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09:28:32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

라오어 드라마에서 넘어옴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the-last-of-us-logo.png
||
{{{#!wiki style="margin:-1px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본편 넘버링 <colbgcolor=#f5f5f5,#191919> 더 라스트 오브 어스 <colbgcolor=#f5f5f5,#191919>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II
DLC 더 라스트 오브 어스: 레프트 비하인드
리마스터 더 라스트 오브 어스 리마스터드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II 리마스터드
리메이크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I
멀티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온라인
미디어 믹스 외전 코믹스 아메리칸 드림 프리퀄 코믹스
실사 드라마 더 라스트 오브 어스
※ 시리즈 순서
}}}}}}}}} ||
<colbgcolor=#000><colcolor=#ffffff> HBO 오리지널
더 라스트 오브 어스 (2023)
The Last of Us
파일:The Last of Us.jpg
{{{#!wiki style="margin: -6px -10px"
장르 <colbgcolor=#fff,#1f2023> 포스트 아포칼립스, 액션, 호러
방송 기간 시즌 1

[[미국|]][[틀:국기|]][[틀:국기|]] 2023년 1월 15일 ~ 3월 12일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미정
시즌 2

[[미국|]][[틀:국기|]][[틀:국기|]] 2025년 (예정)
방송 횟수 시즌 1: 9부작
시즌 2: 7부작
제작 플레이스테이션 프로덕션
소니 픽처스 텔레비전
워드 게임즈[1]
너티 독
제작사 HBO


<colbgcolor=#000><colcolor=#fff> 제작 크레이그 메이진[2], 닐 드럭만, 카롤린 스트라우스[3], 에반 웰스, 아사드 퀴질배쉬, 카터 스완, 로즈 램
연출 크레이그 메이진, 닐 드럭만, 피터 호어, 제레미 웹, 야스밀라 주바니치, 리자 존슨, 알리 압바시
극본 크레이그 메이진, 닐 드럭만
음악 구스타보 산타올라야
출연 페드로 파스칼
벨라 램지
원작 너티 독 - 게임 《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스트리밍
[[미국|]][[틀:국기|]][[틀:국기|]]
시청 등급
[[미국|]][[틀:국기|]][[틀:국기|]] TV-MA
관련 사이트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1.1. 공개 정보1.2. 예고편
1.2.1. 시즌 11.2.2. 시즌 2
1.3. 포스터
1.3.1. 시즌 11.3.2. 시즌 2
2. 시놉시스3. 등장인물4. 에피소드 목록5. 평가
5.1. 시즌 15.2. 시즌 2
6. 원작과의 차이점7. 기타

[clearfix]

1. 개요

Save who you can save.
구할 수 있는 사람을 구하라.
동명의 게임을 원작으로 HBO에서 제작·방영하는 드라마 시리즈. 정체불명의 팬데믹으로 인류 대다수가 죽거나 괴생명체가 되어버린 근미래, 황량해진 미국을 횡단하는 두 사람의 이야기를 다룬 포스트 아포칼립스물이다.

게임 원작자 닐 드럭만과 드라마 《 체르노빌》의 극본가 크레이그 메이진이 제작 총괄 및 각본과 감독을 맡았다.

