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5007F>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중구 |
서구 |
동구 |
영도구 |
부산진구 |
|
동래구 |
남구 |
북구 |
해운대구 |
사하구 |
|
금정구 |
강서구 |
수영구 |
사상구 |
||
기장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2a5caa><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2a5caa>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가야동 | 개금동 | 당감동 | 범전동 | 범천동 | |||||
구청
부암동 |
부전동 | 양정동 | 연지동 | 전포동 | 초읍동 |
부산광역시의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부산진구
釜山鎭區 Busanjin-gu |
}}} | |||
<colbgcolor=#2a5caa><colcolor=#fff> 구청 소재지 | 시민공원로 30 (부암동) |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하위 행정구역 | 20 동[1] | |||||
면적 | 29.67㎢ | |||||
인구 | 359,281명[2] | |||||
인구밀도 | 12,158.40명/㎢[3] | |||||
구청장 |
|
김영욱 (초선) | ||||
구의회 |
|
9석[4] | ||||
|
9석[5] | |||||
시의원 |
|
4석[6] | ||||
국회의원
|
<colbgcolor=#2a5caa><colcolor=#fff> 갑 |
|
정성국 (초선) | |||
을 |
|
이헌승 (4선) | ||||
상징 | 구화 | 철쭉 | ||||
구목 | 배롱나무 | |||||
구조 | 까치 | |||||
구가 | 부산진구의 노래 | |||||
지역번호 | 051 | |||||
| | | | | |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의 중부에 위치한 자치구.구의 이름은 조선시대 설치된 부산진성(釜山鎭城)에서 따왔다. 하지만 '부산진'이라는 지명의 원조인 부산진성 터를 포함해 부산진역, 부산진시장 등은 모두 동구에 있으므로 잘못 지어진 이름이다. 하다못해 동대문구의 경우처럼 출범 당시에는 맞는 이름이었는데 행정구역 변경으로 달라지게 된 경우라면 이해라도 하는데, 동구는 단 한번도 부산진구와 같은 동네였던 적이 없다. 동래군 서면이 일제강점기인 1936년에 부산부의 일부가 되면서 부산진출장소가 설치되었다가, 1957년 구제를 실시하면서 부산진구가 되었다고 하는데 이때 동구도 같이 설치되었다, 대체 왜 부산진이 있지도 않은 곳에 부산진이라는 이름을 붙였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줄여서 진구라고도 부르고 '진구청'이라는 항목을 지도에서 찾을 때도 있고 유동잡지나 포스터 통신문 같은 데 보면 약칭으로 쓰인다.[7] 이는 부산이라는 지명이 중복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며, 비슷한 사례가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다.[8]
현재 부산의 지리적, 문화적 중심지이다. 부산 최대의 상권 서면이 이 구의 가운데에 있다. 과거의 중심지였던 중구 남포동 일대는 콩라인[9]+관광지에 가까우며, 근래 새롭게 떠오른 해운대권도 전체적으로 서면에게 크게 밀린다.
2. 상징
부산진구의 CI | |||
부산진구가 추구하는 도시 비전과, 우리 구 구성원의 심상을 두 가지 컬러로 함축하여, Blue는 신뢰·지성·청렴·발전을 나타내며 사람 중심 행정을 펼치는 부산진구가 만들어갈 건전한 도시 정신을 상징합니다. Red는 역동·선의·젊음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부산진구 구성원의 올곧고 선한 마음과 타오르는 열정, 그리고 끊임없는 도전 정신을 나타냅니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CI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colbgcolor=#fff,#1c1d1f>
1997년 ~ 2020년 |
서면 5거리 방향과 구민이 하나로 뭉쳐 중심으로 모이는 소용돌이 형상, 그리고 부산의 중심이요 금융, 상업, 유통, 교통, 정보가 집중되는 것을 표현하고 세계화 시대에 부산진구가 세계속으로 퍼져 나감을 상징하고 있다. 지금도 20년 넘게 사용해서 하수구 뚜껑이나 난간에서 발견할 수 있다. | }}}}}}}}}}}}}}} |
부산진구의 브랜드 슬로건 |
함께하는 어울림이 있는 도시, 사람과 함께하는 도시, 자연과 함께하는 도시, 문화와 함께하는 도시, 부산진구의 새로운 슬로건 with busnjin은 모든 것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친근하고 유연한 부산진구의 이미지를 담으며, 소외받는 사람과 지역 없이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도시의 미래상을 반영합니다. |
부산진구의 상징물 | |
<colbgcolor=#fff,#1c1d1f> 구목 배롱나무 |
낙엽활엽소교목으로 풍요, 화합, 끈질긴 생명력을 상징하며, 양정동 화지산의 배롱나무가 전국의 배롱나무 중 유일하게 천연기념물(제168호)로 지정되어 부산진구의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대표하는 나무이다. |
구화 철쭉 |
은근·끈기·풍요를 상징하며 대중성이 높고 많은 꽃들이 모여 화사한 자태를 이루어 화합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부산진구를 대표하는 백양산에 철쭉 군락을 조성하고 있어 작은 음악회 등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고 있으며, 부산진구는 대표축제로서 백양산 철쭉제를 개최하고 있다. |
구조 까치 |
한국의 전통적인 텃새로서 희망을 상징하는 길조이다. 우리고장 어느 곳이나 널리 서식하고 있으며, 나뭇가지 끝에 집을 지어 먼 곳을 내다보는 미래 지향적인 새이다. |
3. 역사
▲ 1963년 직할시 승격 당시의 지도. 옆 동네와 함께 넓었던 부산진구 영역. 그러나 지금은 지도에서 보이다시피 산으로 나뉜 북구 떨어지고, 사상구 떨어지고, 남구 떨어지고 중심부밖에 안 남았다.
