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문서 참고하십시오.
각 군 참모총장 | ||||
합동참모의장 | 국방참모총장 | 육군참모총장 | 해군참모총장 | 공군참모총장 |
1. 개요
海 軍 參 謀 總 長 | Chief of the Naval Staff, Chief of Naval Operations (CNO)해군본부의 수장으로 해군 전체의 최선임 장교이다.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합동참모의장- 육군참모총장 다음으로 의전서열 3위이다. 나라에 따라서 해군총사령관, 해군사령관이라 하는 경우도 있고 해군이 없는 나라에선 해안경비대사령관이 해군참모총장 역할을 하기도 한다.[1]
2. 대한민국 해군
2.1. 역대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문서 참고하십시오.
3. 미합중국 해군
미군 합동참모본부의 현역 대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4169e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
합동참모의장 | ||
찰스 브라운 (공군) | |||
합동참모차장 | |||
크리스토퍼 그레이디 (해군) | |||
육군참모총장 | 해군참모총장 | 공군참모총장 | |
랜디 조지 | 리사 프란체티 | 데이비드 올빈 | |
육군참모차장 | 해군참모차장 | 공군참모차장 | |
제임스 밍거스 | 제임스 킬비 | 제임스 슬라이프 | |
해병대사령관 | 해안경비대사령관 | 우주군참모총장 | |
에릭 스미스 | 린다 파간 | 챈스 솔츠먼 | |
해병대부사령관 | 해안경비대부사령관 | 우주군참모차장 | |
크리스토퍼 마호니 | 케빈 룬데이 | 마이클 게틀린 | |
주방위군총감 | |||
스티븐 노드하우스 (공군) |
}}}}}} ※ 둘러보기:
합동참모본부 소속 대장,
통합전투사령관,
통합전투사령부 }}}}}}}}}
|
현직 |
리사 프란체티(Lisa M. Franchetti) |
해군참모총장( Chief of Naval Operations, 약칭 CNO)이 미 해군의 최선임장교이다. 사실 미국의 육군과 해군의 명칭 차이로 인해서 직역하자면 해군참모총장이 아닌 해군작전총장이나 해군작전부장 정도 되지만 우리와 명칭도 통일해야 하기에 해군참모총장으로 일반적으로 부른다. 일본, 중국에서는 해군작전부장으로 직역한 명칭으로 부르고 있다.[2] 대통령과 문민 국방장관/해군장관의 참모로서 군령권이 없고 군정권도 없다.[3], 군령권이 없는 것은 육/공군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도 마찬가지이다. 해병대사령관과 함께 문민인 해군장관을 보좌한다. 알레이 버크가 취임했을 때까지는 육참총장과 달리 실제로 작전권을 가진 직책이었지만, 그 버크가 주도했던 제독들의 반란 이후로 해군을 손보려고 하던 아이크 행정부가 1958년에 작전권을 박탈하여 사실상 참모총장이 되었다. 하지만 작전권이 박탈된 이후에도 명칭은 그대로 유지하는 중.
3.1. 역대 해군참모총장
CNO 보직이 창설된 초창기에는 이 보직을 거친 뒤에도 기타 보직을 거치며 더 오래 복무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해병대사령관 보직에 비해 해사 출신자들의 입김이 매우 강하다. 1915년 CNO 보직 창설 이후의 인물들은 모두 4성, 5성급이다. 여느 미군 4성 보직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4년의 임기가 보장된다.
미합중국 해군참모총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윌리엄 벤슨 | 로버트 쿤츠 | 에드워드 에벌 | 찰스 휴즈 | 윌리엄 프랫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윌리엄 스탠들리 | 윌리엄 리히 | 해럴드 스타크 |
어니스트 킹 |
체스터 니미츠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루이스 덴펠드 | 포레스트 셔먼 | 윌리엄 페치텔러 | 로버트 카니 | 알레이 버크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그레고리 앤더슨 | 데이비드 맥도널드 | 토머스 무어러 | 엘모 줌왈트 | 제임스 할로웨이 3세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토머스 헤이워드 | 제임스 왓킨스 | 칼라일 트로스트 | 프랭크 켈소 | 제러미 마이클 보더 |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
제이 존슨 | 버논 클라크 | 마이크 멀린 | 개리 러프헤드 | 조너선 그리너트 |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존 리처드슨 | 마이클 길데이 | 리사 프란체티 | }}}}}}}}} |
- 1대 : 윌리엄 벤슨(William S. Benson) - 1915~1919. 1877년 해사 졸업.[4] 원래 소장으로 취임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기에 4성까지 달았다. 해군 항공대의 창설이 추진될 때 "해군에서 비행기 쓸 일은 없을 것 같다"는 발언을 했지만 이 한마디로 비판을 많이 받았다.[5]
- 2대 : 로버트 쿤츠(Robert E. Coontz) - 1919~1923. 1885년 해사 졸업. 해군 항공의 기초를 닦는 데 일조한 인물.
- 3대 : 에드워드 에벌(Edward W. Eberle) - 1923~1927. 1885년 해사 졸업. 그의 재임시기 항공모함 렉싱턴과 새러토가가 진수되었다.
- 4대 : 찰스 휴즈(Charles F. Hughes) - 1927~1930. 1884년 해사 졸업.
- 5대 : 윌리엄 프랫(William V. Pratt) - 1930~1933. 1889년 해사 졸업.
- 6대 : 윌리엄 스탠들리(William H. Standley) - 1933~1937. 1895년 해사 졸업. 퇴역 이후 소련 대사를 지냈다.
