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17:14:29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내전 파일:시리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808080,#555><colcolor=#fff> 경과 시리아 민주화 운동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원인과 분석 시리아 내전 발발 원인 | 분석과 전망
주요 세력 시리아 정부측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 시리아 아랍군)
지원세력 | 러시아 연방군 · 이란군( 이슬람 혁명 수비대) · 헤즈볼라
시리아 반정부측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과도정부( 자유 시리아군)
지원세력 | 미군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임시정부( 시리아 국민군)
지원세력 | 튀르키예군
파일:이슬람 전선기.svg 이슬람 전선
파일:알누스라 전선 깃발(2016-2017).svg 알누스라 전선파일:시리아 구국정부 깃발.svg 시리아 구국정부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과도정부(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로자바 파일:로자바 상징기.svg 로자바( 시리아 민주군)
ISIL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주요 전투 홈스 전투 | 알레포 전투 | 데이르에조르 포위전 | 코바니 포위전 | 팔미라 전투(2016~2017) | 하샴 전투 | 알바구즈 전투 | 2023년 북동시리아 분쟁 | 알레포 전투(2024년)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외국의 개입 미국의 역할 | 헤즈볼라의 역할 | 대IS 군사 개입 | 2019년 튀르키예 쿠르드 침공 | 이스라엘의 공습 |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이스라엘의 침공
기타 오해 | 난민과 참상 | 유럽 난민 사태 | 알라, 시리아와 바샤르 }}}}}}}}}

{{{#!wiki style="color: #0038b8;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0038b8> 제1차 중동전쟁
1948 ~ 1949

제2차 중동전쟁
1956
제3차 중동전쟁
1967
소모전
1967 ~ 1970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PLO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968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1968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973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1973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PLO 파일: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jpg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제4차 중동전쟁
1973
엔테베 작전
1976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공군
파일: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jpg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독일 혁명분파
오시라크 원자로 공습
1981
레바논 내전
1975 ~ 1990
러시아-이스라엘 공중전
1996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여름비 작전
2006
2006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2006
과수원 작전
2007
2008-2009년 가자 전쟁
2008 ~ 2009
시리아 내전
2011 ~ 현재
2012년 가자 전쟁
2012
2014년 가자 전쟁
2014
2021년 가자 전쟁
2021
2023년 제닌 공습
2023
2023 - 2024년 이스라엘 위기 <colbgcolor=#0038b8>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 ~
이스라엘-이란 분쟁
2024
이스라엘의 예멘 공습
2024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2024 ~
}}}}}}}}}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Israeli Invasion of Syria
날짜
2024년 12월 8일 ~ 진행 중
(침공 개시일로부터 [dday(2024-12-08)]일)
장소
골란 고원
시리아 전국의 구 시리아 아랍군 군사시설
원인
아사드 정권 붕괴
교전국 및 교전세력

[[이스라엘|]][[틀:국기|]][[틀:국기|]]

[[시리아|
시리아
시리아 과도정부
]][[틀:국기|
행정구
시리아 과도정부
]][[틀:국기|
속령
시리아 과도정부
]]

[[시리아 아랍 공화국|]][[틀:국기|]][[틀:국기|]]
[1]
수뇌부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카츠[2]
헤르지 할레비[3]
타미르 야다이[4]
다비드 살라마[5]
토메르 바르[6]
코비 샤브타이[7]
이타마르 벤그비르[8]
로넨 바[9]
무함마드 알바시르 바샤르 알아사드[10]
병력
[[틀:깃발|]][[틀:깃발|]][[이스라엘 방위군|]] 자유 시리아군
남부 작전실
시리아 아랍군[11]
피해
없음 민간인 4명 이상 사망, 여러 명 체포 다수의 육해공 시설 및 자산 파괴
결과
이스라엘의 골란 고원 전체 합병
이스라엘의 헤르몬 산 점령
시리아 아랍군 군사장비 전손

1. 개요2. 상세3. 전개
3.1. 침공 이전3.2. 12월 8일3.3. 12월 9일3.4. 12월 10일3.5. 12월 11일
4. 반응
4.1. 미국4.2. 시리아4.3. 사우디아라비아4.4. 아랍 연맹4.5. 요르단4.6. 유엔4.7. 이라크4.8. 이집트4.9. 카타르4.10. 튀르키예4.11. 파키스탄

[clearfix]

1. 개요

2024년 시리아 내전에서 아사드 정권이 몰락하자, 이스라엘이 1974년 시리아와의 국경협정의 무효를 선언하며 골란 고원 전체 합병 및 시리아의 비무장화[12]를 명분으로 침공하면서 벌어지게 된 충돌이다.

