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럴림픽
,
스페셜 올림픽
데블스 플랜에 대한 내용은 데블스 플랜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Deaflympics
Equality through sport
스포츠를 통한 평등
데플림픽 모토
스포츠를 통한 평등
데플림픽 모토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데플림픽 |
영어 | Deaflympic Games |
일본어 | デフリンピック |
중국어 | 聽障奧林匹克運動會 |
독일어 | Deaflympics |
프랑스어 | Les Deaflympics / Jeux olympiques des sourds |
이탈리아어 | Giochi olimpici silenziosi |
러시아어 | Сурдлимпийские игры / Дефлимпиада |
스페인어 | Sordolimpiadas |
IOC의 승인을 받은 국제 청각 장애인 스포츠 위원회[1]에서 주최하는 청각장애인이 참가하는 세계 스포츠 대회이다. 청각장애를 뜻하는 deaf와 올림픽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이름이며, '청각 장애인/장애자 올림픽' 또는 '농아(聾啞) 올림픽', '세계 농아 체육대회'라고도 부르지만, 2017년 삼순 하계 대회부터 '데플림픽'이라는 이름이 쓰이고 있다. 장애인 올림픽으로 널리 알려진 패럴림픽보다 훨씬 빠른 1926년부터 시작되었다.
올림픽의 상징인 오륜기와 패럴림픽의 상징인 아지토스처럼, 데플림픽의 상징은 OK 사인으로 이루어진 4개의 손이 모인 형태를 띄고 있다. 이 손들은 각각 빨강, 파랑, 노랑, 초록색으로 되어 있는데, CISS 공식 사이트와 한국농아인스포츠연맹에 따르면 각각 범아메리카 청각장애 스포츠 기구, 아시아-태평양 청각장애 스포츠 연맹, 유럽 청각장애 스포츠 기구, 아프리카 청각장애 스포츠 연맹 등등 각 대륙마다 위치해 있는 스포츠 연맹을, 가운데 부분은 청각장애인들이 글자와 수어를 통해 소통할 수 있는 눈의 홍채를 의미한다고 한다. # ##
대한민국에서는 패럴림픽, 스페셜 올림픽과 더불어 주요 언론의 무지와 무관심에 시달리고 있다. 그나마 패럴림픽은 올림픽 개최지에서 올림픽 폐막 직후에 열리기 때문에 인지도가 비교적 높지만 데플림픽과 스페셜 올림픽은 인지도가 처참한 상태이다. 사람들이 장애인 선수들은 전부 패럴림픽에 참가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한국만 그렇다고 보긴 어렵고 세계적으로도 패럴림픽만 아는 사람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2021년 강원도에서 2027년 동계 데플림픽 유치 도전을 선언했다가 돌연 취소했다.
패럴림픽이나 스페셜 올림픽은 언급이라도 해주고 경기 중계는 하이라이트 형식으로라도 보여주지만 데플림픽은 언급이 거의 없다. 다만 정치권과 사회에서 청각장애인들의 스포츠 인권 신장을 위한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으며 언론도 반응하고 있다. 일단 메달리스트에 대한 연금 및 포상금은 올림픽, 패럴림픽과 동일하게 준다. 참고로 올림픽, 패럴림픽은 4, 5, 6위도 연금 점수가 조금 있는데, 데플림픽은 규모가 작다는 이유에서인지 4, 5, 6위의 연금점수는 없다. 그러나 1, 2, 3위의 점수는 두 대회와 차별하고 있지 않다.
2. 역사
(2017 삼순 하계데플림픽 - 태권도 80kg급)
프랑스의 청각장애 사이클 선수였던 외젠 R. 알케가 주도하여 당시 회원국인 6개국이 1926년 파리에서 첫 번째 대회를 개최하였다. 당시 이름은 World Games for the Deaf. 참고로 외젠은 이후 CISS의 제1대 회장으로 당선되었다.
(2015 한티만시스크-마그니토고르스크 동계데플림픽 - 알파인 스키)
또한, 1949년에는 오스트리아 제펠트인티롤에서 1회 동계 데플림픽이 개최되었다.