부산진구를 가리키는 옛 명칭은 동평이었고 이는 신라 경덕왕이 동래군의 영현으로 이곳에 설치한 동평현에서 유래하는 오래된 지명이다. 정확히는 동구 범천동과 범일동, 좌천동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을 포괄하였는데 현재는 부산진구 당감동과 부암동 일부만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1914년 부산부가 동래군과 부산부로 나뉠 때 동래군 서면에 속했다가 1936년 부산부에 편입되었다. 1957년 부산시에 구(區)제가 실시되면서 설치된 6개 구 중 하나로 부산진구가 설치되었으며, 1959년 동구 범일동 일부를 편입하여 범천동을 신설하고, 1963년 동래군 구포읍과 사상면을 편입하였다. 이 때의 부산진구는 지금의 남구, 북구, 사상구 지역까지 관할하던 매우 넓은 구였다. 그러다가 1975년에 남구, 1978년에 지금의 사상구 부분을 포함한 북구를 분리시켰다.
4. 지역 특징
부산 최대의 상권인 서면이 여기 속하는데 서면이라는 지명은 부산진구 일대의 행정구역이 과거 동래군 서면이었던 것에서 유래한다. 1936년 서면이 부산부에 편입되면서 현재는 서면이라는 행정구역은 공식적으로는 존재하지 않으나, 여전히 널리 쓰이는 지명이다. 부산 도시철도가 2호선까지 밖에 없을 시절에 유일한 환승역인 서면역의 소재지이기도 하다. 그러니 부산 현지인들이 서면이라고 하면 서면교차로 근처 일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정확히 정해진 곳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롯데백화점 부산본점과 서면1번가, 메디컬스트리트 등이 있는 부전동과 젊음의거리, 카페거리가 있는 전포동 일대 상가 밀집 지역을 가리킨다.서면 인접 지역은 서면의 배후지 성격이 강하고 부분적으로 슬럼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특징적인 산동네가 2군데 있는데, 엄광산 자락을 타고 서쪽으로 사상구 주례동, 동쪽으로 동구 범일동까지 이어지는 가야동 및 범천동 산동네와, 황령산 자락의 양정동 및 전포동 산동네가 그것이다. 구 전반적으로 8, 90년대 많이 들어서기 시작한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주택가가 혼재되어 있다. 심지어 산동네에도 노후주택가와 일반주택가,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섞여있는 부산 특유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렇다 보니 부산 시민들에게 주거지로써 부산진구의 이미지는 그렇게 좋지 못하였으나, 2017년 들어 본격적으로 전포동, 개금동, 가야동, 양정동, 범천동 일대에 재개발이 진행되며 대단지 아파트들이 대거 건설되었고 연지동, 범전동 일대의 부산시민공원 주변은 초고층 아파트 단지들이 건설될 예정이라 신흥 주거지로 떠오르고 있으며, 실제로 부산진구의 신축 아파트들의 가격대는 부산 내에서 꽤 비싼편에 속한다.
부산 내에서 비교적 노인 인구도 높은 편이라 어린이대공원 일대와 부전시장 일대에서 나이 지긋한 양반들을 많이 볼 수 있으며 대부분 지역 주민이다. 서면에 놀러가는 젊은 사람들은 상당 부분이 다른 지역에서 놀러온 유동인구인 것과 대조된다.
부산 밀면의 양대산맥인 가야밀면과 개금밀면이 모두 이 구에 위치하고 있다.
4.1. 줄임말
부산 사람들은 줄여서 흔히 '진구(鎭區)'라고 더 많이 부른다. 예를 들면 부산진구에 거주하는 사람이 자기 집 주소를 쓸 때 부산(광역)시 진구 XXX로 YYY'[10] 식으로 적거나 부산 진구 XXX로 YYY[11]로 쓰기도 하고 부산진구청, 부산진역, 부산진경찰서, 부산진시장도 진구청, 진역, 진경찰서, 진시장으로 줄여 부른다. 하지만 부산진구 측에서는 잘못된 표현으로 간주하고 바로잡기에 나서고 있다. 사실 광역자치단체의 명칭이 산하 기초자치단체의 명칭에 또 들어가 있는 전국에서 유일한 사례[12]라서 그렇다. 물론 생략하더라도 못 알아듣는 사람이 아무도 없기 때문에[13] 딱히 걸리는 것은 없어서 일반인들은 '진구'라고 많이 말한다. 사실 이건 부산진구만 이런 건 아니고 비슷하게 기초단체의 명칭이 행정구역의 명칭에 또 들어가 있거나 한 경우에도 이렇게 쓰이는 경우가 많다.[14][15] 더구나 애초에 도로 방향표시에도 "진구청 방면"이라 되어있으니...5. 인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426,496명
|
1969년 530,199명
|
1972년 671,128명
|
1975년 785,762명
|
1975년
10월 1일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동래구
수영출장소 →
부산직할시
남구 분리 승격 부산진구 사상출장소 + 구포출장소 → 북부출장소 통합 및 부산직할시 직할로 분리 |
1978년 690,329명
|
1978년 2월 15일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읍, 명지면(신호리 제외), 가락면 일부[16] → 부산직할시 북구로 완전히 분리 |
1981년 505,898명
|
1984년 512,852명
|
1987년 524,639명
|
1990년 538,316명
|
1993년 501,760명
|
1996년 460,391명
|
1999년 436,039명
|
2002년 425,735명
|
2005년 406,154명
|
2008년 402,519명
|
2011년 395,299명
|
2014년 389,132명
|
2017년 375,957명
|
2020년 357,284명
|
2024년 10월 360,74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0만 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개금제3동 26,679명
|
연지동 25,651명
|
|
부암제1동 23,127명
|
|
전포제2동 23,341명
|
|
범천제2동 21,526명
|
|
당감제1동 20,932명
|
|
전포제1동 20,723명
|
|
초읍동 20,398명
|
|
양정제1동 18,859명
|
|
가야제2동 18,131명
|
|
개금제1동 18,265명
|
|
가야제1동 16,567명
|
|
부암제3동 20,283명
|
|
부전제1동 15,757명
|
|
양정제2동 14,843명
|
|
범천제1동 12,186명
|
|
부전제2동 12,211명
|
|
당감제2동 11,578명
|
|
당감제4동 10,250명
|
|
개금제2동 10,013명
|
|
2024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법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개금동 54,957명
|
전포동 44,064명
|
|
당감동 42,745명
|
|
부암동 43,422명
|
|
가야동 34,698명
|
|
범천동 33,712명
|
|
양정동 33,702명
|
|
연지동 25,660명
|
|
부전동 21,619명
|
|
초읍동 20,398명
|
|
범전동 6,343명
|
|
2024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법정동별(행정동 통반 단위) 성/연령별 주민등록 인구수,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
한때 현재 자치구 영역으로는 유일하게 50만을 넘겼던 부산광역시 자치구였다.[17] 인구감소폭은 정점(단독) 대비 178,263명, 총감소율은 -33.12%에 연평균 증감율은 -1.18%였다.