2. 상세

욤 키푸르 전쟁 이후 50년 만에 이스라엘군이 이스라엘-시리아 국경을 넘었으며 1974년 국경협정으로 철군하여 유엔 교전중지 감시군에 넘겨주었던 쿠네이트라 주를 점령하기 시작했다. 또한 골란 고원 DMZ 너머에 있던 헤르몬 산[13]까지 진격해 무혈 점령했다.

한편 이스라엘 공군은 신생 시리아 정부 또는 ISIS 잔당 등 극단주의 반군이 전략 자산을 접수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기존에 이스라엘이 파악한 미사일 전력, 공격헬기, 방공망, 탄약고, 화학무기 시설 등의 거의 모든 군사시설들에 대한 대대적인 전략 폭격을 감행하였다. 이미 구 시리아 아랍군은 항복한 상황이기에 폭격은 무저항으로 진행되었으며 작전은 아직 진행 중이긴 하나 작전 개시 2일차 만에 시리아 공군, 해군, 방공군의 모든 자산을 파괴했다는 잠정적 작전 성공을 보고했다. #

이러한 이스라엘의 전방위적 공격에 대해 신생 시리아 과도 정부는 아직까지 별다른 대응이 없으며 교전도 아직 발생하지 않았다. 아마도 HTS는 아사드 정권을 무너트리는데 전력을 다한 상황에서 이스라엘과의 전쟁까지 감당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무대응으로 나오는 걸로 추측되고 있다.

3. 전개

3.1. 침공 이전

  • 2024년 12월 6일,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로 시리아 반군이 아사드 정부가 통제하고 있는 영토로 진격하자, 이스라엘은 210 사단을 증원하고 골란 고원에 추가 병력을 배치했다. #
  • 2024년 12월 7일, 이스라엘군은 무장 세력이 유엔 완충지대(UNDOF)에 위치한 유엔 건물을 공격하자 이스라엘군은 UN군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
  • 2024년 12월 7일, 무장 세력에게 공격받은 유엔 기지는 시리아 하데르 마을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

3.2. 12월 8일

  • 이스라엘군이 UNDOF 경계를 넘어 시리아 쿠네이트라 주에 진입했다. # 이스라엘군은 북부 전선 사령부가 쿠네이트라 인근 완충 국경 지대에서 군사 작전을 수행하고 국경 수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 다마스쿠스 함락으로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붕괴하자, 이스라엘군은 구 시리아 아랍군이 철수한 헤르몬산을 점령했다. #
  • 이스라엘은 점령한 시리아 마을 5곳에 통금시간을 발표했으며,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집에서 머물라고 경고하였다. 또한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를 포함한 시리아 남부의 무기고를 폭격했다. #
  • 이스라엘군이 다마스쿠스 마제 지구와 시리아 남부 칼할라 공군기지를 공습했다. #
  • 이스라엘군이 텔 알 할라를 점령했다. #

3.3. 12월 9일

3.4. 12월 10일

  • 이스라엘군은 시리아 내 군사 자산을 무력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시리아 해군 함대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다고 밝혔다. 이스라엘이 공습한 알바이다와 라타키아 항에는 총 15척의 선박이 정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
  • 이스라엘군이 시리아의 250곳을 향해 공습을 실시했다. 또한 쿠네이트라 주의 베르 아잠 마을을 이스라엘이 점령했다. #
  • 아랍 언론에서 이스라엘군이 다마스쿠스 근교까지 진출했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이스라엘군은 사실이 아니며 이스라엘군은 완충지대에서 작전하고 있다고 밝혔다. #

3.5. 12월 11일

  • 알자지라는 이스라엘이 지난 48시간 동안 시리아를 향해 총 480차례 공습을 벌였으며, 시리아 군사자산의 80%를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이 과정에서 최소 2명의 시리아 민간인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
  • 르 몽드는 시리아에서 러시아 군사기지 철수의 시작되었으며, 모스크바는 시리아에 군사 주둔을 유지하기 위해 다마스쿠스의 신 정부와 협상하는 동안 화물기 한 대가 가장 중요한 장비를 조심스럽게 러시아로 운송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
  • 바샤르 알아사드 전 대통령의 동생 마헤르 알아사드[14] 가 다마스쿠스 함락당시 헬기를 타고 다마스쿠스를 무사히 빠져나가는 조건으로 이스라엘에게 방공 시스템, 탄도 미사일, 화학 무기, 탄약고, 군사 연구 센터 등 모든 중요 군사 자산의 위치를 넘겼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4. 반응

4.1. 미국

  • 미 국무부 대변인 매튜 밀러는 이스라엘이 골란고원 너머로 시리아를 침공하는 것은 단지 "일시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

