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20:14:00

관직

1. 개요2. 관직의 구분3. 관직에 따른 대우4. 국가별 관제
4.1. 한국
4.1.1. 고조선4.1.2. 고구려4.1.3. 백제4.1.4. 신라4.1.5. 고려4.1.6. 조선4.1.7. 대한민국
4.2. 중국
4.2.1. 진~삼국시대4.2.2. 당~오대십국4.2.3. 명~청시대
4.3. 일본4.4. 로마
4.4.1. 고대4.4.2. 중세
4.5. 유럽

1. 개요

관직은 ' 직무의 일반적 종류를 뜻하는 관(官)과 구체적 범위를 뜻하는 직(職)을 통틀어 이르는 말', ' 공무원 또는 관리 국가로부터 위임받은 일정한 직무 직책'이다.

일반적인 의미로는 공무원이나 관리가 국가로부터 위임받은 직무나 직책을 뜻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공무원이라는 표현이 널리 쓰이지만, 고대~근대 이전 시기의 국가 공직을 이르는 표현으로는 관직이 일반적이었다. 한국의 경우, 조선 시대까지 관직의 토속어로서 벼슬 또는 사또라는 말이 많이 쓰였다.

아무리 뛰어난 군주라도 혼자서 나라의 모든 업무를 감당할 수 없는 노릇이었기에, 보다 효율적으로 나라를 다스리기 위해서 관리를 뽑아 그에 걸맞은 관직을 부여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것이 국가운영의 기본이었다. 관직 하나를 놓고 보더라도 해당 관직에 배정할 업무와 봉록의 책정, 부임 기간 등등 고려할 요소가 적지 않은데, 큰 나라일수록 자연히 관리의 수가 많아지고 그에 따라 관직의 종류와 등급도 우후죽순으로 늘어나기 마련이니 이러한 관직의 체계와 제도를 잘 정비하는 것이야말로 그 나라가 발전할 수 있는 길이라 할 수 있었다.

특히 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이 무능하거나, 혹은 부패하여 딴 마음을 먹는 바람에 끝내 나라의 멸망을 초래한 역사적 사례도 있는 만큼 관직을 부여할 인재를 고르는 지도자의 안목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2. 관직의 구분

보통 옛 시대의 관직이라 하면 학문을 익혀 내정과 외정을 하는 문관직과 군사적 업무를 전문으로 담당하는 무관직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무관 대신 문관이 군의 최고 지휘권자로 임명되어 전쟁을 수행하거나, 반대로 무관직 출신이 문관직으로 옮기는 경우도 존재했기에 문·무관직이 확연히 분리되어 있었다고 보는 것은 약간 애매하다.

3. 관직에 따른 대우

한반도의 경우, 시대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대개 문관직이 무관직보다 높은 대우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 시대의 문관직은 종1품까지[1] 있었지만, 무관직이 오를 수 있는 최고 품계는 정3품까지[2]였고 조선 시대에도 과거 제도 중 무과는 문과보다 격이 낮았던 데다가 고려와 마찬가지로 무반으로서 오를 수 있는 최고 품계는 정3품까지였다.[3]

고려에서는 전시에 삼군을 통솔하는 총사령관에 문관을 임명했기 때문에 무관직 출신의 장수들은 항상 문관의 지휘를 받으며 전쟁을 수행해야 했다. 논공행상에서는 당연히 총사령관이 가장 높은 공을 인정받을 수밖에 없는 노릇이고, 그 밑에서 전쟁을 수행한 무관직 장수들은 아무리 뛰어난 공을 세워도 기껏해야 3품 상장군까지 출세하는 게 고작이었다.