1.1. 공개 정보

====# 시즌 1 #====
  • 2020년 3월 5일, 해당 드라마의 제작 계획이 처음 공개되었다. 원작과 동일한 스토리 라인을 따라가며, 파트 2의 내용을 일부 차용할 수도 있다고 한다. #
  • 제작과 각본은 원작 게임을 제작한 닐 드럭만과 드라마 《 체르노빌》의 극본가 크레이그 메이진이 공동으로 맡았다.
  • 원작의 OST를 담당한 구스타보 산타올라야[4]가 음악을 맡는다고 한다. #
  • 6월 8일, 《체르노빌》의 연출을 담당한 요한 렝크가 파일럿 에피소드를 맡는다는 기사가 나왔다. #
  • 11월 20일, HBO에서 정식으로 시리즈 제작 허가가 떨어졌다. 또한 코로나 19 사태의 여파로 일정 문제가 생긴 요한 렝크가 연출에서 하차하였다. #
  • 2021년 1월 15일, 칸테미르 발라고프[5]가 요한 렝크를 대신하여 파일럿 에피소드 연출을 담당한다는 발표가 나왔다. #
  • 2월 10일, 페드로 파스칼과 벨라 램지가 주연으로 캐스팅 되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 # #
  • 2021년 4월 촬영을 시작한다고 한다. #
  • 촬영이 7월로 연기되었다. 현재 일정은 2021년 7월 5일부터 2022년 6월 8일까지 캐나다 캘거리에서 촬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
  • 멀 댄드리지의 합류 소식이 보도되었다. 원작 게임에서 성우 및 모션 캡처를 맡은 마를린 역을 다시 한 번 연기하게 된다고 한다. #
  • 니코 파커[7]가 조엘 밀러의 딸 사라 역으로 캐스팅 되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 #
  • 총괄 제작자 크레이그 메이진이 자신의 팟캐스트 방송에서 시즌 1은 10부작이라고 밝혔다. 또한 아직 미발표된 감독이 두 명 더 있다고 한다. #
  • 촬영이 예정보다 일주일 연기되었다. 7월 12일부터 시작된다고 한다. #
  • 제프리 피어스, 머레이 바틀렛, 콘 오닐이 캐스팅 되었다. 각각 페리, 프랭크, 빌 역을 맡는다. #
  • 한 화당 제작 비용이 천만 달러 이상이며, HBO 드라마 역대로 가장 비싼 《 왕좌의 게임》을 넘어서는 제작비[8]가 예산으로 투입되었다고 한다. #
  • 애나 토브가 테스 역으로 캐스팅되었다. #
  • 주연 배우 페드로 파스칼의 한 화당 출연료가 60만 달러라고 한다. #
  • 칸테미르 발라고프가 파일럿 에피소드 촬영 종료 소식을 SNS에 게시했다. #
  • 피터 호어[9]가 연출에 합류하였다. 또한 제작 총괄을 담당하는 크레이그 메이진이 연출에도 참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 닐 드럭만이 연출에 합류하였다. #
  • 촬영장 사진이 공개되었다. 게임과 매우 흡사하다는 평이다. # # #
  • 드라마 속 조엘과 엘리의 뒷모습이 공개되었다.
    파일:last of us drama joel and ellie.jpg
  • 빌 역으로 캐스팅 된 콘 오닐이 스케줄 문제로 하차하고 닉 오퍼맨으로 교체되었다. #
  • HBO와 HBO 맥스의 콘텐츠 최고 책임자 케이시 블로이스가 인터뷰에서 2023년에 방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파일럿 디렉터 칸테미르 발라고프에 따르면, 드라마 《더 라스트 오브 어스》는 2023년 초에 초연할 예정이다. # 하지만 2022년 10월 발라고프는 창작상의 견해차로 이 프로젝트에 관여하지 않는 걸로 밝혀졌다. 결과물도 폐기된 상태라고. 다만 공개 후로는 완전 폐기는 아니고 40% 정도는 남았다고 한다.
  • 2022년 9월에 첫 예고편이 공개된다고 한다. 플레이스테이션 쇼케이스나 9월 26일 라스트 오브 어스 데이에 공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 시즌 2 #====
  • 2023년 1월 27일 시리즈 초연이 2주도 채 되지 않아 시즌 2 제작이 확정됐다. #
  • 시즌 2 제작 발표 후 섀넌 베리[10]라는 배우가 애비와 높은 싱크로율로 화제가 되며 캐스팅 루머가 돌았다. 하지만 2023년 11월 14일 유명 업계 내부자 제프 스나이더(Jeff Sneider)가 케이틀린 디버가 애비 역을 맡기 위해 논의 중이라고 알렸다. # 그리고 2024년 1월 9일 케이틀린 디버가 애비로 확정되었음이 공식 발표되었다. # 다음날 10일 영 마지노가 제시 역으로, 11일에 이사벨라 메르세드 디나 역으로 발표되었다.
  • 2월 2일 캐서린 오하라가 공개되지 않은 역할로 발표되었고, 3월 1일 애비 측 주요 인물 4명 오언, 멜, 노라, 매니의 캐스팅이 발표되었다. 5월 24일 제프리 라이트가 아이작 역으로 발표되었다. #
  • 닐 드럭만과 원작 파트 2를 공동 집필한 할리 그로스가 작가진에 합류했다. 한국계 신인 작가 Bo Shim도 작가진에 합류했다. #
  • 파트 2의 스토리는 두 시즌에 걸쳐서 진행되며[11] 시즌 2는 시즌 1보다 2개 적은 7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다. 에피소드 중 하나의 길이는 '상당히 크고', 시즌 3은 규모가 훨씬 더 커질 것임을 예고했다. 크레이그 메이진은 모든 에피소드가 블록버스터처럼 느껴지길 바란다고 말하며 스토리의 규모가 커지면서 시즌 4가 추가로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
  • 2023년 말에 촬영이 시작될 예정이었으나 2023년 미국작가조합 파업으로 인해 캐스팅 준비를 비롯한 시즌 2 제작이 잠시 중단됐었다. 메이진은 파업이 시작되기전 첫번재 에피소드의 대본을 작성 완료 및 제출했다. 메이진과 드럭만은 파업 진행 중 시리즈 작업을 하지 않았고, 메이진은 파업이 끝나는 즉시 집필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
  • 크레이그 메이진과 닐 드럭만, 시즌1 3화의 연출을 맡은 피터 호어가 감독으로 복귀한다. 케이트 헤론[12], 마크 미로드[13], 니나 로페즈 코라도[14], 스테판 윌리엄스[15]가 감독으로 발표됐다. #
  • 시즌 1에선 게임과 달리 이야기와 관계에 더 집중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감염체의 등장과 액션 장면을 줄였고, 이에 따른 몇몇 팬들의 불만이 있었다. 메이진은 시즌 2에서 감염자의 수가 훨씬 더 많아질 것이며 새로운 감염자가[16] 등장할 수 있음을 예고했다. #
  • 벨라 램지는 시즌 2는 시즌 1보다 더 어둡고, 복수에 대한 이야기이자 무조건적인 사랑의 위험성에 대한 첫 번째 시즌의 연장선상이라고 밝혔다. # 드럭만 또한 시즌 2는 첫 번째 시즌의 사랑의 연장선이며, 사랑하는 이들을 위해 어떠한 대가라도 치르겠다는 정의의 추구와 그 어둠을 탐구하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이야기라고 밝혔다.
  • 2024년 3월 25일 페드로 파스칼이 시즌 2 촬영을 마쳤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HBO 측은 아직 촬영 분량이 남아있다고 해명했다. #
  • 시즌 2의 촬영장 사진 및 영상이 일부 유출되었다. # 게임 원작 2편과 동일하게 엘리와 디나가 말을 타고 시애틀을 돌아다니고, 워싱턴 해방 전선(Washington Liberation Front (WLF))의 군용 차량 등이 등장한다.
  • 시즌 2의 첫번째 공식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파일:season2_joel.jpg
파일:season2_ellie.jpg
  • 2025년 상반기에 시즌 2가 첫 방영될 것이라고 공식 발표되었다.