- 7대 : 윌리엄 리히(William D. Leahy) 원수 - 1937~1939. 1897년 해사 졸업. 임기를 마치고 대장으로 퇴역하여 푸에르토리코 총독을 지냈다가 진주만 공습 이후 현역에 복귀하여 합동참모의장(이라는 명칭은 오마 브래들리부터 확정된다.)을 지내며 원수로 진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전시체제 미군을 총지휘하고 이끌었다.
- 8대 : 해럴드 스타크(Harold R. Stark) - 1939~1942. 1903년 해사 졸업. 진주만 공습 때문에 어니스트 킹에게 바통을 넘기고 유럽 해군사령관으로 옮겼다. 그의 진주만 공습에 대한 대처와 당시의 행적에 대해서는 오늘날에도 의견이 분분하다.
- 9대 : 어니스트 킹(Ernest King) 원수 - 1942~1945. 1901년 해사 졸업. 해군 항공대 경력이 있는 최초의 참모총장.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육군참모총장 조지 C. 마셜과 육군항공사령관 헨리 아놀드, 합참의장 윌리엄 리히와 함께 미군을 이끌었다. 미합중국함대사령관이라는 전시체제의 임시 직위가 창설되어 그 직위를 겸하기도 했다. 하지만 동급이었던 니미츠 원수를 비롯한 여러 미군 장성들, 그리고 기타 연합군 수뇌부와 자주 의견충돌을 보이기도 했다.
- 10대 : 체스터 니미츠(Chester W. Nimitz) 원수 -1945~1947. 1901년 해사 졸업.[6] 태평양 전쟁 당시 태평양함대사령관으로서 미국을 승리로 이끌었다. 미 해군 역사상 가장 마지막까지 생존한 원수이기도 하다. 또한, 니미츠는 젊을 적 경력을 잠수함에서 많이 쌓은지라 잠수함에 정통한 인물이었다. 하이먼 리코버가 잠수함에 원자로를 탑재하여 동력원으로 삼겠다는 발상을 내놓을 당시 니미츠는 그에게 큰 성원을 보내줬고, 이는 해군참모총장 재임기에 니미츠가 남긴 위대한 업적으로 꼽힌다.
- 11대 : 루이스 덴펠드(Louis E. Denfeld) - 1947~1949. 1912년 해사 졸업. 제독들의 반란에서 루이스 존슨 국방장관과 싸우다가 옷을 벗었다.
- 12대 : 포레스트 셔먼(Forrest P. Sherman) - 1949~1951. 1918년 해사 졸업. 해군 항공대 출신으로, 제독들의 반란으로 황폐화한 해군 장교단을 규합하고 6.25 전쟁을 치러내야 했다. 당시 기준 최연소 해군참모총장. 하지만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심장마비로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사망했다.
- 13대 : 윌리엄 페치텔러(William M. Fechteler) - 1951~1953. 1916년 해사 졸업. 재임기 슈퍼캐리어 건조를 재차 추진했고, 이는 이후 포레스탈급 항공모함으로 결실을 보게 된다.
- 14대 : 로버트 카니(Robert B. Carney) - 1953~1955. 1916년 해사 졸업. 태평양 전쟁 당시 윌리엄 홀시의 참모장 노릇을 하였던 수상함 장교.[7] 레이테 만 해전 등 주요 전투에서 홀시를 따라다녔으며, 세계가 궁금해하고 있다 사건 당시 분기탱천해서 제정신이 아니었던 홀시를 진정시키기도 했다. 홀시는 전후 원수로 진급하긴 했지만 퇴역하려다가 억지로 5성을 단 것이라 실제 보직을 갖지는 않았고 오히려 부하들이 요직을 거친 편이라고.
- 15대 : 알레이 버크(Arleigh A. Burke) - 1955~1961. 1923년 해사 졸업. 역시 홀시 밑에서 일한 경력이 있는 수상함 장교. 제독들의 반란에서 해군 장교단의 항명을 주도했지만 그 대가로 극동해군으로 좌천되었던 인물. 하지만 그 덕에 한국전쟁기 유엔군 해상구성군의 리더 노릇을 했다. 1955년 당시 소장이었지만 92명의 선배들을 제치고 바로 4성을 달며 해군참모총장에 올랐고, 6년간 재임하면서 지금까지 이어지는 최장기간 재임 기록을 썼다. 하지만 아이크 행정부에서는 항명의 전과를 무시할 수는 없었던지 해군참모총장의 작전권을 박탈하였다.
- 16대 : 그레고리 앤더슨(George W. Anderson Jr.) - 1961~1963. 1930년 해사 졸업. 해군 항공대 조종사 출신으로, 재임기간 쿠바 미사일 위기를 겪었다.
- 17대 : 데이비드 맥도널드(David L. McDonald) - 1963~1967. 1928년 해사 졸업. 해군 항공대 조종사 출신으로, 재임기에 통킹만 사건이 터지고 베트남 전쟁이 본격화하였다.
- 18대 : 토머스 무어러(Thomas H. Moorer) - 1967~1970. 1933년 해사 졸업. 해군 항공대 조종사 출신. 합동참모의장까지 지냈다. 태평양/대서양 양양함대에서 각각 사령관을 지내고 참모총장을 거쳐 합참의장까지 지내며 엘리트 코스를 밟아 해군에서 최초로 4성 보직을 4개나 거친 인물로 기록되었다. 다만 임기 중에는 사건사고들의 연속이었는데, 재임기간 구정 공세로 베트남 전쟁이 점입가경으로 치닫는 와중에 리버티 사건이 일어났다.
