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2:02:11

인천-하네다 항공노선

인네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역사 칠지도 · 신라-왜 전쟁 ·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 ·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 한국 역사상 일본을 공격한 사례 · 가야멸망전 · 백제부흥운동 · 백강 전투 · 원나라의 일본원정 · 왜구 · 대마도 정벌 · 계해약조 · 삼포왜란 · 을묘왜변 · 사량진 왜변 · 임진왜란 · 조선통신사 · 기유약조 · 운요호 사건 · 조일수호조규 · 조일통상장정 · 주한일본공사관 · 임오군란 · 갑신정변 · 동학농민운동 · 갑오사변 · 을미사변 · 톈진 조약 · 제물포 조약 · 한성조약 · 제1차 한일협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니시-로젠 협정 · 영일동맹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러일전쟁 · 포츠머스 조약 ·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 대한제국 군대해산 · 남한 대토벌 작전 · 을사조약 · 한일의정서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정미 7조약 · 간도협약 · 한일병합조약 · 일제강점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 조선총독부 · 3.1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독립군 · 한인애국단 · 한국광복군 · 국가총동원법 · 일본군 위안부 · 8.15 광복
사건
사고
미군정 우키시마호 사건
이승만 정부 6.25 전쟁 · 다이호마루 사건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독도대첩 · 재일교포 북송 ·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
박정희 정부 6.3 항쟁
문민정부 시노하라 사건 · 조선총독부 철거
국민의 정부 신오쿠보역 승객 추락사고
참여정부 갑신왜란
이명박 정부 2010년 삼일절 사이버 전쟁 · 대한항공 A380 독도 시범비행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박근혜 정부 한국의 강제징용공 사진 날조 사건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도미타 나오야 카메라 절도 사건 · 일본 축구부 단체 절도 사건
문재인 정부 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 저공 위협비행 사건 · 제주 국제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 · 김포공항 일본 공무원 난동 사건 · 한일 무역 분쟁 ·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 홍대거리 일본 여행객 폭행 사건 · 대한민국 해경 일본 측량선 저지 사건 · 2020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이트 독도 및 쿠릴열도 표기 논란 · 주한 일본 공사 한국 대통령 비하 발언 논란 · 2020 도쿄 올림픽 한국 선수단 현수막 논란
윤석열 정부 한-일 정상 약식회담 논란 ·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 · 일본안보전략 독도영유권주장 · 윤석열 대통령 삼일절 기념사 논란 · 한솔동 삼일절 일장기 게양 사건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 논란
외교 한일관계 ( 2020년대) · 한일안보협력 · 한일수교 ·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한국-대만-일본 관계 · 한일동맹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일본대사관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전두환 대통령 일본국 공식 방문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6자회담 · 고노 담화 · 무라야마 담화 · 고이즈미 담화 · 간 담화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위한 행동계획 ·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문재인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한국기업 대납안 · 2023년 한일정상회담 ( 3월· 5월)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기타 한국군 vs 자위대 · 한일전 · 혐한/일본 · 반일/대한민국 · 일본/과거사 청산 문제 ·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 · 독도 · 평화의 소녀상 · 동해/명칭 문제 · 롯데/국적 논란 · 토착왜구 · 친일파 · 친일반민족행위자 · 친일몰이 · 반일씹덕 · 일본의 한류 · 일본을 공격한다 · 일본 극우사관 · 예스 재팬 세대 · 서울-도쿄 항공노선( 인천-나리타 · 김포-하네다 · 인천-하네다) · 인천-간사이 항공노선 · 자코타 삼각지대 · 오키나와 리그 }}}}}}}}}

1. 개요2. 항공편3. 함께 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인천국제공항과 일본의 하네다 공항을 잇는 항공노선. 각 공항의 이름을 줄여 '인네다'로 부르고 있다.

서울 도쿄를 잇는 양대 노선 다음의 세번째 선택지로,[1] 커퓨 타임 제한이 없는 공항 간의 야간 노선이다.

서울에서 도쿄로 출발하는 항공편 중 가장 늦은 시간의 노선으로, 특히 직장인들에게 호평을 받는다. 이 노선을 이용하면 따로 연차를 쓸 것 없이 금요일에 퇴근하고 바로 공항에 도착해 도쿄에서 주말 일정을 뛰고 일요일 저녁~월요일 새벽에 한국에 돌아올 수 있다.

2010년 11월 1일 대한항공에서 매일 운항을 개시한 것이 이 노선의 시초이다. 인천 출발 시각이 21:25, 하네다 출발 시각이 06:25로, 지금 말하는 '밤도깨비 노선'하고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인천 출발 시각은 그동안 큰 변경은 없었으나, 하네다 출발 시각은 피치가 운항을 개시한 뒤인 2017년부터 현재와 비슷한 새벽 2시경으로 조정된다.

아시아나항공은 같은 해 11월 6일부터 주 2회(토/월) 운항을 개시하였다. 최초 운항 시에는 인천 출발 시각이 새벽 2시경, 하네다 출발 시각이 새벽 5시경이었고, 2012년 11월에야 인천 출발 시각이 (전날)밤 9시경, 하네다 출발 시각은 아침 6시경으로 조정된다. 2016년 하반기에 주 2회에서 7회로 증편되었고, 하네다 출발 시간의 전면 조정은 2023년에야 이루어진다.

2016년 피치 항공이 인천 출발 22:40~0:55 노선을 개설하여 이 노선의 수요를 본격적으로 개척했다. 이런 역사적 이유 때문에 본 노선 관련 내용은 피치 항공/공항-도심 간 이동 정보에 더 많이 담겨 있다. 이후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도 항공편 시간대를 대폭 개편하였다. 이 노선 역시 운수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운항할 수 있는 항공사가 제한적이다.[2]

항공사마다 시간은 다르나 대략 저녁시간대에 인천에서 하네다로 출발한 뒤, 복편이 새벽 1~2시 시간대에 출발하여 새벽 4시대에 인천에 도착하는 운항 형태를 띈다.

하네다 공항의 경우 전철 막차 이후 버스 노선이 거의 없다. 제일 운항시간이 빠른 대한항공 노선을 제외하면 전 노선이 여기에 영향을 받으므로 이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도쿄 국제공항/철도 문서도 참고할 것.

2. 항공편

※ 계절마다 출발 시각이 5~15분 정도 상이할 수 있으므로 유의
항공사 인천→하네다 출발시각 도착시각 하네다→인천 출발시각 도착시각 비고
대한항공
KE
719 20:30 22:50 720 02:00 04:35
아시아나항공
OZ
178 21:10 23:30 177 01:30 04:10
피치 항공
MM
808 22:35 00:55 809 02:10 04:40

3. 함께 보기


[1] 두 공항을 잇는 4가지 경우의 수 중 나머지 하나인 김포-나리타를 잇는 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2] 인천-하네다 운수권은 주28회 왕복으로 알려져있고 한국 2사와 일본 2사에서 주7회 왕복으로 균등하게 배분된다. 따라서 앞으로의 수요 회복력에 따라 일본의 다른 항공사에서 남은 주7회 슬롯을 가져갈 가능성이 있다. 다만, 집에어 에어재팬은 인천에서 나리타로 기취항 중이기 때문에 어떤 일본사가 취득할 지는 불투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