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
신기 습곡산맥) ·
단층(
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
||||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
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
||||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
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
||||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
||||
전체 지진 목록
목록
|
||||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
||||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
||||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
||||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 |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 ||||
발생 국가: 미국 | ||||
<rowcolor=#000,#e4e4e4> 발생 시각 ( UTC-8) | 규모 | 진원 | 최대 진도[1] | |
2025년 01월 01일 18시 34분 04초 |
Mw 4.7 | 미국 캘리포니아주 코브 북북서쪽 4km 지역 | Ⅶ | |
쓰나미 여부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
||||
[1]
USGS Shakemap 기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50%, #d52b1e 50%),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15%, #fff 15%, #fff 18%, transparent 18%), linear-gradient(to right, #0032a9 33%, #fff 33%)"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0032a9>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잉카 제국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칠레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칠레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TIAR | |
경제 | 경제 전반 · 칠레 페소 | |
국방 | 칠레군 · 칠레 해군 · 칠레 공군 | |
교통 | 마타베리 국제공항 · 코모도로 아르투로 메리노 베니테스 국제공항 · 산티아고 지하철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요리 ·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 · 포도주/칠레 · 스페인어 · 세계유산 | |
인물 | 베르나르도 오이긴스 · 살바도르 아옌데 ·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 알레한드로 호도로프스키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
지리 | 산티아고 데 칠레 · 아타카마 사막 · 이스터 섬 · 파타고니아 · 티에라델푸에고 · 발파라이소 · 콘셉시온(칠레) · 푸에르토 몬트 · 푼타아레나스 · 안토파가스타 · 라 세레나 · 테무코 · 이키케 · 랑카과 · 탈카 · 아리카(칠레) · 치얀 · 칼라마 · 코로넬(칠레) · 로타(칠레) · 코피아포 · 발디비아 · 퀼로타 · 오소르노 · 쿠리코(칠레) · 산 안토니오(칠레) · 푸에르토 바라스 · 코이아이케 · 지진/칠레 | |
민족 | 칠레인 · 마푸체 · 스페인계 칠레인 · 독일계 칠레인 · 크로아티아계 칠레인 · 아랍계 칠레인( 팔레스타인계 칠레인) · 그리스계 칠레인 · 아일랜드계 칠레인 · 영국계 칠레인 · 한국계 칠레인 · 프랑스계 칠레인 · 이탈리아계 칠레인 · 중국계 칠레인 | |
기타 | 그란 토레 산티아고 |
1. 개요
칠레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해 서술한 문서.칠레는 영토 전체가 환태평양 지진대에 해당하는 지역이라서 크고 작은 지진과 화산 폭발이 자주 발생한다.[1]그리고 그 중엔 세계 역사에 길이 남을 정도로 무시무시하고 엄청났던 초강력 대지진이 3번이나 있었다.
2. 1960년 발디비아 지진[2]
1960년 칠레 발디비아 해역 대지진 | ||
<colbgcolor=#3d5f7e><colcolor=#fff> 발생일시 (UTC-3) |
1960년 5월 22일 15시 11분 20초 | |
진앙 | 칠레 발디비아 해역 | |
진원깊이 | 25.0 km | |
규모 | ML 8.3 / Mw 9.5 | |
최대진도 | XII(Total Destruction) | |
Ⅸ[3] | ||
쓰나미 |
쓰나미 경보(津波警報) 25 m 이상: 칠레 모차섬 연안 10 m 이상: 미국 하와이 힐로 시 6 m 이상: 일본 도호쿠 해역 |
|
사상자 | 약 1,000 ~ 6,000명 |
1960년 5월 22일 현지 시각 오후 3시 11분, 칠레 발디비아 지역에서 M,w, 9.5[4]의 초거대지진이 발생했다. 이는 지진 관측 이래 인류 역사상 최고 규모의 지진이며, 진도는 무려 XI~XII였다.