5.1. 행정동별 인구
- [ 펼치기 · 접기 ]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2a5caa><bgcolor=#fafafa>
부전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32,547명 (부전제1동 15,500명 + 범전동 17,047명)1970년 35,026명 (부전제1동 13,923명 + 범전동 21,103명)1975년 35,157명 (부전제1동 14,170명 + 범전동 20,987명)1980년 32,332명 (부전제1동 11,983명 + 범전동 20,349명)1985년 32,388명 (부전제1동 13,494명 + 범전동 18,894명)1990년 30,331명 (부전제1동 11,288명 + 범전동 19,043명)1995년 23,390명 (부전제1동 8,508명 + 범전동 14,882명)2000년 18,229명 (부전제1동 6,884명 + 범전동 11,345명)2005년 14,771명 (부전제1동 5,764명 + 범전동 9,007명)2010년 14,818명 (부전제1동 6,649명 + 범전동 8,169명)2015년 1월 1일 부전제1동, 범전동 → 부전제1동 합동 2015년 13,319명2020년 15,533명2023년 4월 15,890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6만 명 부전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1966년 17,338명1970년 17,199명1975년 16,247명1980년 13,283명1985년 12,184명1990년 9,531명1995년 6,624명2000년 7,121명2005년 7,071명2010년 7,081명2015년 10,930명2020년 9,915명2023년 4월 10,840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8만 명 연지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1966년 11,407명1970년 17,288명1975년 22,879명1980년 25,692명1985년 25,036명1990년 25,569명1995년 21,755명2000년 23,067명2005년 22,168명2010년 22,606명2015년 23,728명2020년 20,941명2023년 4월 25,413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6만 명 초읍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1966년 4,093명1970년 11,402명1975년 18,778명1980년 26,676명1985년 30,958명1990년 31,810명1995년 31,630명2000년 27,384명2005년 27,748명2010년 26,083명2015년 23,751명2020년 22,434명2023년 4월 21,027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만 명 양정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1966년 27,122명1970년 7월 1일 양정동 → 양정제1동, 양정제2동 분동 1970년 24,070명1975년 27,612명1979년 8월 8일 양정제1동 → 양정제1동, 양정제3동 분동 1980년 27,570명 (양정제1동 15,094명 + 양정제3동 12,476명)1985년 27,362명 (양정제1동 14,431명 + 양정제3동 11,931명)1990년 24,488명 (양정제1동 14,411명 + 양정제3동 10,077명)1995년 15,072명 (양정제1동 6,603명 + 양정제3동 8,469명)1998년 7월 1일 양정제1동, 양정제3동 → 양정제1동 합동 2000년 23,277명2005년 23,697명2010년 24,543명2015년 21,826명2020년 20,536명2023년 4월 19,111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8만 명 양정제2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1970년 7월 1일 양정동 → 양정제1동, 양정제2동 분동 1970년 19,574명1975년 25,437명1979년 8월 8일 양정제2동 → 양정제2동, 양정제4동 분동 1980년 27,432명 (양정제2동 12,159명 + 양정제4동 15,273명)1985년 28,093명 (양정제2동 12,907명 + 양정제4동 15,186명)1990년 24,567명 (양정제2동 9,769명 + 양정제4동 14,768명)1995년 22,028명 (양정제2동 8,379명 + 양정제4동 13,649명)1998년 7월 1일 양정제2동, 양정제4동 → 양정제2동 합동 2000년 17,246명2005년 14,615명2010년 14,800명2015년 15,884명2020년 12,934명2023년 4월 11,653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8만 명 전포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1966년 27,580명1970년 7월 1일 전포제1동 → 전포제1동, 전포제3동 분동 1970년 40,003명 (전포제1동 19,481명 + 전포제3동 20,522명)1975년 43,964명 (전포제1동 23,366명 + 전포제3동 20,598명)1980년 42,457명 (전포제1동 21,462명 + 전포제3동 20,995명)1985년 40,578명 (전포제1동 20,715명 + 전포제3동 19,863명)1990년 35,861명 (전포제1동 17,836명 + 전포제3동 18,025명)1995년 27,395명 (전포제1동 15,224명 + 전포제3동 12,171명)2000년 20,382명 (전포제1동 11,215명 + 전포제3동 9,167명)2005년 19,057명 (전포제1동 10,183명 + 전포제3동 8,874명)2010년 19,803명 (전포제1동 9,651명 + 전포제3동 10,152명)2015년 1월 1일 전포제1동, 전포제3동 → 전포제1동 합동 2015년 19,067명2020년 21,842명2023년 4월 21,075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전포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1966년 25,508명1970년 29,909명1975년 10월 1일 전포제2동 → 전포제2동, 전포제4동 분동 1975년 31,725명 (전포제2동 16,061명 + 전포제4동 15,664명)1980년 29,590명 (전포제2동 14,888명 + 전포제4동 14,702명)1985년 25,759명 (전포제2동 12,013명 + 전포제4동 13,746명)1990년 22,379명 (전포제2동 10,136명 + 전포제4동 12,243명)1995년 20,115명 (전포제2동 8,204명 + 전포제4동 11,911명)1998년 