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0:23:54

인천-하네다 항공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역사 칠지도 · 신라-왜 전쟁 ·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 ·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 한국 역사상 일본을 공격한 사례 · 가야멸망전 · 백제부흥운동 · 백강 전투 · 원나라의 일본원정 · 왜구 · 대마도 정벌 · 계해약조 · 삼포왜란 · 을묘왜변 · 사량진 왜변 · 임진왜란 · 조선통신사 · 기유약조 · 운요호 사건 · 조일수호조규 · 조일통상장정 · 주한일본공사관 · 임오군란 · 갑신정변 · 동학농민운동 · 갑오사변 · 을미사변 · 톈진 조약 · 제물포 조약 · 한성조약 · 제1차 한일협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니시-로젠 협정 · 영일동맹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러일전쟁 · 포츠머스 조약 ·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 대한제국 군대해산 · 남한 대토벌 작전 · 을사조약 · 한일의정서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정미 7조약 · 간도협약 · 한일병합조약 · 일제강점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 조선총독부 · 3.1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독립군 · 한인애국단 · 한국광복군 · 국가총동원법 · 일본군 위안부 · 8.15 광복
사건
사고
미군정 우키시마호 사건
이승만 정부 6.25 전쟁 · 다이호마루 사건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독도대첩 · 재일교포 북송 ·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
박정희 정부 6.3 항쟁
문민정부 시노하라 사건 · 조선총독부 철거
국민의 정부 신오쿠보역 승객 추락사고
참여정부 갑신왜란
이명박 정부 원정녀 AV 유포 사건 · 2010년 삼일절 사이버 전쟁 · 대한항공 A380 독도 시범비행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박근혜 정부 한국의 강제징용공 사진 날조 사건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도미타 나오야 카메라 절도 사건 · 일본 축구부 단체 절도 사건
문재인 정부 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 저공 위협비행 사건 · 제주 국제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 · 김포공항 일본 공무원 난동 사건 · 한일 무역 분쟁 ·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 홍대거리 일본 여행객 폭행 사건 · 대한민국 해경 일본 측량선 저지 사건 · 2020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이트 독도 및 쿠릴열도 표기 논란 · 주한 일본 공사 한국 대통령 비하 발언 논란 · 2020 도쿄 올림픽 한국 선수단 현수막 논란
윤석열 정부 한-일 정상 약식회담 논란 ·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 · 일본안보전략 독도영유권주장 · 윤석열 대통령 삼일절 기념사 논란 · 한솔동 삼일절 일장기 게양 사건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 논란 · 강남 일본인 원정 성매매 사건
외교 한일관계 ( 2020년대) · 한일안보협력 · 한일수교 ·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한국-대만-일본 관계 · 한일동맹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일본대사관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전두환 대통령 일본국 공식 방문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6자회담 · 고노 담화 · 무라야마 담화 · 고이즈미 담화 · 간 담화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위한 행동계획 ·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문재인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한국기업 대납안 · 2023년 한일정상회담 ( 3월· 5월)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기타 한국군 vs 자위대 · 한일전 · 혐한/일본 · 반일/대한민국 · 일본/과거사 청산 문제 ·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 · 독도 · 평화의 소녀상 · 동해/명칭 문제 · 롯데/국적 논란 · 토착왜구 · 친일파 · 친일반민족행위자 · 친일몰이 · 반일씹덕 · 일본의 한류 · 일본을 공격한다 · 일본 극우사관 · 예스 재팬 세대 · 서울-도쿄 항공노선( 인천-나리타 · 김포-하네다 · 인천-하네다) · 인천-간사이 항공노선 · 자코타 삼각지대 · 오키나와 리그 }}}}}}}}}

1. 개요2. 항공편3. 함께 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인천국제공항과 일본의 하네다 공항을 잇는 항공노선. 각 공항의 이름을 줄여 '인네다'로 부르고 있다.

서울 도쿄를 잇는 양대 노선 다음의 세번째 선택지로,[1] 커퓨 타임 제한이 없는 공항 간의 야간 노선이다.

서울에서 도쿄로 출발하는 항공편 중 가장 늦은 시간의 노선으로, 특히 직장인들에게 호평을 받는다. 이 노선을 이용하면 따로 연차를 쓸 것 없이 금요일에 퇴근하고 바로 공항에 도착해 도쿄에서 주말 일정을 뛰고 일요일 저녁~월요일 새벽에 한국에 돌아올 수 있다.

2016년 피치 항공이 인천 출발 22:40~0:55 노선을 개설하여 이 노선의 수요를 개척했다. 이런 역사적 이유 때문에 본 노선 관련 내용은 피치 항공/공항-도심 간 이동 정보에 더 많이 담겨 있다. 이후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도 항공편을 개설하였다. 이 노선 역시 운수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운항할 수 있는 항공사가 제한적이다.

항공사마다 시간은 다르나 대략 저녁시간대에 인천에서 하네다로 출발한 뒤, 복편이 새벽 1~2시 시간대에 출발하여 새벽 4시대에 인천에 도착하는 운항 형태를 띈다.

하네다 공항의 경우 전철 막차 이후 버스 노선이 거의 없다. 제일 운항시간이 빠른 대한항공 노선을 제외하면 전 노선이 여기에 영향을 받으므로 이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도쿄 국제공항/철도 문서도 참고할 것.

2. 항공편

※ 계절마다 출발 시각이 5~15분 정도 상이할 수 있으므로 유의
항공사 인천→하네다 출발시각 도착시각 하네다→인천 출발시각 도착시각 비고
대한항공
KE
719 20:30 22:50 720 02:00 04:35
아시아나항공
OZ
178 21:10 23:30 177 01:30 04:10
피치 항공
MM
808 22:35 00:55 809 02:10 04:40

3. 함께 보기


[1] 두 공항을 잇는 4가지 경우의 수 중 나머지 하나인 김포-나리타를 잇는 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