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13:24:30

조약 협약 협정 관련 정보

1. 개요2. 실제
2.1. 예정2.2. 종류
3. 가상
3.1. 가상 조약3.2. 가상 협정
4. 관련 문서5. 관련 항목

1. 개요

조약(條約/Treaty), 협정(協定/Agreement), 협약(協約/Convention), 의정서(議定書/Protocol), 헌장(憲章/Charter, Constitution), 규정(規程/Statute), 규약(規約/Covenant) 등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 협약의 정의에 따라 '명칭에 관계없이, 서면 형식으로 국가 간에 체결되며, 또한 국제법에 의하여 규율되는 국제적 합의'의 목록을 서술하는 문서이다.

약칭이 같은 조약이라도 체결 연도에 따라 완전히 다른 조약일 수 있다. 특히 비엔나 협약은 매우 많고, 파리조약, 톈진조약(天津條約)등도 불리는 명칭만 같은 뿐 체결 연도에 따라 완전히 다른 조약이 병존한다. 하나의 조약을 두고 여러 명칭이 국내에서 혼용될 경우 괄호를 통해 병기하며, 동명의 조약이 있는 경우 관련 사건이나 연도를 함께 표기한다.

2. 실제

연도 조약 이름
843년 베르됭 조약
870년 메르센 조약
1259년 장강 밀약
1261년 3월 13일 님페온 조약[1]
1261년 악주 밀약(악주화약)
1494년 6월 7일 토르데시야스 조약
1648년 5월 15일 10월 24일 베스트팔렌 조약
1661년 8월 6일 헤이그 조약(1661)
1689년 8월 12일 네르친스크 조약
1727년 8월 23일 캬흐타 조약
1796년 11월 4일 트리폴리 조약
1842년 난징 조약(장닝 조약(江寧條約). 1차 아편전쟁 관련)
1854년 미일화친조약( 가나가와 조약[2])
1858년 6월 1858년 톈진 조약(2차 아편전쟁 관련)[3]
1858년 7월 29일 미일수호통상조약
1860년 10월 18일 베이징 조약(북경조약, 2차 아편 전쟁 관련)
1864년 제네바 협약
1867년 3월 30일 알래스카 조약
1871년 9월 13일 청일수호조규[4](청일수호조약/1871년 톈진 조약)
1872년 3제 동맹
1876년 2월 27일 강화도 조약(조일수호조규)
1882년 5월 20일 삼국 동맹
1882년 5월 22일 조미수호통상조약
1882년 8월 30일 제물포 조약
1885년 1월 9일 한성조약
1885년 4월 18일 1885년 청-일본 톈진 조약
1886년 베른 협약
1895년 4월 17일 시모노세키 조약(마관조약/馬關條約)
1899년 9월 11일 한청통상조약
1901년 신축조약( 베이징 의정서)
1902년 1월 30일 제1차 영일 동맹( 영일 동맹 협약)[5]
1904년 2월 23일 한일의정서
1904년 8월 제1차 한일협약
1905년 7월 29일 가쓰라-태프트 밀약
1905년 8월 12일 제2차 영일 동맹
1905년 9월 5일 포츠머스 조약[6]
1905년 11월 17일 을사늑약(제2차 한일 협약)
1907년 7월 24일 한일신협약
1910년 8월 22일 한일 강제 병합 조약
1911년 7월 13일 제3차 영일 동맹
1915년 런던 밀약
1918년 2월 9일, 3월 3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1918년 5월 7일 부쿠레슈티 조약
1919년 6월 28일 베르사유 조약
1919년 9월 10일 생제르맹 조약
1919년 11월 27일, 1920년 8월 9일 뇌이 조약
1920년 8월 10일 세브르 조약
1920년 트리아농 조약
1921년 3월 18일 리가 조약
1921년 11월 12일 ~ 1922년 2월 6일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1923년 7월 24일 로잔 조약
1925년 10월 16일 로카르노 조약
1927년 제다 조약(1927)
1928년 8월 27일 부전조약(= 켈로그-브리앙 조약)
1929년 라테라노 조약
1930년 4월 22일 런던 해군 군축조약
1935년 6월 18일 영국-독일 해군조약
1935년 11월 13일 중미은협정
1936년 11월 25일 방공 협정
1938년 9월 29일 ~ 9월 30일 뮌헨 협정
1939년 8월 23일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
1939년 9월 27일 삼국 동맹 조약
1943년 11월 22일~ 26일 카이로 회담
1943년 11월 28일~ 12월 1일 테헤란 회담
1945년 2월 4일~ 11일 얄타 회담
1945년 7월 17일~ 8월 2일 포츠담 회담, 포츠담 선언( 7월 26일)[7]
1947년 2월 10일 파리 조약
1949년 4월 4일 북대서양 조약
1951년 8월 30일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1951년 9월 1일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1951년 9월 8일 미일안전보장조약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1953년 7월 27일 한국 군사 정전 협정
1953년 10월 1일 한미상호방위조약
1954년 제네바 합의(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베트남 독립전쟁)관련. 1954년 제네바 협정)
1954년 12월 2일 미중상호방위조약
1955년 3월 14일 바르샤바 조약
1957년 3월 25일 로마 조약[8]
1957년 12월 13일 범죄인인도에 관한 유럽협약
1959년 12월 1일 남극조약
1961년 7월 11일 조중동맹조약
1964년 3월 20일 조중변계조약
19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한일협정)
1967년 1월 27일 우주조약(Outer Space Treaty)
1967년 2월 14일 라틴 아메리카 비핵 무장지역 조약
1968년 7월 1일 핵확산금지조약
1969년 5월 22일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 협약
1972년 5월 26일 전략무기제한협정(SALT I 협정)
1973년 1월 27일 파리조약(1973)( 베트남 전쟁 관련, 미국- 북베트남- 남베트남)
1973년 3월 3일 워싱턴협약(CITES)
1976년 5월 26일 전략무기제한협정(SALT I 협정)
1976년 12월 10일 환경개조 금지협약[9]
1977년 9월 7일 토리호스-카터 조약(파나마 운하 반환 조약)
1979년 6월 18일 전략무기제한협정(SALT II 협정)
1980년 유엔국제매매협약
1984년 12월 19일 홍콩반환협정 ( 중영공동선언)[10]
1985년 6월 14일 솅겐 협정
1986년 무비자 협정
1989년 11월 20일 UN 아동권리협약
1991년 7월 31일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 I 협정)
1991년 12월 8일 벨로베즈스카야 조약[11]
1992년 2월 7일 마스트리흐트 조약[12]
1993년 1월 3일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 II 협정)
1993년 9월 13일 오슬로 협정
1994년 1월 1일[13] ~ 현재 자유무역협정
1997년 10월 2일 암스테르담 조약[14]
2002년 5월 24일 전략공격능력삭감조약[15]]
2006년 9월 1일 한EU FTA
2007년 12월 13일 리스본 조약[16]
2010년 4월 8일 신 전략무기감축협정(New START 협정)
2010년 6월 29일 경제협력기본협정( ECFA)
2010년 10월 2일 불법복제 방지협정
2011년 11월 22일 한미 FTA
2014년 11월 한중 FTA
2014년 12월 무기 거래 조약(ATT)
2016년 11월 23일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2018년 6월 17일 프레스파 협정
2023년 5월 20일 제다 조약(2023)

