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9:42:55

기원전 6세기

세기 천년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원전|기원전]]'''
~11 10 9 8 7 6 5 4 3 2 1
기원후
제1천년기 1 2 3 4 5 6 7 8 9 10
제2천년기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제3천년기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제4천년기 이후 }}}}}}}}}

1. 개요2. 주요 사건
2.1. 유럽2.2. 아시아2.3. 아프리카
3. 연표4. 연도 목록

1. 개요

기원전 6세기는 기원전 600년부터 기원전 501년까지의 기간이다.

2. 주요 사건

2.1. 유럽

고대 그리스가 상고기(Archaic)에서 벗어나고, 고대 로마에서 왕정이 공화정으로 전환되어가는 시기이다.

고대 그리스에서 민주정이 나타난 시기로, 경제적인 이유로는 식민지 팽창으로 상업이 발전하고, 경제적인 성장을 이루자 부의 양도 늘었으며, 권력의 구도도 변화하였다.

정치적, 군사적 이유로는 마침 철기의 전파로 철제 무기 생산비가 낮아지고 무기를 쉽게 준비할 수 있게 되어 많은 시민들이 보병이 되어 팔랑크스 전법으로 협동의 역할을 깨달았다. 이렇게 시민들의 정치적 영향력이 강해지자 점차 민주정이 성장하게 되었다.

민주정의 대표주자 아테네에서는 기원전 594년 솔론이 신흥 부유 계층의 참정권을 보장하기 위해 금권 정치를 시행했다. 이후 나타난 페이시스트라토스 참주정을 도입햤고, 인기를 유지하기 위해 평등한 대우를 했다. 그러나 그의 아들 히피아스가 참주가 되어 무능한 통치가 벌어지자, 클레이스테네스 참주 히피아스를 축출하고 민주정을 수립했다.

클레이스테네스는 시민들에 대한 공평한 대우를 위해 기원전 508년부터 기원전 502년까지 통치 기간 동안 4개의 혈연부족 에트노스를 산 10개, 바다 10개, 들 10개 총 30개의 지방 행정 부족 데모스로 개편했다. 그리고 평등한 시민권을 보장했다. 일단은 그의 업적으로 알려져 있는, 도편추방제의 경우 정치적 영향력이 강해 공평한 구조를 무너뜨릴 위험성을 가진 사람을 견제하기 위해 나타난 것이다.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는 스파르타 맹주로 하는 펠로폰네소스 동맹이 성립되었다.

고대 그리스 철학의 본격적인 시작으로, 탈레스를 위시로 한 밀레투스학파가 활동한 시기다.

고대 로마에서는 기원전 510년 루크레티아 능욕 사건을 계기로, 기원전 509년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 왕을 쫓아내고 로마 공화국을 수립했다고 전해진다. 연대는 확실한 것이 아니다. 다만 이 이야기에서 추정할 수 있는 것은, 대외적으로는 에트루리아의 영향력이 약해진 것이고, 대내적으로는 권력의 구조가 왕과 같은 단일 지도자에서 귀족과 같은 다수의 지도자로 점차 옮겨졌다는 것이다.

로마의 공화정은 오늘날처럼 모든 인민들이 권리를 행사하는 민주주의와 같은 것이 절대 아니었다. 단지 그 지도자가 공공이었기에 국가는 공공의 것(RES PVBLICA)이라는 말이다. 로마 공화정의 정무관 중 가장 높은 자리에 있는 집정관이라고 해서 로마라는 국가를 대표하는 국가원수가 되는 것이 아니다. 단지 국가를 이끄는 여러 역할 중 하나일 뿐이다. 그리고 집정관들이 추후 진출하게 되는 원로원의 조언도 로마 공화정에서는 큰 영향을 끼쳤다.

2.2. 아시아

스키타이 중앙아시아의 타 세력을 몰아내고 영토를 크게 확장한다. 스키타이의 철기는 초원길을 따라 춘추시대가 한창인 동아시아에 전파된다. 공자는 이 시기에 활동한다.

남아시아에서는 십육대국 시대가 시작돼 수많은 국가들이 난립한다.

메디아를 멸망시키고 건국된 키루스 2세 아케메네스 제국이 빠르게 성장해 서아시아를 재통일하였다.

고조선이 고고학적으로 건국된 시점이 이시기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3. 아프리카

이집트 제26왕조 아케메네스 제국에게 정복당해서 이집트인들은 페르시아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 시기를 이집트 제27왕조라고 부른다. 정복 시기에는 잔혹한 군사적 탄압을 했다. 페르시아의 입장에서 이집트는 상당한 곡창 지대 중 하나였기에 초기에는 과한 세금을 부과했으나, 잇따른 반란으로 이어지자, 뒤이어 곡창 지대인 이집트를 안정적으로 페르시아의 영토로 유지하기 위해 페르시아의 관용 정책이 이집트에서도 적용되었다.

3. 연표

4. 연도 목록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