게다가 현종 시절에는 백관의 녹봉 지급을 위해 경군의 영업전을 회수하여[4] 녹봉으로 지급하자 김훈-최질 등이 반란( 김훈·최질의 난)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한 사건이 있었으며, 의종 시절에 이르러 무관직에 대한 차별대우 때문에 불만이 폭발한 장수들이 반기를 들어 무신정변이 일어나 한바탕 피바람이 불었을 정도였다. 무신정변의 결정적인 계기가 된 이소응 사건은 당시 고려 시대의 공직 사회에서 무관직에 대한 인식과 대우가 어떠했는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나마 조선은 고려보다는 무반에 대한 대우가 나은 편이었으므로 차별대우로 인해 무신정변과 같은 극단적인 사건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학문을 중시했던 조선의 양반들은 과거 시험에서 무과보다는 문과를 높게 여겼고, 무과는 상대적으로 천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만 조선 무신들은 고려와는 다르게 일부는 정승에 오른 경우도 있었고 적어도 판서를 하는 경우는 있었다.

4. 국가별 관제

아래 설명은 정확히는 관직이 아닌 품계에 대한 설명이다. 실제 임명될 땐 관품에 따른 품계칭호를 받고 뒤에 실제 관직명을 붙이는 게 정식 명칭이다.

ex)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 ㅇㅇㅇ 이런 식으로 붙인다.

4.1. 한국

4.1.1. 고조선

기록이 적은 탓에 고조선의 관직 제도는 자세히 알 방도가 없지만 대부(大夫), 박사(博士), 상(相), 대신(大臣), 경, 비왕, 장군 등의 관직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고대 국가가 갖춰야 할 기본적인 관제 정도는 존재했으리라 추측된다.

4.1.2. 고구려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의 관직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초기 ]
{{{#!wiki style="margin:-5px 0 -5px"
<rowcolor=#fff> 관등 관명 진출 관직
1등 패자(沛者)
대로(對盧)
중외대부(中畏大夫) 국상(國相)
←좌보(左輔)·우보(右輔)
대보(大輔)
2등 주부(主簿)
3등 우태(于台)
4등 승(丞) ※ 상가(相加), 고추가(古鄒加) 등은 작위로 추정됨.
5등 사자(使者)
6등 조의(皂衣)
7등 선인(先人)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전기 ]⠀
{{{#!wiki style="margin:-5px 0 -5px"
<rowcolor=#fff> 관등 관명 진출 관직
1등 대로(對盧) 국상(國相)
2등 대주부(大主簿)
3등 대사자(大使者)
4등 대형(大兄) 태수(太守)
5등 주부(主簿)
6등 소사자(小使者)
7등 소형(小兄) 재(宰)
8등 선인(先人)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중기 ]⠀
{{{#!wiki style="margin:-5px 0 -5px"
<rowcolor=#fff> 관등 관명 진출 관직
1등 대로(對盧) 국상(國相)
2등 대주부(大主簿)
3등 태대사자(太大使者)
4등 태대형(太大兄)
5등 대사자(大使者) 태수(太守)
수사(守事)
6등 대형(大兄)
7등 주부(主簿)
8등 발위사자(拔位使者) 재(宰)
신라토내당주(新羅土內幢主)
9등 상위사자(上位使者)
10등 소형(小兄)
11등 선인(先人)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후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rowcolor=#fff> 관등 관명 진출 관직
1등 토졸(吐捽) / 대로(對盧) / 대인(大人) / 대대로(大對盧) 대대로(大對盧)
2등 태대형(太大兄) / 막하하라지(莫何何羅支) 막리지(莫離支)
3등 울절(鬱折) / 주부(主簿)
4등 태대사자(太大使者) / 대부사자(大夫使者) / 알사(謁奢) / 태상(太相) 발고추가(拔古鄒加)
5등 위두대형(位頭大兄) / 조의두대형(皂衣頭大兄) 대모달(大模達) / 막하라수지(莫何邏繡支) / 대당주(大幢主)
6등 대사자(大使者) / 대사(大奢)
7등 대형(大兄) / 힐지(纈支) 욕살(傉蕯)
처려근지(處閭近支) / 도사(道使)
말객(末客) / 말약(末若) / 군두(郡頭)
8등 발위사자(拔位使者) / 유사(儒奢)
9등 상위사자(上位使者) / 계달사(契達奢) / 을사(乙奢)
10등 소형(小兄) / 실지(失支) 국자박사(國子博士)
태학박사(太學博士)
사인(舍人)
통사(通事)
전객(典容)
당주(幢主)
11등 제형(諸兄) / 예속(翳屬) / 이소(伊紹) / 하소환(河紹還)
12등 과절(過節)
13등 불절(不節)
14등 선인(先人) / 실원(失元) / 서인(庶人) }}}}}}}}}
}}}


