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21:56:34

벌매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I급 ]⠀
<colbgcolor=#fff,#1f2023> 포유류 늑대† · 대륙사슴† · 무산쇠족제비 · 점박이물범 · 반달가슴곰 · 붉은박쥐 · 사향노루 · 산양 · 수달 · 스라소니† · 여우† · 작은관코박쥐 · 표범† · 호랑이
조류 검독수리 · 고니 · 넓적부리도요 · 노랑부리백로 · 느시 · 두루미 · 먹황새 · 뿔제비갈매기 · 저어새 · 참수리 · 청다리도요사촌 · 크낙새† · 호사비오리 · 혹고니 · 황새 · 흰꼬리수리
파충류 비바리뱀
양서류 수원청개구리
어류 감돌고기 · 꼬치동자개 · 남방동사리 · 모래주사 · 미호종개 · 얼룩새코미꾸리 · 여울마자 · 임실납자루 · 좀수수치 · 퉁사리 · 흰수마자
곤충 붉은점모시나비 · 비단벌레 · 닻무늬길앞잡이 · 산굴뚝나비 · 상제나비 · 수염풍뎅이 · 장수하늘소 ·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
기타
무척추동물
귀이빨대칭이 · 나팔고둥 · 남방방게 · 두드럭조개
식물 광릉요강꽃 · 금자란 · 나도풍란 · 만년콩 · 비자란 · 암매 · 죽백란 · 제주고사리삼, · 탐라란 · 털복주머니란 · 풍란 · 한라솜다리 · 한란
}}}
}}}
⠀[ II급 ]⠀
||<colbgcolor=#fff,#1f2023><width=15%> 포유류 || 노란목도리담비 · 북방물개 · · 큰바다사자 · 토끼박쥐 · 하늘다람쥐 ||
조류 개리 · 검은머리갈매기 · 검은머리물떼새 · 검은머리촉새 · 검은목두루미 · 고대갈매기 · 긴꼬리딱새 · 긴점박이올빼미 · 까막딱따구리 · 노랑부리저어새 · 독수리 · 따오기 · 뜸부기 · 무당새 · 물수리 · · 벌매 · 붉은가슴흰죽지 · 붉은배새매 · 붉은어깨도요 · 붉은해오라기 · 뿔쇠오리 · 뿔종다리 · 새매 · 새호리기 · 섬개개비 · 솔개 · 쇠검은머리쑥새 · 쇠제비갈매기 · 수리부엉이 · 시베리아흰두루미 · 알락개구리매 · 알락꼬리마도요 · 양비둘기 · 회갈색올빼미 · 재두루미 · 잿빛개구리매 · 조롱이 · 참매 · 청호반새 · 큰고니 · 큰기러기 · 큰덤불해오라기 · 큰뒷부리도요 · 큰말똥가리 · 팔색조 · 항라머리검독수리 · 흑기러기 · 흑두루미 · 흑비둘기 · 흰목물떼새 · 흰이마기러기 · 흰죽지수리
양서류 고리도롱뇽 · 금개구리 · 맹꽁이
파충류 구렁이 · 남생이 · 표범장지뱀
어류 가는돌고기 · 가시고기 · 꺽저기 · 꾸구리 · 다묵장어 · 돌상어 · 둑중개 · 묵납자루 · 버들가지 · 부안종개 · 어름치 · 연준모치 · 열목어 · 새미 · 칠성장어 · 큰줄납자루 · 한강납줄개 · 한둑중개