일명 칠레(발디비아) 대지진. 진앙에서 1,000km 떨어진 지점에서도 지진을 느꼈을 만큼 큰 지진이었다. 이 지진으로 칠레 해안에선 높이 25m의 쓰나미가 덮쳤고, 칠레에서만 909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규모에 비해 사망자 수가 적은 편인데, 다행히도 지진의 진앙지로부터 40km 지점까지는 2,000명이 채 살지 않는 지역이었고, 수도 산티아고까지는 700km나 되는 거리가 있기 때문이었다.[5]
태평양 전역에도 영향을 미쳐 각처에 10m 이상의 쓰나미가 몰려왔다. 하와이의 힐로시에서는 61명의 사망자가 나왔으며, 일본에서도 약 하루가 지나 내습한 최대 6.1m의 쓰나미로 인해 142명의 사망자 및 실종자가 발생했다. 특히 도호쿠의 산리쿠[6] 해안과 홋카이도의 피해가 상당했다. 일례로 홋카이도의 기리탓푸(霧多布)는 본래 육지와 연결된 반도였는데 태평양 반대편에서 온 해일로 연결부가 쓸려가서 섬이 되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칠레에서는 지진의 영향으로 인한 산사태 + 세이시 + 푸예우에 화산 분화가 합쳐져 총 2,230명에서 6천명 가량이 사망하였다.
칠레 대지진 해일지도를 보면 이상하게도 대한민국보다 서쪽에 있는 중국의 피해가 더 큰데, 그 이유는 태평양과 한반도 사이에 일본 열도가 있어 해일을 막아주었으나 중국의 경우 상하이시부터 푸저우시까지 이르는 동부 해안 일대에 방파제 같은 것이 없어서다. 위의 시뮬레이션 영상을 보면 제주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 여수시, 고흥군, 완도군, 진도군 등 외해에 있는 지역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나오는데 이쪽 지역에서 보고된 피해는 없다.[7] 다만 아주 미미한 영향은 있었을 것이며 시대가 시대다 보니 관측이나 보고가 미비했거나 자료가 남아있지 않아 그럴 수 있다.
《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의 싱글 플레이 중 칠레 북부의 아타카마 사막에 버려진 화물선에서 중요한 물건을 회수하는 미션이 있다. 발디비아 지진해일로 쓸려왔다는 설정이다.
[clearfix]
3. 2010년 키리우에 지진
2010년 칠레 산티아고 해역 지진 | ||
<colbgcolor=#3d5f7e><colcolor=#fff> 발생일시(UTC-3) | 2010년 2월 27일 03시 34분 11초 | |
진앙 | 칠레 키리우에 서북서쪽 36km 해역 | |
규모 | Mw 8.8 | |
최대진도 | Ⅸ | |
Ⅷ[8] | ||
쓰나미 |
대쓰나미 경보(大津波警報) 10 m 이상: 칠레 산티아고 연안 3 m 이상: 일본 도호쿠 해역 |
|
사상자 | 525명 사망 |
2010년 2월 27일, 칠레에서 M,w, 8.8의 강력한 거대지진과 쓰나미가 일어났다. ( 링크) 칠레 콘셉시온 북쪽 해저에서 발생하였고, 500명 이상의 사망자 피해를 냈다. 진원은 칠레 산티아고 데 칠레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마우레 주로 다행히 산티아고 중심지는 빗겨갔다.
당시 2010년 아이티 지진이 일어난 지 겨우 46일이 지난 뒤였기에 아메리카 대륙을 포함한 전 세계가 이로 떠들썩했다. 다만 아이티와 달리 칠레는 정부 및 사회 체제가 잘 자리잡은 나라이고 법과 건축 규제로 지진 대비가 잘 되어 있어서 피해가 심각하지는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지진 발생 후 칠레 정부는 국가 비상사태 상태를 선포했으며, 500명 이상의 사망자와 200만 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새로운 대통령의 임기를 얼마 안 두고 일어난 대참사인지라 20년 만에 이뤄지는 정권 교체를 장식하는 사건이 되었다. 심지어 대통령 취임식 도중에서도 M 6.9의 강력한 여진이 발생해 참석하던 국가정상들이 천장을 바라보며 불안한 표정을 지었다고 한다. 대통령 퇴임식과 취임식이 진행된 곳이 산티아고 데 칠레가 아닌 발파라이소에 위치한 칠레 국회의사당이었기 때문이다. 발파라이소와 산티아고 데 칠레의 거리는 인천과 서울의 거리 정도다. 발파라이소는 태평양을 끼고 있는 항구도시여서 쓰나미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취임식 전후로 시민들이 쓰나미를 피해 가까운 언덕으로 대피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고, 신임 대통령의 스케줄이 한숨에 바뀌었다고 한다. 피녜라가 대통령이 된 것에 신께서 노하셨다는 농담이 칠레인들 사이서 퍼지기도 했다.
