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01:33:17

예조

예조(조선)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임금의 칭호인 묘호에 대한 내용은 예조(묘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삼사 의정부 국왕 직속

삼군부 오위 비변사 오군영 속오군
<rowcolor=#f0ad73> 고려 중앙정치기구 · 대한제국 중앙정치기구
}}}}}}}}} ||
1. 개요2. 연혁3. 조직4. 산하 기관5. 예조판서 목록6. 관련 기록물7. 기타

1. 개요

예조(禮曹)는 조선 시대의 중앙 행정기관 육조의 하나로 춘관(春官)이라고도 한다. 의식, 의전, 외교, 교육, 문화, 도덕, 직제 등의 업무를 맡았다. 수장은 정2품 판서이다.

오늘날 외교부,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국가보훈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해당한다.

2. 연혁

982년( 성종 1) 북주의 제도를 참고하여 6관제를 만들고 그 하나로 예관(禮官)이 설치되었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995년(성종 14) 당나라 제도를 따라 상서성의 상서예부(尙書禮部)로 개칭되었다. 당시 예부는 문종 이래 예의(공중도덕), 제향(국가적인 제사), 조회(국무회의), 교빙(외교), 학교(교육), 과거(국가공무원 시험)에 관한 일을 맡도록 규정했다.

1276년( 충렬왕 1) 이부에 통합되어 전리사(典理司)가 되었다. 1298년( 충렬왕 24)에 의조(儀曹)로 다시 독립했으며, 1308년(충렬왕 34) 다시 선부(選部)에 통합되었고, 1356년( 공민왕 5) 다시 예부로 복원되었으나 이후 예의사(禮義司)로 고쳐졌다. 예의사 시절에는 기관장을 예의판서라고 했다.

1389년( 공양왕 1) 예조로 바뀌어 곧바로 조선으로 이어졌다.

3. 조직

4. 산하 기관

  • 예문관(藝文館)
  • 승문원(承文院)
    외교 문서 작성과 검토 등의 업무를 맡았다.
  • 통례원(通禮院)
    국가의 의례를 전반적으로 관장하는 부처
  • 봉상시(奉常寺)
    제사나 시호를 정하는 일을 의론해 올리던 부서
  • 교서관(校書館)
    책을 편찬, 인쇄하고 제사 시의 축문을 짓거나 관리하던 부처
  • 예빈시(禮賓寺)
    빈객의 연향(燕享)과 종실 및 재신(宰臣)들의 음식물 공급 등을 관장하던 부처
  • 전의감(典醫監)
    궁중에서 쓰는 의약의 공급과 임금이 하사하는 의약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
  •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 춘방이라고도 불리며 세자의 교육을 담당한 곳이다.
  •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

    • 춘방이라고도 불리며 세손의 교육을 담당한곳이다.
  • 종학(宗學)
  • 소격서(昭格署)
  • 종묘서(宗廟署), 사직서(社稷署)
    종묘 사직 관련 업무를 맡았다.
  • 빙고(氷庫)
    국가의 필요한 얼음을 관리하는 부서이다.
  • 전생서(典牲署)
    제사에 쓰이는 가축 관련 업무를 맡았다.
  • 사축서(司畜署)
    궁중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가축 관련 업무를 맡았다.
  • 도화서(圖畫署)
    국가 행사를 그림으로 기록하는 부서이다.
  • 활인서(活人署)
    빈민의 구제와 치료 등의 업무를 맡았다. 오늘날 대한적십자사와 유사하다.
  • 귀후서(歸厚署)
  • 사학(四學)
  • 문소전, 연은전 참봉(文昭殿延恩殿參奉)

