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03:09:50

스코페

스코피에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order-right: 10px solid #d20000; border-left: 10px solid #d20000"
{{{#!wiki style="margin: -10px 0 -8px"
<tablebordercolor=#d20000><tablewidth=10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e600> 통계 지방 / Регион 지방자치단체 / Општина
<colbgcolor=#d0d0d0,#707070><colcolor=#000,#fff> 파일:스코페지방.png
스코페
파일:스코페 휘장.png 01. 스코페 도시권 Скопје
  • 파일:S01.첸타르시_COA.png S01. 첸타르 Центар
  • 파일:S02.가지바바시_COA.png S02. 가지바바 Гази Баба
  • 파일:S03.아에로드롬시_COA.png S03. 아에로드롬 Аеродром
  • 파일:S04.차이르시_COA.png S04. 차이르 Чаир
  • 파일:S05.키셀라보다시_COA.png S05. 키셀라보다 Кисела Вода
  • 파일:S06.부텔시_COA.png S06. 부텔 Бутел
  • 파일:S07.슈토오리자리시_COA.png S07. 슈토오리자리 Шуто Оризари
  • 파일:S08.카르포시시_COA.png S08. 카르포시 Карпош
  • 파일:S09.조르체페트로프시_COA.png S09. 조르체페트로프 Ѓорче Петров
  • 파일:S10.사라이시_COA.png S10. 사라이 Сарај
파일:03.소피슈테시_COA.png 03. 소피슈테 Сопиште
파일:04.스투데니차니시_COA.png 04. 스투데니차니 Студеничани
파일:05.젤레니코보시_COA.png 05. 젤레니코보시 Зелениково
파일:06.일린덴시_COA.png 06. 일린덴 Илинден
파일:08.추체르산데보시_COA.png 08. 추체르산데보 Чучер-Сандево
파일:16.페트로베츠시_COA.png 16. 페트로베츠 Петровец
파일:71.아라치노보시_COA.png 71. 아라치노보 Арачиново
파일:북동부지방.png
북동부
파일:07.립코보시_COA.png 07. 립코보 Липково
파일:17.쿠마노보시_COA.png 17. 쿠마노보 Куманово
파일:18.스타로나고리차네시_COA.png 18. 스타로나고리차네 Старо Нагоричане
파일:19.란코프체시_COA.png 19. 란코프체 анковце
파일:20.크리바팔란카시_COA.png 20. 크리바팔란카 Крива Паланка
파일:21.크라토보시_COA.png 21. 크라토보 Кратово
파일:폴로크지방.png
폴로크
파일:02.브랍치슈테시_COA.png 02. 브랍치슈테 Врапчиште
파일:09.예구노프체시_COA.png 09. 예구노프체 Јегуновце
파일:10.테아르체시_COA.png 10. 테아르체 Теарце
파일:11.테토보시_COA.png 11. 테토보 Тетово
파일:12.브르베니차시_COA.png 12. 브르베니차 Брвеница
파일:55.젤리노시_COA.png 55. 젤리노시 Желино
파일:56.보고비네시_COA.png 56. 보고비네 Боговиње
파일:57.고스티바르시_COA.png 57. 고스티바르 Гостивар
파일:58.마브로보로스투샤시_COA.png 58. 마브로보로스투샤 Маврово и Ростуша
파일:남서부지방.png
남서부
파일:13.마케돈스키브로드시_COA.png 13. 마케돈스키브로드 Македонски Брод
파일:53.플라스니차시_COA.png 53. 플라스니차 Пласница
파일:54.키체보시_COA.png 54. 키체보 Кичево
파일:59.데바르시_COA.png 59. 데바르 Дебар
파일:60.첸타르주파시_COA.png 60. 첸타르주파 Центар Жупа
파일:61.스트루가시_COA.png 61. 스트루가 Струга
파일:62.베브차니시_COA.png 62. 베브차니 Вевчани
파일:63.데바르차시_COA.png 63. 데바르차 Дебарца
파일:64.오흐리드시_COA.png 64. 오흐리드 Охрид
파일:바르다르지방.png
바르다르
파일:14.차슈카시_COA.png 14. 차슈카 Чашка
파일:15.벨레스시_COA.png 15. 벨레스 Велес
파일:33.그라드스코시_COA.png 33. 그라드스코 Градско
파일:34.로소만시_COA.png 34. 로소만 Росоман
파일:35.네고티노시_COA.png 35. 네고티노 Неготино
파일:48.데미르카피야시_COA.png 48. 데미르카피야 Демир Капија
파일:49.카바다르치시_COA.png 49. 카바다르치 Кавадарци, Kavadarci
파일:동부지방.png
동부
파일:22.스베티니콜레시_COA.png 22. 스베티니콜레 Свети Николе
파일:23.프로비슈티프시_COA.png 23. 프로비슈티프 Пробиштип
파일:24.코차니시_COA.png 24. 코차니 Кочани
파일:25.마케돈스카카메니차시_COA.png 25. 마케돈스카카메니차 Македонска Каменица
파일:26.델체보시_COA.png 26. 델체보 Делчево
파일:27.비니차시_COA.png 27. 비니차 Виница
파일:28.체시노보오블레셰보시_COA.png 28. 체시노보오블레셰보 Чешиново-Облешево
파일:29.카르빈치시_COA.png 29. 카르빈치 Карбинци
파일:30.즈르노프치시_COA.png 30. 즈르노프치 Зрновци
파일:31.슈티프시_COA.png 31. 슈티프시 Штип
파일:32.로조보시_COA.png 32. 로조보 Лозово
파일:38.페흐체보시_COA.png 38. 페흐체보 Пехчево
파일:39.베로보시_COA.png 39. 베로보 Берово
파일:남동부지방.png
남동부
파일:36.콘체시_COA.png 36. 콘체 Конче
파일:37.라도비시시_COA.png 37. 라도비시 Радовиш
파일:40.바실레보시_COA.png 40. 바실레보 Василево
파일:41.보실로보시_COA.png 41. 보실로보 Босилово
파일:42.노보셀로시_COA.png 42. 노보셀로 Ново Село
파일:43.스트루미차시_COA.png 43. 스트루미차 Струмица
파일:44.발란도보시_COA.png 44. 발란도보 Валандово
파일:45.도이란시_COA.png 45. 도이란 Дојран
파일:46.보그단치시_COA.png 46. 보그단치 Богданци
파일:47.게브겔리야시_COA.png 47. 게브겔리야 Гевгелија
파일:펠라고니아지방.png
펠라고니아
파일:50.프릴레프시_COA.png 50. 프릴레프 Прилеп
파일:51.돌네니시_COA.png 51. 돌네니 Долнени
파일:52.크루셰보시_COA.png 52. 크루셰보 Крушево
파일:65.레센시_COA.png 65. 레센 Ресен
파일:66.데미르히사르시_COA.png 66. 데미르히사르 Демир Хисар
파일:67.비톨라시_COA.png 67. 비톨라 Битола
파일:68.크리보가슈타니시_COA.png 68. 크리보가슈타니 Кривогаштани
파일:69.모길라시_COA.png 69. 모길라 Могила
파일:70.노바치시_COA.png 70. 노바치 Новаци
}}}}}}}}}
[ 지도 보기 ]
파일:Map_of_the_north macedonia0.png

