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19:21:14

필리핀 도독령

스페인령 필리핀에서 넘어옴
필리핀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선사~중세 식민지배 이전 식민지 시대
스페인 제국
필리핀의 선사시대 루손 섬(톤도)
비사야 군도(부투안)
민다나오 섬 나라들
누에바 에스파냐
필리핀 도독령
필리핀 도독령
스페인령 동인도
식민지 시대 현대
미국 일본 제국 미국
미군정청
제1공화국
도민정청 자치령 행정부 제2공화국 자치령 제3공화국 제4공화국 제5공화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a99c5, #75b2dd, #5a99c5)"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선사 ~ 중세 근세 근대 현대
<colbgcolor=#5a99c5> <nopad> 영국의 식민지들 <#c8102e> 호주 자치령 호주
마오리족 <nopad> 뉴질랜드
멜라네시아인 <nopad> 영국령 피지 피지
뉴헤브리디스 제도 <nopad>
<nopad> 영국령 파푸아 <nopad> 파푸아 지역 <nopad> 파푸아 뉴기니 지역 <nopad> 파푸아뉴기니
<nopad> 독일령 뉴기니 <nopad> 뉴기니 지역
<nopad> 영국령 솔로몬 제도 <nopad>
미크로네시아인 <nopad> <nopad> <nopad> <nopad> 나우루
남양 군도 태평양 제도 <nopad>
<nopad> 미크로네시아
연방
<nopad> 팔라우
북마리아나 제도
<nopad>
<nopad> 영국령 길버트
앨리스 제도
<nopad>
폴리네시아인 <nopad> 투발루
투이 마누아
통가 제국
사모아 왕국 <nopad> 독일령 사모아 서사모아 지역 <nopad> 사모아
미국령 사모아
통가 왕국 <nopad> 통가(영국 보호령) 통가
하와이 왕국 <nopad> 하와이
공화국
하와이 준주 하와이주 }}}}}}}}}}}}
필리핀 도독령
Capitanía General de las Filipinas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식민지
( 누에바에스파냐 일부)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파일:필리핀 도독령 문장.svg
국기 문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panish_Provinces_in_the_Pacific.png
1565년 ~ 1898년[1]
성립 이전 멸망 이후
누에바에스파냐 필리핀 군도 미군사령부 군정청
필리핀 제1공화국
북마리아나 제도
독일령 뉴기니
지리
위치 필리핀

팔라우
캐롤라인 제도[2]
북마리아나 제도
수도 마닐라
정치
정치체제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
국가원수 국왕, 도독
인문환경
언어 스페인어
필리핀어
세부아노어
등 175여개 이상
종교 가톨릭

1. 개요2. 역사
2.1. 초기2.2. 중후반기2.3. 카티푸난의 독립 운동과 미국-스페인 전쟁
3. 참고 문헌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565년부터 1898년까지 존속한 스페인 제국 식민지이다.

도독령(Capitanía general)이란 부왕령(Virreinato)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스페인 본국에서 파견한 도독(Capitán General)이 명목상으로 통치하였다. 필리핀 도독령은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에 속하였다가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이 폐지된 1821년부터 독자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한다. 자세한 내용은 필리핀/역사 참조.

2. 역사

2.1. 초기

필리핀 1521년, 카를 5세의 후원을 받은 포르투갈인 탐험가 페르디난드 마젤란(Fernão de Magalhães)에 의해 발견되었다. 그러나 마젤란군은 세부에 속한 막탄 섬에서 라푸라푸 촌장의 군대에 의해 사살되었다. 전투 패배후 본국에 돌아온 남은 배 1척, 생존자 18명으로 귀환하면서 인류최초의 세계일주가 완료되었다. 마젤란의 실패 이후에도 스페인은 필리핀 정복을 바탕으로 동방무역로를 확보하고자 1525년부터 1564년까지 5차례 원정대를 필리핀에 파견하였다. 앞서 네차례의 원정은 전부 실패하고 1564년 2월, 마지막 여섯번째 원정대가 4척의 함대에 380명의 선원과 다른 토착세력 군대의 지원을 받아 필리핀 막탄섬에서 승리하였다. 이 함대를 지휘한 이가 바로 콩키스타도르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Miguel López de Legazpi)였다. 세부를 점령한 그는 필리핀 도독령을 세우고 초대 도독이 되었다.

