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23:20:01

비류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온조왕 다루왕 기루왕 개루왕
<rowcolor=#fbe673>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초고왕 구수왕 사반왕 고이왕
<rowcolor=#fbe673>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책계왕 분서왕 비류왕 계왕
<rowcolor=#fbe673>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근초고왕 근구수왕 침류왕 진사왕
<rowcolor=#fbe673>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아신왕 전지왕 구이신왕 비유왕
<rowcolor=#fbe673>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개로왕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rowcolor=#fbe673>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무령왕 성왕 위덕왕 혜왕
<rowcolor=#fbe673> 제29대 제30대 제31대
법왕 무왕 의자왕
}}}}}}}}}}}}

비류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백제의 왕자
[[틀:백제의 왕자/온조왕 ~ 진사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006666;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AB2D, #4CCB3B 20%, #4CCB3B 80%, #3DAB2D);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왕 · 태자
왕자 : 온조왕 ~ 진사왕 · 아신왕 ~ 의자왕
? 아들인지 논란이 있는 경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1대 2대 3대 4대
초고왕 구수왕 사반왕 비류왕
<rowcolor=#fbe673> 5대 6대 왕권 장악
근초고왕 근구수왕 초고왕계 왕권 확립 }}}}}}}}}
백제 제11대 국왕
비류왕 | 比流王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출생
(음력)
234년 전후 (추정)[1]
백제
사망
(음력)
344년 10월 (향년 110세 전후 추정)
백제
능묘 미상
재위기간
(음력)
백제 제11대 국왕
304년 10월 ~ 344년 10월 (40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성씨 부여(扶餘) / 우(優)(?)[2]
비류(比流), 문휴해(汶休奚)(?)[3]
부왕 구수왕(?)[4]
형제자매 부여사반(?), 우복[5]
왕후 초고의 모후
자녀 2남
왕자[6], 부여초고
왕호 비류왕(比流王) }}}}}}}}}

1. 개요2. 계보상의 미스터리
2.1. 비류의 모델이 된 인물인가?
3. 생애4. 《 삼국사기》 기록5. 드라마 근초고왕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백제의 제11대 군주이자 건길지. 백제의 시조 온조의 형인 비류나 제20대 군주인 비유왕과는 다른 인물이다. 살았던 시대도 다르고 각각 한자 표기도 다르다.

윌리엄 백스터와 로랑 사가르의 2014년 재구에 따르면 沸流의 상고한어 발음은 /*Nə.p[u\][t\]-sru/이고, 比流의 상고한어 발음은 /*C.pijʔ.ru/로 둘은 전혀 달랐다. 상고한어를 제시하는 까닭은 당대 한반도에서의 한자음이 상고한어 발음과 유사했으리라고 학자들이 여기기 때문이다. 단, 비류의 다른 표기인 避流의 발음은 당시의 고대 한국어에서 比流와 차이가 거의 없었다. 만요가나에서 모두 에 대응되기 때문. 결정적으로 상고어에서 자음이 ㅂㄹ 계통이면 십중팔구 을 뜻하는 단어다.

2. 계보상의 미스터리

삼국사기》에는 구수왕의 둘째 아들이라고 적혀 있는데 아무리 봐도 이상하다. 구수왕이 죽은 지 70년이 지난 뒤에 왕위에 올라 40년을 재위했기 때문. 구수왕이 234년에 죽었기 때문에 구수왕의 유복자로 가정해 235년에 태어났다 쳐도 344년에 사망했으니 대략 110세에 죽은 셈인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계보 조작이 있었을 가능성이 큰 것이다. 혹은 초고왕의 아들이라고도 하는데 이렇게 되면 나이가 심하게 많아져 삐꾸난다. 초고왕이 구수왕의 아버지가 되기 때문에 30살 정도 많아져 버리는 것이다.[7] 사실 《삼국사기》에 기록된 백제 초기 왕들의 수명은 비상식적으로 길어서 정확성이 의심되는 부분이 많으며 비류왕 역시 그 중에 1명이다.[8] 비류왕은 구수왕의 아들이 아닌 후손일 거란 가설도 있다.

일단 여기에 근거하여 비류왕 - 근초고왕 - 근구수왕 - 침류왕으로 이어지는 왕통을 초고왕계라고 부른다. 이로 인해 나오는 추정은 비류왕의 즉위가 백제 왕실 지파(枝派)들 사이의 세력 교체[9]와 함께 이루어졌다는 것이며, 비류왕의 혈족 관계와 재위년 사이의 모순도 그와 같은 왕실 지파 간의 세력 교체에 대한 역사 서술과 관련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구수왕과의 관계 외에도 비류왕 즉위 기사에서 대놓고 '오랫동안 평민으로 살면서 이름을 떨쳤다(久在民閒, 令譽流閒)'는 기록이 나오는데 분서왕 사망 당시 왕위 계승과는 멀었던 인물인 점은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

책계왕 분서왕이 모두 낙랑군과의 분쟁에서 전사하거나 암살당했고 이로 인해 고이왕계의 세력은 타격을 입게 되었다. 초고왕계인 비류왕의 즉위는 바로 이때 이루어졌다. 이후 계왕을 거쳐 근초고왕이 즉위하는 걸로 봐서는 정황상 맞는 말.