7월 1일 전포제2동, 전포제4동 → 전포제2동 합동 2000년 17,806명2005년 21,424명2010년 22,030명2015년 21,647명2020년 21,097명2023년 4월 23,298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만 명 부암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1966년 18,510명1970년 22,579명1975년 26,090명1979년 8월 8일 부암동 → 부암제1동, 부암제2동 분동 1980년 25,626명 (부암제1동 10,002명 + 부암제2동 15,624명)1985년 33,941명 (부암제1동 16,044명 + 부암제2동 17,897명)1990년 33,002명 (부암제1동 16,064명 + 부암제2동 16,938명)1995년 27,001명 (부암제1동 13,980명 + 부암제2동 13,021명)1998년 7월 1일 부암제1동, 부암제2동 → 부암제1동 합동 2000년 22,797명2005년 17,383명2010년 20,600명2015년 22,590명2020년 23,088명2023년 4월 23,414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부암제3동[현재] 인구 추이
(1980년~현재)1979년 1월 1일 동평동 → 동평제1동, 동평제2동 분동 1980년 20,628명(동평제2동)1982년 5월 1일 동평제2동 → 부암제3동 개칭 1985년 21,996명1990년 22,798명1995년 21,452명2000년 24,184명2005년 25,444명2010년 25,855명2015년 23,498명2020년 17,959명2023년 4월 16,785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6만 명 당감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1966년 20,306명1970년 38,386명1970년 10월 1일 당감제1동 → 당감제1동, 동평동 분동 1975년 29,449명1979년 1월 1일 당감제1동 → 당감제1동, 당감제3동 분동 1980년 35,662명 (당감제1동 17,331명 + 당감제3동 18,331명)1985년 30,208명 (당감제1동 12,753명 + 당감제3동 17,455명)1990년 36,917명 (당감제1동 12,514명 + 당감제3동 24,403명)1995년 37,388명 (당감제1동 9,634명 + 당감제3동 27,754명)2000년 32,643명 (당감제1동 7,094명 + 당감제3동 25,549명)2005년 32,758명 (당감제1동 5,518명 + 당감제3동 27,240명)2010년 30,269명 (당감제1동 5,075명 + 당감제3동 25,194명)2013년 2월 1일 당감제1동, 당감제3동 → 당감제1동 합동 2015년 27,325명2020년 23,800명2023년 4월 21,867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당감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1966년 9,024명1970년 9,092명1975년 12,171명1980년 12,250명1985년 13,540명1990년 11,768명1995년 10,547명2000년 11,274명2005년 10,135명2010년 11,448명2015년 10,020명2020년 10,365명2023년 4월 9,950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4만 명 당감제4동[현재] 인구 추이
(1975년~현재)1970년 10월 1일 당감제1동 → 당감제1동, 동평동 분동 1975년 26,667명(동평동)1979년 1월 1일 동평동 → 동평제1동, 동평제2동 분동 1980년 13,972명(동평제1동)1982년 5월 1일 동평제1동 → 당감제4동 개칭 1985년 15,399명1990년 17,229명1995년 14,268명2000년 17,095명2005년 15,692명2010년 14,939명2015년 13,458명2020년 11,691명2023년 4월 10,883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만 명 가야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1966년 15,956명1970년 7월 1일 가야동 → 가야제1동, 가야제2동 분동 1970년 17,158명1975년 20,973명1979년 1월 1일 가야제2동 → 가야제2동, 가야제3동 분동(가야제3동 인구 합산 시작) 1980년 39,859명 (가야제1동 19,058명 + 가야제3동 20,801명)1985년 42,694명 (가야제1동 19,534명 + 가야제3동 23,160명)1990년 41,085명 (가야제1동 18,417명 + 가야제3동 22,668명)1995년 32,597명 (가야제1동 14,643명 + 가야제3동 17,954명)2000년 26,249명 (가야제1동 13,131명 + 가야제3동 13,118명)2005년 26,271명 (가야제1동 14,239명 + 가야제3동 12,032명)2010년 25,683명 (가야제1동 14,369명 + 가야제3동 11,314명)2013년 2월 1일 가야제1동, 가야제3동 → 가야제1동 합동 2015년 22,494명2020년 19,826명2023년 4월 18,247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가야제2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1970년 7월 1일 가야동 → 가야제1동, 가야제2동 분동 1970년 15,259명1975년 28,373명1979년 1월 1일 가야제2동 → 가야제2동, 가야제3동 분동 1980년 16,639명1985년 21,561명1990년 24,342명1995년 23,882명2000년 19,501명2005년 19,829명2010년 18,923명2015년 19,111명2020년 17,158명2023년 4월 18,168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개금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1966년 4,801명1970년 12,272명1975년 1월 1일 개금동 → 개금제1동, 개금제2동 분동 1975년 21,412명1979년 8월 8일 개금제1동 → 개금제1동, 개금제3동 분동 1980년 22,387명1985년 25,175명1990년 24,127명1995년 18,959명2000년 15,682명2005년 14,127명2010년 13,962명2015년 14,689명2020년 17,190명2023년 4월 18,030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개금제2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1975년 1월 1일 개금동 → 개금제1동, 