1.2. 예고편

1.2.1. 시즌 1

티저 예고편
트레일러 음악: 행크 윌리엄스 - Alone And Forsaken[17]
공개되자마자 실시간 트렌딩 1위, 미국 트위터 1위, 미국 유튜브 1위를 달성했으며, 약 24시간도 채 안돼서 트위터와 유튜브를 포함하여 약 2000만 조회수를 돌파하고 압도적인 좋아요 수를 받았다. #
공식 예고편
트레일러 음악: A-ha - Take On Me[18][19]

1.2.2. 시즌 2

1.3. 포스터

1.3.1. 시즌 1

파일:더 라스트 오브 어스.jpg
포스터

1.3.2. 시즌 2

2. 시놉시스

3. 등장인물

오프닝 크레딧
시즌 1
시즌 2
* 애비 앤더슨 - 케이틀린 디버[35]
* 디나 - 이사벨라 메르세드
* 제시 - 영 마지노[36]
* 오언 - 스펜서 로드
* 멜 - 아리엘라 바러
* 노라 - 타티 가브리엘[37]
* 매니 - 대니 라미레즈
* 아이작 - 제프리 라이트[38]
* ? - 캐서린 오하라[39]

4. 에피소드 목록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rowcolor=#fff><tablebgcolor=#fff,#1f2023><width=10%><|2> EP. ||<width=25%> 방영일 ||<width=50%><-2> 제목 ||<width=15%> 등급 ||
<rowcolor=#fff> 러닝 타임 감독 각본 링크
1 2023.01.15. When You're Lost in the Darkness
81분 크레이그 메이진 크레이그 메이진 & 닐 드럭만
2 2023.01.22. Infected
53분 닐 드럭만 크레이그 메이진
3 2023.01.29. Long Long Time
76분 피터 호어 크레이그 메이진
4 2023.02.05. Please Hold My Hand
45분 제레미 웹 크레이그 메이진
5 2023.02.10.[40] Endure and Survive
59분 제레미 웹 크레이그 메이진
6 2023.02.19. Kin
59분 야스밀라 주바니치 크레이그 메이진
7 2023.02.26. Left Behind
55분 리자 존슨 닐 드럭만
8 2023.03.05. When We Are in Need
51분 알리 압바시 크레이그 메이진
9 2023.03.12. Look for the Light
43분 알리 압바시 크레이그 메이진 & 닐 드럭만

5. 평가

5.1. 시즌 1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스코어 84 / 100 점수 6.0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96% 관객 점수 89%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게임 원작 실사화 드라마 최초의 할리우드 최고 권위상에 노미네이트 된 최초의 작품이 됐다. 올해 에미상에서 24개 부문 노미네이트 되었고 최종적으로는 8개 부문 수상을 했지만[41] 주요 상으로 꼽히는 작품상이나 주연, 연출 및 작가상은 수상하지 못했다.