- 19대 : 엘모 줌왈트(Elmo R. Zumwalt) - 1970~1974. 1942년 해사 졸업.[8] 주월해군사령관을 역임하고 중장에서 진급하자마자 참모총장에 오른 역대 최연소 해군참모총장으로, 미 해군의 크고 아름다운 수상함대를 일궈내고 경제적인 운영을 가능케 한 레전드급 명장으로 기록되었다.
- 20대 : 제임스 할로웨이 3세(James L. Holloway III) - 1974~1978. 1943년 해사 졸업. 해군 항공대 조종사 출신으로, 통킹만 사건 당시 엔터프라이즈의 함장이었다.[9] 프롭기-제트기의 세대교체기에 조종사로 활동하며 6.25 전쟁에도 참전했다. 영화 탑건의 기술자문을 맡기도 했다. 아버지 제임스 할로웨이 2세 역시 해군에서 4성을 달았는데, 아버지는 해군부 인사과에서 근무할 당시 제독 진급에 실패해서 군생활이 끝날 위기에 있던 하이먼 리코버의 퇴역을 막아낸 인물로 유명하다.[10] 아들인 할로웨이 3세 역시 리코버에게 전폭적으로 힘을 실어주며 엔터프라이즈급 항공모함에 이은 원자력 항모, 즉 니미츠급 항공모함 건조를 본격화했다.
- 21대 : 토머스 헤이워드(Thomas B. Hayward) - 1978~1982. 1947년 해사 졸업. 해군 항공대 조종사 출신.
- 22대 : 제임스 왓킨스(James D. Watkins) - 1982~1986. 1949년 해사 졸업. 수상함/항공 출신 위주의 참모총장 인사에서 니미츠 이후 처음으로 잠수함 전문가로서 임명되었다. 하이먼 리코버가 대령을 달고 군복 벗는다 만다 하던 때에 임관했는데 왓킨스가 4성을 달 때도 리코버는 현역이었다(...) 리코버가 키워낸 애제자 중 하나로, 미국 에너지부 장관도 지냈다. 안병구 제독의 회고록에 따르면 1980년대 초중반 대한민국 해군에서 잠수함 도입이 처음 추진될 때 한국 해군참모총장 명의로 그에게 잠수함 도입 사업을 도와달라는 요청을 했지만 이 시기 전부터 미군은 재래식 잠수함 관련 기술과 노하우를 잊어버리기 시작해서 큰 도움을 받지는 못했다는듯.[11]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에서 해군참모총장으로 근무하고 전역한 뒤에도 조지 허버트 워커 부시 행정부에서 에너지부 장관을 역임하고 해양과학 싱크탱크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테크노크라트로서 더 큰 이력을 남겼던 인물이다.
- 23대 : 칼라일 트로스트(Carlisle A.H. Trost) - 1986~1990. 1953년 해사 졸업. 왓킨스에 이어 연속으로 잠수함 출신 참모총장이 나왔다. 육/해/공 3군의 공로훈장을 모두 받은 기록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의 보국훈장 국선장과 일본의 아사히 2등 대수장을 받기도 했다.
- 24대 : 프랭크 켈소(Frank B. Kelso II) - 1990~1994. 1952년 해사 졸업. 잠수함 출신. 재임기간 걸프 전쟁을 지휘하였지만, 테일후크 스캔들이라는 희대의 흑역사가 터졌다. 참모총장이긴 하나 테일후크의 핵심인 항공장교가 아니라는 이유로 해임 위기는 넘겼다.
- 25대 : 제러미 마이클 보더(Jeremy M. Boorda) - 1994~1996. 이등병 출신 4성제독. 보면 알겠지만 전임자 24명 중에는 학군/학사 출신조차 없이 죄다 해사 출신이다. 그런데 고등학교도 못 마치고 이등병으로 군생활 시작했던 양반이 이 자리까지 올라왔다. 그러나... 해당 문서로.
- 26대 : 제이 존슨(Jay L. Johnson) - 1996~2000. 해사 1968년 졸업. 해군 항공대 F-14 조종사 출신.
- 27대 : 버논 클라크(Vernon E. Clark) - 2000~2004. OCS 1968년 임관. 학사사관 출신 수상함 장교라는 점에서 참모총장직에 대한 문호가 좀 더 넓어진 사례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재임기간 9.11 테러가 터지고 분노한 미국은 테러와의 전쟁에 들어갔다.
- 28대 : 마이크 멀린(Michael Mullen) - 2005~2007. 해사 1968년 졸업. 수상함 출신. 재임 중 합동참모의장으로 영전했다. 토머스 무어러, 윌리엄 팰런[12]과 함께 4개의 4성보직을 수행한 세 번째 해군 제독으로 기록되었다.
- 29대 : 개리 러프헤드(Gary Roughead) - 2007~2011. 해사 1973년 졸업. 수상함 출신. 재임 중 여군의 잠수함 배치를 추진하였고, 이는 후임 그리너트 제독이 참모총장에 오른 뒤 현실화하였다. 멀린과 함께 미국 합참에서 베트남 전쟁 경력을 가진 마지막 장성으로 기록되었다.[13]
- 30대 : 조너선 그리너트(Jonathan W. Greenert) - 2011~2015. 해사 1975년 졸업. 잠수함 출신.
- 31대 : 존 리처드슨(John M. Richardson) - 2015~2019. 해사 1982년 졸업. 잠수함 출신(기관).( 핵추진프로그램국장 출신)
- 32대 : 마이클 길데이(Michael M. Gilday) - 2019~2023. 해사 1985년 졸업. 수상함 출신. 엘모 줌왈트 제독에 이어 두 번째로 중장에서 진급하자마자 참모총장에 올랐다. 수상함 출신 장교지만 사이버 분야에서도 활동한 경력이 있다.