레가스피의 함대에는 군인들과 더불어 성직자 6명들이 타고 있었는데, 이들은 필리핀 기독교화에 앞장섰다. 1565년 세부를 평정한 레가스피는 그곳에 영구정착지를 수립하고 가톨릭 교회를 세웠다. 1569년에는 세부에서 파나이로 근거지를 옮기고 중부 비사야 제도 각지의 토착 기득권층을 회유하거나 전투를 통해 정복하였다. 회유된 이들은 나머지 지역의 정복 및 회유활동에 동참하였다. 세부와 파나이를 중심으로 스페인인들은 몇년간 육지영토만 합해도 이탈리아 반도, 뉴질랜드 섬, 영국 보다 면적이 넓은 필리핀 제도 지역을 배를 타고 돌며 현지 정보를 모았다. 1571년, 비사야 제도의 맹주가 되어있던 스페인군에 유럽에서 레판토 해전에 참전했던 여유병력들의 일부가 필리핀으로 충원되어 들어왔다.

몇 백명의 병력이 더 충원된 스페인군과 비사야 제도 연합군은 마틴 데 고이티 장군의 통솔을 받아 필리핀 북쪽 루손섬으로 이동하였다. 마틴 데 고이티는 상단인 척 하고 마닐라에 접근하고는 마닐라 국왕에게 회유를 했지만 실패하였다, 얼마 후, 미리 지시해 놓았던 스페인군과 비사야 제도 연합군이 당도하자 마닐라를 즉시 총공격 하였다. 1571년 6월 24일 후에 필리핀의 수도가 될 마닐라는 스페인의 식민지 도시로 선포되었다. 마닐라 왕국을 형제국 내지는 속국으로 두었던 이슬람 브루나이 왕국은 군대를 보내 쉽사리 마닐라 탈환을 할 엄두를 못내었다. 마닐라 공격당시 스페인군과 데려온 비사야 연합군의 숫자가 마닐라 방어군 전체 보다 압도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섬 중서부에 일정 세력을 형성하고 있던 술루 술탄국, 마긴다나오 술탄국, 라나오 술탄국 등의 이슬람 왕국들은 스페인과 지속적으로 전쟁을 하였다. 이 전쟁을 모로 전쟁이라고 부르며, 1578년부터 스페인의 식민지배가 종료되는 1898년까지 약 300년 동안 벌어졌다. 스페인과 필리핀 식민지인 연합군은 물론, 네덜란드, 영국 함대 또한 이 지역에 공격해 왔으나 이들에게 패배하였다. 유럽과 세계 곳곳에 식민지를 건설했던 열강들은 스페인의 식민통치가 끝날 때까지 이들을 복속시키는데 실패하였다.

스페인인들의 필리핀 도래 이후 토착 왕가와 부족장들의 자치권을 허용해주고 세금을 면제하는 등 비교적 빨리 통치체제를 확립하였고, 기독교( 가톨릭) 개종 사업도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중국 상선은 일용품, 식료부터 도자기, 비단, 등 기호품까지 다양한 물품을 싣고 마닐라로 내항하였다. 이외 기존에 필리핀인들과 무역하던 아시아 국가들로 부터 향신료와 여러 사치품들을 대량 구입한다. 얻은 아시아 상품들을 또다른 스페인 식민지였던 멕시코와의 무역에 이용하였다.

중국 및 아시아 에서 마닐라로 들어온 물품들은 갈리온을 통해 운반되어 태평양 건너 멕시코로 운반되었다. 그리고 거기서 돌아오는 배는 은이 실리고, 은은 마닐라를 거쳐 중국으로 돌아갔다. 대서양을 건너온 아시아의 사치품들은 유럽에서 불티나게 팔려나간다. 통칭 갈레온 무역이라고 불리는 이 중개무역으로 스페인 본국은 막대한 수입을 올려 재정이 확충 되었다.

1572년부터 시작된 이 무역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독립을 시발점으로 19세기에 쇠퇴하게 되어 결국 경제적 손실을 이유로 1815년 폐지되었다. 하지만 그것은 사실 스페인 왕실의 공무역이였고 필리핀은 민간 단위로 라틴아메리카 국가들과 지속적인 무역파트너였다.

이후 필리핀은 유럽 및 영국정부와의 무역로를 열고 19세기에 중계무역로로써 번영한다.