유럽의 국가별 수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서유럽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더블린 문장.png 더블린 파일:그레이터 런던 휘장.svg 런던 파일:파리 문장.svg 파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암스테르담 문장.svg 암스테르담 파일:Greater_coat_of_arms_of_the_City_of_Brussels.svg.png 브뤼셀 파일:룩셈부르크 국장.svg 룩셈부르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모나코 국장.svg 모나코
중부유럽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베를린 주장.svg 베를린 파일:빈(오스트리아) 문장.svg 파일:WARSAW Coat of arms.png 바르샤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프라하 문장.png 프라하 파일:브라티슬라바 문장.svg 브라티슬라바 파일:부다페스트 휘장.svg 부다페스트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베른 주장.svg 베른 파일:파두츠 문장.svg 파두츠 파일:류블랴나 시 문장.png 류블랴나
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모스크바 시장.svg 모스크바 파일:민스크 시장.svg 민스크 파일:키이우 시장.svg 키이우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키시너우(수도).png 키시너우 파일:예레반 시 휘장.png 예레반 파일:Seal_of_Tbilisi,_Georgia.svg 트빌리시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Coat_of_Arms_of_Tskhinval.png 츠힌발리 파일:아스타나 시 휘장(라틴어).png 아스타나 파일:바쿠 시 휘장.png 바쿠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Coat_of_arms_of_Tiraspol_1847.svg.png 티라스폴 파일:1000003902.png 수후미
남유럽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마드리드 시장.svg 마드리드 파일:Coat_of_Arms_of_Lisbon.svg.png 리스본 파일:안도라라벨랴.png 안도라라베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로마시 휘장.svg 로마 바티칸 파일:산마리노 문장.svg 산마리노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발레타(Valletta).png 발레타 파일:류블랴나 시 문장.png 류블랴나 파일:자그레브 시 문장.png 자그레브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Coat_of_arms_of_Sarajevo.svg.png 사라예보 파일:베오그라드 문장.svg 베오그라드 파일:프리슈티나.png 프리슈티나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Coat_of_Arms_of_Podgorica.svg.png 포드고리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49px-Wappen_Tirana.svg.png 티라나 파일:스코페 휘장.png 스코페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아테네 문장.svg 아테네 파일:Ankara_City_Logo.svg.png 앙카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icosia_city_fl_n7160.gif 니코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616px-ROU_Bucharest_CoA.svg.png 부쿠레슈티 파일:소피아 시 휘장.png 소피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icosia_city_fl_n7160.gif 레프코샤
북유럽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Tallinn_wapen.svg.png 탈린 파일:리가 문장.png 리가 파일:Grand_Coat_of Vilnius.png 빌뉴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Helsinki.vaakuna.svg.png 헬싱키 파일:1280px-Stockholm_vapen_bra.svg.png 스톡홀름 파일:오슬로 주장.svg 오슬로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코펜하겐시.png 코펜하겐 파일:레이캬비크 휘장.svg 레이캬비크
아메리카의 수도 | 아시아의 수도 | 아프리카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 ||
스코페 (북마케도니아)
파일:스코페 휘장.png