개금제2동 분동 1975년 10,382명1980년 22,096명1985년 21,713명1990년 21,798명1995년 18,358명2000년 13,327명2005년 15,744명2010년 14,654명2015년 13,081명2020년 11,299명2023년 4월 10,368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만 명 개금제3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1975년 1월 1일 개금제1동 → 개금제1동, 개금제3동 분동 1980년 12,751명1985년 13,867명1990년 25,516명1995년 37,172명2000년 42,550명2005년 38,057명2010년 35,942명2015년 32,791명2020년 29,438명2023년 4월 27,442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범천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1966년 19,990명1970년 17,038명1975년 19,073명1980년 17,957명1985년 16,498명1990년 14,776명1995년 12,302명2000년 10,186명2005년 10,118명2010년 9,378명2015년 10,528명2020년 12,016명2023년 4월 12,463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범천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1966년 1월 1일 범천제2동 → 범천제2동, 범천제4동 분동 1966년 39,942명 (범천제2동 21,621명 + 범천제4동 18,321명)1970년 54,888명 (범천제2동 30,790명 + 범천제4동 24,098명)1975년 50,799명 (범천제2동 24,133명 + 범천제4동 26,666명)1980년 41,662명 (범천제2동 20,334명 + 범천제4동 21,328명)1985년 39,658명 (범천제2동 19,370명 + 범천제4동 20,288명)1990년 37,155명 (범천제2동 18,594명 + 범천제4동 18,561명)1995년 30,987명 (범천제2동 16,048명 + 범천제4동 14,939명)2000년 26,372명 (범천제2동 15,343명 + 범천제4동 11,029명)2005년 23,023명 (범천제2동 13,372명 + 범천제4동 9,651명)2010년 22,409명 (범천제2동 12,351명 + 범천제4동 10,058명)2015년 21,835명 (범천제2동 12,542명 + 범천제4동 9,293명)2016년 1월 1일 범천제2동, 범천제4동 → 범천제2동 합동 2020년 20,824명2023년 4월 21,691명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6. 교통
{{{#!wiki style="margin:-10px 0px" | <tablebordercolor=#2a5caa>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a5caa><colcolor=#fff> ㄱ | 가야공원로 · 개금본동로 · 개금온정로 · 거제천로 · 경마장로 · 국악로 | |
ㄴ | 냉정로 | ||
ㄷ | 당감로 · 당감서로 · 대학로 · 동성로 · 동천로 · 동평로 | ||
ㅁ | 마철로 · 만리산로 · 망양로 | ||
ㅂ | 백양관문로 · 백양산로 · 백양순환로 · 범양로 · 범일로 · 범전로 · 범천로 · 복지로 · 봉수로 · 부암당산로 · 부전로 | ||
ㅅ | 새싹로 · 서면로 · 서면문화로 · 서전로 · 성지곡로 · 성지로 · 시민공원로 · 신암로 | ||
ㅇ | 안창로 · 양성로 · 양연로 · 양정로 · 양지로 · 엄광로 · 연수로 · 연지로 · 용사촌로 | ||
ㅈ | 자유평화로 · 주감로 · 중앙번영로 · 진남로 · 진사로 · 진연로 | ||
ㅊ | 초연로 · 초읍천로 | ||
ㅎ | 해맞이로 · 화지로 · 황령산로 | ||
부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부산 교통의 요지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범내골역, 서면역, 부전역, 양정역)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개금역, 동의대역, 가야역, 부암역, 서면역, 전포역)이 모두 지난다.
특히 서면역은 이용 승객 수도 수도권 전철 이용객 상위권( 신도림역, 홍대입구역 등) 역에 꿀리지 않을 정도로 대단할 뿐더러 역 인근에는 부산 최고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동해선 부전역, 범일역과 부전선 및 가야선 가야역이 위치하고 있다. 범일역과 가야역은 여객 운송은 중지되었지만 부전역은 동해선과 경전선의 시종착역 역할을 하고 있다. 청량리역에 가보면 가끔 부전역행 근성열차가 있는데 바로 이곳으로 향하는 열차이다.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신해운대역행 ITX-새마을 열차도 부전역에 정차한다. 참고로 부산진역은 상술했다시피 부산진구가 아닌 동구에 있다.
6.1. 관내 철도역 목록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범내골역, 서면역, 부전역, 양정역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전포역, 서면역, 부암역, 가야역, 동의대역, 개금역
- 동해선 광역전철: 부전역
- 가야선: 가야역
- 부전선: 가야역, 부전역
7. 경제
지리적으로 부산의 중심지답게 부산 최대이자 비수도권 최대 상권인 서면이 있으며 부산광역시청과도 매우 가까워 공무원과 대기업 사무직과 전문직 등을 위시한 레드칼라& 화이트칼라& 골드칼라 등이 경제를 살리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다. 공공기관, 대기업 지사, 금융기관이나 전문 서비스업 등이 소재하는 중심업무지구이기 때문에 이들에 의해 소비는 충분히 이루어진다. 이 점을 제외하더라도 부산의 중심에 위치한 점,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인 서면역이 위치한 점만으로도 부산에서 가장 유동 인구가 많은 곳이기 때문에 타 구에 비해 경제력이 나쁘지 않다.부산 최대이자 비수도권 최대 상권인 서면(부전동, 전포동)을 대표로 해서 부산시민공원(舊 하야리아 미군 부대(부전동, 연지동)), 부산판 광화문광장인 송상현광장(전포동), 부산어린이대공원(초읍동)[20], 국립부산국악원(연지동),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초읍동), 서면시장(부전동), 부전시장(부전동), 부산글로벌빌리지(부암동), 서면 먹자골목(부전동), 전포 카페거리(전포동), 황령산 봉수대(전포동) 등이 있어서 3차 산업으로 먹고 사는 동네다.