곤충 깊은산부전나비 · 꼬마잠자리 · 노란잔산잠자리 · 대모잠자리 · 두점박이사슴벌레 · 뚱보주름메뚜기 · 멋조롱박딱정벌레 · 물방개 · 물장군 · 불나방 · 쇠똥구리 · 쌍꼬리부전나비 · 애기뿔쇠똥구리 · 여름어리표범나비 · 왕은점표범나비 · 은줄팔랑나비 · 윤조롱박딱정벌레 · 참호박뒤영벌 · 창언조롱박딱정벌레 · 큰자색호랑꽃무지 · 홍줄나비
기타
무척추동물
갯게 · 거제외줄달팽이 · 검붉은수지맨드라미 · 금빛나팔돌산호 · 기수갈고둥 · 깃산호 · 대추귀고둥 · 둔한진총산호 · 망상맵시산호 · 물거미 · 밤수지맨드라미 · 별혹산호 · 붉은발말똥게 · 선침거미불가사리 · 연수지맨드라미 · 염주알다슬기 · 울릉도달팽이 · 유착나무돌산호 · , 의염통성게 · 자색수지맨드라미 · 잔가지나무돌산호 · 착생깃산호 · 참달팽이 · 측맵시산호 · 칼세오리옆새우 · 해송 · 흰발농게 · 흰수지맨드라미
식물 가는동자꽃 · 가시연꽃 · 가시오갈피 · 각시수련 · 개가시나무 · 갯봄맞이꽃 · 검은별고사리 · 구름병아리난초 · 기생꽃 · 끈끈이귀개 · 나도범의귀 · 나도승마 · 나도여로 · 날개하늘나리 · 넓은잎제비꽃 · 노랑만병초 · 노랑붓꽃 · 눈썹고사리 · 단양쑥부쟁이 · 닻꽃 · 대성쓴풀 · 대청부채 · 대흥란 · 독미나리 · 두잎약난초 · 매화마름 · 무주나무 · 물고사리 · 물석송 · 방울난초 · 백부자 · 백양더부살이 · 백운란 · 복주머니란 · 분홍장구채 · 산붓꽃나무 · 산작약 · 삼백초 · 새깃아재비 · 서울개발나물 · 석곡 · 선모시대 · 선제비꽃 · 섬개야광나무 · 섬개현삼 · 섬시호 · 섬현삼 · 세뿔투구꽃 · 손바닥난초 · 솔잎란 · 순채 · 신안새우난초 · 애기송이풀 · 연잎꿩의다리 · 왕제비꽃 · 으름난초 · 자주땅귀개 · 장백제비꽃 · 전주물꼬리풀 · 정향풀 · 제비동자꽃 · 제비붓꽃 · 조름나물 · 죽절초 · 지네발란 · 진노랑상사화 · 차걸이란 · , 참물부추 · 초령목 · 칠보치마 · 콩짜개란 · 큰바늘꽃 · 파초일엽 · 피뿌리풀 · 한라송이풀 · 한라옥잠난초 · 한라장구채 · 해오라비난초 · 흑난초 · 홍월귤
해조류 그물공말 · 삼나무말
고등균류 화경버섯
||
†:대한민국에 더 이상 서식하지 않는 종
벌매
Crested Honey Buzzard, Oriental Honey Buzzard
파일:Pernis ptilorhynchus.jpg
학명 Pernis ptilorhynchus
Temminck, 1821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수리목(Accipitriformes)
수리과(Accipitridae)
아과 벌매아과(Perninae)
벌매속(Pernis)
벌매(P. ptilorhynch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생김새3. 특징4.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벌매.jpg