4.2. 시리아

  • 시리아 과도정부는 타국의 시리아 영토 점령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아부 무함마드 알줄라니는 "시리아는 전쟁 준비가 되어있지 않으며, 전쟁을 할 생각도 없다"고 밝혔다. #

4.3. 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아라비아 외무부는 "이스라엘이 완충지대 점령으로 시리아 안보를 훼손하고 있다"며 이스라엘을 비난했다. #

4.4. 아랍 연맹

  • 아랍 연맹은 2024년 12월 9일 "골란 고원에서의 점령 확대 시도나 1974년 분리 협정을 일방적으로 무효화하려는 시도는 노골적으로 국제법을 위반하는 행위"라며 이스라엘을 규탄했다. #

4.5. 요르단

  • 아이만 사파디 부총리 겸 외무장관은 하원 연설에서 "우리는 이스라엘이 시리아 영토에 진입하고 완충 지대를 장악한 것을 비난한다."고 밝혔다. #

4.6. 유엔

  •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의 대변인 스테판 뒤자릭은 이스라엘이 점령을 확대하는 것은 1974년 협정 위반이라고 발언했다. # 뒤자릭은 또한 유엔은 시리아 영토 보전을 침해하는 어떤 행위에 대해서도 반대한다고 밝혔다. #

4.7. 이라크

  • 이라크 외무부는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 실체가 골란고원과 주변 지역에서 시리아 아랍 공화국과의 완충 지대를 점거한 것"을 강력히 비난하며 "이 행위는 국제법과 관련 국제적 정통성 결의안을 노골적으로 위반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

4.8. 이집트

  • 이집트 외무부는 성명을 통해 이 행동이 시리아 영토를 점령하고, 시리아 주권을 노골적으로 침해하며, 1974년 분리 협정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며 이스라엘을 강력하게 비난했다. #

4.9. 카타르

  • 카타르 정부는 이스라엘 점령군이 자매 국가인 시리아 아랍 공화국의 완충 지대를 점령한 것을 강력히 비난했으며, 이를 위험한 사태 전개이자 시리아의 주권과 통일에 대한 노골적인 공격이자 국제법을 노골적으로 위반한 것으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

4.10. 튀르키예

  • 튀르키예 외무부는 화요일 이스라엘이 이스라엘과 시리아 사이의 완충 지대에 진입하고 시리아 영토로 진격한 것을 강력히 비난한다고 밝혔다. #[15]

4.11. 파키스탄

  • 파키스탄 외무부는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략과 시리아 영토의 불법 점거를 강력히 비난한다는 공식 입장문을 발표했다. #
  • 파키스탄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포함한 국제 사회에 이스라엘의 처벌 면제, 국제법에 대한 반복적인 위반, 그리고 해당 지역 국가에 대한 침략을 종식시키기 위한 즉각적이고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

[1] 이스라엘이 공습을 가하는 시점에는 이미 알아사드 정권이 붕괴하여 바트주의 시리아 자체는 공습 이전에 멸망했다. [2] 이스라엘 국방장관 [3] 이스라엘군 총참모장 [4] 이스라엘 육군 사령관 [5] 이스라엘 해군 사령관 [6] 이스라엘 공군 사령관 [7] 이스라엘 경찰청장 [8] 이스라엘 국가안보부장관 [9] 신 베트 국장 [10] 이스라엘의 공격 시점에 러시아로 도주하여 실질적으로 공석 [11] 바샤르 알 아사드의 도주와 군부의 항복으로 실질적으로 비무장 상태지만 이스라엘의 집중적인 폭격을 당했다. [12] 처음엔 무방비하게 방치될 각종 전략 자산의 제거를 명분으로 세웠으나, 이내 레바논 헤즈볼라와 신생 시리아 정부의 신속한 재무장을 차단하는 것으로 확대했다. [13] 헤르몬 산은 골란고원보다 고도가 높아 그동안 헤즈볼라와 이란에게 이스라엘이 탐지할 수 없는 레이더 음영지대를 제공했다. 헤르몬 산을 점령함에 따라 이스라엘은 레바논과 시리아 다마스쿠스 일대를 동시에 감시할 수 있는 천혜의 감제고지 겸 자연요새를 얻게 되었다. # [14] 하페즈 알아사드의 막내 아들로, 시리아 내전 당시 4기갑사단을 지휘했다. 바샤르 알아사드 정부가 붕괴하자, 구 시리아군을 이끌고 이라크로 망명했다. [15] 정작 튀르키예는 오래 전부터 쿠르드족 견제 및 시리아 반군의 핵심 지원국이었으며, 아사드 정권 붕괴 직후부턴 시리아 통일을 구실로 아예 로자바에 대한 본격적인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