- 33대 : 리사 프란체티(Lisa M. Franchetti) - 2023~ . ROTC 1985년 임관. 수상함 출신.
사관학교 출신 장교들 간에 빡빡한 기수제가 존재하고 임기도 짧은 대한민국 국군에 비해 선후배 관계가 널널한 미군의 특성을 감안해도 해군참모총장의 기수는 좀 심하게 널뛰기를 반복한다. 갑자기 9년을 건너뛰거나 거슬러올라가거나 10년 넘게 동기급 제독 세 명이 이어서 재임하는 등... 뭐 통합군사령관도 있고 여러 4성 요직들이 많은 미군이라 4성을 달려면 참모총장만 바라봐야 하는 한국 해군과는 사정이 많이 다르긴 하다. 다른 출신도 많이 등용하는 해병대사령관 보직에 비해 사관학교 출신의 독점 성향이 매우 강한 편임은 국군과 비슷하나, 후배들이 자기보다 높게 올라가면 바로 전역하는 국군과는 또 다르다. 또한 잠수함 부대의 규모가 작고[14] 항공모함도 없다보니 최고위 제독들의 출신이 수상함 일색인 한국 해군과 달리 참모총장들의 경력이 매우 다양한데, 이들의 경력을 토대로 해군 내 헤게모니의 변화를 유추할 수 있다. 제독들의 반란과 테일후크 스캔들 사이의 냉전기간 동안 참모총장 자리는
정리하자면
- 1901년 - 1942년 : 항해사관( 수상함''')
- 1942년 - 1945년 : 항공사관'''
- 1945년 - 1949년 : 항해사관(수상함)
- 1949년 - 1951년 : 항공사관
- 1951년 - 1961년 : 항해사관(수상함)
- 1961년 - 1970년 : 항공사관
- 1970년 - 1974년 : 항해사관(수상함)
- 1974년 - 1982년 : 항공사관
- 1982년 - 1994년 : 항해사관( 잠수함)
- 1994년 - 1996년 : 항해사관(수상함)
- 1996년 - 2000년 : 항공사관
- 2000년 - 2011년 : 항해사관(수상함)
- 2011년 - 2015년 : 항해사관(잠수함)
- 2011년 - 2015년 : 항해사관(잠수함)
- 2015년 - 2019년 : 기관사관(잠수함)
- 2019년 - : 항해사관(수상함)
1901년부터 2015년까지 114년 가운데 항공 출신 참모총장이 26년, 잠수함 출신이 16년, 수상함 출신이 72년이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 항공이나 잠수함이 수상함만큼 제대로 자기 자리를 찾지는 못했던 걸 감안해 1941년까지의 기간을 제외하고 보면 수상함 출신이 32년, 항공이 26년, 잠수함이 16년으로 비교적 다양하게 배치를 한 편이다. 특히 냉전 시기인 1945년부터 1990년까지를 기준으로 삼으면 수상함이 18년, 항공이 19년, 잠수함이 8년으로
4. 해상자위대
현직 |
사이토 아키라 (齋藤聡) |
방위대학교 33( 해군사관학교 43) |
해상막료장( 海上 幕僚長). Chief of Staff, Maritime Self Defense Force.
4.1. 역대 해상막료장
해상자위대 해상막료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해상경비대 총감 야마자키 고고로 |
경비대 제2막료장 야마자키 고고로 |
|||
초대 야마자키 고고로 |
제2대 나가사와 히로시 |
제3대 이하라 미쓰구 |
제4대 나카야마 사다요시 |
제5대 스기에 이치조 |
|
제6대 니시무라 도모하루 |
제7대 이타야 류이치 |
제8대 우치다 가즈토미 |
제9대 이시다 스테오 |
제10대 사메지마 히로이치 |
|
제11대 나카무라 데이지 |
제12대 오가 료헤이 |
제13대 야다 쓰기오 |
제14대 마에다 마사루 |
제15대 요시다 마나부 |
|
제16대 나가타 히로시 |
제17대 히가시야마 슈이치로 |
제18대 사쿠마 마코토 |
제19대 오카베 후미오 |
제20대 하야시자키 지아키 |
|
제21대 후쿠다 다케오 |
제22대 나쓰카와 가즈야 |
제23대 야마모토 야스마사 |
제24대 후지타 고세이 |
제25대 이시카와 도루 |
|
제26대 후루쇼 고이치 |
제27대 사이토 다카시 |
제28대 요시카와 에이지 |
제29대 아카호시 게이지 |
제30대 스기모토 마사히코 |
|
제31대 가와노 가쓰토시 |
제32대 다케이 도모히사 |
제33대 무라카와 유타카 |
제34대 야마무라 히로시 |
제35대 사카이 료 |
|
제36대 사이토 아키라 |
}}}}}}}}} |
해상경비대총감 | |||||
역대 | 이름 | 한자(한국식 한자음) | 임기 | 출신 | 일본군 경력 |
1 | 야마자키 고고로 | 山崎小五郎(산기소오랑) | 1952.4.26 - 1952.7.31 | 도쿄대학 | |
제2막료장 | |||||
역대 | 이름 | 한자 | 임기 | 출신 | 일본군 경력 |
1 | 야마자키 고고로 | 山崎小五郎(산기소오랑) | 1952.8.1 - 1954.6.30 | 도쿄대학 | |
해상막료장 | |||||
역대 | 이름 | 한자 | 임기 | 출신 | 일본군 경력 |
1 | 야마자키 고고로 | 山崎小五郎(산기소오랑) | 1954.7.1 - 1954.8.2 | 도쿄대학 | |
2 | 나가사와 히로시[17] | 長澤浩(장택호) | 1954.8.3 - 1958.8.15 | 해병49기 | 해군 대좌 |
3 | 이하라 미쓰구 | 庵原貢(암원공) | 1958.8.15 - 1961.8.15 | 해병52기 | 해군 대좌 |
4 | 나카야마 사다요시 | 中山定義(중산정의) | 1961.8.15 - 1963.7.1 | 해병54기 | 해군 중좌 |
5 | 스기에 이치조 | 杉江一三(삼강일삼) | 1963.7.1 - 1964.8.13 | 해병56기 | 해군 중좌 |