분서왕의 죽음에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관련이 있을 것으로 유력하게 추정되고 있다.

아무튼 비류왕이 즉위할 때 나이가 꽤 있었던 것은 맞는 듯 하다. 즉위 때 기록을 보면 성품이 너그럽고 인자하며 오랫동안 평민 생활을 했는데도 백성들 사이에서 명성이 높았다고 한다. 암살당한 전왕 분서왕의 아들이 여럿 있었는데도 모두 어려서 왕위에 오를 수 없어 비류가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고 한다.

2.1. 비류의 모델이 된 인물인가?

때문에 합리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몇 가지 학설이 있는데 백제 건국 신화와 비교해 온조왕과 동일시된 근초고왕의 형이자 일반명사로 부족장을 뜻하는 우태(優台)의 아들인 비류(沸流)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이 경우 비류왕의 서제인 우복이 우(優)씨로 보이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다만 이 해석의 경우는 비류가 건국 시조가 되어야 하고, 중국 측 사서도 존재하는데 왜 김부식이 《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온조왕 시조설을 주로 하고, 비류 시조설을 추가로 더했는지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일단 비류 시조설이 온조 시조설보다는 앞선 것으로 본다.

3. 생애

즉위 기록에서 인자하며 힘이 세고 활을 잘 쏘았으며, 명성이 높았다고 추켜세운 것과 달리 이후 업적은 《삼국사기》만 보면 별다른 게 없어 40년 내내 평화 정책만 고수한 걸로 보인다. 전쟁이나 외교와 관련된 기록은 거의 없고, 천재지변, 반란, 사냥, 선정에 대한 기록만이 전해진다.

그러나 비류왕 재위기는 당시 동아시아 정세의 격변기였다. 당장 중국의 서진 제국이 팔왕의 난 영가의 난으로 무너져 오호십육국시대의 극심한 혼란기에 접어들었다.

서진의 통제를 받던 한사군도 311년 8월 고구려 미천왕 압록강 하구로 추정되는 서안평(西安平)을 정복하자 중국 본토와의 연결고리가 끊기고 급격히 약화되어, 분서왕을 암살했다는 낙랑군은 313년 미천왕의 공격으로 망하고, 다음해인 314년에는 대방군도 고구려에 의해 축출당하면서 백제 북변 거의 전체를 고구려가 차지하게 되었다. 이렇게 백제 북쪽에서 기존 세력들이 뒤집어지는 격동의 상황하에서 기록이 없어 그렇지 비류왕 시대 백제에 전쟁이 아예 없었을 거라고 보기는 어렵다. 하다못해 북쪽의 전란에 방어 태세를 갖추고 대비한다는 정도의 기록은 당연히 있어야 할 상황인데 그런 게 없다.[10]

북쪽 외에 남쪽으로도 이 시기는 원삼국시대를 이탈하여 삼국시대[11]로 본격 진입하는 시기인데 비류왕 다음 세대인 근초고왕 대에 남해안의 마한 소국을 제압하고, 변한 소국들 및 일본( 야마토 왕권)과 마주치게 되는 것으로 보아 책계왕~비류왕 사이의 4세기 동안 충청도 전라북도 지역의 마한 지역을 통합해 나가면서 우리가 아는 고대 국가 백제로서의 영역을 확립해 나가는 시대였을 가능성이 높다.[12] 뒤이어 나오는 벽골제의 건설 같은 것도 적극적으로 해석해 본다면 이 시기 근방의 해당 지역이 통제하에 들어왔다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겠다. 이렇게 된 건 비류왕 시기에 있었던 일들 중 일부가 이전 백제 왕의 기사 혹은 이후 백제 왕의 기사로 넘어가서 생겼을 개연성이 매우 높다.

고고학적으로는, 3세기 후반경 책계왕 시대에 일단 복속되어 크게 쇠퇴하였으나 세력은 유지하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청당동 목지국 본류 세력이, 그마저도 유지못하고 아예 해체된 게 바로 비류왕 재위기인 4세기 중반인 걸로 드러난다. 동시에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용원리와 충청북도 청주시 지역을 거점으로 삼았던 세력의 유물에서 백제 왕실과 직접 관계가 있어보이는 유물이 증가하는 걸로 보면, 비류왕 시기에 청주 세력과 목지국의 방계에 해당하는 용원리 세력을 의도적으로 지원하고 키워주면서 목지국을 완전히 제압하는데 성공했을 가능성이 크다.