위 사진은 어느 피난민이 흙구덩이에 박혀 있던 국기를 들어올리는 모습을 사진 기사가 순간적으로 포착한 것이다. 참고로, 이 깃발은 2010 남아공 월드컵 당시 칠레 대표팀 베이스캠프에 걸려 있었다고 알려진 '지진 국기'이다. 이 찢어진 국기는 대재앙을 극복하려는 칠레의 새로운 상징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칠레 대표팀 선수들 또한 이 국기를 보면서 큰 힘을 얻었다고 한다.
이 일로 인해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시간이 느려졌다.
NHK 대쓰나미 경보 발령 당시 영상 |
칠레 광부 매몰사건이 이 지진의 여파로 인해 발생하였다.
기타 사항으로 이 사건으로 인해 1박 2일에서 계획 중이던 남극 탐사 프로젝트가 무기한 연기 되었다. 남극으로 향하는 유일한 선박이 칠레의 푼타아레나스 항구 하나밖에 없었는데 칠레에 머무는 동안 묵기 위해 예약해둔 호텔이 투숙이 불가능할 정도로 파괴되었고, 산티아고 데 칠레에서 푼타아레나스로로 가는 과정에서 제작진과 연기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영상
[clearfix]
4. 2015년 이야펠 지진
2015년 칠레 이야펠 해역 지진 | ||
<colbgcolor=#3d5f7e><colcolor=#fff> 발생일시(UTC-3) | 2015년 9월 16일 19시 54분 32초 | |
진앙 | 칠레 이야펠 서쪽 48km 해역 | |
규모 | Mww 8.3 / Mw 8.4 | |
최대진도 | Ⅸ | |
Ⅷ[9] | ||
쓰나미 |
쓰나미 경보 4.5 m 이상: 칠레 이야펠 연안 |
|
사상자 | 15명 사망, 6명 실종 | |
34명 부상 | ||
이재민 16,646명 |
2015년 9월 16일, 현지시각 8시경 산티아고 북쪽 이야펠 시 부근에서 M 8.4의 거대지진이 발생했다. 즉시 칠레 전국 해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 그리고 대피령이 내려졌다. 공식적인 사망자는 15명이며 실종자는 6명이다. 이번 지진은 9월 18일 칠레 독립 기념일 연휴를 앞두고 일어났다.
이 지진을 두고 칠레 네티즌들은 미첼 바첼레트 대통령을 풍자하기 시작했다.
En mi gobierno, los terremotos corren por mi cuenta
우리 정부에서 테레모토[10]는 제가 한 턱 쏘겠습니다!
우리 정부에서 테레모토[10]는 제가 한 턱 쏘겠습니다!
바첼레트의 선거 공약 패러디인데 말만 따지면 독림기념일에 온 국민과 테레모토주를 함께하겠다는 서민스럽고 푸근한 뉘앙스였을 말이 이젠 전혀 다른 말이 된 셈. 저 해맑은 대통령의 미소 아래 코로 카수엘라를 원샷할 분들이 넘쳐난다. 하필이면 이때도 144일 전에 2015년 네팔 대지진이 일어났다.
[clearfix]
5. 기타 대지진
- 연구 결과, 가장 강력했던 칠레 대지진은 기원전 1800년경에 발생했다. 규모는 M9.5.
- 1420년 9월 1일, 칼데라 지역에서 M8.8~9.4가량의 지진 발생. 칠레, 일본, 하와이에 쓰나미가 내습했다.
- 1570년 2월 8일, 칠레 콘셉시온에서 M8.3의 지진이 발생, 대략 2 000명이 사망했다.
- 1575년 12월 16일, 발디비아에서 M8.5의 대지진이 발생, 쓰나미로 인해 100여 명이 사망하고 땅이 갈라졌다고 한다.
- 1604년 11월 24일, 칠레[11] 아리카에서 M8.3의 강진이 발생.
- 1615년 9월 16일, 칠레 아리카에서 M8.8의 대지진이 발생.
- 1647년 5월 13일, M8.5의 강력한 지진이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에서 발생했다. 당시 사망자 수는 1,000명 정도다.
- 1657년 3월 15일, 칠레 콘셉시온에서 M8.0의 지진이 발생.
- 1681년 3월 10일, 칠레 아리카에서 M7.3의 강진이 발생.
