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06:13:43

반도

半島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연상호 감독의 부산행 후속작 영화에 대한 내용은 반도(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반도(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222> 하천 지형 <colbgcolor=#fff,#000> 직류하천 | 자유곡류하천 | 감입곡류하천 | 망류하천 | 감조하천 | ( 옹달샘) | 폭포 | 계곡( V자곡) | 선상지 | 하안 단구 | 우각호 | 구하도 | 하중도 | 천정천 | 범람원( 자연제방 · 배후습지) | 삼각주 | 하구 | 돌개구멍
해안 지형 | | 사빈 | 석호 | 갯벌 ( 펄갯벌 · 모래갯벌) | 해안 사구 | 해안 단구 | 해식 동굴 | 해식애 | 해식 아치 | 육계도 | 시스택 | 파식대 | 사주 | 사취 | 리아스 해안
해양 지형 군도 | 산호초 | 대륙붕 | 해곡 | 해저협곡 | 대륙 사면 | 대륙대 | 심해저 평원 | 해산( 기요) | 해구 | 해령 | 블루홀
건조 지형 사구 | 사막포도 | 와디 | 버섯 바위 | 삼릉석 | 오아시스
빙하 지형 | 피오르 | U자곡 | 빙하호 | 크레바스 | 빙하동굴 | 빙붕 | 빙상 | 빙산
카르스트 지형 석회동굴( 석순 · 종유석 · 석주) | 카르스트 지형( 돌리네 · 우발레 · 폴리에) | 싱크홀
화산 지형 칼데라 | 화구호 | 오름 | 단성 화산 | 성층 화산 | 온천 | 간헐천 | 열점 | 용암 동굴 | 주상절리 | 용암 대지
구조 지형 분지(침식분지( 펀치볼 · 케스타) · 대찬정 분지) | 곡저평야 | 대평원 | 팜파스 | 지협 | 지층 | 탁상지( 테이블 산) | 순상지 | 고위평탄면 | 습곡산맥( 고기 습곡산맥 · 신기 습곡산맥) | 단층산맥 | 해령
기타 잔류 암괴지형 | 풍화혈 | 풍화 암설지형 | 매스무브먼트 }}}}}}}}}
파일:한반도 이미지 위성사진.png
한반도의 위성사진.

1. 개요2. 지리적 특징3. 정의와 기준4. 어형
4.1. 목록4.2. 한국의 주요 반도4.3. 세계의 반도4.4. 반도국가
5. 기타
5.1. 한반도를 가리키는 별칭

[clearfix]

1. 개요

반도()는 육지 바다로 길게 돌출하여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지형을 가리킨다.

2. 지리적 특징

지각 변동에 의해서 육지가 융기하거나, 섬이 연륙되거나, 해안선이 낮아지는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생성된다. 반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비율이 많고, 원양어업의 근거지로 되기 쉬우며, 어항(漁港)이나 피난항이 발달해 있는 경우가 많다. 기후는 본토보다 해양성이며, 온난한 플로리다반도나 크림반도 등은 휴양지로 유명하다.

3. 정의와 기준

반도와 반도의 몸체에 해당하는 땅 사이에 명확한 경계가 있는 것은 아니며, 인문지리에 따른 역사적, 또는 전통적 인식이 이를 결정한다. 반도가 붙은 육지가 대륙인지 인지는 상관 없다.

어디까지가 반도인지 영역의 경계가 불분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 대륙과는 달리 면적에 대한 정의도 불분명하다. 대륙으로 인정받을 정도로 큰 땅덩어리는 다른 대륙과 연결되지 않아도 '섬'으로 불리지 않으니, 그만한 땅덩어리가 다른 대륙에 약간 붙었다고 해서 '반도'라고 부름은 부당할 것이다. 이에 따라 섬의 기준인 그린란드를 반도에도 적용해볼 수는 있겠으나, 그린란드보다 2배 가량 넓은 인도(면적 440만 km2) 역시 관용적으로 '인도 반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串)도 반도의 일종으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기는 하지만 반도에 비해 규모가 작고, 섬과 비슷하다는 점 보다는 땅끝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뉘앙스가 있다. 다만, 이러한 차이점은 현대에 들어서 생겼으며, 과거에는 곶 자체가 현재의 반도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예컨대 반도의 경계는 경계선을 어떻게 긋느냐에 따라서 해당 반도가 지칭하는 범위가 달라진다. 보통은 국경선이나 행정구역 경계 같은 인위적인 경계를 바탕으로 인식한다. 한반도 역시 청천강-함흥만 이북 지역은 반도로 보기 어렵지만,[1] 한반도 거주자들이 대한민국과 북한의 영역을 한반도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대체로 압록강- 두만강을 반도의 경계로 생각하는 것이 그 예이다.[2] 이와 비슷하게 반도인지 아닌지 여부도 사람들의 관습에 따를 수밖에 없다.[3]