수리목 수리과에 속하는 맹금류의 일종. 말벌 곤충류를 주로 사냥한다.

2. 생김새

몸길이는 55~60cm 정도 되며, 부리는 검은색이고 개체변이가 심해 색상이 정말 각양각색으로 나타나며 보통 담색형, 중간형, 암색형으로 구분한다. 보통 머리는 청회색을 띠며 몸은 갈색, 배 부분은 흰색 바탕에 줄무늬가 있다.

3. 특징

시베리아, 사할린, 몽골, 만주 지방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 인도에서 월동한다. 한국에서는 4~5월, 9~10월에 통과하는 나그네새이며 극히 적은 수가 강원도 산간지역에서 번식한다. 특히 9~10월에는 왕새매, 말똥가리, 솔개 등과 대규모 무리를 이루어 서해안 일대를 통과한다.[1]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EBS 다큐프라임 <지독한 끌림> 중 벌매 편.

먹이는 이름답게 과 벌의 유충을 주로 먹으며, 벌중에서도 덩치가 큰 말벌을 선호하고 심지어 장수말벌까지 거리낌없이 사냥한다. 또한 이기 때문에 다른 곤충이나 개구리, , 등의 작은 척추동물도 사냥한다. 유럽부터 동아시아에 걸쳐 서식하며, 뱅골만 연안에도 서식한다. 큰 무리를 지어 장거리를 이동하기 때문에 여름에는 영국, 러시아, 일본 북부( 홋카이도)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등을 거쳐 따듯한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나지만, 극소수는 한국의 산간지역 깊은 곳에서 알을 낳아 새끼를 기르는 경우도 있다. 대략 2000년대 초반 드물게 민통선 DMZ에서 번식한 기록이 있다. 2017년 벌매가 번식한 사례가 나오자 뉴스에도 나올 정도.

생태계에선 인간과 더불어 말벌의 최대 천적으로, 단신으로 땅벌이든 말벌이든 한번 발견한 군체를 완전히 끝장낼 수 있는 깡패다.[2] 벌집을 한번 찾아내면 쏟아져나오는 경비병 일벌부터 낼름낼름 집어삼킨 뒤 벌집을 적절한 크기로 부숴 둥지로 가져간 다음 애벌레와 번데기를 모조리 뽑아다가 새끼에게 먹이기를 반복하며, 마지막에는 수펄과 여왕벌 및 일 나갔다 돌아온 일벌들까지 깨끗하게 해치운다. 몇날며칠이 걸려서라도 잊지않고 둥지를 해체하고 야금야금 잡아먹을 정도로 집요하기 때문에, 한번 포착된 말벌 둥지는 이미 끝장 났다고 봐야한다. 오소리한테는 재수없어서 걸리는 거지만, 벌매는 아예 사냥한 동물 시체를 미끼로 내걸어 유인한 말벌의 뒤를 따라가 적극적으로 벌집을 찾아내는데다, 심지어 조류이기 때문에 몸길이 30~45mm의 대형 말벌인 장수말벌도 이 녀석보다 훨씬 몸집이 작고 높은 곳에 벌집을 만들어도 비행이 가능해서 접근을 막을 방법이 없다보니 말벌에게는 코즈믹 호러가 따로 없다.


고기를 이용해 말벌집을 찾아내는 벌매.

무엇보다도 다른 말벌의 천적들과 비교되는 점이라면, 말벌을 사냥하기 위해 유인책까지 사용한다는 것. 이들은 새끼들에게 개구리, 도마뱀 등을 잡아다가 먹이는데, 이때 고기를 조금 떼어내 근처의 나뭇가지에 걸어놓는다. 이후 고기를 매의 눈으로 노려보며 감시하다가, 말벌이 고기를 떼어내 둥지로 가져가면 벌매는 그 말벌을 쫓아가 말벌 둥지를 찾아낸다.

그리고 바로 이 점 때문에 벌매는 꿀벌보단 말벌을 선호한다. 꿀벌은 성체든 애벌레든 육식을 전혀 하지 않기 때문에 동물 사체 같은 미끼에 반응이 없다. 때문에 꿀벌 둥지를 공략하려면 자기가 직접 발품을 팔아 벌집을 찾아야 하는 반면, 말벌은 특유의 호전성으로 자기가 스스로 추적당할 여지를 남겨준다. 더군다나 야생 한봉은 나무나 바위 틈같이 벌매도 공격하기 힘든 위치에 벌집을 만드는 습성이 있고, 상대적으로 쉬워 보이는 양봉꿀벌에는 양봉업자라는 지구상 최강의 수호자가 붙어있다[3]. 게다가 고작 맹금류 따위가 사람이 목재와 못으로 단단하게 만든 요새를 사보타주 할 수도 없다.[4] 게다가 꿀벌은 말벌류에 비해 덩치가 작아 얻는 수율이 떨어지는 데다, 둥지에는 쓸모없는 꿀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자주 노리지는 않는다. 벌매 입장에서는 양도적고 구하기도 힘드니. 꿀벌의 피해가 그다지 크진 않다.

또한 벌매는 그 와중에 기억력까지 좋아서 한 번 찾은 벌집의 위치는 잘 기억하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 털어먹고 놔뒀다가 원할 때마다 다시 가서 털어먹는다. 벌과 애벌레들이 몰살될 때까지. 다만 말벌을 못 찾으면 미끼를 그냥 먹어버린다.

