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07:20:59

로이 오비슨

Roy Orbison에서 넘어옴
로이 오비슨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름 로이 오비슨
ROY ORBISON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 (개인자격)
입성 연도 1987년
후보자격 연도 1986년
후보선정 연도 1986년, 1987년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5.3.2|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colbgcolor=#fff,#353535> 1963년 빙 크로스비
1965년 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 듀크 엘링턴
1967년 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 어빙 벌린
1971년 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 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 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 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 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 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 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 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 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 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 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 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 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 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 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 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 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 토메
2000년 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 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 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 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 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 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터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 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 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먼,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 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 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 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 줄리 앤드류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 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 헤론
2013년 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 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 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 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 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 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 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 데이브, 디안 워윅
2020년 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라인,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2022년 보니 레잇
2023년 바비 맥퍼린, 너바나, 마 레이니, 슬릭 릭, 나일 로저스, 슈프림즈, 하트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04년 엘비스 프레슬리 데뷔 50주년을 기념해 로큰롤(Rock And Roll)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를 선정했다.
롤링 스톤이 직접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중진, 음악평론가 등 총 55명의 패널을 뽑아 이들에게 투표를 실시한 결과다.
2011년 한 차례 개정했으나 기존 아티스트 순위는 거의 변동이 없어 새로 업데이트 된 아티스트에 대한 재평가가 주로 이뤄졌다.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밥 딜런 엘비스 프레슬리 롤링 스톤스 척 베리
6위 7위 8위 9위 10위
지미 헨드릭스 제임스 브라운 리틀 리처드 아레사 프랭클린 레이 찰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밥 말리 비치 보이스 버디 홀리 레드 제플린 스티비 원더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샘 쿡 머디 워터스 마빈 게이 벨벳 언더그라운드 보 디들리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오티스 레딩 U2 브루스 스프링스틴 제리 리 루이스 패츠 도미노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라몬즈 프린스 더 클래시 더 후 너바나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조니 캐시 스모키 로빈슨 앤 더 미라클스 에벌리 브라더스 닐 영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마돈나 로이 오비슨 존 레논 데이비드 보위 사이먼 앤 가펑클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도어즈 밴 모리슨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퍼블릭 에너미 버즈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재니스 조플린 패티 스미스 Run-D.M.C. 엘튼 존 더 밴드
51위부터는 문서 참조.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 (2008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000,#ddd ※ 롤링 스톤이 2008년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를 선정한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아레사 프랭클린 레이 찰스 엘비스 프레슬리 샘 쿡 존 레논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마빈 게이 밥 딜런 오티스 레딩 스티비 원더 제임스 브라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 - 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폴 매카트니 리틀 리처드 로이 오비슨 알 그린 로버트 플랜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믹 재거 티나 터너 프레디 머큐리 밥 말리 스모키 로빈슨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조니 캐시 에타 제임스 데이비드 보위 밴 모리슨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재키 윌슨 행크 윌리엄스 재니스 조플린 니나 시몬 프린스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하울링 울프 보노 스티브 윈우드 휘트니 휴스턴 더스티 스프링필드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브루스 스프링스틴 닐 영 엘튼 존 제프 버클리 커티스 메이필드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척 베리 조니 미첼 조지 존스 보비 밴드 커트 코베인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팻시 클라인 짐 모리슨 버디 홀리 도니 해서웨이 보니 레이트
51위부터는 문서 참조.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1/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파일:cos 로고.jpg 파일:cos_로고_다크.png 선정 가장 위대한 가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16년 영화/음악/TV를 주제로 다루는 컨시퀀스 잡지 스태프들이 '가장 위대한 가수 Top 100'을 선정했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마이클 잭슨 빌리 홀리데이 프레디 머큐리 아레사 프랭클린 제임스 브라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휘트니 휴스턴 로이 오비슨 에이미 와인하우스 로버트 플랜트 비요크
11위부터는 문서 참조.
같이보기: 사운드트랙, 힙합, 이모, 인더스트리얼 }}}}}}}}}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1위 – 60위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1px"
※ 2018년 빌보드에서 Hot 100 차트 60주년 기념으로 1958년부터 2018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남성 아티스트들을 발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엘튼 존 엘비스 프레슬리 스티비 원더 마이클 잭슨 폴 매카트니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어셔 프린스 로드 스튜어트 드레이크 마빈 게이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필 콜린스 빌리 조엘 라이오넬 리치 브루노 마스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케니 로저스 브라이언 아담스 조지 마이클 바비 빈튼 존 멜렌캠프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처비 체커 레이 찰스 크리스 브라운 리키 넬슨 저스틴 팀버레이크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폴 앵카 배리 매닐로 넬리 바비 다린 R. 켈리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제임스 브라운 에미넴 리처드 막스 칸예 웨스트 JAY-Z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밥 시거 닐 세다카 저스틴 비버 브루스 스프링스틴 존 덴버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50 센트 플로 라이다 앤디 깁 로이 오비슨 디온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빌리 오션 토미 제임스 존 레논 브룩 벤턴 마이클 볼튼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릴 웨인 바비 브라운 에드 시런 루다크리스 에릭 클랩튼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쟈니 리버스 글렌 캠벨 릭 스프링필드 T.I. 더 위켄드
출처 }}}}}}}}}}}}