7.1. 금융
부산진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 |||
제1금융권[괄호] | |||
국가기관 | |||
부산진우체국 (12) | |||
국책은행 | |||
중소기업은행 (5) | |||
특수은행 | |||
수협은행 (1) | 농협은행(중앙회) (7) | ||
시중은행 | |||
신한은행 (4) | 우리은행 (5) | ||
SC제일은행 (2) | 하나은행 (4) | ||
국민은행 (7) | iM뱅크 (1) | ||
지방은행 | |||
부산은행 (17) | 경남은행 (1) | ||
외국은행 [23] | |||
중국공상은행 (1) | |||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 |||
농업협동조합 | |||
중부산농협 (3) | 부산축산농협 (1) | 부산우유농협 (1) | 사상농협 (1) |
수산업협동조합 | |||
대형선망수협 (2) | 제1,2구잠수기수협 (1) | 대형기선저인망수협 (1) | |
새마을금고 | |||
개금동새마을금고 (3) | 개금2동새마을금고 (1) | 가야1동새마을금고 (2) | 가야동새마을금고 (1) |
당감2동새마을금고 (1) | 당감1동새마을금고 (2) | 당감동새마을금고 (1) | 당감4동새마을금고 (1) |
범천동새마을금고 (1) | 전포1동새마을금고 (2) | 범천2동새마을금고 (1) | 범천중앙새마을금고 (1) |
전포동새마을금고 (1) | 전포3동새마을금고 (2) | 서면공원새마을금고 (1) | 전포2동새마을금고 (2) |
부전새마을금고 (1) | 부전1동새마을금고 (2) | 부암동새마을금고 (1) | 시민공원새마을금고 (1) |
양정동새마을금고 (1) | 초읍동새마을금고 (2) | 연지동새마을금고 (2) | |
신용협동조합 | |||
부산성의신용협동조합 (4) | 부산진신용협동조합 (4) | 당감신용협동조합 (1) | 복지신용협동조합 (1) |
부산울산건설기계신용협동조합 (1) | |||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 |||
IBK저축은행 (2) | 국제저축은행 (1) | 진주저축은행 (1) | OSB저축은행 (1) |
에큐온저축은행 (1) | 웰컴저축은행 (1) |
8. 교육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가남초등학교 | 가산초등학교 | 가야초등학교 | 가평초등학교 |
개금초등학교 | 개림초등학교 | 개원초등학교 | 개포초등학교 | |
개화초등학교 | 당감초등학교 | 당평초등학교 | 동성초등학교 | |
동양초등학교 | 동원초등학교 | 동평초등학교 | 부산진초등학교 | |
부암초등학교 | 부전초등학교 | 선암초등학교 | 성북초등학교 | |
성서초등학교 | 성전초등학교 | 성지초등학교 | 양동초등학교 | |
양성초등학교 | 양정초등학교 | 연지초등학교 | 연학초등학교 | |
전포초등학교 | 주례초등학교 | 초읍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가야여자중학교 | 개금여자중학교 | 개림중학교 | 광무여자중학교 | 덕명여자중학교 | |
동양중학교 | <colbgcolor=#d6f0ff,#002033> 동의중학교 | 동평여자중학교 | <colbgcolor=#d6f0ff,#002033> 동평중학교 | <colbgcolor=#d6f0ff,#002033> 부산개성중학교 | |
부산국제중학교 | 부산동중학교 | 부산진여자중학교 | 부산진중학교 | 서면중학교 | |
양동여자중학교 | 초연중학교 | 초읍중학교 | 항도중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 기타학교, 이외 일반계고 |
||||
가야고등학교 | 개금고등학교 | 개성고등학교 | |||
◈ 경남공업고등학교 | 경원고등학교 | ◈ 동의고등학교 | |||
▣ 부산국제고등학교 | 부산동고등학교 | 부산동성고등학교 | |||
◈ 부산마케팅고등학교 | ◈ 부산정보고등학교 | 부산진고등학교 | |||
부산진여자고등학교 | ◈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 성모여자고등학교 | |||
◈ 세정고등학교 | 양정고등학교 | ☆ 한국과학영재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대학교
- 동의대학교 가야캠퍼스 (가야동 465-2)
- 동의대학교 양정캠퍼스 (양정동 산45-1): 한의과대학
- 인제대학교 부산캠퍼스 (개금동 633-165): 의과대학
- 동의과학대학교 (양정동 429-19)
- 부산여자대학교 (양정동 74-161)
4년제 대학으로는 인제대학교 부산캠퍼스와 동의대학교가, 전문대학으로는 동의과학대학교와 부산여자대학교가 있다. 뭐 인제대학교 부산캠퍼스는 사실 부산백병원이 부산진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의과대학만 남겨둔 것이기는 하다만... 또한 한국과학영재학교와 부산국제중고등학교가 위치하고 있고 이 학교들은 각각 이과와 문과에서 부산 최고라고 평가받기도 하다만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경우에는 전국구라 '부산 최고'라고 칭하기도 좀 애매하기도 하고... 어쨌든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덤으로 과거 부산 4대 명문으로 불렸으나 지금은 일반고로 전환하면서 개성고로 이름을 바꾼 부산상업고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원래 서면에 위치했던 부산상업고등학교는 당감동으로 이전하였고, 2004년 일반고로 전환하고 교명도 개성고등학교로 바뀌었다. 옛 부산상업고등학교 부지에는 롯데백화점 부산본점과 롯데호텔 부산점이 들어서 있다.
9. 의료기관
상급종합병원인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818병상)이 개금동에 있다. 부산진구, 사상구, 북구, 김해시까지 커버하는 중요한 병원이지만 병원이 고지대에 있는 데다가 부지도 좁아 터져서 굉장히 복잡하다. 서면 중심상권에 가까운 종합병원으로 온종합병원(489병상), 동의병원(445병상), 춘해병원(201병상)이 있다. 온종합병원은 이 지역에서 계속 정치활동을 하는 정근이 세운 병원이며, 동의병원은 이름처럼 동의대학교의 부속병원이다.[25] 춘해병원은 울산의 춘해보건대학교와 같은 재단. 그 외 도심에 해당되기 때문에 각종 병/의원들이 잔뜩 몰려 있다. 그 외에도 과거에는 서면 최초의 종합병원으로 1951년에 설립된 이우영외과병원을 모태로 1971년에 종합병원으로 설립된 한독병원(250병상)이 있었으며 이쪽은 순수하게 의술이라는 오직 한 우물만 팠던 병원으로 유명했으나, 노사분규와 경영난에다가 설립자의 자녀들도 병원을 승계할 의지가 없다 보니 1995년 5월에 폐원하였다.[26]10. 정치
자세한 내용은 부산진구/정치 문서 참고하십시오.11. 하위 행정구역
자세한 내용은 부산진구/행정 문서 참고하십시오.12.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 강아랑: 기상캐스터
- 김소희: 걸그룹 NATURE 출신의 가수.