Скопје

파일:Skopje_X31.jpg
파일:북마케도니아 스코페.jpg



1. 개요2. 역사3. 행정 구역4. 여담

1. 개요

마케도니아어· 세르비아어: Скопје / Skopje (스코폐)
알바니아어: Shkupi (슈쿠피)
라틴어: Scupi (스쿠피)

발칸반도에 위치한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수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시절에도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였으며 1991년 9월 8일 이후에는 신생 독립국의 수도로서 북마케도니아의 경제, 정치,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인구는 50만이 넘으며 북마케도니아인이 인구의 2/3을, 알바니아인이 20%를 차지한다.

도시의 이름은 철자대로 쓰면 스코지만, 국립국어원에서는 스코를 표준으로 정하고 있다. # 현재 마케도니아어의 정해진 표기법은 없지만, 다만 다른 슬라브어인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러시아어, 체코어 표기법을 보면 자음에 '예'가 결합될 경우에는 '예'가 아닌 '에'라고 적도록 되어 있는데, 'Скопје'를 '스코페'라고 적는 표기도 이를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국어에서도 '자음 + ㅖ'는 [자음 + ㅔ]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고 이것이 허용 발음으로도 인정된다는 점을 반영한 듯. 그래서 북한 문화어권에서는 스꼬뼤로 적고 있다.