5. 예조판서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예조판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예조판서 목록 펼치기 ]
예조판서는 예조의 수장직이며, 역사 속에서 활약한 인물들을 남긴다.
  • 설미수: 태종 시기 육조직계제 개편안 실무를 담당했다. 위구르 출신 귀화인이다.
  • 정인지: 세종 시대에 집현전을 이끌어 나간 사람 중 한 명이다.
  • 홍윤성: 세조 때 예조판서를 지냈으며, 살인마정승으로 불렸다.
  • 신숙주: 세조의 측근이며, 집현전 학사 출신이기도 하다.
  • 이승소: 훈구파의 중진이다.
  • 허종: 성종의 총애를 받은 대신으로, 폐비 윤씨의 사사를 반대했다.
  • 허성: 허균의 형으로, 선조의 유지를 받은 고명7신이기도 하다.
  • 박홍구: 광해군의 최측근이며, 북인의 영수이다.
  • 이정구: 조선 중후반기의 대학자이자 명신이다.
  • 이이첨: 광해군 때 대북의 영수였고 권력실세였으며 계축옥사, 폐모론 등을 앞장서서 주도했다.
  • 정창연: 정유길의 아들이며, 선조와 광해군 때 예조판서를 지냈다.
  • 김상헌: 병자호란 당시 재직하였으며, 남한산성에서 에 맞서 싸우는 주전론을 내세웠다.
  • 정태화: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 김좌명: 김석주의 아버지이며 대동법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 조복양: 서인 산당의 중진이었다.
  • 김수항: 송시열의 수제자.
  • 민정중: 인현왕후의 숙부이자 숙종의 처숙부이며 민유중의 형이다.
  • 홍처량: 조선 숙종 때 문신이며 서인으로서의 활약이 컸다.
  • 김만기: 인경왕후의 아버지이자 숙종의 첫 번째 장인이다.
  • 장선징: 인선왕후의 오빠이자 효종의 처남으로, 송시열과 가까운 사람이었다.
  • 권대운: 숙종 때 남인의 영수이다.
  • 이지익: 숙종 초에 서인임에도 남인 정권에서 예조판서를 지냈다.
  • 오정위: 인평대군의 인척이며 남인의 거두이다.
  • 남용익: 숙종 때 서인 중진이다.
  • 김석주: 숙종의 외척이며, 공작정치로 유명한 장본인이다.
  • 김만중: 인경왕후의 숙부이자 숙종의 처숙부로, 사씨남정기와 구운몽을 지은 소설가이기도 하다.
  • 김진구: 김만기의 장남이며 인경왕후의 큰오빠이고, 숙종의 첫번째 큰 처남이다. 송시열의 문인이기도 하다.
  • 김진규: 김만기의 차남이며 인경왕후의 작은 오빠이고, 숙종의 첫번째 작은 처남이고, 송시열의 문인이다.
  • 송상기: 송시열의 수제자이며, 송규렴의 아들이다.
  • 민진후: 민유중의 장남이자 숙종의 두번째 큰 처남이며 인현왕후의 큰오빠이다.
  • 이이명: 노론4대신 중에 한 명.
  • 이건명: 노론4대신 중에 한 명
  • 조태채: 노론4대신 중에 한 명.
  • 민진원: 영조 때 노론 영수이자 숙종의 두번째 작은 처남이고 인현왕후의 작은 오빠이다.
  • 정호: 영조 때 노론 영수이며 송시열의 문인이고 강경파의 핵심이다.
  • 이관명: 영조 때 노론 영수이며 노론 강경파이다.
  • 조만영: 풍양 조씨 세도정치의 핵심 인물이다.
  • 김좌근: 철종 때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핵심 인물이었다.
  • 박문수: 영조의 총애를 받은 소론 대신이다.
  • 하위지: 사육신 중 한 명이다.

6. 관련 기록물

7. 기타

  • 육조 중에서 업무 범위가 제일 넓다. 특히 계제사(稽制司)는 오늘날 국가행정조직과 비교하면 발을 안 걸치고 있는 곳을 찾기 힘들 정도다. 따라서 산하 기관의 수도 육조의 다른 기관에 비해 월등히 많다.
  • 춘관(春官), 춘관아문(春官衙門), 춘조(春曹)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 ( 이전 역사)
문서의 r10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