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5D3462 0%, #611594 20%, #611594 80%, #5D3462); color: #BDB76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아르사케스 1세 | 아르사케스 2세 | 프리아파티오스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
프라아테스 1세 | 미트리다테스 1세 | 프라아테스 2세 |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아르타바노스 1세 | 미트리다테스 2세 | 고타르제스 1세 |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미트리다테스 3세 | 오로데스 1세 | 시나트로케스 1세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프라아테스 3세 | 미트리다테스 4세 | 오로데스 2세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
파코로스 1세 | 프라아테스 4세 | 티리다테스 1세 |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
프라아테스 5세 | 무사 | 오로데스 3세 |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보노네스 1세 | 아르타바노스 2세 | 티리다테스 2세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
바르다네스 1세 | 고타르제스 2세 | 메헤르다테스 |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
보노네스 2세 | 볼로가세스 1세 | 바르다네스 2세 |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파코로스 2세 | 볼로가세스 2세 | 아르타바노스 3세 |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볼로가세스 3세 | 오스로에스 1세 | 파르타마스파테스 |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
미트리다테스 5세 | 볼로가세스 4세 | 오스로에스 2세 | |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
볼로가세스 5세 | 볼로가세스 6세 | 아르타바노스 4세 | |
아케메네스 · 셀레우코스 · 사산 | }}}}}}}}}}}} |
파르티아 제국 29대 샤한샤 𐭅𐭋𐭂𐭔 | 볼로가세스 1세 |
||
제호 | 한국어 | 볼로가세스 1세 |
파르티아어 | 𐭅𐭋𐭂𐭔 | |
영어 | Vologases I | |
존호 | 샤한샤 | |
생몰 년도 | ? ~ 78년 | |
재위 기간 | 51~78년 |
[clearfix]
1. 개요
파르티아의 제29대 샤한샤.동생 티리다테스 1세를 아르메니아의 왕으로 앉히기 위해 로마 제국과 전쟁을 벌이다가, 명장 코르불로의 중재에 따라 로마와 타협했다.
이후 티리다테스 1세를 시조로 하는 아르샤쿠니 왕조가 AD 54년부터 AD 428년까지 375년 동안 아르메니아 왕국을 다스리게 되었다.
2. 생애
'볼로가세스'(Vologases)는 파르티아어 단어 'Walagaš'를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번역한 단어이다. 어원은 불분명하다. 일각에서는 파르티아어 varəda(힘)과 gaš 또는 geš(잘생긴)의 합성어라는 주장이 제기되나 확실하지 않다. 그는 아르타바노스 2세의 형제이자 메디아 아트로파테네의 부왕이었던 보노네스 2세의 서장자였는데, 동생으로 티리다테스와 파코로스가 있었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볼로가세스 1세의 어머니는 그리스 출신의 후궁이었다고 한다.51년 고타르제스 2세가 사망한 뒤, 보노네스 2세가 새 샤한샤로 즉위했지만 몇달 만에 사망했다. 볼로가세스 1세는 장남이긴 했지만 어머니가 첩실이었기 때문에, 정실 왕비의 소생인 동생 티리다테스보다 왕위 계승권 순위에서 밀렸다. 하지만 티리다테스는
"나이가 많은 아들이 샤한샤가 되는 게 옳다"
라며 형을 샤한샤로 추대했다. 볼로가세스 1세는 이에 보답하고 싶었고, 귀족들의 반발도 무마해야 했기에, 동생 티리다테스에게 파르티아의 샤한샤에 버금가는 자리를 마련해주기로 했다. 그 결과, 볼로가세스 1세는 아르메니아의 왕위에 티리다테스를 앉히기로 결심했다.