- 김영석: 국민일보 소속 기자
- 김영춘: 정치인
- 김원해: 탤런트
- 김형수: 前 울산광역시 경제부시장
- 김혜성: 배우
- 김해영: 前 국회의원[27]
- 노민혁: 클릭비와 애쉬그레이의 멤버이자 기타리스트.
- 대니얼 대 김: 한국계 미국인 배우
- 류세라: 가수(나인뮤지스 메인보컬)
- 산다라박: 가수
- 박세완: 배우
- 박하준: 배우
- 박해진: 배우
- 손아섭: 야구 선수
- 송승준: 야구 선수
- 송승현: 가수
- 박근홍: 前 롯데 자이언츠 소속 야구 선수
- 안철수
- 예정화
- 유퉁
- 윤종민: 前 프로게이머
- 이승환: 싱어송라이터 및 프로듀서
- 이창민: 가수, 그룹 2AM과 Homme의 멤버
- 임한별: 가수
- 정근우: 야구 선수
-
정상수: 래퍼
부산진구 유명가수 - 제이통: 래퍼
- 양팡: 아프리카TV BJ
- 하현곤: 클릭비의 멤버이자 드러머.
13. 같이 보기
[1]
11개
법정동, 20개
행정동
[2]
2024년 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3]
2024년 10월 기준.
[4]
부산진구 가선거구 (부전1동, 양정1동, 양정2동): 성낙욱
부산진구 나선거구 (연지동, 초읍동): 오우택
부산진구 다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곽사문
부산진구 라선거구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이분희
부산진구 마선거구 (전포1동, 전포2동): 유제필
부산진구 바선거구 (부전2동, 범천1동, 범천2동): 김진복
부산진구 사선거구 (가야1동, 가야2동, 개금2동): 박현철
부산진구 아선거구 (개금1동, 개금3동): 안수만
부산진구 비례대표: 김민경 [5] 부산진구 가선거구 (부전1동, 양정1동, 양정2동): 성현옥
부산진구 나선거구 (연지동, 초읍동): 손재호
부산진구 다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한갑용
부산진구 라선거구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강지백
부산진구 마선거구 (전포1동, 전포2동): 박말숙
부산진구 바선거구 (부전2동, 범천1동, 범천2동): 박광래
부산진구 사선거구 (가야1동, 가야2동, 개금2동): 최정웅
부산진구 아선거구 (개금1동, 개금3동): 한일태
부산진구 비례대표: 강도희 [6]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박희용 (초선)
부산진구 제2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이대석 (3선)
부산진구 제3선거구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범천1동, 범천2동): 김재운 (초선)
부산진구 제4선거구 (가야1동, 가야2동, 개금1동, 개금2동, 개금3동): 배영숙 (초선) [7] LED 행선기가 달린 마을버스에서도 글자 수 한계로 인해 진구 9 등으로 줄여서 표기한다. [8] 제주 토박이들은 제주시를 그냥 '시' 혹은 '시내'로, 구 북제주군과 남제주군을 각각 '북군', '남군'이라고 했다. [9] 비슷한 예를 들자면 서울 한양도성 일대가 현재는 강남에 밀리는 경향이 있는데, 서울의 경우는 강남이 더 앞선다 해도 기존 도심도 꽤나 큰 반면, 부산은 아예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차이가 크다고 생각하면 된다. [10] 지번주소면 ???동 ZZZ [11] 지번주소면 ???동 ZZZ [12]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전에는 무려 세 곳이나( 제주시, 남제주군, 북제주군) 더 있었지만 이제는 옛말. 지금의 제주시는 행정시라 더 이상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여기 사람들도 과거에 제주도 남군/북군 식으로 주소를 쓰곤 했다. [13] 부산시 진구로 쓰든 부산광역시를 생략하고 부산진구라고만 쓰든 부산 현지인은 다들 어딘지 알 수 있고, 외지인인 경우도 부산광역시를 생략해 써있어도 일단 구 이름에 포함된 '부산'이 어디 있는 도시인지 모르는 한국인은 거의 없기 때문에 택배를 보내거나 할 때 의미가 잘못 전해질 일이 없다. [14] 예컨대 기장군 기장읍에서 기장군을 생략하고 쓴다든지 하는 것. 이 경우에는 우편에 주소를 쓸 때 기장군·읍과 같이 읍면동 이름에서 생략하는 경우도 많다. [15] 일본의 경우에도 비슷한 사례로 ' 오사카부 오사카시'의 주소를 적을 때 현지인들은 십중팔구 '오사카시'라고만 쓰지 '오사카부 오사카시'라고 쓰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쪽도 마찬가지로 '오사카시'라고만 해도 어디를 의미하는지 다 알기 때문. [16] 대사리·북정리·상덕리·제도리 [17] 부산진구는 1990년대 인구 감소폭이 제일 컸는데, 1990년도에 538,316명이 살았으나 1999년도 기준으로 436,039명으로 102,277명이 감소하였다. 이후 2000년대에는 대략 3만여명이, 2010년대에는 거의 4만명에 육박하는 인구가 빠져나갔다. 그러나 이후 재개발로 대단위 아파트단지가 점차 입주하면서 인구가 늘어 36만명 선을 회복하였다. [현재] 당감제4동과 부암제3동은 1979년 1월 1일 동평동이 분동되면서 생긴 동평제1동과 동평제2동이 1982년 5월 1일 각각 개칭되어 생긴 행정동명이므로 당감제4동은 동평동→동평제1동 시절을, 부암제3동은 동평제2동 시절 역시 포함함. [현재] [20] 공원 내에 삼정더파크가 있었으나 2020년 4월 25일자로 무기한 휴장에 들어갔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3] 여기서 외국은행은 대한민국 영토 내에 지점 또는 사무소 형태로 진입한 경우로만 한정되며, SC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의 경우에는, 한국내의 법인형태로 운영중이며 시중은행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곳에 넣지 않는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5] 의과대학이 없기 때문에 3차 대학병원은 아니다. 한의과대학은 있다. [26] 이후 옛 한독병원 건물은 YBM 빌딩으로 개칭되어 YBM 어학원이 들어와 있다. [27] 당시 지역구는 부산광역시 연제구였다.