- 1687년 7월 12일, 칠레 산타 마리아 부근에서 M7.3의 강진이 발생.
- 1730년 7월 8일, 발파라이소 지방에서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여 16미터의 쓰나미를 동반하였으며, 현지 논문에서 M8.7~9.3정도의 규모였을 것이라 추정한다.
- 1737년 12월 24일, 칠레 발바디아에서 M7.7의 지진이 발생하여 212명이 사망했다.
- 1751년 5월 25일, 칠레 콘셉시온에서 M8.5의 강진이 발생했다.
- 1796년 3월 30일, 칠레 코피아포에서 M7.7의 강진이 발생했다.
- 1819년 4월 11일, 칠레 코피아포에서 M8.2~8.5의 강진이 발생.
- 1822년 11월 19일, 칠레 발파라이소에서 M8.5의 강진이 발생.
- 1829년 9월 26일, 칠레 발파라이소에서 M7.0의 강진이 발생.
- 1831년 10월 8일, 칠레 아리카 해역에서 M7.8의 강진이 발생.
- 1833년 9월 18일, 칠레 아리카 해역에서 M7.7의 강진이 발생.
- 1835년 2월 20일, 칠레 콘셉시온에서 M8.5의 지진이 발생.
- 1837년 11월 7일, 칠레 발바디아에서 M8.0의 강진이 발생.
- 1850년 12월 6일,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에서 M7.3의 강진이 발생하여 105명이 사망했다.
- 1868년 8월 13일, 칠레 아리카 근처 약 1km 해역에서 규모 8.5~9.0으로 추정되는 강진이 발생했다. 약 25,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1877년 5월 10일, 칠레 이키케에서 규모 8.3의 강진이 발생하여 2541명이 사망하였다.
- 1939년 1월 24일, 칠레 치얀에서 규모 8.3의 강진이 발생했다. 약 28,000명이 사망하여, 칠레 역사상 가장 사망자가 많은 지진이다.
- 2014년 4월 1일, 한국시간으로 4월 2일 08시 46분 48초에 칠레 이키케 북서쪽 83km 해역에서 규모 8.0의 강진이 발생했다.
- 2017년 4월 25일, 칠레 발파라이소 서쪽 39km 해역에서 규모 7.1의 강진이 발생했다.
6. 둘러보기
문서가 존재하는 20세기 지진 | ||||||
[[틀:지진/19세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세기 → [[틀:지진/2000년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folding [ ~ 1950년대 ] {{{#!wiki style="margin:-5px 0 -15px"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
<colbgcolor=#868e96> 1906. 04. 06.
|
M 6.1 | 1906년 인천 해역 지진 | ||||
1906. 04. 18.
|
M 8.3 |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 ||||
1909. 06. 11.
|
M 6.2 | 1909년 프로방스 지진 | ||||
1920. 12. 16.
|
M 8.7 | 1920년 간쑤성 대지진 | ||||
1921. 03. 20.
|
M 4.2 | 1921년 경주 지진 | ||||
1923. 09. 01.
|
M 8.3 | 1923년 관동대지진 | ||||
1925. 12. 09.
|
M 4.4 | 1925년 홍성 지진 | ||||
1926. 10. 05.
|
M 5.0 | 1926년 경상북도 서부 지진 | ||||
1928. 01. 12.
|
M 4.3 | 1928년 지리산 지진 | ||||
1935. 12. 07.
|
M 5.0 | 1935년 의성 지진 | ||||
1936. 07. 04.
|
M 6.0 | 지리산 쌍계사 지진 | ||||
1936. 10. 19.
|
M 5.4 | 1936년 삼척 해역 지진 | ||||
1938. 08. 22.
|
M 4.8 | 1938년 지리산 지진 | ||||
1939. 01. 10.
|
M 5.0 | 1939년 대전 지진 | ||||
1939. 01. 24.
|
M 8.3 | 1939년 치얀 지진 | ||||
1939. 08. 31.
|
M 5.3 | 1939년 청주 지진 | ||||
1939. 12. 26.
|
M 7.8 | 에르진잔 대지진 | ||||
1944. 12. 07.
|
M 7.9 | 쇼와 도난카이 지진 | ||||
1944. 12. 19.
|
M 6.8 | 조선-중국 국경 지진 | ||||
1946. 04. 01.
|
M 8.6 |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 ||||
1946. 12. 21.