2.2. 중후반기

1756년 발발한 7년 전쟁의 결과 스페인은 독점적인 무역체계를 상실하게 되었다. 게다가 영국은 7년 전쟁이 한창이었던 1762년부터 1764년까지 필리핀을 점령하여 스페인의 위신을 크게 떨어트렸다. 7년 전쟁 종전 이후 파리조약(1763년)을 통해 스페인은 영국으로부터 필리핀을 반환받게 되었다.[3]
필리핀의 생산양식이 크게 변화하게 된 계기는 대농장경영 형태인 아시엔다(Hacienda)의 등장 이후였다. 갈리온 무역의 쇠퇴와 스페인 지배 하 남미 국가들의 독립으로 스페인은 기존에 시행하던 정책 대신 새로운 정책을 필리핀에 도입하였다. 1778년부터 1787년까지 계속된 바스코(José Basco y Vargas) 도독의 정책으로 인해 필리핀의 경제는 발전하였다. 특히 이 시기 상품수출을 위한 농업이 나타났고, 잉여를 위한 형태로 경작방식이 바뀌었다.[4] 도독령 정부는 식민지 경쟁국들이 그러한 것처럼 특산물을 재배하여 매매하기 시작했다. 1781년 필리핀 경제 사회청을 신설하고 1782년 담배전매제를 시행하였다. 1783년부터 1795년까지 약 12,297,772페소 어치의 담배가 스페인으로 수송되었다. 담배와 함께 사탕수수, 마닐라삼 등의 전문경작이 필리핀에 확산되었다. 그리고 이들 작물은 아시엔다라는 이름의 대농장 형태로 경영되었다.[5]

초기 아시엔다는 지주, 소작의 직접적인 관계로 형성되었으나 이후 중간 착취자인 임대자(inquilino, 잉킬리노)층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지주와 소작 사이에서 부를 축적했고 이렇게 축적된 부의 일부를 교육에 투자하여 지식인 계층을 형성시켰다. 필리핀 독립운동 초기에 등장하는 계몽지식인층이 바로 이렇게 형성된 대토지 소유자들이었다.[6] 1834년 마닐라가 세계 무역항으로 개항되고나서 아시엔다는 필리핀의 특산물을 생산하는 특유의 생산양식으로 발전하였다. [7]

2.3. 카티푸난의 독립 운동과 미국-스페인 전쟁

스페인 본국에 대한 필리핀인들의 저항은 식민 초기부터 있어왔지만, 이것이 본격화된 것은 19세기 중반부터 였다. 19세기 전반 유럽을 강타한 자유주의 사상은 스페인과 그 산하 식민지들도 예외가 아니었다. 대부분의 중남미 식민지들이 1820~1830년대에 독립을 선포했고, 이 소식은 필리핀에도 전해졌다.

또한 마닐라의 개항 이후 필리핀의 토착 엘리트들이 성장함에 따라 필리핀의 경제적 지배계급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러한 여러가지 이유로 필리핀의 민족 의식이 각성하였으며, 이는 필리핀의 지배 국가인 스페인에 대한 저항으로 이어졌다.

이들의 영향력 확대는 스페인인들에게 크나큰 위협으로 다가왔다. 필리핀인들의 개혁 요구를 수용할 수 없었던 스페인 정부는 강압적으로 진압했고, 이는 무력을 동반한 독립 투쟁으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1872년부터 1898년까지의 시기는 '반스페인 민족운동이 조직된 시기'로 간주되고 있다.[8]

1872년 1월 20일 발발한 카비테 폭동(Cavite Mutiny)을 스페인 당국이 과잉 진압하자, 필리핀인들은 이를 문제삼고 개혁운동을 시작했다. 호세 리살(Jose Rizal)을 위시한 이 온건개혁주의자들은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보다는 동화를 지향하였다. 그러나 1892년 6월, 리살이 스페인 당국에 체포됨으로써 개혁운동은 실패로 끝났다.

필리핀인들은 온건적인 개혁 운동의 한계를 느끼고, 본격적으로 무력을 동반한 독립 투쟁을 시작하였다. 1892년 7월 7일, 안드레스 보니파시오(Andres Bonifacio), 발렌틴 디아스(Valentin Diaz), 테오도로 플라타(Teodoro Plata), 라디슬라오 디와(Ladislao Diwa), 데오다토 아라노(Deodato Arellano)와 그 외 몇 명이 모여 ' 카티푸난(Katipunan)'이라는 비밀결사조직이 수립되었다.