4. 어형

한문 半島
영어 peninsula[4]
프랑스어 péninsule
독일어 Halbinsel[5]
러시아어 Полуостров
에스페란토 duoninsulo[6]

반도(半島)라는 말은 근대 일본에서 서양의 지리학 용어를 수입, 번역할 때 번역차용 일본식 한자어이다. 독일어 halbinsel가 halb(절반)+ insel(섬)이란 뜻으로 조합된 단어이다. 많은 게르만어, 켈트어, 그리고 발트어, 슬라브어 헝가리어에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땅'을 가리키는 낱말을 분해해서 따지면 '절반-섬'이라는 의미이다.

'거의 + 섬'으로 조어된 경우도 있다. 영어 단어인 peninsula는 pen과 insula가 합쳐진 단어인데 여기서 pen은 라틴어의 paene에서 유래한 단어로서 거의(almost, nearly)라는 뜻이다.[7] insula는 라틴어 그대로 섬이라는 뜻이다. 근대 일본 초기에 많은 영향을 준 네덜란드어는 'schiereiland'라는 말을 쓰는데, 이 단어의 'schier' 역시 '거의'라는 의미이다. 만약 이들 언어를 곧이 곧대로 직역했다면 버금 아(亞) 자를 접두어로 썼을지도 모른다. 의미적으로 '거의'나 '반'이나 그렇게 거리가 먼 것이 아니므로 이 계열에서 '반(半)'으로 직역했을 수도 있긴 하다. 예컨대 일본어 '半ば(なかば)'는 '반쯤'과 함께 '거의'라는 뜻도 있다. 한국어 '반' 역시 단독명사일 때에는 그런 뜻이 없으나 접두사로 쓰이면(예시: 반나체, 반노예, 반강제 등) '거의'라는 뜻이 생긴다.

지형의 기준이 대륙 대신 섬이 되어야 할 타당한 이유는 없어보이는데도 여러 언어에서 비슷한 식으로 단어가 만들어지는 것은 재미난 현상이다. 굳이 언어학적으로 생각해보면 대륙보다는 섬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라는 점에서 ' 유표적(marked)'이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요컨대 '대륙'이라는 것은 '섬'보다 덜 특징적이므로, '얼마나 대륙에 닮았는가'보다는 '얼마나 섬에 닮았는가'로 단어가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8]

4.1. 목록

4.2. 한국의 주요 반도

모두 한반도의 반도 속 반도로 분류된다.

◊:섬의 특성을 가진 반도인 경우

4.3. 세계의 반도

◊:섬의 특성을 가진 반도인 경우

4.4. 반도국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반도국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반도 안에 있더라도 반도 내의 내륙지역에 소재해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반도국가로 보지 않는다. 반도의 특성인 '삼면이 바다'라는 점이 드러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특정 반도에 해당되는 섬나라 역시 마찬가지이다[13]

◊:섬나라의 특성을 가진 경우

5. 기타

5.1. 한반도를 가리키는 별칭

인터넷 커뮤니티, 특히 디시인사이드 등지에서는 한국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쓰기도 한다. 반도의_흔한_드립.jpg 이런 식으로. 비슷한 경우로 중국을 지칭하는 대륙, 일본을 지칭하는 열도가 있다. 최소한 2008년부터 쓰이기 시작한 걸로 추정된다. #

여기서의 '반도'의 유래는 일제 강점기 당시 일본이 조센징이라는 표현과 더불어 한국인을 반도인이라 부른 데서 있다는 설이 있다. 그와 관련이 있는지는 몰라도 '반도'만으로 '한반도'를 지칭하는 일본에서의 표현은 그 역사가 상당히 오래되었다. 모로하시 데쓰지(諸橋轍次)의 < 대한화사전>(大漢和辭典)의 2권 1627쪽 '半島'(2707-191항)의 풀이에는 2번 뜻으로 "특히 조선을 말함"[이미지]이라는 의미가 실려있을 정도.[18] 일본에서 가장 가까운 유일한 반도가 한반도이다 보니 그런 용례가 일찍부터 있었던 모양.