초기 고구려는 국왕 밑에 상가(相加)와 대로(對盧) 등의 여러 관직을 두어 국정을 다루다가 점차 나라가 발전하면서[5] 12관등, 14관등의 체계적인 관제가 정립되기에 이른다. 초기 고구려의 최고 관직으로는 현대의 수상에 해당하는 국상(國相)이 있었으며, 그 외에 중외대부(中畏大夫)와 주부(主簿) 등 나라의 내정을 담당했던 문관직이 있었다. 고구려의 무관직으로는 최고위직인 대모달(大模達)[6][7]과 대모달 다음가는 고위 무관직인 말객(末客)[8] 등이 확인된다.

국상은 후에 대대로(大對盧)와 막리지(莫離支) 등으로 개편되었으며 고구려 말기에는 나라의 군권과 행정을 모두 총괄하는 최고 관직인 대막리지(大莫離支)가 신설되었다.

4.1.3. 백제

제1품 좌평(佐平) 내신좌평(內臣佐平), 내두좌평(內頭佐平), 내법좌평(內法佐平),
위사좌평(衛士佐平), 조정좌평(朝廷佐平), 병관좌평(兵官佐平)
제2품 달솔(達率)
제3품 은솔(恩率)
제4품 덕솔(德率)
제5품 한솔(扞率)
제6품 나솔(奈率)
제7품 장덕(將德)
제8품 시덕(施德)
제9품 고덕(固德)
제10품 계덕(季德)
제11품 대덕(對德)
제12품 문독(文督)
제13품 무독(武督)
제14품 좌군(佐軍)
제15품 진무(振武)
제16품 극우(克虞)
백제는 초기에 좌보(左輔)와 우보(右輔)를 각각 군정과 내정의 최고 책임자로 임명하여 나라의 대소사를 다루었다가 고이왕 대에 우보와 좌보가 폐지되고 6좌평 16관등의 관제가 자리잡게 된다. 최고 관직인 제1품 좌평(佐平)은 수상격인 내신좌평을 필두로 국정의 전반을 다루었으며, 좌평 밑에는 2~6품 솔(率)과 7~11품 덕(德) 등의 하위 관등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백제의 무관직에 대해서는 병마권을 관장하는 좌장(左將)이라는 관직 외에는 뚜렷한 자료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사항은 알 수가 없다. 백제의 장군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계백의 관직이 2품 달솔(達率)이었다는 것을 미루어 볼 때 백제의 문관직이 군정를 겸하는 경우가 있었을 것이라 추측될 뿐.

4.1.4. 신라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골품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4a2d5b> 17관등
서열
관등명
장관
9주
5소경
차관
<colbgcolor=white,#191919>
}}}}}}}}} ||



신라는 법흥왕 때 17등급의 관위를 정하고 골품제에 따라 관리가 오를 수 있는 관등에 제한을 엄격히 두었다. 골품제에 따라 진골은 최고 관직인 1등급 이벌찬(伊伐湌)을 비롯한 신라의 최상위 관직을 독점하여 정권을 주도하였고, 그 이하의 6두품은 6등급 아찬(阿飡), 5두품은 10등급 대나마(大奈麻), 4두품은 12등급 대사(大舍)까지가 승진의 한계선이었기 때문에 신라의 공직 사회에는 관위에 따른 철저한 차별 대우가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이벌찬과 상대등이 비교되는 경우가 많은데 오늘날의 이벌찬은 1급 공무원이고, 상대등은 국회의장/상원의장과 비슷하다. 상대등은 화백회의 참석자중 우두머리이다.