부산진구 나선거구 (연지동, 초읍동): 오우택
부산진구 다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곽사문
부산진구 라선거구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이분희
부산진구 마선거구 (전포1동, 전포2동): 유제필
부산진구 바선거구 (부전2동, 범천1동, 범천2동): 김진복
부산진구 사선거구 (가야1동, 가야2동, 개금2동): 박현철
부산진구 아선거구 (개금1동, 개금3동): 안수만
부산진구 비례대표: 김민경 [5] 부산진구 가선거구 (부전1동, 양정1동, 양정2동): 성현옥
부산진구 나선거구 (연지동, 초읍동): 손재호
부산진구 다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한갑용
부산진구 라선거구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강지백
부산진구 마선거구 (전포1동, 전포2동): 박말숙
부산진구 바선거구 (부전2동, 범천1동, 범천2동): 박광래
부산진구 사선거구 (가야1동, 가야2동, 개금2동): 최정웅
부산진구 아선거구 (개금1동, 개금3동): 한일태
부산진구 비례대표: 강도희 [6]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박희용 (초선)
부산진구 제2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이대석 (3선)
부산진구 제3선거구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범천1동, 범천2동): 김재운 (초선)
부산진구 제4선거구 (가야1동, 가야2동, 개금1동, 개금2동, 개금3동): 배영숙 (초선) [7] LED 행선기가 달린 마을버스에서도 글자 수 한계로 인해 진구 9 등으로 줄여서 표기한다. [8] 제주 토박이들은 제주시를 그냥 '시' 혹은 '시내'로, 구 북제주군과 남제주군을 각각 '북군', '남군'이라고 했다. [9] 비슷한 예를 들자면 서울 한양도성 일대가 현재는 강남에 밀리는 경향이 있는데, 서울의 경우는 강남이 더 앞선다 해도 기존 도심도 꽤나 큰 반면, 부산은 아예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차이가 크다고 생각하면 된다. [10] 지번주소면 ???동 ZZZ [11] 지번주소면 ???동 ZZZ [12]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전에는 무려 세 곳이나( 제주시, 남제주군, 북제주군) 더 있었지만 이제는 옛말. 지금의 제주시는 행정시라 더 이상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여기 사람들도 과거에 제주도 남군/북군 식으로 주소를 쓰곤 했다. [13] 부산시 진구로 쓰든 부산광역시를 생략하고 부산진구라고만 쓰든 부산 현지인은 다들 어딘지 알 수 있고, 외지인인 경우도 부산광역시를 생략해 써있어도 일단 구 이름에 포함된 '부산'이 어디 있는 도시인지 모르는 한국인은 거의 없기 때문에 택배를 보내거나 할 때 의미가 잘못 전해질 일이 없다. [14] 예컨대 기장군 기장읍에서 기장군을 생략하고 쓴다든지 하는 것. 이 경우에는 우편에 주소를 쓸 때 기장군·읍과 같이 읍면동 이름에서 생략하는 경우도 많다. [15] 일본의 경우에도 비슷한 사례로 ' 오사카부 오사카시'의 주소를 적을 때 현지인들은 십중팔구 '오사카시'라고만 쓰지 '오사카부 오사카시'라고 쓰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쪽도 마찬가지로 '오사카시'라고만 해도 어디를 의미하는지 다 알기 때문. [16] 대사리·북정리·상덕리·제도리 [17] 부산진구는 1990년대 인구 감소폭이 제일 컸는데, 1990년도에 538,316명이 살았으나 1999년도 기준으로 436,039명으로 102,277명이 감소하였다. 이후 2000년대에는 대략 3만여명이, 2010년대에는 거의 4만명에 육박하는 인구가 빠져나갔다. 그러나 이후 재개발로 대단위 아파트단지가 점차 입주하면서 인구가 늘어 36만명 선을 회복하였다. [현재] 당감제4동과 부암제3동은 1979년 1월 1일 동평동이 분동되면서 생긴 동평제1동과 동평제2동이 1982년 5월 1일 각각 개칭되어 생긴 행정동명이므로 당감제4동은 동평동→동평제1동 시절을, 부암제3동은 동평제2동 시절 역시 포함함. [현재] [20] 공원 내에 삼정더파크가 있었으나 2020년 4월 25일자로 무기한 휴장에 들어갔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3] 여기서 외국은행은 대한민국 영토 내에 지점 또는 사무소 형태로 진입한 경우로만 한정되며, SC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의 경우에는, 한국내의 법인형태로 운영중이며 시중은행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곳에 넣지 않는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5] 의과대학이 없기 때문에 3차 대학병원은 아니다. 한의과대학은 있다. [26] 이후 옛 한독병원 건물은 YBM 빌딩으로 개칭되어 YBM 어학원이 들어와 있다. [27] 당시 지역구는 부산광역시 연제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