|
M 8.0 | 쇼와 난카이 지진 | ||||
1947. 11. 04.
|
M 5.0 (추정) |
1947년 인천 해역 지진 | ||||
1947. 11. 14.
|
||||||
1948. 06. 28.
|
M 7.1 | 1948년 후쿠이 지진 | ||||
1950. 08. 15.
|
M 8.7 | 1950년 아삼 지진 | ||||
1952. 03. 19.
|
M 6.4 | 1952년 평양 지진 | ||||
1952. 04. 24.
|
M 5.6 | 1952년 은천 지진 | ||||
1952. 11. 05.
|
M 9.0 |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 ||||
1956. 02. 13.
|
M 5.0 (추정) |
1956년 대한민국 지진 | ||||
1959. 05. 04.
|
M 8.3 | 1959년 캄차카 지진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2em" {{{#!folding [ 1960년대 ~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
<colbgcolor=#868e96> 1960. 02. 29.
|
M 5.8 | 1960년 아가디르 지진 | ||||
1960. 05. 02.
|
M 9.5 | 1960년 칠레 발디비아 지진 | ||||
1960. 10. 08.
|
M 6.8 | 1960년 길주 해역 지진 | ||||
1963. 09. 06.
|
M 6.3 | 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 ||||
1963. 09. 07.
|
M 6.3 | |||||
1964. 03. 27.
|
M 9.2 | 1964년 알래스카 지진 | ||||
1964. 06. 16.
|
M 7.5 | 1964년 니가타 지진 | ||||
1965. 08. 03.
~1970. 6. 5. |
M 6.4 | 마츠시로 군발지진 | ||||
1973. 09. 29.
|
M 7.8 | 1973년 나진 해역 지진 | ||||
1975. 02. 04.
|
M 7.0 | 1975년 하이청 지진 | ||||
1975. 06. 29.
|
M 7.3 | 1975년 속초 해역 지진 | ||||
1976. 07. 27.
|
M 7.8 | 1976년 탕산 대지진 | ||||
1976. 07. 28.
|
M 7.4 | |||||
1976. 08. 16.
|
M 8.0 | 1976년 필리핀 모로 만 지진 | ||||
1976. 10. 06.
|
M 5.4 | 1976년 홍도 해역 지진 | ||||
1976. 11. 24.
|
M 7.3 | 1976년 살디란 지진 | ||||
1977. 03. 04.
|
M 7.5 | 1977년 루마니아 지진 | ||||
1978. 09. 16.
|
M 5.2 | 1978년 속리산 지진 | ||||
1978. 10. 07.
|
M 5.0 | 1978년 홍성 지진 | ||||
1980. 01. 08.
|
M 5.3 | 1980년 의주 지진 | ||||
1981. 04. 15.
|
M 5.2 | 1981년 포항 해역 지진 | ||||
1982. 02. 14.
|
M 5.6 | 1982년 사리원 지진 | ||||
1982. 03. 01.
|
M 5.0 | 1982년 울진 해역 지진 | ||||
1983. 05. 26.
|
M 8.1 | 1983년 아키타 지진 | ||||
1985. 09. 19.
|
M 8.0 | 1985년 멕시코시티 대지진 | ||||
1988. 12. 07.
|
M 6.8 | 1988년 아르메니아 지진 | ||||
1989. 10. 17.
|
M 7.2 | 1989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 ||||
1990. 06. 21.
|
M 7.4 | 1990년 이란 지진 | ||||
1990. 07. 16.
|
M 7.8 | 1990년 필리핀 루손 지진 | ||||
1992. 04. 13.
|
M 5.8 | 1992년 루르몬트 지진 | ||||
1993. 07. 12.
|
M 7.8 | 1993년 홋카이도 해역 지진 | ||||
1994. 04. 22.
|
M 5.3 | 1994년 울산 해역 지진 | ||||
1994. 07. 26.
|
M 5.9 | 1994년 홍도 해역 지진 | ||||
1994. 10. 04.
|
M 8.2 | 1994년 홋카이도 동방 해역 지진 | ||||
1995. 01. 17.
|
M 7.3 | 효고현 남부 지진 | ||||
1995. 07. 24.
|
M 5.3 | 1995년 백령도 해역 지진 | ||||
1996. 01. 24.
|
M 4.8 | 1996년 동해 해역 지진 | ||||
1996. 12. 13.
|
M 5.6 | 1996년 영월 지진 | ||||
1997. 03. 27.
|
M 6.6 | 1997년 가고시마현 사쓰마 지방 지진 | ||||
1997. 05. 13.
|
M 6.4 | |||||
1997. 06. 26.
|
M 5.0 | 1997년 경주 지진 | ||||
1999. 01. 25.
|
M 6.2 | 1999년 콜롬비아 지진 | ||||
1999. 08. 17.
|
M 7.6 | 1999년 이즈미트 대지진 | ||||
1999. 09. 21.
|
M 7.3 | 921 대지진 | ||||
2000. 06. 17.