6 | 니시무라 도모하루 | 西村友晴(서촌우청) | 1964.8.14 - 1966.4.30 | 해병59기 | 해군 소좌 |
7 | 이타야 류이치 | 板谷隆一(판곡융일) | 1966.4.30 - 1969.6.30 | 해병60기 | 해군 중좌 |
8 | 우치다 가즈토미 | 内田一臣(내전일신) | 1969.7.1 - 1972.3.16 | 해병63기 | 해군 소좌 |
9 | 이시다 스테오 | 石田捨雄(석전사웅) | 1972.3.16 - 1973.12.1 | 해병64기 | 해군 소좌 |
10 | 사메지마 히로이치 | 鮫島博一(교도박일) | 1973.12.1 - 1976.3.15 | 해병66기 | 해군 소좌 |
11 | 나카무라 데이지 | 中村悌次(중촌제차) | 1976.3.16 - 1977.9.1 | 해병67기 | 해군 대위 |
12 | 오가 료헤이 | 大賀良平(대하량평) | 1977.9.1 - 1980.2.15 | 해병71기 | 해군 대위 |
13 | 야다 쓰기오 | 矢田次夫(시전차부) | 1980.2.15 - 1981.2.15 | 해병72기 | 해군 대위 |
14 | 마에다 마사루 | 前田優(전전우) | 1981.2.16 - 1983.4.26 | 해병73기 | 해군 중위 |
15 | 요시다 마나부 | 吉田學(길전학) | 1983.4.26 - 1985.8.1 | 해병75기 | 사관생도 |
16 | 나가타 히로시 | 長田博(장전박) | 1985.8.1 - 1987.7.7 | 해병76기 | 사관생도 |
17 | 히가시야마 슈이치로 | 東山収一郎(동산수일랑) | 1987.7.7 - 1989.8.31 | 도쿄수산대학 | |
18 | 사쿠마 마코토 | 佐久間一(좌구간일) | 1989.8.31 - 1991.6.30 | 방대 1(해사 11) | |
19 | 오카베 후미오 | 岡部文雄(강부문웅) | 1991.7.1 - 1993.7.1 | 방대 2(해사 12) | |
20 | 하야시자키 지아키 | 林崎千明(임기천명) | 1993.7.1 - 1994.12.15 | 방대 4(해사 14) | |
21 | 후쿠다 다케오 | 福地建夫(복지건부) | 1994.12.15 - 1996.3.25 | 방대 5(해사 15) | |
22 | 나쓰카와 가즈야 | 夏川和也(하천화야) | 1996.3.25 - 1997.10.12 | 방대 6(해사 16) | |
23 | 야마모토 야스마사 | 山本安正(산본안정) | 1997.10.13 - 1999.3.31 | 방대 7(해사 17) | |
24 | 후지타 고세이 | 藤田幸生(등전행생) | 1999.3.31 - 2001.3.27 | 방대 9(해사 19) | |
25 | 이시카와 도루 | 石川亨(석천형) | 2001.3.27 - 2003.1.27 | 방대 11(해사 21) | |
26 | 후루쇼 고이치 | 古庄幸一(고장행일) | 2003.1.28 - 2005.1.12 | 방대 13(해사 23) | |
27 | 사이토 다카시 | 齋藤隆(재등륭) | 2005.1.12 - 2006.8.3 | 방대 14(해사 24) | |
28 | 요시카와 에이지 | 吉川榮治(길천영치) | 2006.8.4 - 2008.3.24 | 방대 15(해사 25) | |
29 | 아카호시 게이지 | 赤星慶治(적성경치) | 2008.3.24 - 2010.7.26 | 방대 17(해사 27) | |
30 | 스기모토 마사히코 | 杉本正彦(삼본정언) | 2010.7.26 - 2012.7.25 | 방대 18(해사 28) | |
31 | 가와노 가쓰토시 | 河野克俊(하야극준) | 2012.7.26 - 2014.10.13 | 방대 21(해사 31) | |
32 | 다케이 도모히사 | 武居智久(무거지구) | 2014.10.14 - 2016.12.21 | 방대 23(해사 33) | |
33 | 무라카와 유타카 | 村川豊(촌천풍) | 2016.12.22 - 2019.3.31 | 방대 25(해사 35) | |
34 | 야마무라 히로시 | 山村浩(산촌호) | 2019.4.1 - 2022.3.29 | 방대 28(해사 38) | |
35 | 사카이 료 | 洒井良(선정량) | 2022.3.30 - 2024.7.18 | 방대 31(해사 41) | |
36 | 사이토 아키라 | 齋藤聡(재등총) | 2024.7.19 - | 방대 33(해사 43) |
4.1.1. 주요 출신 직별
직별을 살펴보면 수상함 출신들이 가장 많긴 하다. 일본군 해군이 잠수함을 무시하고 해군항공을 가미카제로 날려먹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상함 출신들이 초반에 많았기 때문이다. 역대 해상막료장 33명 가운데 운수성 관료 출신이 1명, 수상함 출신이 23명, 항공 출신이 7명, 잠수함 출신이 3명, 주계 출신이 1명이다.- 수상함
- 2대 나가사와 히로시
- 3대 이하라 미쓰구
- 4대 나카야마 사다요시
- 5대 스기에 이치조
- 6대 니시무라 도모하루
- 7대 이타야 류이치
- 8대 우치다 가즈토미
- 9대 이시다 스테오[18]
- 12대 오가 료헤이[19]
- 14대 마에다 마사루
- 15대 요시다 마나부
- 16대 나가타 히로시
- 18대 사쿠마 마코토
- 20대 하야시자키 지아키
- 21대 후쿠다 다케오
- 23대 야마모토 야스마사
- 26대 후루쇼 고이치
- 28대 요시카와 에이지
- 30대 스기모토 마사히코
- 31대 가와노 가쓰토시
- 32대 다케이 도모히사
- 34대 야마무라 히로시
- 35대 사카이 료
- 36대 사이토 아키라
5. 인민해방군 해군
현직 |
후중밍(胡中明) |
중국인민해방군해군사령원( 中国人民解放军海军 司令员)이라고 한다. 사령관이란 말 대신 사령원을 쓴다.