평가는 매우 긍정적이다. 시즌 1까지 방영된 시점에서는 IMDB 유저 평가 9.0점, 로튼토마토 지수 96% 등 압도적인 호평을 받았고 평론가와 다수 매체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호평이 의미가 있는 이유는 그동안의 수많은 게임 원작 실사화 작품들 중에서 '평단의 호평, 관객의 호평, 거기에 까다롭기로 유명한 원작팬들의 호평까지 모두 잡아낸데다, 상업적 성공까지 하는' 사례가 사실상 처음이기 때문이다.[42]

다만 3화 방영 후 로튼 토마토 신선도는 97%로 유지된 반면, 평론가가 아닌 일반 시청자가 평점을 기입할 수 있는 IMDB에서는 8.0점으로 평가가 하락했다. 다만 현재는 소폭 상승해서 8.9점까지 반등하는데는 성공했다. 일부 시청자들이 평점 1점을 부여하며 비추 폭탄을 날리기 시작한 것. 2화 방영 이후 9점대였던 에피소드 별 평점에서 3편의 평점은 3월 15일 기준 8.0점을 기록하고 있다. 총 16만 명 가량의 투표자 중 28.1%인 4만여 명의 투표자가 1점을 줬다. 에피소드 3편에서는 생존자인 빌과 그의 파트너 프랭크의 이야기를 다뤘으며, 그 두 사람이 어떻게 만나 사랑에 빠지고 함께 죽었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췄다. 그런데, 원래 이 두 사람의 비중이 원작에서는 극도로 낮다. 게임이 진행되면서 잠깐 다뤄지는 수준이다. 에피소드 한 편에서 두 사람의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것은 물론, 아주 수위가 높은 애정신이 다수 등장하면서 일부 시청자들이 반발한 것이다. 시즌 1이 총 9편으로 제작되는 만큼 방대한 모험의 분량을 소화하기가 쉽지 않을 텐데, 조엘과 엘리의 스토리는 뒷전에 둔 채 두 남성의 로맨스로 한 편을 낭비해버렸다는 지적이다. 점수 분포가 10점이 약 50%, 1점이 약 20%로 극과 극의 평가를 달리는데, 원작에서 암시 수준으로 지나간 동성애 묘사를 수위 높은 베드신으로 바꾼 것이 주 원인으로 꼽힌다.

한편으론 스티븐 스필버그를 비롯한 많은 드라마 시청자들이 3화를 최고의 에피소드로 호평한다. 3화 전체에 묘사된 빌과 프랭크의 이야기는 동성애 묘사로 호불호가 갈릴 수 있지만 두 배우가 보여준 절절한 사랑의 묘사, 테스와 조엘, 빌과 프랭크 둘의 지속적이었던 관계를 그려내면서 조엘이 왜 어려울 때 빌에게 향할 수 밖에 없었는지가 잘 드러난다. 분량면에서 지나친 조명이라고 할 수 있지만 두 인물의 드라마타이즈는 수준급이며 동성애에 대한 이해가 단순히 LGBT를 내세우고자 하는 단계에서 나아가 두 연인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에서의 이야기를 아름답게 보여주고자 면밀하게 구성하고, 이후 조엘과 엘리의 관계와 오버랩된다는 점이 눈에 띄는 부분이다.[43] 전반적으로 이 편을 낭비라고 생각하는 일부 팬층과는 정반대의 평가를 내린다.