~21. |
M 6.5 | 2000년 아이슬란드 지진 | ||||
2000. 06. 06.
~09. 28. |
~ M 6.5 | 이즈 제도 군발지진(2000년 7월)A | ||||
2000. 10. 06.
|
M 7.3 | 2000년 돗토리 지진 | ||||
A : 해당 군발지진의 시작일은 위의 아이슬란드 지진보다 먼저이지만, 가장 큰 지진인 이 문서에 집중적으로 서술된 규모 6.5의 지진은 2000년 7월 1일에 발생함을 고려하여 2000년 7월 1일 지진을 본진으로 분류하여 위의 문서인 아이슬란드 지진 뒤에 기록했다. |
문서가 존재하는 2010~2014년 지진 | ||||
[[틀:지진/2000년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10~14년 → [[틀:지진/2015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최대진도 |
<colbgcolor=#868e96> 2010년 | ||||
01. 12.
|
M 7.0 | 2010년 아이티 지진 |
X
|
|
02. 27.
|
M 8.8 | 2010년 칠레 대지진 |
IX
|
|
12. 22.
|
M 7.8 | 오가사와라 지진 |
4
|
|
2011년 | ||||
02. 21.
|
M 6.1 | 2011년 캄차카 지진 |
Ⅵ
|
|
03. 09.
|
M 7.3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
5-
|
|
03. 11.
|
M 9.1 |
7
|
||
03. 12.
|
M 6.7 | 2011년 나가노 지진 |
6+
|
|
03. 15.
|
M 6.4 | 2011년 시즈오카 지진 |
6+
|
|
04. 07.
|
M 7.2 | 2011년 4월 미야기현 해역 지진 |
6+
|
|
04. 11.
|
M 7.1 | 2011년 후쿠시마 지진 |
6-
|
|
04. 12.
|
M 6.4 | 2011년 후쿠시마 지진(2차) |
6-
|
|
08. 01.
|
M 6.2 | 2011년 스루가만 지진 |
5-
|
|
08. 23.
|
M 5.8 | 2011년 버지니아 지진 |
Ⅷ
|
|
2012년 | ||||
02. 06.
|
M 6.9 | 2012년 필리핀 세부 지진 |
Ⅶ
|
|
12. 07.
|
M 7.4 | 2012년 산리쿠 해역 지진 |
5-
|
|
2013년 | ||||
02. 02. | M 6.5 | 도카치 남부 지진 |
5+
|
|
02. 12.
|
M 5.1 | 2013년 길주 인공지진 |
Ⅵ
|
|
04. 13.
|
M 6.3 | 2013년 아와지시마 중부 지진 |
6-
|
|
04. 17.~
|
M 6.2 | 2013년 이즈 제도 군발지진 |
5+
|
|
04. 20.
|
M 7.0 | 2013년 쓰촨성 지진 |
Ⅷ
|
|
04. 21.
|
M 4.9 | 2013년 흑산도 해역 지진 |
Ⅳ
|
|
05. 18.
|
M 4.9 |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 |
Ⅳ
|
|
10. 15.
|
M 7.2 | 2013년 필리핀 세부 지진 |
Ⅷ
|
|
2014년 | ||||
03. 14.
|
M 6.2 | 2014년 이요나다 지진 |
5+
|
|
04. 01.
|
M 5.1 | 2014년 서격렬비도 해역 지진 |
Ⅳ
|
|
05. 05.
|
M 6.0 | 2014년 이즈 제도 근해 지진 |
5-
|
|
11. 22.