2.1. 예정

2.2. 종류

3. 가상

3.1. 가상 조약

3.2. 가상 협정

4. 관련 문서

List of treaties

5. 관련 항목


[1] 니케아 제국과 제노바 공화국 간 체결된 조약. [2] 일본어 한자표기 '神奈川 条約'. 한국식 한자음으로 그대로 읽어 '신내천 조약'으로 칭하는 경우도 있으나 드물어 병기하지 않음. [3] 2019년 6월 현재 이 톈진 조약에 관한 별도의 문서가 없다. 나무위키내의 톈진조약 문서는 하술된 청-일본간의 1885년 톈진 조약을 다루고 있으므로, 이 1858년의 톈진 조약과는 다르다. 이 1858년 톈진조약은 2차 아편전쟁의 결과로, 영국, 프랑스, 미국, 러시아가 청나라(중국)으로부터 추가 개항과 외교관 베이징 주재(駐在), 외국인의 중국 여행과 무역의 자유, 선교사 보호와 기독교 선교 자유를 보장받았다. 거참 헷갈리게 체결 연도가 숫자 하나 뒤집은 1858/ 1885인데다 불리는 명칭도 같다. [4] 2023년 10월 현재 나무위키에는 해당 문서가 없다. 당시 일본 청나라(중국)사이에 처음으로 대등한 입장으로서 맺은 조약. [5] http://ko.wikipedia.org/wiki/%EC%98%81%EC%9D%BC%EB%8F%99%EB%A7%B9 [6] http://ko.wikipedia.org/wiki/%ED%8F%AC%EC%B8%A0%EB%A8%B8%EC%8A%A4_%EC%A1%B0%EC%95%BD [7] http://ko.wikipedia.org/wiki/%ED%8F%AC%EC%B8%A0%EB%8B%B4_%ED%9A%8C%EB%8B%B4 [8] http://ko.wikipedia.org/wiki/%EB%A1%9C%EB%A7%88_%EC%A1%B0%EC%95%BD [9] 군사적 목적으로 지진 등의 자연재해를 발생시키는 행위를 금지함 [10] 1997년 7월 1일 영국, 홍콩을 중국에 정식 반환. [11] 소련을 해체하고 독립국가연합(CIS)을 창설하는 것에 합의한 조약 [12] 훗날 EU(유럽 연합)의 기초가 되는 조약. http://ko.wikipedia.org/wiki/%EB%A7%88%EC%8A%A4%ED%8A%B8%EB%A6%AC%ED%9D%90%ED%8A%B8_%EC%A1%B0%EC%95%BD [13] 미국·캐나다·멕시코 등 3개국 사이에서 94년 1월부터 발효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필두로 한다. 특히 북미자유무역협정은 줄여서 나프타라고 부른다. 당연히 석유화학(특히 나프타(Naphtha))업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14] http://ko.wikipedia.org/wiki/%EC%95%94%EC%8A%A4%ED%85%8C%EB%A5%B4%EB%8B%B4_%EC%A1%B0%EC%95%BD [15] [[https://en.wikipedia.org/wiki/Strategic_Offensive_Reductions_Treaty](SORT)] [16] http://ko.wikipedia.org/wiki/%EB%A6%AC%EC%8A%A4%EB%B3%B8_%EC%A1%B0%EC%95%BD [17] 실제 남극 조약과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