 사냥이나 즐기고 있는 무책임하고 한심한 모습으로 보일 수도 있는데, 사실 고대 시대의 사냥은 실제 전쟁과 직결되는 기마술, 궁술, 팀워크 훈련을 갈고 닦는 것으로 단순한 여가가 아니라 군대 점검, 훈련 정도로 봐야 한다. 진사왕 나름대로 외침을 극복하기 위해 군대를 수습하고 점검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삼국사기》에는 11월 진사왕이 그냥 구원의 행궁에서 사냥에 몰두하다 죽었다고 되어 있는데[10] 《일본서기》에서는 진사왕이 일본에 무례하게 굴어 일본이 외교 사신을 파견하여 책망하자 백제인들이 스스로 진사왕을 죽이고 그의 조카인 아신[11]을 왕으로 세웠다고 한다. 다음은 《일본서기》의 기록인데 마치 일본이 한반도의 국가들보다 상전인 것처럼 묘사하는 특유의 프로파간다를 쳐내고 보면 진사왕 말년 진사왕과 일본 간의 관계가 영 좋지 않았으며 즉위시 정통성의 하자가 있었던 진사왕이 말년 대고구려 전쟁에서의 거듭된 패전을 계기로 권위와 권력이 완전히 추락하여 (대일관계 악화를 틈타 혹은 일본의 호응과 지원으로) 숙부인 진사왕에게 왕위를 빼앗겼던 아신왕이 백제의 여망 하에 진사왕을 제거하고 진사왕이 사망한 후 왕위를 이어받은 것을 알 수 있다.
是歲, 百濟辰斯王立之失禮於貴國天皇. 故遣紀角宿禰·羽田矢代宿禰·石川宿禰·木菟宿禰, 嘖讓其无禮狀. 由是, 百濟國殺辰斯王以謝之. 紀角宿禰等, 便立阿花爲王而歸.
이 해에 백제 진사왕(辰斯王)이 즉위하여 귀국(貴國) 천황에게 무례하였다 . 그래서 키노 츠노노스쿠네(紀角宿禰)[12], 하타노 야시로노스쿠네(羽田矢代宿禰)[13], 이시카와노스쿠네(石川宿禰)[14], 츠쿠노스쿠네(木菟宿禰)[15]를 파견하여 그 무례함을 꾸짖었다. 이에 백제국은 진사왕을 죽여 사죄하였다. 키노 츠노노스쿠네 등은 아화를 왕으로 세우고 돌아왔다.

다른 가설에서는 패전의 책임을 느껴 자살했다는 말도 있는데 이 설은 신빙성이 다소 떨어진다. 사냥터란 원래 인적이 드문 곳이고 무기를 합법적으로 쓸 수 있었기에 유인만 잘 한다면 사람 암살하기에는 더 없이 적합한 장소로 변하기 때문이다.[16] 재위의 시작과 끝 모두 《삼국사기》는 애매하게, 《일본서기》는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17]

3.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삼국사기》 <진사왕 본기>
一年冬十一月 진사왕이 즉위하다
二年 청목령 일대에 관방을 쌓다
二年秋七月 서리가 내려 곡식을 해치다
二年秋八月 고구려가 침입하다
三年春一月 진가모를 달솔로 임명하다
三年秋九月 관미령에서 말갈과 전투를 벌이다
五年秋九月 고구려의 남쪽 변경을 공격하다
六年秋七月 혜성이 북하 성좌에 나타나다
六年秋九月 진가모가 도곤성을 공격하여 함락시키다
六年冬十月 구원의 북쪽에서 사냥하여 사슴을 잡다
七年春一月 궁실을 중수하고 연못을 파다
七年夏四月 말갈이 적현성을 공격하여 함락시키다
七年秋七月 서해의 큰 섬에서 사냥하다
七年秋八月 횡악 서쪽 지역에서 사냥하다
八年夏五月一日 일식이 일어나다
八年秋七月 고구려의 공격을 받아 석현성 등을 상실하다
八年冬十月 고구려에게 관미성을 상실하다
八年 구원에서 사냥하다
八年冬十一月 진사왕이 죽다