{{{#!wiki style="margin:-10px -10px" <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 화이트.svg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Hollywood Walk of Fame Star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4a1a1><colcolor=#FFD700> 이름 로이 오비슨
ROY ORBISON
분야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음악 심볼.jpg 음악
입성날짜 2010년 1월 29일
위치 1750 N. Vine Street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로이 오비슨
Roy Orbison
파일:Roy Orbison.jpg
본명 로이 켈튼 오비슨
Roy Kelton Orbison
출생 1936년 4월 23일
미국 텍사스 주 버논
사망 1988년 12월 6일 (향년 52세)
미국 테네시 주 헨더슨빌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싱어송라이터, 음악가
장르 , , 컨트리, 로커빌리(초창기), 로큰롤
악기 보컬, 기타, 하모니카
활동 1953년 ~ 1988년
신장 180cm
배우자 클로데트 프레디 (1957~64년, 1965~66년)
바바라 오비슨 (1969년 ~ 1988년)[1]
자녀 로이 드웨인 오비슨 (1958년 4월 18일~1968년 9월 14일)
앤소니 킹 오비슨 (1962년 6월 29일~1968년 9월 14일)
웨슬리 오비슨 (1965년 5월 15일~)
로이 오비슨 주니어 (1970년 10월 18일~)
알렉스 오비슨 (1975년 5월 25일~)
종교 기독교[2]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대표곡4.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gettyimages-84887887-copy.jpg

미국 가수. 로큰롤을 기반으로 한 음악 활동을 하였는데 일반적인 록과는 구별되는 서정적인 곡과 특유의 독보적인 목소리로 큰 인기를 끌었다. 그를 대표하는 별명은 'The Caruso of Rock'[3], 'The Big O'이다.

항상 커다란 선글라스를 쓰고 다녀서 시력 문제가 있냐는 소리도 있지만, 실제로는 본인의 소심한 성격때문에 선글라스를 써서 관객들과 눈을 마주치지 않으려 한 것이다.



희귀하지만 이렇게 선글라스를 벗고 공연하는 영상이 남아있다.

2. 생애

미국 텍사스 주에서 태어난 로이 오비슨은 고등학교 밴드에서 로커빌리와 컨트리 앤 웨스턴을 즐겨 불렀다. 1956년 선 레코드의 샘 필립스와 계약을 맺었으나, 대대적인 성공 가도는 1960년 초 모뉴먼트 레코드와 활동하면서 시작되었다. 1950년대 1960년대 남성 로큰롤 가수들은 대부분 저항적인 남성성을 표출하였으나, 그와 달리 오비슨은 많은 곡에서 조용함, 자포자기함, 취약함을 전달했다. 그의 목소리는 바리톤에서 테너까지의 음역대를 지니고 있으며, 음악학자는 그가 3 혹은 4옥타브의 음역을 지니고 있다고 진단했다. 공연자로서 그는 격렬히 움직이기보다는 가만히 서서 노래했으며, 자신의 흑발과 짙은 선글라스와 어울리는 검은 복장은 개성과 더불어 미스터리한 속성을 부여했다.

잘나가던 인생에서 연이은 불행이 찾아온다. 가수로 성공하면서 가정에 소홀해졌고, 아내인 클로데트 프레이디가 불륜을 저지르다 들켜서 이혼하고 만다. 그리고 1966년 영국 투어 도중 오토바이에서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지는 부상을 입는다.[4] 그때 클로데트가 영국까지 찾아왔고 두사람은 재결합한다. 하지만 같은해 6월 6일 두사람은 오토바이를 타고 테네시주 브리스톨에서 집으로 가던 중, 클로데트가 픽업트럭에 충돌하는 교통사고로 즉사하고 만다. 1968년 9월 14일에는 영국에서 투어 도중 그의 집이 불타 두 아들[5]이 죽었다는 비보를 듣게 된다. 그나마 막내 아들인 웨슬리는 오비슨의 아버지가 간신히 구출해 목숨을 건졌다. 연이은 음반들의 상업적 실패와 어우러져 긴 암흑기를 보내게 된다. 80년대에 들어서면서 조금씩 재기의 발판이 마련되었고, 1988년엔 조지 해리슨[6], 밥 딜런, 톰 페티, 제프 린과 슈퍼 밴드 트래블링 윌버리스를 공동 결성했다. 같은 해 마지막 솔로 음반이 된 《Mystery Girl》을[7] 녹음하고 얼마 있지 않은 12월 6일 밤에 갑작스런 심장마비로 인해[8] 그의 어머니가 지켜보는 가운데 타계했다. 향년 52세. 이미 그는 70년대 말에 오랜 흡연으로 인한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받는등 건강이 좋지 않았다. 앨범준비와 뮤직비디오 촬영, 프로모션 투어 등으로 지나치게 과로한 것이 죽음의 원인이었다. 오랜 고난에서 벗어나 이제 좀 다시 빛을 보려고 하니 사망한 것이다. Mystery Girl이나 싱글인 You Got It이나 그가 죽은 뒤인 89년 1월에 발매되었다. 즉, 그는 이 앨범의 성공을 보지 못했다.