당시 아르메니아의 상황은 매우 불안정했다. 미트리다테스 왕(1차 35~37, 2차 42~51 재위)의 폭정을 견디지 못한 아르메니아 백성들의 추대를 받은 이베리아 왕자 라다미스투스(1차 51~53, 2차 54~55 재위)가 이베리아인들을 이끌고 아르메니아로 쳐들어왔다. 그는 아르메니아군을 격파하고 수도 아르탁사타 인근의 고르니에서 미트리다테스를 포위했다. 포위된 도시에는 카엘리우스 폴리오 장군과 백부장 카스페리우스가 지휘하는 로마 수비대가 있었다. 라다미스투스는 폴리오에게 뇌물을 줘서 게르니의 성문을 열게 하려고 했다. 폴리오는 이에 따르려 했지만, 카스페리우스는 강하게 반대하면서 카파도키아 총독 율리우스 파엘리그누스에게 개입을 요청했다. 그러나 폴리오는 결국 카스페리우스의 반대를 물리치고 성문을 열어 이베리아군이 성안으로 들어오도록 했다. 미트리다테스 일가족은 학살되었고, 라다미스투스는 아르메니아의 왕위에 올랐다. 율리우스 파엘리그누스는 아르메니아 탈환을 위해 출정했지만, 도중에 계획을 바꿔 라다미스투스를 아르메니아의 왕으로 인정했다.
볼로가세스 1세는 찬탈자를 몰아낸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아르메니아로 진군하여 적의 미약한 저항을 가차없이 물리치고 아르탁사타를 공략한 후 동생 티리다테스 1세(1차 52~58, 2차 62~88 재위)를 아르메니아 왕으로 세웠다. 그러나 혹독한 겨울과 식량 부족에 시달리다가, 메디아와 히르카니아에서 아들 바르다네스 2세가 반란을 일으키자 어쩔 수 없이 본국으로 돌아갔다. 라다미스투스는 다시 아르메니아로 돌아와서 많은 이들을 파르티아와 내통했다는 이유로 처형했다. 그렇게 본국으로 돌아간 볼로가세스 1세는 아디아베네의 귀족들로부터 이자트 2세를 축출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그는 이자트 2세를 향해 일전에 아르타바노스 2세가 부여한 특권을 포기하고, 파르티아의 가신으로 돌아가라고 요구했다.
이자트 2세는 이를 단호히 거부하고, 아내와 아이들을 성채로 보낸 뒤 모든 식량을 요새 안에 들이고 그 주변을 초토화시켰다. 그리고 아디아베네와 메디아 사이를 가로지르는 상류 자브강에 6,000명의 기병을 포진시켜서 맞서 싸울 테세를 갖추었다. 볼로가세스 1세는 대군을 이끌고 그곳에 진영을 쳤지만, 첩자들의 보고를 통해 이자트 2세가 단단히 준비했다는 걸 알게 되자 섣불리 진군하지 못하고 단지 유프라테스강에서 박트리아 국경에 이르는 파르티아의 광활한 영역을 자랑하며 복종을 권하는 편지를 보내기만 했다. 그러다가 카스피해 동쪽에 살고 있는 부족들이 파르티아 동부를 침공하려 한다는 소식을 접하자, 이자트 2세와 평화 협약을 체결한 뒤 물러났다.
한편 로마는 파르티아가 아르메니아를 장악하는 걸 방관하지 않았다. 54년 12월, 새 황제 네로의 명령을 받은 동방 군단이 아르메니아로 쳐들어갈 준비에 착수했다. 또한 유대의 헤롯 아그리파 2세와 코마게네의 안티오코스 4세는 유프라테스강에 다리를 놓았다.
서기 55년, 라다미스투스의 숙청을 견디지 못한 아르메니아인들이 반란을 일으켜 그를 추방했다. 라다미스투스의 아내 제노비아는 이베리아로 향하던 중 너무 지쳐서 더 이상 갈 수 없었다. 그러자 라다미스투스는 그녀가 적의 손에 떨어지지 않게 해주겠다며 그녀를 칼로 찔러 아락스강(오늘날의 아라스강)에 던졌다. 이때 양치기들이 강에 떠내려가는 그녀를 구출하여 치료해준 뒤 아르탁사타로 데려갔다. 이후 아르메니아인들의 초청을 받은 티리다테스 1세는 파르티아군의 지원에 힘입어 아르탁사타에 순조롭게 입성했고, 제노비아를 잘 대우했다.