4. 가족관계

5. 기타

  • 《삼국사기》에는 진사왕에게 아들이 없었다고 했지만 《일본서기》의 기록과 《 신찬성씨록》, 《 속일본기》 등에 왕인과 함께 입조한 귀수왕(=근구수왕)의 손자 진손왕(辰孫王)에 대한 기록이 있다. 그밖에 스가노(菅野)씨, 후지이(葛井)씨, 후네(船)씨 등의 집안 근구수왕을 시조라고 하거나 근구수왕의 손자 진손왕을 시조라고 하는 것이 국내에 소개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 진사왕의 아들 진손왕은 할아버지 근구수왕의 치세에 일본으로 건너갔다는 것으로 보아 그 당시 이미 15세는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6. 대중매체에서의 진사왕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명성왕
비류국
비류왕
덕좌왕
장남
13대
근초고왕
12대
계왕
14대
근구수왕
부여신제
19대
구이신왕
부여주
순타태자
26대
성왕
(?)
부여법사
28대
혜왕
(?)
아좌태자
29대
법왕
30대
무왕
부여교기
32대
풍왕
부여선광
부여문사 부여문선 부여덕장
부여사
부여창성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부녀,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1] 아버지 근구수왕의 출생연대 추정을 기반으로 추정. [2] 진서》 <효무제편>의 기록. 다만 세부적으로 안맞는 부분이 있어서 다소 애매하다. [3] 실존인물이 아니라 왕진이의 후손들이 조작한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 진손왕, 왕진이 항목 참조 [4] 사실 <침류왕 본기>를 읽어보면 불교 도입 기록이 남아있는 유일한 업적이다(...). [5] 근초고왕을 봉작할 때는 분명히 백제 왕이라고 칭했다. [6] 《삼국사기》의 기록에는 담덕(광개토대왕)이 젊은 나이(18세)에 용병술에 능하다는 말에 쫄아 두려워 나가서 막지 못했다고 전한다. [7] 윤명철의 《고구려 해양사》, 실제로 강화도의 옛 이름이 '갑비고차'다. [8] 성왕이 잠시 되찾았으나 곧 신라의 진흥왕 차지하였다. [9] 하지만 동성왕~ 무령왕 시기 한강 일대 지역으로 추정되는 장소에 대한 점유나 황해도 공격 등의 기사가 있어 학계 내에서는 백제, 고구려 간의 한강 유역 영유권에 대한 논란과 논의가 진행 중에 있다. [10] 자연사인지 타살인지는 불명확하다. 10일 동안 돌아오지 않았다고 서술된 기록을 보면 사망 후 10일이 지나서야 처음으로 수색을 시작한 듯. [11] 애초에 침류왕이 죽고 나서 왕위를 이을 왕세자는 진사왕의 조카인 아신이었다. 하지만 숙부가 왕위를 가로챘다가 사망한 이후에는 다시 아신이 왕위를 이은 것. [12] 키씨에 이름이 츠노. [13] 하타씨에 이름이 야시로. [14] 성씨가 적혀있지 않은데 소가(蘇我)씨에 이름이 이시키와. [15] 성씨가 적혀있지 않은데 헤구리(蘇我)씨에 이름이 츠쿠. [16] 당장 《 삼국지》에 나오는 손책이나 뒷날 잉글랜드 노르만 왕조 윌리엄 2세가 대표적 케이스. 손책은 사냥 중에 한당의 병사들이라고 구라를 친 허공의 문객들의 습격을 받았으며, 윌리엄 2세는 사냥을 간 숲 속에서 어디서 날아왔는지 모르는 의문의 화살에 맞아 죽었다. [17] 사실 《삼국사기》 <백제본기> 기록 자체가 고구려와 신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영 빈약한데다가 은유적인 표현이 상당하게 들어갔으며 백제가 망한 지도 이미 오래돼서 당대에 남은 백제 측의 기록을 인용한 《일본서기》의 기록이 《삼국사기》보다 자세한 경우도 적지 않다. [18] 동복형제라는 표현이 없어서 다소 애매하다. [19] 국내 기록에는 없고, 일본 측 기록에서만 확인된다. 실존여부가 불분명하며, 왕진이의 후손들이 백제 왕족의 후손으로 조작했을 가능성이 높다. [20] 진손왕의 아들. 역시 일본 측 기록에서만 확인된다. [21] 《일본서기》에 의하면 진사왕이 일본 천황에게 거만하게 굴자 백제의 조신들이 진사왕을 살해했다고 한다. 진사왕은 형 침류왕이 죽자 조카들이 나이가 어려서 왕위를 계승했지만 아신왕은 삼촌이 찬탈한 것으로 간주했던 모양이고 실제로 찬탈했을 가능성이 크다. [22] 2000년 KBS 드라마 < 태조 왕건>에서는 명주성주 김순식 역, 2004년 KBS 드라마 해신에서는 흥덕왕 역, 2006년 SBS 드라마 < 연개소문>에서는 김유신의 아버지 김서현 역. 영화 신세계에서는 최승일 경찰국장 역. 범죄도시에서는 원 사장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