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내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808080,#555><colcolor=#fff> 경과 | 시리아 민주화 운동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원인과 분석 | 시리아 내전 발발 원인 | 분석과 전망 |
주요 세력 | 시리아 정부측 |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 시리아 아랍군) |
지원세력 | 러시아 연방군 · 이란군( 이슬람 혁명 수비대) · 헤즈볼라 | ||
시리아 반정부측 | 시리아 과도정부( 자유 시리아군) | |
지원세력 | 미군 | ||
시리아 임시정부( 시리아 국민군) | ||
지원세력 | 튀르키예군 | ||
이슬람 전선 | ||
알누스라 전선 → 시리아 구국정부 → 시리아 과도정부(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 ||
로자바 | 로자바( 시리아 민주군) | |
ISIL | ISIL |
주요 전투 | 홈스 전투 | 알레포 전투 | 데이르에조르 포위전 | 코바니 포위전 | 팔미라 전투(2016~2017) | 하샴 전투 | 알바구즈 전투 | 2023년 북동시리아 분쟁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 알레포 전투(2024년) | 다마스쿠스 함락) |
외국의 개입 | 미국의 역할 | 헤즈볼라의 역할 | 대IS 군사 개입 | 2019년 튀르키예 쿠르드 침공 | 이스라엘의 공습 |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이스라엘의 침공 |
기타 | 오해 | 난민과 참상 | 유럽 난민 사태 | 알라, 시리아와 바샤르 | }}}}}}}}} |
다마스쿠스 함락 معركة دمشق |
|||
시리아 내전 중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의 일부 | |||
날짜 | |||
2024년 12월 7일 ~ 2024년 12월 8일 | |||
장소 | |||
시리아 다마스쿠스, 리프디마슈크 주 | |||
교전 국가 및 세력 | |||
[[틀:깃발| 시리아 자유군 시리아 남부작전실 |
]][[틀:깃발| ]][[시리아 구국정부| ]]|||
지휘관 | |||
아흐마드 알아우다 살렘 투르키 알안타리 아부 무함마드 알줄라니 |
바샤르 알아사드 | ||
병력 | |||
불명 | 불명 | ||
피해규모 | |||
불명 | 불명 | ||
결과 | |||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 붕괴 시리아 과도정부 출범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
[clearfix]
1. 개요
2024년 12월 7일부터 12월 8일까지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쿠스와 리프디마슈크에서 진행된 전투.2. 전개
2.1. 12월 7일
- 다라 주의 시리아 반군이 다마스쿠스에서 약 20km(12마일) 떨어진 알 사나마인(Al-Sanamayn)으로 진출했다. #
- 시리아 반군이 다마스쿠스 포위를 시도하고 있다. #
- 시리아 친정부군이 아살 알-워드 , 야브루드 , 플리타 , 알-나세리야 , 아르투즈 마을에서 철수했다. 해당 마을들은 다마스쿠스로부터 10km 떨어져 있는 곳으로, 이곳까지 반군이 진격했다. #
- 시리아 정부가 반군의 진격 소식에 대해 부인했다. # 그러나 7일 저녁 정부군은 리프디마슈크 인근 지역에 배치된 병력을 다마스쿠스로 철수했다. #
- 시리아 반군이 다마스쿠스 교외의 자라마나 , 무아다미야 , 다라야까지 진출했다. #
- 자라마나 중앙광장에 배치되었던 하페즈 알아사드의 동상이 시위대에 의해 철거되었다. #
- 시리아 반군이 다라 시를 완전히 장악했다고 발표했다. #
- 시리아 반군이 다마스쿠스에 가깝게 접근하면서 다마스쿠스 교외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일어났다. 시리아 친정부은 다마스쿠스 교외에서 철수했다. #
- 미국이 지원한 시리아 자유군이 팔미라, 다리야를 점령 후 북상해 다마스쿠스로 향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 #, #
- 다마스쿠스 외곽에서 무장한 주민들과 주요 경찰 본부들이 버려진 사실이 확인되었다. #
- 다마스쿠스의 고위 정부 관리와 군 장교 "그룹"이 시리아 반군에게 투항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발표했다. #
2.2. 12월 8일
- 다마스쿠스 시의 경찰들과 시리아 아랍군 군인들이 군복을 벗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
- 시리아 인권 감시소는 다마스쿠스에서 개인 항공편이 출항한 후 시리아 정부가 무너졌으며, 시리아 아랍군도 해산되었다고 보도했다. #
- 시리아 반군이 홈즈를 점령하면서 시리아 정부가 통제하고 있던 라타키아, 타르투스와 다마스쿠스 간 연결이 끊어졌다.
- 세드나야 교도소가 반군에 의해 함락되어 수감자들이 풀려나고 있다. #
- 시리아 대통령 바샤르 알아사드가 도주했다. # 이후 보도에 의하면 바샤르는 러시아로 망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
2.3. 전투 종료 이후
- 다마스쿠스 함락 이후 시리아 주재 이란 대사관, 아사드가 소유한 토지, 시리아 정부기관을 포함한 여러 장소가 약탈당했다. # 시리아 대통령궁 접견실은 불에 탔고, 시리아 전국에 설치되었던 하페즈 알아사드의 동상들은 파괴되었다. # 이란 대사관과 달리 러시아, 중국 대사관은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
- 시리아 반군은 다마스쿠스 해방을 선언하면서 13시간 동안 통행금지령을 발표했다. #
- 이스라엘이 다마스쿠스 메제흐 공군기지, # 시리아 카프르 소자 지구에 위치한 이란 미사일 연구소를 공습했다. #
- 이스라엘이 제4차 중동전쟁 이후 50여년만에 UNDOF를 넘어 시리아 쿠네이트라 주를 향해 지상전을 감행했다.
3. 결과와 영향
시리아 아랍 공화국을 53년 간 통치했던 알아사드 정권은 완전히 붕괴했다. 시리아 대통령 바샤르 알아사드는 가족과 함께 러시아로 망명을 떠났다.다마스쿠스에 남아있던 시리아 총리 무함마드 가지 알잘랄리는 반군의 추대로 잠시 임시 수반이 되었으나, 2024년 12월 9일 시리아 구국정부 현임총리인 무함마드 알바시르가 신임 총리로 선출되면서 사임했다.
바샤르 알아사드 정부가 붕괴하자, 러시아는 라타키아, 타르투스에 위치한 군사기지를 제외한 시리아 지역에 배치되었던 러시아군을 철수시키기 시작했으며 해당 지역의 러시아군 기지를 유지하기 위해 시리아 과도정부와 협상을 진행 중으로 알려졌다. #
시리아는 위치상 이란이 구축했던 저항의 축의 허리를 담당하는 국가였기 때문에 친이란 성향을 띄웠던 아사드 정부가 무너짐에 따라 이란의 영향력 역시 해당 지역에서 축소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스라엘은 아사드 정부가 붕괴된 틈을 타 시리아 본토를 침공해 헤르몬 산과 쿠네이트라 주 일부를 점령했다. 또한 구 시리아 아랍군의 군사자산에 대해 시리아 전역에 공습을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