신라의 무관직 또한 관리의 관등에 따라 엄격히 구분되었는데, 장군과 같은 군의 요직에는 오직 진골 신분을 가진 5등급 관위 이상의 관리만이 임명되었다. 이를 보아 신라의 무관직도 문관이 임명되어 군정을 수행했으리라 추측된다. 고구려의 대모달이나 백제의 좌장처럼 군사 분야를 전담하는 무관직이 존재했는지는 불명.

고구려의 대막리지처럼 최상위 관직으로 대각간(大角干), 태대각간(太大角干)이 있었는데, 각간(=이벌찬)에 클 대, 클 태를 붙인 것. 중국의 상국처럼 상설직이 아닌 임시직이었다. 신라 천 년 역사상 태대각간은 김유신 김인문 두 명밖에 없었다.

통일 후 통일신라 때도 쓰였고, 태봉 후백제도 신라의 관직체계를 가져다 썼다. 고려도 초기에 잠깐 신라의 관등체계를 조금 변형해서 사용하기도 했다.

4.1.5. 고려

고려의 품계는 종1품이 일반신하로서 올라갈 수 있는 최고의 품계였다. 정1품은 명예품계로서 현직에 있을 때 받는 품계가 아니었다. 명목상 문반과 무반 모두 종1품 이하의 품계가 정해져 있었으나 실제로는 무신정변 이전까지 무반의 최고 품계는 정3품이 한계였다. 물론 고려의 문 · 무관은 모두 문산계를 받았다. 중국과 달리, 문산계만으로도 관직을 정비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무산계는 무신들이 아닌 지방 향리, 탐라 왕족, 전직 관료, 종친들을 위한 명예직으로 기능했다.
문종30년 기준[9]
직품 문산계 무산계
정1품
종1품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표기 대장군(驃騎大將軍)
정2품 특진(特進)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
종2품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진국대장군(鎭國大將軍)
정3품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 관군대장군(冠軍大將軍)
종3품 광록대부(光祿大夫) 운휘대장군(雲麾大將軍)
정4품 상계(上) 정의대부(正議大夫) 중무 장군(中武將軍)
하계(下) 통의대부(通儀大夫) 장무장군(將武將軍)
종4품 상계(上) 대중대부(大中大夫) 선위장군(宣威將軍)
하계(下) 중대부(中大夫) 명위장군(明威將軍)
정5품 상계(上) 중산대부(中散大夫) 정원장군(定遠將軍)
하계(下) 조의대부(朝儀大夫) 영원장군(寧遠將軍)
종5품 상계(上) 조청대부(朝請大夫) 유기장군(遊騎將軍)
하계(下) 조산대부(朝散大夫) 유격장군(遊擊將軍)
정6품 상계(上) 조의랑(朝議郞) 요무장군(耀武將軍)
하계(下) 승의랑(承議郞) 요무부위(耀武副尉)
종6품 상계(上) 봉의랑(奉議郞) 진위교위(振威校尉)
하계(下) 통직랑(通直郞) 진무부위(振武副尉)
정7품 상계(上) 조청랑(朝請郞) 치과교위(致果校尉)
하계(下) 선덕랑(宣德郞) 치과부위(致果副尉)
종7품 상계(上) 선의랑(宣議郞) 익위교위(翊尉校尉)
하계(下) 조산랑(朝散郞) 익휘부위(翊麾副尉)
정8품 상계(上) 급사랑(給事郞) 선절교위(宣折校尉)
하계(下) 징사랑(徵事郞) 선절부위(宣折副尉)
종8품 상계(上) 승봉랑(承奉郞) 어모교위(禦侮校尉)
하계(下) 승무랑(承務郞) 어모부위(禦侮副尉)
정9품 상계(上) 유림랑(儒林郞) 인용교위(仁勇校尉)
하계(下) 등사랑(登仕郞) 인용부위(仁勇副尉)
종9품 상계(上) 문림랑(文林郞) 배융교위(陪戎校尉)
하계(下) 장사랑(將仕郞) 배융부위(陪戎副尉)

4.1.6. 조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산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7. 대한민국

공무원은 민주국가의 직업에 해당되기 때문에 그 계급/등급/직급/직위 등을 왕조국가의 관직에 등치할 수 없다. 공무원/계급 문서로.