그의 노래 스타일은 독특하고 열정적인 보컬과 복잡한 곡 구조가 가미된 어두운 감성의 발라드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조합은 많은 평론가가 그의 음악을 가극 조로 표현하며 그를 "록계의 카루소" 또는 "더 빅 오(the Big O)"로 별칭 하게 하였다. 1960년과 1964년 사이 《 빌보드 핫 100》 톱 40에 그의 22곡이 진입했으며 그중 〈Only the Lonely〉 (1960), 〈Crying〉 (1961), 〈In Dreams〉 (1963), 〈 Oh, Pretty Woman〉 (1964)이 있다.

2022년 5월 22일 신비한TV 서프라이즈에 방영됐다.

3. 대표곡

대표곡이라 할 수 있는〈 Oh, Pretty Woman〉. 이 노래는 영화〈 귀여운 여인〉의 OST로 사용되기도 했다. 또한 록 밴드 밴 헤일런이 하드 록 스타일로 커버하기도 했다.





1988년 11월 19일 You Got It 라이브. 17일후 심장마비로 급사하면서 마지막 라이브 공연이 되었다.

이 외 데이빗 린치 블루 벨벳 사운드트랙으로 쓰인 In Dreams도 유명하다. 처음엔 쓰인 장면이 괴상해서 그리 협조적이진 않았지만, 컬트 영화로 인기를 얻는 동안 생각이 바뀌었고 1987년 재녹음 싱글 발매 당시 데이빗 린치에게 뮤직비디오 감독을 맡기기도 했다.
  • Ooby Dooby (1956)
  • Up Town (1959)
  • Only the Lonely (Know the Way I Feel) (1960)
  • Running Scared (1961)
  • Crying (1961)
  • Dream Baby (How Long Must I Dream) (1962)
  • In Dreams (1963)[9]
  • Mean Woman Blues (1963)
  • It's Over (1964)
  • Oh, Pretty Woman (1964)
  • You Got It (1989)

4. 기타

파일:218739.webp

로이 오비슨의 아들들인 알렉스 오비슨, 웨슬리 오비슨, 로이 오비슨 주니어.

첫번째 아내인 클로데트 프레이디 사이에서 로이 드웨인 오비슨, 안소니 킹 오비슨, 웨슬리 오비슨 3아들을 얻었으나, 1968년 화재로 로이 드웨인과 안소니 킹이 사망하여 웨슬리만 생존한 상태다. 두번째 아내인 바바라 오비슨 사이에서 알렉스와 로이 오비슨 주니어를 얻었다. 2024년 현재 오비슨의 세 아들은 모두 음악가로 활동중이다.


[1] 1950년 1월 10일 ~ 2011년 12월 6일. 남편의 23주기 기일에 향년 61세로 세상을 떠났다. [2] Jim Sullivan, " Roy Orbison: 'My voice is a gift'", 「 더 가디언」, 2013.12.4. [3] 락 음악계의 카루소 [4] 로이 오비슨은 친구인 엘비스 프레슬리로부터 오토바이를 배워, 열렬한 오토바이 애호가였다. [5] 장남인 로이 드웨인은 당시 10살, 차남인 안소니 킹이 6살이었다. [6] 오비슨은 비틀즈랑 같이 투어한 적이 있다. 당시 오비슨은 비틀매니아의 열기와 광고 세례에 압도된 상태라 다소 어색하고 주눅든 상태로 무대에 올랐는데, In Dreams 라이브가 워낙 대박이 터져서 나중엔 존과 폴이 재입장을 제지해야 할 정도였다고. [7] 이 앨범에서 나온 곡이 빌보드 핫 100에서 9위를 기록한 You Got It이다. [8] 죽기 이틀 전에 라이브 공연 중에도 흉통을 호소하긴 했으나 재기의 기회로 인식하며 강행군을 지속하였던 것이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9] 한국 영화 젊은 남자에서 중요한 OST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