3화에서 호불호가 갈렸지만 이후 에피소드들이 시청률도 증가하고 평도 좋으면서 꾸준히 성장세를 유지했다. 포브스 기사

피날레 후 작품의 전반적인 인상은 아케인, 사이버펑크: 엣지러너에 이어 성공적인 미디어 믹스이자 게임 원작의 드라마로서는 이례적인 성공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게임을 떼어놓고 봐도 연출면에서 작품을 아우르는 전체적인 분위기나 대사, 인물들의 연기까지 매우 탁월하다.[44]

특히 도입부인 1화와 피날레는 원작을 뛰어넘는 연출상의 깊이를 보여준다. 게임에서는 대사가 컷신과 게임 중간 이벤트를 통해 나타나지만 드라마에서는 대사가 사실상 장면 전체에 걸쳐서 나온다는 점에서 우려점이 있었으나 세세한 설정을 디테일하게 잡아가고 동충하초 바이러스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그 시간까지 세세하게 묘사해냈다. 게임에서는 간단한 오브젝트 배치와 맵 디자인, 문서 등으로 처리한 인물들의 배경이라던지 밀수업을 하는 조엘의 루트를 치밀하게 구성해 현실감 있게 구성하고 인물들의 동기나 개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스토리 라인은 유지하되, 많은 면에서 새롭게 설정을 부여했다. 꽤 짧은 도입부 역시 긴장감을 고조시키도록 게임의 장면은 유지하면서도 플롯을 새롭게 추가해 바이러스가 퍼져가는 초기 상황을 긴박하면서도 몰입감입게 그려냈다.

3화에서 지적된 것처럼 지나칠만한 인물들에게도 면밀하게 설정을 부여하다보니 과도하게 주변 인물에 포커싱을 주는 문제가 있으나 드라마 전체 줄기상 큰 문제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게임이 드라마화 되면서 제작진들이 조엘이라는 다채로운 면을 가진 인물[45]을 다룰때 시청자들이 충분히 극에 몰입할 수 있도록 게임 원작의 감정선을 어떻게 유지시킬 것인가에 대해서 고민한 흔적이 엿보인다. 상당 부분 대사를 새롭게 추가하고 게임의 전투씬을 생략하면서 균형을 유지시켰는데, 제작진의 게임과 드라마의 매체간 특성의 차이에 대한 이해도가 돋보이는 부분이다. 게임은 플레이어가 인물에 완벽하게 몰입하는게 가능하지만 드라마는 시청자가 게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위치에 놓여있다는 면에서 조엘이 지나치게 폭력적이면 안되기 때문에 게임 연출상 전투씬이 과도해지면 안되는 측면이 있다. 조엘이란 인물이 너무나 폭력적으로 그려지게되면 게임을 접하지 않았던 시청자들의 경우, 거부감이 들 수 있기에 조엘이 엘리에 대한 애정을 후반부로 갈수록 많이 드러내고 딸 사라를 잃으면서 겪었던 상처와 고난에 대해서 엘리와 직접적으로 공유하며 인간적인 면을 더 많이 드러내게 되었다.

엘리의 경우 게임에서는 때때로 플레이어에게 도움을 주는 사이드킥이 되었던 것을 참고해 극중에서 조엘이 어려움에 처할때마다 마냥 보고만 있는 것이 아닌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러모로 게임의 엘리의 모습을 연출하려고 애쓴 흔적이 보이며, 헨리와 샘 형제[46]를 통해 엘리와 조엘이 서로 얼마나 조력하고 있는지 더욱 부각된다.

여담으론 닐 드럭만이 제작에 참여하면서 게임 원작을 제작할 때 참고한 영화 더 로드의 연출을 오마쥬한 부분이 꽤 나타난다. 특히 과거 이후 현재로 넘어올 때, 홀로 등장한 아이의 경우 오마쥬라고 해도 될 정도로 전체적인 미쟝센 구성에 있어 참고한 것이 드러난다.[47]

총평하자면, 본 드라마는 많은 우려점을 가졌으나 게임 원작 설정에 많은 디테일을 추가하여 게임의 작품성이나 플롯 전체의 의도는 충분히 존중하는 한편, 드라마로서의 완성도는 끌어올린 성공적인 미디어 믹스로 볼 수 있다. 게임 원작의 영상물, 특히 드라마로서는 이례적인 성공으로 앞으로 제작될 게임 원작 영상물들의 교본이 될만하다고 여겨진다.

5.2. 시즌 2

6. 원작과의 차이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원작과의 차이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기타