2. 역사

사람이 산 흔적 자체는 기원전 4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나 실질적인 스코페의 설립 시기는 기원전 4세기 '스쿠피'라는 도시명이 역사에 기록되면서부터이다. 로마 제국 시대를 거치면서 그리스인, 로마인이 모여 사는 국제 도시로 번성하기 시작하던 스코페는 395년 테오도시우스 1세 사망 이후 로마 제국이 동서로마로 완전 분할되면서 동로마 제국으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518년에 발생한 규모 M 7.5, 최대진도 12(XII)급 의 지진으로 도시 전체가 완전 파괴되었다. 그 이후 유스티니아누스 대제에 의해 복구되었다. 7세기 이후 슬라브족이 발칸반도로 넘어오기 시작하면서 다른 발칸반도 지역과 함께 스코페도 슬라브화되었고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시의 인종적 구성의 뿌리가 되었다. 그러나 슬라브화 이후 스코페는 여러 차례 불가리아 제국, 세르비아 제국 등 인접 국가들의 침입을 받으면서 주인이 여러번 바뀌었다. 그중 주목할 만한 역사적 사실은 세르비아 제국의 건국자인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이 1346년 이곳에서 대관식을 치르면서 수도로 정한 것이 있겠다. 그러나 세르비아 제국 수도로서의 그 영화도 잠시, 아나톨리아 지방에서 무섭게 세력을 뻗쳐나가며 동로마 제국을 위협하던 오스만 술탄국이 발칸 도에 진출하면서 스코페도 1392년 오스만 술탄국에게 함락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를 거치면서 17세기의 스코페는 '위스퀴프(اسکوب / Üsküb)'라는 이름으로 제국 내에서 번영했지만 종교적으로는 정교회를 비롯한 기독교가 탄압을 받고 인구 구성 면에서도 기독교를 믿는 슬라브족 자리를 이슬람으로 개종한 보슈냐크인, 알바니아인, 튀르크인, 세파르드 유대인이 대신 채웠다. 이 시기 세워진 튀르크식 건축물들은 이후 오늘날까지 스코페의 구시가를 이루게 된다. 1683년 에서의 패배 이후 오스만 제국이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스코페도 경제적으로 퇴락하게 되고 제국이 본격적으로 몰락의 길에 접어들게 된 19세기에 이르면 스코페를 비롯한 북마케도니아 지방에서도 불가리아인을 중심으로 슬라브 민족주의 열풍이 거세게 불었다. 이후 1908년 청년 튀르크당의 봉기에 이어 1912년 발칸 전쟁이 일어나자 아직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 하에 놓여있던 스코페도 전쟁에 휘말렸다. 개전 18일이 지난 1912년 10월 26일 세르비아 왕국군이 스코페에 입성하고 세르비아 왕국이 북마케도니아 지방을 합병함으로서 스코페는 500여년 만에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세르비아의 스코페 합병 이후 대다수의 튀르크인이 추방되어 스코페는 300여년 만에 또 한번 중대한 인구 구성 변화를 맞이하고 북마케도니아인, 알바니아인이 시의 인구 대부분을 구성했다.

스코페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Σκόπια"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관찰하다" 또는 "고지대의 사람들"를 의미하는 단어와 관련이 있다. 이는 도시의 지리적 위치가 주변 경관을 쉽게 볼 수 있는 언덕이나 높은 지대에 자리잡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사람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설립되면서 스코페는 다시 한번 경제 중흥을 맞이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와중에 유고슬라비아가 나치 독일의 침공을 받으면서 스코페에 살던 유대인들이 강제 수용소[1]로 끌려가 죽음을 맞게 되는 비극이 벌어졌다. 전쟁 전 북마케도니아에 유대인 약 7800명이 살았으나 전쟁후에는 단 2%에 불과한 약 362명만이 생존했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격대가 나치 독일을 몰아내면서 스코페는 나치로부터 해방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성립되면서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가 된다.