|
M 6.7 | 2014년 나가노 지진 |
6-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지진/2011년, version=22, uuid=bd8582c6-dc7f-4983-b317-17654e4bcea9,
title2=틀:지진/2012년, version2=17, uuid2=87a5552e-063b-4e9a-b2e9-b7628c0bfba0,
title3=틀:지진/2013년, version3=24, uuid3=39149f86-e99a-430a-abba-c6c9747f4863,
title4=틀:지진/2014년, version4=22, uuid4=4b7f1f32-b515-4407-bd32-ea8ac82770b2, )]
문서가 존재하는 2015년 지진 | ||||
[[틀:지진/2010~2014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15 → [[틀:지진/2016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최대진도 |
<colbgcolor=#868e96> 02. 06.
|
M 5.1 | 도쿠시마 지진 |
5+
|
|
04. 25.
|
M 8.1 | 네팔 대지진 |
X
|
|
05. 30.
|
M 8.1 | 오가사와라 서해 지진 |
5+
|
|
09. 12.
|
M 5.4 | 도쿄만 지진 |
5-
|
|
09. 16.
|
M 8.4 | 칠레 지진 |
Ⅸ
|
문서가 존재하는 2017년 지진 | ||||
[[틀:지진/2016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17 → [[틀:지진/2018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최대진도 |
<colbgcolor=#868e96> 01. 18. | M 5.6 | 이탈리아 중부 지진 |
Ⅷ
|
|
01. 22. | M 7.9 | 파푸아뉴기니 지진 |
Ⅷ
|
|
06. 20. | M 5.0 | 오이타 지진 |
5+
|
|
06. 25. | M 5.6 | 나가노 지진 |
5+
|
|
07. 11. | M 5.2 | 가고시마 지진 |
5+
|
|
07. 12. | M 6.3 | 나진 지진 |
1
|
|
08. 02. | M 5.5 | 이바라키 지진 |
4
|
|
08. 08. | M 7.0 | 쓰촨성 지진 |
Ⅷ
|
|
09. 03. | M 6.4 | 길주 인공지진 |
Ⅷ
|
|
09. 08. | M 8.1 | 멕시코 피히히아판 대지진 |
Ⅸ
|
|
M 5.2 | 아키타 지진 |
5+
|
||
09. 19. | M 7.1 | 멕시코 중부 지진 |
Ⅷ
|
|
10. 06. | M 5.9 | 10월 후쿠시마 지진 |
5-
|
|
11. 13. | M 7.3 | 이란-이라크 지진 |
Ⅸ
|
|
11. 15. | M 5.6 | 포항 지진 |
Ⅶ
|
<colcolor=#FFFFFF>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규모 9.0이상 거대지진 | ||
발생 날짜 | 규모 | 해당 지진 |
<colbgcolor=#3d5f7e> 1707. 10. 28. | M 9.3[1] | 호에이 대지진 |
1755. 11. 1. | M 9.0 | 1755년 리스본 대지진 |
1833. 11. 25. | M 9.0 | 1833년 남아시아 대지진 |
1952. 11. 5. | M 9.0 |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
1960. 5. 22. | M 9.5 | 1960년 칠레 대지진 |
1964. 3. 27. | M 9.2 | 알래스카 지진 |
2004. 12. 26. | M 9.3 |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
2011. 3. 11. | M 9.1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
[1]
지진으로 유명한 일본도 한수 접고 들어갈정도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2]
일반적으로 칠레 대지진이라 하면 1960년에 발생한 이 지진을 뜻한다.
[3]
USGS ShakeMap 기준
[4]
M, L, 8.3
[5]
후술할 내용대로 화산폭발까지 일어났기 때문에, 만약 이 지진이 산티아고 중심지에 일어났다면
2023년 튀르키예 시리아 지진과 같이 건물들이 다 무너져내려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탕산 대지진을 능가하는 역사상 최악의 참사가 되었을 것이고, 칠레는 지금 아이티급 막장화는 사실상 확정에 국가 붕괴도 논해야 할 정도로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었을 것이다.
[6]
도호쿠 대지진으로 극심한 피해를 입은 그곳이 맞다. 공교롭게도 도호쿠 대지진 때에는 오히려 역으로 쓰나미가 칠레까지 도달했었다.
[7]
보성군, 장흥군, 강진군 쪽에는 여수시가 방파제 역할을 해주고 있다.
[8]
USGS ShakeMap 기준
[9]
USGS ShakeMap 기준
[10]
칠레 전통주로 이름이 '지진'이란 뜻이다. 찬 와인에 아이스크림을 띄우거나 섞어서 마신다.
[11]
당시
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