4.2. 중국

4.2.1. 진~삼국시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삼국지/관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2. 당~오대십국

4.2.3. 명~청시대

4.3. 일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근대 일본의 관위와 역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로마

4.4.1. 고대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파일:투명.png
고대 로마의 관직
Cursus Honorum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00201>
황제
Imperator Caesar Augustus
고위 관직
Magistratus
<colbgcolor=#DFFFBF>
평민 관직
Magistratus Plebis
속주 총독
Rector Provinciae
원로원 속주 총독\ A]
Proconsul
황제 속주 총독
Legatus Augusti pro Praetor
황제 속주 행정관
Procurator
원로원 속주 총독\ B]
Proconsul
{{{-3 {{{#!wiki style="margin: -15px -10px" 임페리움(군사 지휘권)을 가진 관직
평민이 취임할 수 있는 관직
밑줄 민회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관직
[A] 아시아와 아프리카 속주에는 전직 집정관이 파견됨.
[B] 이 속주들에는 전직 법무관이 파견됨. 그러나 호칭은 여전히 프로콘술. }}}}}} }}}}}}}}}

4.4.2. 중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유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세 문서
3.2.5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동로마 제국에서는 특유의 관료제가 중세에도 운영되었으나, 서로마 제국 해체 후의 서유럽권에서는 초기에는 고트족들의 서 왕국 프랑크 왕국들이 서로마 제국의 관제를 일부 도입한 것 외에는 전무했지만 8~10세기 동안 혼란기 끝에 지방관직들이 점차 이를 보유한 유력자에 의하여 작위로 변모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후 중기인 11세기 이후부터 각지 군주들이 지방권력을 제압하고 중앙집권제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관료제를 형성하게 되었다.


[1] 중서문하성 소속 문하시중. [2] 응양군 소속 상장군. [3] 다만 조선에서 정2품부터는 문·무반의 구분을 가리지 않았기 때문에 무반이 문반보다 낮은 대우를 받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렇지만 조선은 설립 배경 자체가 쿠데타인지라 조선 왕가와 사대부들은 제2의 이성계가 나오는 것을 굉장히 히스테리적으로 경계를 했다. 이순신 장군이 당시 조정에 천대를 받고 견제를 받은 것도 이러한 사상이 이어져 온 것이다보니 무반의 인물이 너무 잘해도 조정에서는 위험하게 생각하는 약간 애매한 위치에 놓여 있기는 했다. [4] 경군은 고려의 중앙군을 이르는 말이고 영업전은 고려 시대에 국가에서 양반과 군인 등에게 지급했던 토지였는데 경군의 영업전 회수는 경군을 지휘하는 고려의 고위 무관직들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5] 통상 율령을 반포한 소수림왕 때로 본다. [6] 대당주(大幢主)로 불리며 각 당을 이끄는 말객들을 지휘하는 연합부대장의 역할 [7] 역사학자인 안정준 교수에 따르면 대모달과 말객은 관직명과 관등명만이 남아있어 언제부터 고구려 무관직으로 나타난 것인지는 알 수 없다고 한다. 다만, 고구려의 왕권강화에 따른 관제의 정비와 더불어 고구려 후기에는 확실한 존재로 자리잡았음을 알 수 있다. [8] 군두(郡頭)라고도 불리며 1000명의 병사들로 구성된 당(幢)을 이끄는 당주(幢主). 말객이란 명칭은 대모달과 마찬가지로 관제 정비를 통해 고구려 후기에는 확실히 사용되었으나 관직명과 관등명만이 남아있어 고구려 초중후기 중 정확히 어느 시대부터 사용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고 한다 [9] 충렬왕 원년(1275년)에 황제국의 제도를 전부 고치는 때까지 적용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