3. 대한민국의 참가
1985년 로스엔젤레스 대회를 처음 참가한 것으로 시작하여 대한민국 선수단도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 2009 타이베이 데플림픽, 2013 소피아 데플림픽, 2017 터키 삼순 데플림픽에서 3연속으로 종합 3위를 기록하는 등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관련기사동계 대회는 2015 러시아 한티만시스크 대회부터 참가하였다. 2019 대회에서 첫 메달(동메달)이 나왔다. 2023 대회에서는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따내면서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4. 경기 종목
하계데플림픽 종목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라테 | 골프 | 농구 | 레슬링 | 배구 |
배드민턴 | 볼링 | 비치발리볼 | 사격 | 사이클 | |
수영 | 오리엔티어링 | 유도 | 육상 | 축구 | |
탁구 | 태권도 | 테니스 | 핸드볼 | }}}}}}}}} |
동계데플림픽 종목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빙상 종목 | 설상 종목 | 기타 |
아이스하키ㆍ 컬링 | 스노보드ㆍ 알파인 스키ㆍ 크로스컨트리 스키 | 체스 |
5. 역대 대회
5.1. 하계 데플림픽
역대 하계데플림픽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Equality through Sport - 스포츠를 통한 평등 |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
1924 파리 |
1928 암스테르담 |
1931 뉘른베르크 |
1935 런던 |
1939 스톡홀름 |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1949 코펜하겐 |
1953 브뤼셀 |
1957 밀라노 |
1961 헬싱키 |
1965 워싱턴 D.C. |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1969 베오그라드 |
1973 말뫼 |
1977 부쿠레슈티 |
1981 쾰른 |
1985 로스엔젤레스 |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1989 크라이스트처치 |
1993 소피아 |
1997 코펜하겐 |
2001 로마 |
2005 멜버른 |
|
21회 | 22회 | 23회 | 21회 | 22회 | |
2009 타이베이 |
2013 소피아 |
2017 삼순 |
2021 카시아스두술 |
2025 도쿄 |
}}}}}}}}} |
회기 | 연도 | 개최국 | 개최지 |
1 | 1924 | 프랑스 | 1924 파리 데플림픽 |
2 | 1928 | 네덜란드 | 1928 암스테르담 데플림픽 |
3 | 1931 | 독일 | 1931 뉘른베르크 데플림픽 |
4 | 1935 | 영국 | 1935 런던 데플림픽 |
5 | 1939 | 스웨덴 | 1939 스톡홀름 데플림픽 |
6 | 1949 | 덴마크 | 1949 코펜하겐 데플림픽 |
7 | 1953 | 벨기에 | 1953 브뤼셀 데플림픽 |
8 | 1957 | 이탈리아 | 1957 밀라노 데플림픽 |
9 | 1961 | 핀란드 | 1961 헬싱키 데플림픽 |
10 | 1965 | 미국 | 1965 워싱턴 D.C 데플림픽 |
11 | 1969 | 유고슬라비아 | 1969 베오그라드 데플림픽 |
12 | 1973 | 스웨덴 | 1973 말뫼 데플림픽 |
13 | 1977 | 루마니아 | 1977 부쿠레슈티 데플림픽 |
14 | 1981 | 서독 | 1981 쾰른 데플림픽 |
15 | 1985 | 미국 | 1985 로스엔젤레스 데플림픽 |
16 | 1989 | 뉴질랜드 | 1989 크라이스트처치 데플림픽 |
17 | 1993 | 불가리아 | 1993 소피아 데플림픽 |
18 | 1997 | 덴마크 | 1997 코펜하겐 데플림픽 |
19 | 2001 | 이탈리아 | 2001 로마 데플림픽 |
20 | 2005 | 호주 | 2005 멜버른 데플림픽 |
21 | 2009 | 중화민국(중화 타이베이) | 2009 타이베이 데플림픽 |
22 | 2013 | 불가리아 | 2013 소피아 데플림픽 |
23 | 2017 | 터키 | 2017 삼순 데플림픽 |
24 | 2022 | 브라질 | 2021 카시아스두술 데플림픽 |
25 | 2025 | 일본 | 2025 도쿄 데플림픽[2] |
26 | 2029 | 미정 | 미정 |
5.2. 동계 데플림픽