312년 2월, 신하들을 보내어 백성들의 질병과 고통을 살펴보고 홀아비, 과부, 고아, 늙어서 자식없이 외롭게 지내는 사람들을 도와주었다. 그 중에서도 스스로 생활할 수 없는 자에게는 곡식을 한 사람당 3섬씩 주었다.

321년 정월, 왕의 서제(庶弟) 우복(優福)을 내신좌평(內臣佐平)으로 삼았다.

327년, 우복은 북한산성을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켰지만 진압당했다.

333년, 진의(眞義)를 내신좌평으로 삼았다.

337년 2월, 신라와 수교하였다. 다만 《 삼국유사》에 비류왕- 근초고왕 시기이자 신라에서 재위했던 흘해 이사금 시기에 백제 병사가 처음으로 신라를 공격했다는 기사가 존재해, 신라와 충돌했을 가능성도 있다.

40년이나 재위했음에도 자연재해 기록이 대부분이다.

4.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삼국사기》 <비류왕 본기>
一年冬十月 비류왕이 즉위하다
五年春一月一日 일식이 일어나다
九年春二月 관리를 파견하여 지방을 순회하다
九年夏四月 동명왕의 사당을 배알하다
九年 해구를 병관좌평으로 임명하다
十年春一月 남쪽 교외에서 천지신명에게 제사지내다
十三年 가뭄이 들고 큰 별이 서쪽으로 흘러가다
十三年夏四月 수도에 우물이 넘치고 흑룡이 나타나다
十七年秋八月 대궐의 서쪽에서 활쏘기 연습하다
十八年春一月 우복을 내신좌평으로 임명하다
十八年秋七月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二十二年冬十月 하늘에서 풍랑이 부딪치는 소리가 들리다
二十二年冬十一月 구원에서 사냥하다
二十四年秋七月 이상한 모양의 구름이 형성되다
二十四年秋九月 내신좌평 우복이 반란을 일으키다
二十八年 봄과 여름에 큰 가뭄이 일어나다
三十年夏五月 대궐에 화재가 발생하여 민가로 번지다
三十年秋七月 대궐을 수리하다
三十年冬十二月 우레가 치다
三十二年冬十月一日 일식이 일어나다
三十三年春一月 혜성이 규성좌에 나타나다
三十四年春二月 신라에서 사절을 보내 예방하다
四十一年冬十月 비류왕이 죽다

5. 드라마 근초고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류왕(근초고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명성왕
비류국
비류왕
덕좌왕
장남
13대
근초고왕
12대
계왕
14대
근구수왕
부여신제
19대
구이신왕
부여주
순타태자
26대
성왕
(?)
부여법사
28대
혜왕
(?)
아좌태자
29대
법왕
30대
무왕
부여교기
32대
풍왕
부여선광
부여문사 부여문선 부여덕장
부여사
부여창성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부녀,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1] 구수왕의 아들이라는 기록이 사실일 경우. [2] 일단 초고왕계로 기록되어 있기는 한데 정작 이복동생인 우복은 우씨다. [3] 《신찬성씨록》에 등장하는 가문 중 비류왕과 문휴해를 모두 조상으로 모시는 가문이 있다. 참고로 문휴해도 비류왕과 똑같이 초고왕의 손자로 나와있다. [4] 연대상 심하게 차이나는 이유로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크지만, 그렇다고 다른 기록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결론은 알 수 없다로 귀결된다. [5] 비류왕의 배다른 아우. [6] 근초고왕의 형. [7] 이 때문에 드라마 근초고왕에서는 중간에 흑강공 사훌이라는 가공 인물을 등장시켜 그를 구수왕의 아들이자 비류왕의 아버지로 설정하기도 했다. [8] 이는 고이왕도 마찬가지이며 수명은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계보 조작이 의심되는 백제왕으로써는 근초고왕이 있다. 이 세 왕의 공통점은 삼국사기에 셋 다 둘째 아들로 기록 되어 있단 것이다. [9] 이 지파들은 온조-초고왕계 / 비류-고이왕계로 보인다. [10] 비록 한사군을 멸망시킨 건 고구려지만 백제도 한사군의 한족 유민들을 대거 받아들였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375년에 《 서기》를 편찬하는 고흥이 한군현계 인물로 추정되고 있다. [11] 사실 진한 변한 지역을 보면 4세기에도 진짜 3국은 전혀 아니다. [12] 중국 정사인 《 삼국지》( 2세기 말~ 3세기 초 기록으로 추정)에서 마한은 54개 국이며 그 중 하나가 백제국으로 기록되어 있다. 2세기 말까지의 백제 역사로 기록된 것은, 도시국가 백제의 이야기에 여러가지 주변 지역 이야기를 덧붙였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