  • 드라마화가 공식적으로 발표되기 전 영화화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진 작품이다. 그러나 이것이 불발된 결정적인 이유는, 영화화 과정에서 원작에 벗어난 많은 스펙터클한 액션을 다수 추가할 것을 요구받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 반면 드라마는 게임에서처럼 조엘 밀러 엘리 윌리엄스의 관계를 중점으로 조명하며 전개할 예정이라고 한다.
  • 벨라 램지는 온라인에서 자신의 외모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에 많이 힘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메이진은 액션과 컷 사이에 벨라 램지보다 나은 사람은 거의 없으며 닐 드럭만 또한 오디션에서 나는 벨라 램지에게서 엘리 자체를 봤다고 말했다. 벨라 램지는 몇주 동안은 자신이 엘리라고 믿고 배역을 몰입하다 몇 주 동안 자신이 끔찍하다는 생각을 반복한다고 한다. #
  • 시리즈 초연은 470만 명으로 시작해 꾸준히 시청자수가 증가하며 최종화 방영 당시 820만 명의 시청자 수를 모아 시리즈 최고 당일 시청자수를 기록했고, 이는 초연보다 74% 증가한 수치이다. 총 평균 시청자수는 3040만 명을 기록하며 하우스 오브 드래곤의 전체 평균 시청자수[49]를 넘어섰고, 왕좌의 게임[50] 다음으로 HBO 시리즈 중 두번째로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 #
  • 미국 내 방영일과 거의 동시기에 Wavve로 방영한 하우스 오브 드래곤과는 달리 아직 국내 방영 소식이 없다.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 이미 방영을 시작한 시점인데도 불구하고 국내는 아직 배급 계약조차 완료되지 못 한 상태라고 한다. 게다가 지금 시즌 1 방영이 종료된 시점인데도 국내에서는 볼 수 없어서 더 라스트 오브 어스를 좋아하는 한국 팬들의 속만 타들어가고 있다. #
  • 에피소드 2 Infected는 닐 드럭만이 직접 연출을 하였다. 게임 개발자가 자신이 개발한 게임의 영상화 연출을 하는 것은 과거 유명 스페이스 오페라 게임 시리즈 윙커맨더의 개발자이자 해당 게임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를 직접 연출한 크리스 로버츠 이후 두번째이다.
  • 에피소드 6 에서 조엘과 엘리가 설원을 지나는 와중에 영화 스탭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화면 구석에 찍히는 옥의 티가 발생했다. #
  • SNL에서 페드로 파스칼이 출연하면서, 라스트 오브 어스 느낌의 병맛 고퀄 마리오 카트 패러디 영상을 찍었다. #[51]
  • 일본에서는 스트리밍 사이트 U-NEXT에서 독점으로 방영하며 일본어 더빙도 게임에서의 캐스팅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 워너 브라더스 재팬에서 기간 한정으로 1화를 공개하였다.
  • 시즌 1이 MTV 어워드 베스트쇼 & 최고의 듀오 상을 수상했다.
  • 스티븐 스필버그는 더 라스트 오브 어스 드라마를 보고 크레이그 메이진에게 편지로 찬사를 보냈다고 한다. 특히 세 번째 에피소드 "Long, Long Time"를 좋아했다고 했으며 드라마에 참여한 스텝들은 우상인 스필버그에게 격려받아 크게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 #
  • 코지마 히데오는 게임 영상화의 기적같은 작품이라 평했으며, 원작개발자가 제대로 조타했기때문에 성공적인 작품이 나왔다고 평했다. #
  • 닐 드럭만은 조엘역 배우로 1순위는 매튜 매커너히를 생각하고 있었으며 2순위는 페드로 파스칼를 원하고 있었다. 매커니히는 좀더 쉬고싶다고 거절했으며 페드로는 일정이 바뻐서 안 될 수도 있다고 해서 닐 드럭만은 좌절했다고 한다 #. 페드로 파스칼은 조카들에게 작품을 오퍼받았다며 작품 제목을 다 말하기 전에 조카들이 반드시 하라고 권유했다고 한다. #
  • 월드워Z후속작이 동충하초 컨셉의 HBO 라스트오브 어스 와 유사했다고한다, 데이빗핀처는 HBO 라스트오브어스가 훌륭하게 해냈기때문에 후속작이 취소된것이 아쉽지 않다고한다. #
  • 게임 원작 라스트 오브 어스의 공동 디렉터를 맡은 브루스 스트렐리의 이름이 들어가 있지 않다. 브루스 스트렐리는 한 인터뷰에서 "게임 개발에 참여한 사람이 크레딧에 이름을 올리지 못하거나 보상을 받지 못하는 일은 노조형성 이유가 된다. 우리는 게임 산업에서 개발자를 보호할 수 있는 노조가 필요할 것"이라 언급한 바 있다. # [52]