직별을 살펴보면 육군 출신인 제독이 장아이핑, 샤오징광, 예페이, 류화칭이 있고 해군에 입대해 커리어를 쌓은 제독 가운데는 잠수함 출신이 장롄중, 장딩파, 선진룽이 있고 해군 항공대 출신인 스윈성, 수상함 출신인 우성리가 있다.
5.1. 역대 해군사령원
중국인민해방군 해군사령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대 장아이핑 |
제2대 샤오징광 |
제3대 예페이 |
제4대 류화칭 |
제5대 장롄중 |
제6대 스윈성 |
제7대 장딩파 |
제8대 우성리 |
제9대 선진룽 |
제10대 둥쥔 |
|
제11대 후중밍 |
제12대 . |
제13대 . |
제14대 . |
제15대 . |
}}}}}}}}} |
대수 | 사진 | 이름(한자) | 재임기간 | 비고 |
1 | 장아이핑(张爱萍) | 1949-1950 | [20] | |
2 | 샤오징광(萧劲光) | 1950-1980 | 유일한 해군대장[21][22] | |
3 | 예페이(叶飞) | 1980-1982 | [23] | |
4 | 류화칭(刘华清) | 1982-1988 | [24] | |
5 | 장롄중(张连忠) | 1988-1996 | [25] | |
6 | 스윈성(石云生) | 1996-2003 | [26] | |
7 | 장딩파(张定发) | 2003-2006 | [27] | |
8 | 우성리(吴胜利) | 2006-2017 | ||
9 | 선진룽(沈金龙) | 2017-2021 | ||
10 | 둥쥔(董军) | 2021-2023 | ||
11 | 후중밍(胡中明) | 2023- |
6. 중화민국 해군
현직 |
탕화 (唐華) |
해군관교 75년반 |
중화민국 해군의 최선임 장교이다.
6.1. 역대 해군사령
대만 해군사령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해군총장
|
||||
제1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황중잉 | 류관슝 | 청비광 | 싸전빙 | 류관슝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싸전빙 | 리딩신 | 리젠장 | 두양구이 | ||
해군부장
|
해군총사령 (국민정부)
|
||||
제1대 | 제2대 | ||||
량슈좡 | 천사오콴 | ||||
해군총사령
|
|||||
제1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천청 | 구이용칭 | 마지좡 | 량쉬자오 | 리위시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류광카이 | 펑치총 | 쑹창즈 | 저우젠 | 류허첸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옌창통 | 좡밍야오 | 구총롄 | 우시웬 | 리제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
마오용칭 | 첸방지 | 린젠이 | |||
해군사령
|
|||||
제1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린젠이 | 왕리셴 | 가오광치 | 둥샹롱 | 첸용캉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리시밍 | 황수광 | 류즈빈 | 메이자수 | 탕화 | }}}}}}}}}}}}}}} |
역대 | 이름 | 한국음 | 한자 | 재임기간 | 계급 |
1대 | 황중잉 | 황종영 | 黃鍾瑛 | 1912년01월03일 - 1912년03월29일 | 대장군 |
2대 | 류관슝 | 유관웅 | 劉冠雄 | 1912년03월30일 - 1916년06월29일 | 해군상장 |
3대 | 청비광 | 정벽광 | 程璧光 | 1916년06월30일 - 1917년06월24일 | 해군상장 |
4대 | 싸전빙 | 살진빙 | 薩鎭冰 | 1917년06월24일 - 7월2일 | 해군상장 |
5대 | 류관슝 | 유관웅 | 劉冠雄, | 1917년07월15일 - 1919년12월03일 | 해군상장 |
6대 | 싸전빙 | 살진빙 | 薩鎭冰 | 1919년12월03일 - 1921년05월14일 | 해군상장 |
7대 | 리딩신 | 이정신 | 李鼎新 | 1921년05월14일 - 1924년10월31일 | 해군상장 |
8대 | 리젠장 | 임건장 | 林建章 | 1924년11월 - 1925년12월31일 | 해군상장 |
9대 | 두시구이 | 두석규 | 杜鍚珪 | 1925년12월31일 - 1927년06월 | 해군상장 |
- 중화민국( 중국국민당 정부) 해군부장( 中華民國(國民政府時期)海軍部長)
역대 | 이름 | 한국음 | 한자 | 재임기간 | 계급 |
1대 | 량슈좡 | 양수장 | 楊樹莊 | 1929년04월12일 - 1932년01월01일 | 해군2급상장 |