파일:벌매 말벌집.jpg
< 이른바 '매형이 집들고 날랐다.'라는 낚시성 제목의 게시물로 유명한, 벌매의 위력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

물론 말벌들은 집을 침략한 벌매에게 위협 비행을 하거나 독침을 쏘지만, 벌매는 오랜 세월 말벌 둥지 사냥에 특화되도록 진화했기 때문에 깃털이 마치 비늘처럼 빼곡하고 기름이 있어 침이 피부를 찌르기 힘들다. 물론, 힘들게 독침에 맞았더라도 독에 대한 내성까지 지녀서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5]

이런 생태 때문에 벌매의 신체적 특징들은 전부 말벌 군체를 적극적으로 사냥하기 편하게 진화되었다. 예시로 벌매의 발톱은 갈고리형으로 가늘고 길게 발달되어 있는데, 이는 말벌집을 움켜쥐고 고정하는 용도로 쓰인다. 그뿐만 아니라 깃털이 없는 다리 부분은 단단하고 방울같은 질감의 비늘이 빽빽하게 들어차 있어 건틀릿 역할을 하고, 그나마 벌이 공격 가능한 몇 안 되는 부위인 콧구멍은 아주 작게 진화했다. 깃털과 피부 또한 단단하게 무장하여 독침따위 씨알도 안먹힐 정도, 설령 이러한 특징을 뚫고 벌매에게 정확하게 독침을 쏘는 데 성공해도 독침에 대한 내성까지 지녀서 상관이 없다.

파일:벌매1.jpg
특이하게 귀소성 제비만큼 뛰어난 종이다. 영국에서는 이걸 바탕으로 연구해 벌매의 개체수를 늘렸다고 한다.[6]

귀소성도 좋고, 맹금류답지 않게 비교적 온순해서 만약 이대로 장수말벌 같은 살인벌에 의하는 피해가 심각해지면, 마치 과거에 맹수들을 사냥하기 위해 늑대 가축화해서 로 만든 것처럼 벌매를 말벌 사냥용으로 가축화해서 구제해야 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한국에서 벌매는 멸종위기종이라 국가에서 보호하고 있기에 개인적으로 키우는 게 금지되어 있다.

4. 여담

  • EBS에서 벌매와 그 외 다른 동물들을 다룬 다큐멘터리지독한 끌림 1부 2022년 6월 20일 오후 9시 50분에 방송하였다.( 편집본) 이 다큐멘터리 중 벌매를 다룬 부분이 유튜브에서 예상 외의 대박이 났다. 제작진도 감사의 인사를 댓글에 적어뒀는데, 촬영에 무려 1년 반이 소모되었다고 한다. 그와중에 프응의 댓글이 있다.[7][8]

[1] 이동 시기에 상승 기류가 발생하는 시간을 고려해서 동네 산을 올라가면 하늘 위에서 비행하고 있는 벌매 무리를 관찰할 수도 있다. [2] 다만, 장수말벌의 경우 사냥하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3] 사람에게 보호받는다는 측면에서 닭, 소와 같은 동물 역시 공통점이 있으나 이들은 어느 정도 자라난 후에는 도축(屠畜)이라는 잔혹한 운명이 기다리고 있는 반면, 양봉꿀벌은 꿀을 획득하려는 단한가지의 목적으로만 길러지고 있으므로 꿀벌들 자체가 해를 당하는 일은 없다. 게다가 꿀벌은 다른 곤충들과는 달리 인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이유로 인간이 필사적으로 보호를 하려는 유일한 곤충이다. [4] 안에 짱박힌 여왕벌레와 애벌레까지 먹는다는것은 못한다는것. [5] 일부에서는 벌매의 깃털에 말벌을 교란시키는 화학물질이 있다고 주장하나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6] 다만 이 벌매 종은 동양의 벌매(Pernis ptilorhynchus)가 아니라 유럽벌매(Pernis apivorus) 이다. [7] 제발 벌매가 왔으면 이라고 한다. [8] 양봉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벌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리려고 유튜버가 되었다고 한다. 항목 참조. 양봉업자들이 겪는 말벌에 의한 꿀벌 습격을 자신도 당하고 있는 처지라 이런 댓글이 나오는것도 무리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