[1] HBO 미니시리즈 《 체르노빌》 제작. [2] 체르노빌》 극본. [3] 왕좌의 게임》, 《체르노빌》 제작. [4] 브로크백 마운틴》, 《 바벨》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음악상을 연속으로 수상했다. [5] 러시아 출신의 영화 감독으로 《가까이》와 《 빈폴)》을 연출했으며, 2019년 칸 영화제에서 주목할 만한 시선 감독상과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을 수상했다. [6] 보스니아 출신의 영화 감독. 2006년 영화 《그르바비차》로 베를린 영화제에서 황금곰상을 수상하며 데뷔했다. 이후 2020년에는 영화 《 쿠오바디스, 아이다》를 연출,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 국제영화상에 후보로 올랐다. [7] 덤보》에 출연했다. [8] 참고로 해당 드라마의 파이널 시즌 제작비가 약 1억 달러다. [9] 닥터후》, 《 데어데블》, 《 엄브렐러 아카데미》 등 다수의 드라마를 연출했다. [10] 아마존 프라임의 미스터리 생존 드라마 <더 와일즈>에 출현했다. # [11] 파트 2의 플레이타임은 25~30시간 정도로 파트1의 2배 정도이다. [12] 디즈니 플러스 드라마 로키 시즌1의 감독 및 프로듀서. [13] HBO 드라마 석세션의 감독 및 프로듀서로 에미상을 4번이나 수상했다. [14] CBS드라마 멘탈리스트의 프로듀서 및 감독 [15] ABC드라마 로스트 HBO드라마 왓치맨(드라마)의 감독 및 프로듀서. [16] 파트2의 신종 감염체 샘블러나 래트킹일 수 있다. [17] 원작 게임에서 빌의 차를 타고 가다 엘리가 가져온 테이프를 넣자 나오는 곡이기도 하다. [18] 파트 2에서 엘리가 시애틀 다운타운 악기점에서 기타로 연주한 노래이다. [19] 현재는 음악이 바뀌었다. 아무래도 저작권 문제가 원인으로 보인다. [20] 원작 엘리와 싱크로율 99% 배우인 엘리엇 페이지를 놔두고 잘 모르는 배우를 섭외했냐는 악평과 비난이 상당했는데, 남자인데다 마흔에 가까운 나이인 엘리엇 페이지가 청소년을 연기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물론 막상 드라마가 공개 후, 벨라 램지는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원작과 싱크로율 높은 연기와 자연스러운 미국 억양으로 호평을 받아 평가를 반전 시키는 데 성공했다. [21] 드라마 《 에이전트 오브 쉴드》의 고스트 라이더 역과 영화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 Rev-9 역을 맡았다. [22] 원작 게임 캐릭터의 성우이자 모션 캡처 배우가 드라마에서 동일 배역으로 그대로 출연하였다. 멀 댄드리지는 게임 《 하프라이프 시리즈》의 알릭스 밴스 성우로도 유명하다. [23] 본래는 콘 오닐이 역할을 맡을 예정이었으나 스케줄 문제로 배우가 교체되었다. [24] 프린지》의 주인공 올리비아 더넘 역을 맡았다. [25] 드라마 오리지널 캐릭터. 원작에 나온 피츠버그 헌터스의 역할을 대체하는 집단인 캔자스시티 레지스탕스의 리더이다. 오빠 마이클 코글란의 역할을 물려받았다는 세부 이야기가 나온다. [26] 제이슨 본에서 미국 국가정보장실 국장 역을 맡았다. [27] 데이빗 일당의 2인자로 나오는 인물. 원작 게임에도 등장하는 캐릭터로 거기에선 루벤 랭던이 맡았다. # [28] 원작 게임의 조엘 밀러의 성우이자 모션 캡처 배우. [29] 원작 게임의 엘리의 성우이자 모션 캡처 배우. 예고편 영상에서 갓 태어난 아기를 안은 모습으로 짧게 등장하며, 원작에서는 이름만 언급된 엘리의 어머니이자 마를린의 친구. 시즌1 마지막화 도입부에 등장, 엘리를 출산하는 과정에서 좀비에게 물리게 된다. 바로 탯줄을 칼(앨리가 가지고 다니는 잭나이프, 어머니의 유품)로 잘라 신생아인 엘리가 감염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30] 드라마 오리지널 캐릭터. 캐슬린 옆에서 밀리터리 수염 간지를 뽐내다 블로터에게 당하는 인물. [31] 원작 게임의 토미 밀러의 성우이자 모션 캡처 배우. [32] 시즌1 마지막화에서 엘리의 수술을 맡은 2명 중 엘리의 머리 쪽에 있던 간호사. [33] 카메오 출연.