2대 | 천사오콴 | 진소관 | 陳紹寬 | 1932년01월01일 - 1938년01월31일 | 해군1급상장 |
- 중화민국( 중국국민당 정부) 해군총사령( 中華民國(國民政府時期)海軍總司令)
역대 | 이름 | 한국음 | 한자 | 재임기간 | 계급 |
1대 | 천사오콴 | 진소관 | 陳紹寬 | 1932년 1월 1일 - 1946년 7월 1일 | 해군1급상장 |
역대 | 이름 | 한국음 | 한자 | 재임기간 | 계급 |
1대 | 천청 | 진성 | 陳誠 | 1946년07월01일 - 1948년08월25일 | 해군상장[28] |
2대 | 구이용칭 | 계영청 | 桂永淸 | 1948년08월25일 - 1952년04월15일 | 해군상장 |
3대 | 마지좡 | 마기장 | 馬紀壯 | 1952년04월16일 - 1954년07월01일 | 해군상장 |
4대 | 량쉬자오 | 양서소 | 梁序昭 | 1954년07월01일 - 1959년02월01일 | 해군상장 |
5대 | 리위시 | 여옥새 | 黎玉璽 | 1959년02월01일 - 1965년01월25일 | 해군상장 |
6대 | 류광카이 | 유광개 | 劉廣凱 | 1965년01월25일 - 08월16일 | 해군상장 |
7대 | 펑치총 | 풍계총 | 馮啟聰 | 1965년08월16일 - 1970년07월01일 | 해군상장 |
8대 | 쑹창즈 | 송장지 | 宋長志 | 1970년07월01일 - 1976년07월01일 | 해군상장 |
9대 | 저우젠 | 추견 | 鄒堅 | 1976년07월02일 - 1983년05월15일 | 해군상장 |
10대 | 류허첸 | 유화겸 | 劉和謙 | 1983년05월16일 - 1988년06월01일 | 해군상장 |
11대 | 옌창통 | 엽창동 | 葉昌桐 | 1988년06월01일 - 1992년05월01일 | 해군상장 |
12대 | 좡밍야오 | 장명요 | 莊銘耀 | 1992년05월16일 - 1994년04월01일 | 해군상장 |
13대 | 구총롄 | 고숭렴 | 顧崇廉 | 1994년04월16일 - 1997년04월16일 | 해군상장 |
14대 | 우시웬 | 오세문 | 伍世文 | 1997년04월16일 - 1999년02월07일 | 해군상장 |
15대 | 리제 | 이걸 | 李傑 | 1999년02월01일 - 2002년02월01일 | 해군상장 |
16대 | 마오용칭 | 묘영경 | 苗永慶 | 2002년02월01일 - 2005년02월01일 | 해군상장 |
17대 | 첸방지 | 진방치 | 陳邦治 | 2005년02월01일 - 2006년02월16일 |
해군육전대(해병대) 2급상장 |
18대 | 린젠이 | 임진이 | 林鎭夷 | 2006년02월16일 - 2006년02월17일 | 해군상장 |
역대 | 이름 | 한국음 | 한자 | 재임기간 | 계급 |
1대 | 린젠이 | 임진이 | 林鎭夷 | 2006년02월17일 - 2007년05월21일 | 해군상장 |
2대 | 왕리셴 | 왕입신 | 王立申 | 2007년05월21일 - 2009년05월21일 | 해군상장 |
3대 | 가오광치 | 고광기 | 高廣圻 | 2009년05월22일 - 2011년05월15일 | 해군상장 |
4대 | 둥샹롱 | 동상룡 | 董翔龍 | 2011년05월16일 - 2013년07월31일 | 해군상장 |
5대 | 첸용캉 | 진영강 | 陳永康 | 2013년08월01일 - 2015년01월30일 | 해군상장 |
6대 | 리시밍 | 이희명 | 李喜明 | 2015년01월31일 - 2016년05월31일 | 해군상장 |
7대 | 황수광 | 황서광 | 黃曙光 | 2016년06월01일 - 2020년01월15일 | 해군상장 |
8대 | 류즈빈 | 유지빈 | 劉志斌 | 2020년01월16일-2022년06월15일 | 해군상장 |
9대 | 메이자수 | 매가수 | 梅家樹 | 2022년 6월 16일 - 2023년 4월 30일 | 해군상장 |
10대 | 탕화 | 당화 | 唐華 | 2023년 5월 1일 - 현직 | 해군상장 |
7. 싱가포르 해군
싱가 포르 해군 총장라이 창 한(黎忠漢, 여충한)
8. 영국 해군
정식명칭은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으로, 제1해군경(First Sea Lord)[29]이라 칭한다. 1904년 이전에는 First Naval Lord[30]라고 불렀다. 1904년에 존 피셔 제독[31]을 시작으로 현재의 호칭으로 바뀌었다. 이 당시 제1해군경 자리는 보통 해군 대장[32] 혹은 해군 원수[33]가 맡지만 1995년에 데이비드 배서스트 경[34]을 마지막으로 원수 계급의 제1해군경은 나오지 않고 있다. 현 제1해군경은 벤자민 키 경[35] 대장이다.9. 관련 문서
[1]
카리브해나
태평양 쪽의 작은
섬나라들이 그렇다.
[2]
반대로 미국 쪽에선 한국군 해군참모총장도 편의상 CNO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고, 대한민국 해군에서도 해군참모총장의 영문표기를 CNO로 표기한다.