3회 이후 세계스카우트잼버리 개최연도에 개최한다역대 동계데플림픽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Equality from Sport - 스포츠를 통한 평등 |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
1949 제펠트인티롤 |
1953 오슬로 |
1955 오버암머가우 |
1959 몬태나-버말라 |
1963 아레 |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1967 베르히테스가덴 |
1971 아델보덴 |
1975 레이크플래시드 |
1979 메리빌 |
1983 마돈나 디 캄피그리오 |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1987 오슬로 |
1991 밴프 |
1995 일내스 |
1999 다보스 |
2003 순스발 |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2007 솔트레이크시티 |
|
2015 한티만시스크-마그니토고로스크 |
2019 발텔리나-발치아벤나 |
2023 퀘벡 시 |
|
* 조직위 간부진의 사기 사건 구속 수사와, 국제 무역 위원회의 자금 반환 소송으로 인해 대회 취소. |
회기 | 연도 | 개최국 | 개최지 |
1 | 1949 | 오스트리아 | 1949 제펠트인티롤 동계데플림픽 |
2 | 1953 | 노르웨이 | 1953 오슬로 동계데플림픽 |
3 | 1955 | 서독 | 1955 오버암머가우 동계데플림픽 |
4 | 1959 | 스위스 | 1959 몬태나-버말라 동계데플림픽 |
5 | 1963 | 스웨덴 | 1963 아레 동계데플림픽 |
6 | 1967 | 서독 | 1967 베르히테스가덴 동계데플림픽 |
7 | 1971 | 스위스 | 1971 아델보덴 동계데플림픽 |
8 | 1975 | 미국 | 1975 레이크플래시드 동계데플림픽 |
9 | 1979 | 프랑스 | 1979 메리빌 동계데플림픽 |
10 | 1983 | 이탈리아 | 1983 마돈나 디 캄피그리오 동계데플림픽 |
11 | 1987 | 노르웨이 | 1987 오슬로 동계데플림픽 |
12 | 1991 | 캐나다 | 1991 밴프 동계데플림픽 |
13 | 1995 | 핀란드 | 1995 일내스 동계데플림픽 |
14 | 1999 | 스위스 | 1999 다보스 동계데플림픽 |
15 | 2003 | 스웨덴 | 2003 순스발 동계데플림픽 |
16 | 2007 | 미국 | 2007 솔트레이크시티 동계데플림픽 |
|
|
|
|
18 | 2015 | 러시아 | 2015 한티만시스크-마그니토고르스크 동계데플림픽 |
19 | 2019 | 이탈리아 | 2019 발텔리나-발치아벤나 동계데플림픽[4] |
20 | 2024 | 튀르키예 | 2023 에르주룸 동계데플림픽 |
21 | 2027 | 미정 | 미정 |
6. 여담
대한민국은 대한장애인체육회에서 신체 장애인을 위한 패럴림픽, 지적 장애인을 위한 스페셜 올림픽, 청각 장애인을 위한 데플림픽 관련 종목으로 모두 관리한다.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는 관련된 모든 종목이 함께 치러진다.데플림픽 경기에서는 출발 신호로 총소리나 호루라기를 사용할 수 없지만 깃발이나 빛을 쏘아서 경기 시작을 알리며, 관중들은 환호성[5]과 파도타기를 통해 선수들을 응원한다.
[1]
FIFA와 마찬가지로
프랑스어명인
Comité International des Sports des Sourds(CISS)로만 쓰는 게 원칙이나,
영어로 직역한 명칭인
International Committee of Sports for the Deaf(ICSD)도 쓰인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국제 데플림픽 위원회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2]
스포츠 행사로는
2020 도쿄 올림픽(2021) 이후 4년만이긴 하나, 개최 기간이 늦가을인 11월 15일~11월 26일이다. 사유는 만약 여름에 개최하면 같은 연도에 개최될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와 겹쳐지기 때문에 이를 막을려고 일부러 늦가을에 개최 예정된 것이다.
[3]
조직위 간부진의
사기 사건 구속 수사와, 국제 무역 위원회의 자금 반환 소송으로 인해 대회 취소.
[4]
이탈리아의
토리노가 유치도시에서 빠지고, 대신 산간지역인 발텔리나가 재등록하여 개최권을 따냈다.
[5]
소리는 들리지 않더라도 환호하는 모습은 보이기 때문. 응원하는 입장에서도 소리만 꾹 참기도 어렵기도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