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2에서 애비 앤더슨의 성우. 원작 게임에선 여러 단역 목소리들을 맡았는데, 그 중 하나가 엘리의 수술 간호사 역이다. [34] 2화 마지막에 조엘과 엘리, 테스 일행이 주 의사당에서 발견한 몰살당한 파이어플라이들 중 머리가 깨진 시체로 카메오 출연했다. [35] 너티독의 액션 어드벤쳐 게임 언차티드4에서 주인공 네이선 드레이크의 딸 캐시 드레이크를 연기했다. 드라마 제작 전에도 팬들에게 엘리엇 페이지와 함께 엘리의 가상 캐스팅 1순위로 꼽히던 배우며 실제로 고려되었다. [36] 한국계 배우로 넷플릭스 미니시리즈 성난 사람들에서 주인공 대니의 동생 폴을 연기했다. [37] 너티독의 첫번째 게임 실사화 언차티드(영화)에서 악역 조 브래독을 연기했다. [38] 원작 게임의 동일 배역 그대로 캐스팅되었다. [39] 배역의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시애틀의 양대 세력 중 하나인 컬트 집단 세라파이트의 지도자 역이란 추측이 우세하다. [40] 슈퍼볼과 겹치지 않기 위해서 일찍 방영했다. [41] tv 프로그램의 프로덕션 영역을 시상하는 크리에이티브 아츠 에미상에서 수상했으며, 이중 빌을 연기한 닉 오퍼맨과 라일리를 연기한 스톰 리드는 각각 최우수 남우 게스트상과 여우 게스트상을 수상했다. [42] 수퍼 소닉 시리즈, 명탐정 피카츄, 램페이지, 언차티드 등은 상업적으로는 성공했으나 비평적으로는 평범했고, 워크래프트, 모탈 컴뱃, 툼 레이더, 레지던트 이블, 페르시아의 왕자 등은 상업적으로는 성과가 있었으나 평단으로부터 악평을 받았다. 헤일로같은 경우는 스트리밍으로서의 흥행은 괜찮았으나 평단에서의 애매한 평가와 함께 원작 팬들로부터 압도적인 혹평 세례를 받았다. 호평받은 드라마 위쳐는 엄밀히 말하면 소설 원작 드라마이지 게임 원작이 아니며 이 역시 원작 팬들에게는 단골 까임거리이다(...) [43] 닉 오퍼맨은 빌 역으로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즈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 당시 소감에서 "이것은 게이 이야기가 아니라 사랑 이야기"라며 3화 방영 당시 있었던 동성애 혐오적 반응을 비판했다. * [44] 특히 클리커의 첫 등장은 많은 유저들이 느꼈던 위압감을 꽤나 잘 묘사했다. 시청자들도 숨죽일 정도로 장면 전체의 긴장감이 넘친다. [45] 엘리의 보호자, 아버지, 한편으론 자신의 목적을 위해선 거리낌 없이 살인도 저지르는 위험한 인물 [46] 샘은 원작보다도 더 어린데다가 청각 장애가 있고 때때로 칭얼거리는 모습도 나온다. 엘리에 비하면 훨씬 아이같은 모습을 보이는 편. [47] 이외에도 인육을 하는 무리들의 등장, 시체들이 늘어지거나 그들을 비추는 주인공의 구도, 색감 등 꽤 많은 부분에서 그 흔적을 보여준다. [48] 조엘과 엘리의 관계가 《 만달로리안》의 딘 자린 그로구의 관계를, 조엘의 최후는 《 왕좌의 게임》의 오베린 마르텔을 연상케 한다는 것이 주요 소재다. [49] 전체 평균 시청자 수 2,900만 명 기록 [50] 전체 평균 시청자 수 시즌 7은 3,250만 명, 시즌8은 4,400만 명을 기록했다. [51] 마리오 시리즈의 팬이라면 마음껏 웃을 수 있는 내용으로 꽉 채워졌다. 레인보우 로드로 데려가 달라는 대사나, 루이지는 맨션에서 나온다든지, 등껍질이 날아오자 피하라고 하는데 빨간 등껍질이라 못 피한다든지... 제일 압권인 건 피치가 길 밖으로 떨어지면 어떻게 되느냐고 묻자, 김수한무가 낚싯대 들고 와서 건져줄 거라고 하는 마리오. [52] 참고로 브루스 스트렐리는 18년 근무하였고, 이 외에도 10년 반 근무해 온 에이미 헤닉, 21년동안 근무해 온 조쉬 쉐어 등 너티독에서 오래 일해 온 여러 작가진들이 떠나 있는 상황이다. 특히 14년 퇴직한 에이미 헤닉은 브루스 스트렐리와 닐 드럭만의 압박이 퇴직 원인이라는 소문이 있었으며, 브루스 스트렐리는 17년에, 21년간 근무해 온 조쉬 쉐어는 비교적 최근인 22년 퇴직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