55년 초, 시리아 총독 움미디우스 콰드라투스는 프레텐시스 제10군단과 풀미나타 제12군단을 편성했다. 여기에 카파도키아 사령관 코르불로가 3군단 갈리카와 6군단 페라타를 재편성했다. 두 지휘관 모두 볼로가세스 1세에게 사절을 보내 외교적 해결을 모색했다. 아들 바르다네스 2세의 반란 진압에 몰두하고 있었던 볼로가세스 1세는 이에 응해 움미디우스에게 인질을 보냈다. 그러나 티리다테스 1세가 아르메니아의 왕이 되기를 고수했고, 58년 기병대를 보내 시리아 속주를 급습하면서 전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58~63년 파르티아-로마 전쟁) 아르메니아와 로마군 사이의 전초전이 벌어진 후, 코르불로는 아르메니아의 수도 아르탁사타로 진격했다. 파르티아-아르메니아 연합군은 로마군의 침략에 맞섰지만 코르불로의 탁월한 지휘로 인해 연이어 패배했고, 티리다테스 1세는 59년 파르티아로 망명했다. 로마군은 헤롯 대왕의 후손이며 헤롯 아그리파 2세의 친척인 티그라네스 6세(58~61 재위)를 아르메니아 왕으로 세웠다. 이후 로마군이 겨울 숙영을 위해 시리아로 돌아가자, 티리다테스 1세는 아트로파테네에서 아르메니아 북부로 이동했다. 그러나 60년 봄 로마군의 압박으로 다시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아르메니아의 새 왕이 된 티그라네스 6세는 61년 볼로가세스 1세의 동생인 파코로스가 다스리던 메디아 아트로파테네를 습격했다. 동방에서 일어난 바르다네스 2세의 반란을 진압하느라 아르메니아 문제에 직접 개입하지 않았던 볼로가세스 1세였지만, 이제는 더 이상 좌시할 수가 없었다. 그는 귀족회의를 소집하여 형제 티리다테스 1세가 아르메니아의 정당한 왕임을 선언하고, 바르다네스 2세와 휴전 협약을 맺은 뒤 아르메니아로 향한 반격을 개시했다. 볼로가세스 1세는 모나세스(Monaeses) 장군을 파르티아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메디아 아트로파테네의 군대와 합세하여 아르메니아로 쳐들어가도록 했다. 티그라네스 6세는 티그라노케르타로 이동한 뒤 그곳에서 농성했고, 파르티아군은 성의 보급로를 차단한 뒤 포위 공격을 가했다. 하지만 티그라노케르타는 좀처럼 함락되지 않았고, 코르불로는 유프라테스 강변에 군대를 집결하며, 여차하면 메소포타미아를 직접 치려고 했다. 그러자 볼로가세스 1세는 코르불로에게 사절을 보내 평화 협상을 제안했다. 이때 코르불로는
"티리다테스가 아르메니아 왕으로 세우는 걸 인정하겠지만, 즉위식을 로마에서 하는 게 어떠냐"
라고 권유했다. 볼로가세스 1세는 이를 호의적으로 받아들여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로마에 사절단을 보내는 한편 모나세스에게 포위망을 푼 후 철수하라고 지시했다.한편 카이세니우스 파에투스 장군이 마케도니아 제5군단, 스키티카 제3군단, 풀미나타 제12군단을 이끌고 북방 전선에 도착했다. 그는 코르불로와 파르티아 간에 평화 협상이 이뤄지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공적을 세우고 싶은 마음에 이를 무시하고 스키티카 제3군단과 풀미나타 제12군단을 이끌고 아르메니아로 쳐들어갔다. 그들은 유프라테스강을 건너 티리다테스 1세에게 충성했던 아르메니아의 여러 요새를 공략했다. 그러나 볼로가세스 1세는 즉각 반격을 가하여 파에투스를 격파하고, 아르사모사타 인근 란데이아에서 그들을 포위했다. 코르불로는 아군을 구하고자 달려갔으나, 그가 도착하기 전에 파에투스가 항복하면서 무위로 그쳤다. 볼로가세스 1세는 로마와 평화 협상을 하고 싶었기 때문에 2개 군단을 무장해제시킨 뒤 고향으로 돌려보내는 관대한 조치를 내렸다. 이후 62년/63년 겨울에 다시 평화 협상이 재개되었다. 볼로가세스 1세는 코르불로의 제안대로 하자고 권했지만, 로마 당국은 패배한 뒤 협정을 맺는 걸 굴욕으로 여겨 거부하고 또다시 전쟁을 준비했다.