이들의 결성 초기에는 200여명에 불과했으나, 해가 거듭할수록 조직원들이 증가하였다. 1896년 8월 23일 '푸가드 라윈의 외침(Cry of Pugad Lawin)'을 신호로 스페인 식민주의자들과 전쟁을 시작할 때는 무려 수십만에 달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궐기는 사전에 스페인 당국에 의해 발각되었다. 1896년 8월 29일 자유를 위한 총궐기(General uprising)라는 형식으로 스페인 당국에 선전포고하였다. 블랑코(Ramón Blanco y Erenas) 도독은 8월 30일 계염령을 선포하고 즉각 대응하였다. 카티푸난의 궐기는 필리핀 전국으로 확대되었으나 스페인 당국의 강력한 대응으로 서서히 약화되어갔다. 게다가 카티푸난 내부의 주도권 싸움으로 보니파시오가 실각하고 에밀리오 아기날도(Emilio Aguinaldo, 후에 필리핀 제1대 대통령이 됨)가 지도자가 되었다.

1897년 4월 스페인 당국은 리베라(Fernando Primo de Rivera)를 필리핀 신도독으로 부임시켜 혁명세력을 저지하게 했다. 그는 여러 번에 걸쳐 포고령을 반포하는 등 카티푸난을 저지하려 했으나 여의치않았다. 양측의 교전이 장기화되자 스페인 당국은 아기날도 측에 협상을 제의하였다. 리베라 총독과 파테르노(Pedro A. Paterno) 사이에 마련된 휴전안을 통해 1897년 12월 15일 양측은 협상에 조인하였다. 협상안을 통해 아기날도와 그 일행은 자발적으로 영국령 홍콩으로 망명하게 되었고, 그 비용 부담 및 필리핀인들의 피해 보상을 스페인 당국에서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휴전안을 신뢰할 수 없었던 일부 카티푸난 지도자들은 항복을 거부하였다. 스페인 당국 역시 협상을 완전히 신뢰하지 않았기 때문에 양측의 무력 충돌은 1898년 2월 중순부터 다시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 충돌은 1898년 5월 미국-스페인 전쟁이 벌어지자 미국은 본격적으로 카티푸난을 지원하였다.

미국의 지원 아래 마닐라와 그 근교지역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필리핀의 지역을 장악한 카티푸난은 1898년 6월 12일 필리핀 제1공화국을 수립하였다. 한편 파리조약(1898년)에 의해 미국은 스페인으로부터 필리핀과 괌을 양도받았고, 이후 미국은 필리핀을 식민지화하였다.

스페인이 미국에 양도하지 않은 필리핀 제도와 괌 외에 필리핀 도독령 지역인 팔라우, 캐롤라인, 북마리아나 제도 1899년 스페인이 독일 제국에게 매각하였다.

3. 참고 문헌

  • 유인선 (1990). 필리핀의 역사와 문화 - 필리핀근대사의 성립과 전개과정 -. 아세아연구, 33(2), 305-346.
  • 서용석 (1997). [연구논문1]필리핀의 식민지 경험과 사회발전 : 1898-1946. 비교사회, 200-269.
  • 권오신 (2009). 스페인지배 말기의 필리핀 독립운동: 미완의 혁명(1896-1898). 아시아연구, 11(3), 47-76.
  • 조병욱, '이야기 필리핀사', 해피&북스, 2013

4. 관련 문서



[1] 스페인령 동인도까지 범위를 확대할 경우 1901년까지 [2] 미크로네시아 연방 [3] 그러나 당시 통신 시설의 미비로 이 소식이 필리핀에 알려진 것은 이듬해인 1764년이었다. [4] 유인선 (1990), 318 [5] 아시엔다는 대토지를 소유한 지주로부터 땅을 임대받은 카사마(Kasama, 자기 토지가 없는 농민들)가 토지를 경작하고, 소작 형태는 지주와 소작인이 생산비를 분담하여 부담에 따라 생산물을 나눴다. [6] 유인선 (1990), 320 [7] 그리고 이 시기에 어떤 사람이 이곳을 본의 아니게 방문하기도 하였다. [8] Martneg, 1983: 3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