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02:44:49

직속상관

1. 개요2. 군대에서

1. 개요

직속상관(直屬上官 / immediate superior[1])은 자신이 직접 속한 부서의 상관이다.

자신이 속한 곳이 이라면 팀장이 직속상관이 될 것이고 부라면 부장, 과라면 과장이 될 것이다. 선임과는 다른 개념이다. 같은 부서 내에 선임은 여럿이 있을 수 있지만 직속상관이라 하면 보통 부서의 장(으뜸)을 뜻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신이 속한 분대의 분대장, 소대의 소대장, 중대의 중대장, 대대의 대대장 등이 직속상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보통은 상관들의 지시가 겹칠 경우 직속상관 지시가 우선이다, 한 예시로, 당신이 행정부 소속 9급 국가공무원일 경우, 국회의장 지시보다 당신의 직속상관이 8급이라고 해도 그 직속상관의 명령이 우선이다. 물론 이런 극단적 상황이 나올 리가 없긴 하지만(.......)

2. 군대에서

직속상관 관등성명으로 나타나게 된다. 대체로 아래의 순서를 따른다. 대한민국 육군 작전사령관, 군단장, 사단장 또는 여단장( 연대장)[2], 대대장, 중대장, 소대장 순으로 내려오고 해군은 작전사령관, 함대사령관, 전단장, 전대장, 함장이나 정장 등의 순으로 내려올 것이다. 공군은 비행보직은 작전사령관, 공군기능사령관, 비행단장, 전대장, 대대장, 편대장 순으로, 기행보직은 작전사령관, 공군기능사령관, 비행단장 / 방공포여단장, 전대장 (방공포여단에는 없는 보직), 대대장, 운영통제실장 / 중대장, 반장 순으로 내려올 것이다. 대한민국 해병대 해병대사령관, 사단장 또는 여단장 또는 단장, 대대장, 중대장, 소대장 순으로 내려올 것이다.

지휘관 사무실에서 볼 수 있고, 1단계+2단계 상위 지휘관까지 적혀 있다. 즉, 중대장 사무실에 걸려있는 직속상관 현판에는 대대장과 여단장이 적혀있다.[3] 그러나 2단계 상위 지휘관이 없으면 1단계 상위 지휘관까지만 적혀 있다.[4]
  • 군단 직할대
    • 군단장실: 작전사령관
    • 단장실 및 연대장실: 작전사령관, 군단장
    • 대대장실: 군단장, 단장(연대장)[5]
    • 중대장실: 단장(연대장), 대대장[6]
    • 생활관 및 소대장실: 대대장(단장/연대장), 중대장
  • 군단 휘하 독립여단
    • 여단장실: 작전사령관, 군단장
    • 대대장실: 군단장, 여단장
    • 중대장실: 여단장, 대대장[7]
    • 생활관 및 소대장실: 대대장(여단장), 중대장
  • 사단 직할대
    • 사단장실: 작전사령관, 군단장[8]
    • 대대장실: 군단장(작전사령관), 사단장
    • 중대장실: 사단장, 대대장[9]
    • 생활관 및 소대장실: 대대장(사단장), 중대장
  • 사단 휘하 여단
    • 여단장실: 군단장(작전사령관), 사단장
    • 대대장실: 사단장, 여단장
    • 중대장실: 여단장, 대대장[10]
    • 생활관 및 소대장실: 대대장(여단장), 중대장
  • 교육연대
    • 연대장실:
    • 교육대장실:
    • 중대장실: 연대장, 교육대장
    • 생활관 및 소대장실: 교육대장, 중대장[11]

자신의 위에 직접 속한 상관만이 직속상관이다. 옆 부대 사단장이라든지, 옆 중대장, 다른 예하부대 지휘관 등은 직속상관은 아니며 가끔 장난삼아 지휘관이 아닌 지휘자 분대장을 넣기도 한다.

[1] 이렇게도 쓸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에게 보고한다(report to)’를 쓴다. ‘나의 직속상관은 사장이다’라고 쓰는 대신 ‘나는 사장에게 보고한다(I report to the CEO)’라고 쓰는 셈이다. [2] 2020년 12월부터 야전부대에서는 연대편제가 사라졌지만 특공연대, 육군훈련소 신병교육연대 등 일부 부대에서는 아직까지 연대편제가 존속하고 있다. [3] 사단 직할대의 경우 대(대)장과 사단장이 적혀있다. [4] 이와 별개로 장성급 지휘관 집무실에는 대통령 사진이 걸려있다. [5] 군단 직할대대인 경우 단장실(연대장실)과 동일하다. [6] 단(연대) 직할중대의 경우 대대장실과 동일하다. [7] 여단 직할중대인 경우 군단장과 여단장의 관등성명이 적힌다. [8] 제36보병사단, 제55보병사단, 제2작전사령부 소속 사단들은 군단장이 존재하지 않기에 작전사령관 관등성명만 적힌다. [9] 사단 직할중대인 경우 군단장(혹은 작전사령관)과 사단장의 관등성명이 적힌다. [10] 여단 직할중대인 경우 사단장과 여단장의 관등성명이 적힌다. [11] 제3수송교육연대는 거기에 더해 연대장의 관등성명까지 적혀있다. 또한 마장교육대는 3개의 중대가 같은 막사를 사용하고 생활관 배치도 유동적이므로 중대장의 관등성명도 3명이 적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