63년 봄, 코르불로는 4개 군단을 이끌고 아르메니아로 진군했다. 볼로가세스 1세와 티리다테스 1세는 이번에는 승리할 가망이 없다고 여겼다. 하지만 코르불로 역시 적이 산악 지형에서 버틴다면 공략하기 매우 어렵고, 아르메니아인들이 티그라네스 6세보다는 티리다테스 1세를 지지한다는 걸 알고 있었기에 이 이상 전쟁을 벌이는 건 무익하다고 판단했다. 결국 양자는 전쟁을 멈추고 평화 협약을 맺기로 합의했다. 코르불로와 티리다테스 1세는 란데이아에서 조우했다. 티리다테스 1세는 로마군 진영에 이르러 왕관을 벗어 로마 황제 네로의 동상 앞에 놓고, 로마에서 개최되는 대관식에서 네로로부터 왕관을 돌려받기로 했다. 로마는 티리다테스 1세를 아르메니아 왕으로 인정하는 대신 로마 수비대를 소펜에 영구적으로 주둔하도록 했다. 네로는 협상 결과에 만족을 표했고, 66년 10월 네아폴리스(나폴리)에 도착한 티리다테스 1세를 친히 맞이하여 극진한 대접을 해줬다. 디오 카시우스에 따르면, 티리다테스 1세는 검투 시합에 참여해 두 마리의 버팔로를 화살 두 방으로 제압하는 등 명사수로서 솜씨를 뽐냈다고 한다. 이후 로마에서 열린 대관식에서, 티리다테스 1세는 네로가 서 있는 제단 앞에 선 뒤 무릎을 꿇고 가슴에 손을 얹으며 황제에게 말했다.
"주군이여, 저는 아르사케스의 후손이며 볼로가세스 왕과 파코로스의 형제입니다. 저는 저의 주군인 폐하께 왔습니다. 저는 폐하를 태양으로 숭배했습니다. 폐하께서는 제 운명과 행운이므로, 폐하께서 제게 명령하는 것은 무엇이든 될 것입니다."
네로가 답했다.
"그대가 이곳에 직접 와서 나를 대면한 건 잘한 일이다. 그대의 아버지가 그대에게 남겨두지 않은 것과, 그대의 형제들이 그대를 위해 보존하지 않은 것을 내가 그대에게 허락한다. 그대를 아르메니아의 왕으로 삼을 것이다. 그대는 물론이고 그들까지도, 내가 왕국을 빼앗고 허락할 힘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네로는 그의 머리에 왕관을 씌웠고, 티리다테스 1세를 일으켜 세워 입맞춤한 뒤 옆의 조금 낮은 의자에 앉게 하였다. 이렇게 대관식이 끝나고 며칠간의 축제가 개최되었다. 이후 티리다테스 1세가 아르메니아로 돌아갈 때, 네로는 그에게 5,000만 세스테르티우스를 선물로 주었으며, 모든 여행 비용을 부담하였다. 그 후 네로는 볼로가세스 1세에게도 로마로 와달라고 초청했지만,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며 거절했다.
"내가 그렇게 많은 물을 건너는 것보다 그대가 여기 오는 것이 훨씬 더 쉬울 것이오. 그러니 그대가 아시아에 온다면, 우리는 서로 만날 수 있을 것이오."
67년 유대 반란이 일어나자, 볼로가세스 1세는 로마군을 돕기 위해 40,000명의 기마 궁수대를 지원했다. 68년 네로가 자살한 뒤 그해 로마에서 내란( 네 황제의 해)이 벌어지자, 유대 반란 진압군 사령관 베스파시아누스에게 황제가 되도록 지원해주겠다고 제안했지만 거절당했다. 이후 제위에 오른 베스파시아누스는 로마의 속국이었던 코마게네를 완전히 병합하기로 했다. 코마게네의 왕자 에피파네스와 칼리니코스는 파르티아로 망명했지만, 볼로가세스 1세는 벨리우스 루푸스라는 이름의 로마 장교와 협상한 뒤 두 왕자를 로마에 넘겼다. 72년 알란족이 아르사케스 왕가의 일원이 통치하는 아르메니아와 메디아 아트로파테네를 침략하여 재물을 약탈했다. 볼로가세스 1세는 베스파시아누스에게 지원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파르티아는 유대 반란 때 도움을 받았으면서 정작 자신들을 돕지 않는 로마에 분개했고, 양국의 사이는 악화되었다.
서기 78년 볼로가세스 1세가 사망하자, 아들 파코로스 2세가 새로운 샤한샤로 등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