[3]
프랑스, 인도, 파키스탄 등의 여러 나라는 한국처럼 참모총장이라 하고, 영국은 First Sea Lord라는 명칭을 쓴다. 번역은 해군본부 제1해군경.
[4]
이 시대에는 준사관 내지 사관후보생 신분으로 졸업 후에 몇 년간 복무하다가 소위 임관시험을 따로 치러야 했다. 때문에 졸업년도와 실제 임관년도가 일치하지 않는다.
[5]
당시 그의 해군 항공 폐지 시도를 막으려 설득에 나섰던 인물이 해군부 차관이었던
프랭클린 D. 루스벨트였다.
[6]
임관년도와 해사 졸업년도가 일치하지 않는 마지막 해군참모총장.
[7]
2차대전기 어니스트 킹 제독은 항공&수상함, 수상함&항공 조합으로 주요 부대의 사령관/참모장 조합을 가져가서 재미를 봤다. 홀시 역시 항공 출신이라 수상함 장교들을 참모장으로 배정받곤 했으며, 수상함 전문가였던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역시 항공 출신 참모장을 배정받곤 했다.
[8]
이 시기 전후의 기수는
제2차 세계 대전 시기라서 당초 예정보다 1년 일찍 졸업했다.
[9]
미 해군 항공모함의 지휘체계가 항모비행단장과 함장으로 구분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함장 자리에도 항공 출신이 임명되는게 일반적이다.
[10]
매제인 로렌스 헤이워스 소장은 해사 교장을 지냈고, 아버지가 첫 부인과 사별한 뒤 순직한 동료의 아내와 재혼하여 가족이 된 수양딸은
머큐리 계획의 우주 비행사
월리 시라와 결혼한다. 여러모로 빵빵한 스펙의 가문이다.
[11]
결국 조금 더 시간이 흘러서 독일의
209급 잠수함이
장보고급 잠수함으로 도입된다.
[12]
이쪽은 합참에는 들어오지 않고
통합군사령관으로 주로 활동하였다.
[13]
2014년 가을 퇴역하는
제임스 에이머스 해병대사령관이 70년 군번이긴 하나 베트남 참전 경력은 없다.
[14]
1990년대에야
장보고급 잠수함이 최초로 실전에 배치되었고, 진급 상한선도 낮게 형성되다가 2015년 2월에야
잠수함사령부가 함대급으로 격상되었다.
[15]
참고로 이 시기에 공군참모총장은
석기시대 매니아로 대표되는 폭격기 조종사들이 많이 가져갔다.
[16]
사실 핵미사일이 소형화, 고성능화하자 초창기에 뽑았던
A-5마냥 엄청 커질 필요도 없었다. SLBM도 걸음마부터라도 꾸준히 기술력을 쌓고 있었고.
[17]
'나가사와 코우'라고 읽기도 한다
[18]
위의 사람들이 주로
호위함대에서 경력을 쌓은 것에 비해 이 사람은 소해함 위주로 경력을 쌓았다.
[19]
소해대군 출신.
[20]
1910-2003. 육군에서 전군했다. 1년 정도 짧게 재직했다.
[21]
다른 인물들은 상장이다. 중국은 1955년까지 임명된 10명의
대장(계급)을 제외하면 더 이상 대장을 보임하지 않았다. 1955년에 계급을 폐지했다가 1988년에 부활시키면서 대장을 보임하지 않았고 상장을 최선임 계급으로 정하였다. 상장은 그런 이유로 타국의 대장에 상당한다.
북한의 상장은 타국의
중장이다.
[22]
샤오징광 본인은 육군 출신으로 인민해방군 해군의
건군기에 장기간 사령원으로 근무하며 해군 개발에 힘썼다. 30년이나 한 보직을 해먹은 건 거의
하이먼 리코버에 버금가는 업적.
[23]
사령원으로 재직하던 시절엔 계급이 없었다. 1988년에 재계급. 1914년생인데 미국 식민지였던
필리핀의
화교로 태어났다.
[24]
1916-2011. 사령원으로 재직하던 시절엔 계급이 없었다. 1988년에 재계급. 정치장교 출신으로 해군에선 주로 과학기술 관련 연구를 총괄하는 직책을 맡았다.
수상함이나
잠수함,
해군 항공대 출신이 아닌 사령원. 그도 그럴듯이 본래는 육군 출신이기 때문이다.
항공모함을 도입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랴오닝급에 그에 관한 이야기가 나와 있다.
[25]
잠수함 장교 출신이다.
[26]
1940년생으로
해군 항공대 출신의 파일럿이었다.
남해함대항공병사령원, 해군항공병부사령원, 해군부사령원 등을 지냈다. 2003년에 361호잠수함(2003년에 중국 잠수함 361호가 영해에서 난파로 인해 조난되어 해군 70명이 사망한 사건) 사건으로 경질되었다.
[27]
그의 무덤. 재임기간이 짧은데 재임 중에 폐암으로 사망했기 때문이다.
잠수함에서 주로 근무했다. 전략미사일 도입에도 신경을 쓴 인물이었다.
[28]
첸청부터는 전원이 2급상장이다. 2급은 생략한다.
[29]
약칭은 1SL.
[30]
약칭은 1NL.
[31]
드레드노트급 전함과
순양전함의 개발을 주도한 후
고속전함의 개념까지 제시한 사람이다.
[32]
Admiral
[33]
Admiral of Fleet
[34]
데이비드 벤자민 배서스트 경(Sir David Benjamin Bathurst)
[35]
벤자민 존 키 경(Sir Benjamin John K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