일본제국은 1930년대 이후 조선을 하나의 지방으로 취급하면서 실제로 "반도(はんとう)"라고 칭했다. 1943년 군국가요 혈서지원가에도 반도라는 말이 나오며[19]조선인을 "반도동포"라고 칭하기도 했다. 내선일체 통치로 바뀌면서 조선이라는 국가의 느낌이 나는 명칭보다는 한 지방으로 보는 반도라는 표현의 빈도가 크게 늘어난다.

혹은 ' 대륙의 기상' 시리즈가 퍼지면서 한국은 반도, 일본은 열도 식으로도 패러디된 것이라는 반대 방향의 주장도 있다. 반도, 열도 쪽이 더 먼저 생겨서 대륙의 OO 식으로 중국이 대륙에 대응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이미 1980년대에 한국, 중국, 일본 간 문화적 차이의 원인을 지형적 차이에서 찾는 이론들이, 국내에서 대중에게 인기가 끌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기원은 대륙의 기상 시리즈보다 훨씬 오래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일단 '대륙의 기상'이라는 제목부터가 이미 대중이 '대륙=중국'이라 연상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유머라는 점을 생각하면, 반대 방향의 주장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1] 강이나 국경을 다 치우고 지도를 180도 돌려서 봐보자. 우리가 생각하는 한반도에서 조금 더 명확하게 반도로 튀어나온 부분은 청천강 이남일 것이다. [2] 반대로 생각하면 고려나 신라 영토가 오늘날까지 한민족 생활권으로 유지되었다면 그 경계를 기준으로 반도라 생각하고 함경도 대부분을 대륙에 속한다 생각했을 것이다. 그밖에도 압록강-두만강에서 더 진출한 영역이었으면, 현재 한반도보다 더 넓은 영토를 한반도라 지칭했을 수도 있다. [3] 예를 들면 인도 반도는 인도 아대륙이라고도 불린다. 당장 전체적인 면적과 북쪽 육지 부분에 접한 면적 등을 고려하면, 사람에 따라서는 반도보다는 아대륙이란 표현을 더 적절하게 느낄 것이다. [4] 바이랜드(byland/biland)라는 말도 간혹 쓰이긴 한다. [5] 독일어는 일반 명사도 첫 글자를 반드시 대문자로 쓴다. [6] duon=반, insulo=섬 [7] 그래서 pen이 앞에 붙은 영단어는 대부분 이런 뜻이다. 예를 들어 penultimate라는 영어 단어는 pen과 최후를 뜻하는 ultimate라는 단어가 합성된 단어인데, 이는 '끝은 아니고 끝에서 두번째'라는 뜻이다. [8] 반대로 섬 지역에서만 사용되는 언어에선 반대로 '섬'이라는 것이 무표적이고 '대륙'이 유표적이기 때문에 제주도 같은 곳에서는 ' 육지'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본토 지역에서는 '제주도 이외의 본토 지역'이라는 의미가 무표적이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는 단어를 쓰지 않는다. [9] 통영은 역사적으로도 고성의 일부였다. [10] 신안군 자체는 섬으로만 이루어진 지역으로 무안반도에 해당되지는 않으나, 넓게 아우를 때 신안군을 함께 지칭할 때가 많다. [11] 경남 마산이 아니고 옹진읍 소재지의 옛 이름이다. 여담으로 마산에는 구산반도가 있다. [12] 사실 대륙이동설에 의해 원래는 대륙이었다. [13] 예를 들면 바레인 아라비아 반도에 속한 섬이지만 지형적으로는 섬나라라서 제외된다. [운하] [운하] [운하] [이미지] 파일:dozen2.jpg 特に朝鮮をいふ。 [18] <반도가 국호인가> #에서 재인용. [19] "半島의 핏줄거리 빛나거라 한 피ㅅ줄" , "半島에 태어남을 자랑하여 울면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