유고슬라비아 시절이던 1963년 7월 26일 스코페에 또다시 규모 M 6.9, 최대진도 10(X)의 대규모 지진으로 1천여 명이 사망하고 시가지의 80%가 완파되는 대참사가 벌어졌다. 이후 시가지가 현대적인 건축 양식으로 재건되면서 스코페는 일부 구시가지를 제외하고 예전의 모습을 거의 잃었다. 재건은 국제적인 관심을 끌며 일본의 저명한 건축가 단게 겐조를 포함한 UN 건축 팀이 주도했는데, 냉전기간 중 보기 드물게 서방과 공산권 건축가들이 같이 참여했고 일본의 건축 이론이 처음으로 자국 밖에서 실현되었다. 이들은 '현재가 아닌 미래의 도시'를 목표로 브루털리즘과 메타볼리즘을 구현하고자 했다.

1991년 9월 8일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유고 연방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면서 스코페는 신생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

3. 행정 구역

파일:SkopjeDistricts.png

스코페의 행정 구역은 10개 지자체(општини)로 이루어져 있다. 각 지자체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면적(km²) 인구(명) 명/km²
가지바바 Гази Баба 111 69,626 628
부텔 Бутел 55 37,968 693
사라이 Сарај 229 38,399 168
슈토오리자리 Шуто Оризари 7.5 25,726 3,439
아에로드롬 Аеродром 22 77,735 3,558
조르체페트로프 Ѓорче Петров 67 44,844 670
차이르 Чаир 3.5 62,586 17,780
첸타르 Центар 7.5 43,893 5,837
카르포시 Карпош 35 63,760 1,811
키셀라보다 Кисела Вода 34 61,965 1,810
스코페 571 526,502 921

스코페의 구들 중 사라이·차이르는 알바니아인, 슈토오리자리는 롬인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4. 여담

그리스-마케도니아 분쟁에서 정통성을 내세우기 위해 북마케도니아 정부에서 스코페에 동상을 대규모로 건립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시 중심가에는 거대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세워져 있을 정도. 그러나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정부가 동상 건립에 열을 올리고 실제로 시가지 내에 동상이 지나치게 많다. 이 때문에 북마케도니아 사회 일각에서는 어려운 경제 상황에 정부가 쓸데없는 일을 벌이고 있다고 비판하는 상황이다.

알바니아계인 마더 테레사의 고향이기도 하다.

일국의 수도 임에도 코소보와 인접한 국경도시다. 스코페 시가지 외곽에서 코소보까지는 불과 10km 정도 밖에 안된다. 구 유고 시절에는 같은 나라였기 때문에 국경에 가까워도 크게 상관없었다. 어차피 현재 코소보의 국력으로는 북마케도니아를 군사적으로 위협, 압력을 가할 수도 없고 코소보의 입장에서는 남쪽의 북마케도니아보다는 오히려 북쪽에 위치한 세르비아가 더 큰 주적이기 때문에 딱히 안보상으로 위협이 되지 않는다.[2]

파일:41616394025_551e1fb5d6_k.jpg
시내버스로 2층 버스가 굴러다니는 몇 안되는 도시인데, 사실 여기서 굴러다니는 2층 버스들은 중국에서 만든 런던 루트마스터의 짝퉁이다 (...)
[1] 대표적으로 트레블링카 절멸수용소에 대부분 죽음을 맞이하였다. [2] 비슷한 예로 카자흐스탄이 있다. 구 소련 밑에 있었을 때는 수도가 키르기스스탄 국경과 가까운 알마티 였다. 마찬가지로 구 소련 시기에는 별 다른 문제가 없었지만 독립 이후 안보 문제와 효율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수도를 아스타나으로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