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16:18:16

피의 게임

피의게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피의 게임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재 방영중인 시즌에 대한 내용은 피의 게임3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tablealign=right><tablewidth=500><tablebordercolor=#A61B26><tablebgcolor=#fff,#191919><colbgcolor=#000><colcolor=#fff>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피의 게임 로고 빨강.webp ||<(><color=#A61B26> 피의 게임
Game of Blood
||
||
장르 예능, 서바이벌, 리얼리티쇼, 두뇌 게임, 스포츠, 정치, 피카레스크
방영 정보 시즌 1: 2021년 11월 1일 ~ 2022년 1월 24일 (13부작)
시즌 2: 2023년 4월 28일 ~ 2023년 6월 16일 (14부작)
시즌 3: 2024년 11월 15일 ~ 2025년 1월 17일 (14부작)
총 회차: 41부작
시청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시청가
스트리밍
[[Wavve|
Wavve
]]
외부 링크 문단 참고


1. 개요2. 특징3. 시리즈 목록4. 해외 리메이크5. 여담
5.1. 사용된 BGM
6.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피의 게임 Wavve 오리지널 예능 프로그램 시리즈이다.

현정완 PD가 제작 총괄을 맡았다.

2. 특징

피의 게임은 매우 불공평하고 비합리적인 게임입니다.
여러분은 거짓과 배신, 음모, 정치, 그 어떤 수를 써서라도 살아남아야 하며
피의 게임 규칙을 위반하지 않는 한, 생존을 위한 어떠한 행동도 문제 되지 않습니다.

- 주최자의 소개 멘트
상기한 멘트대로, 그 어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생존하는, 승리지상주의를 강조하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풍족하고 안정적인 환경(피의 저택/피의 낙원)과 빈곤하고 열악한 환경(지하/야생/잔해) 두 곳에 차별적으로 플레이어들을 배치시킴으로써, 안정적인 환경의 플레이어들은 자리를 보존하기 위해, 열악한 환경의 플레이어들은 자리를 탈취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게임에 임하며, 이러한 경쟁 속에서 인간의 추악한 본성과 날것의 감정을 보여준다. 노골적인 승리지상주의 시스템으로 인해 스포츠맨십, 페어플레이를 추구하는 플레이어들은 확실하게 손해를 본다.[스포일러]
  • 머니 챌린지 / 투표 / 데스매치
    더 지니어스의 '메인매치'와 마찬가지로 매 회차마다 생존한 플레이어 전원이 참여하는 게임인 '머니 챌린지'를 진행한다. 머니 챌린지의 우승자는 당일 탈락자를 가리는 투표 지목에서 제외하는 면제권을 획득한다. 머니 챌린지의 최하위는 탈락후보가 되고 면제권이 없는 두 명의 다른 참가자를 선택하면 이 둘은 참가자들의 투표로 나머지 탈락후보가 누가 될지 결정된다. 그렇게 결정된 두 탈락후보는 데스매치를 치르게 된다.
  • 히든 플레이어와 팀전
    일부 참가자들에게 공개되지 않은 숨겨진 규칙을 통해 히든 플레이어가 선정된다. 시즌 1에서는 탈락자들이 지하층에 숨어 지내는 '지하층 팀'이, 시즌 2에서는 야생에 숨어서 지내는 '히든 팀'이, 시즌 3에서는 초반부 데스매치 진출자들로 구성된 '잔해 팀'이 존재한다. 이러한 열악한 환경에 숨은 '히든 팀'은 피의 저택에서 안락함을 누리는 '저택 팀'의 자리를 빼앗을 기회를 노리며 극한 상황에서 몰입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히든 팀의 정체가 공개된 이후 머니 챌린지는 저택 플레이어 참여하는 개인전에서 히든 팀vs저택 팀의 대결 구도인 팀전으로 바뀐다. 몇번의 팀전 이후 모든 생존 플레이어들이 한 공간으로 모여 개인전을 진행한다.
  • 절도와 폭력의 허용
    거의 모든 정종연 표 서바이벌에서 나오는 문구인 '절도와 폭력은 금지된다'에 완전히 반대되게 절도를 허용하고 일부 게임에서는 폭력도 허용한다. 마찬가지로 비매너 플레이로 보여질 수 있는 행동들도 모두 허용된다.
  • 변화무쌍한 규칙
    상기한 규칙은 기본적인 포맷이며, 세부적으로는 규칙의 변화가 잦은 편이다. 회차 별 탈락 인원을 늘리거나, 팀전에서 개인으로, 다시 개인전에서 팀전으로 바뀌는 등등. 긍정적으론 끊임없이 변수가 제공되어 긴장감을 불어넣는다고, 부정적으론 난잡하고 밸런스 조절에 실패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 후반부에 게스트 비중 적음
    여타 게임 서바이벌 프로그램은 소수 인원으로 진행될 때 매번 게스트를 투입하거나, 결승전에서 탈락자들의 지원 등 정치적인 요소로 플레이어 개인의 역량을 살리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었다.[2] 피의 게임에서는 이런 게스트의 비중을 매우 낮추는 진행 방식을 선택했다.

시즌 1과 시즌 2의 경우 공통점을 제외한 세부 규칙과 연출의 차이가 크다. 이유는 두가지인데, 첫번째는 시즌 1에서 제작/기획이 현정완 PD와 진용진의 공동 작업이었던 반면, 시즌 2부터는 진용진이 제작진에서 제외되었기에 진용진의 취향(일반인 참가자를 중심적으로 섭외, 게임의 완성도보다는 정치를 중요시함)이 전부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두번째는 MBC와 Wavve 공동 제작 및 방송에서 Wavve 독점 스트리밍으로 변경되어 공중파의 심의나 특유의 심심한 연출(같은 장면 반복적으로 강조, 패널의 호들갑)을 따라갈 필요가 없어졌기에 더욱 자극적인 연출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시즌 2부터는 참가자 섭외에서 일반인의 비중을 매우 낮추고, 서바이벌 프로그램 유경험자와 같은 검증된 캐릭터를 위주로 선택하였고, 시즌 3에서는 아예 (소수의 참가자를 제외하고) 서바이벌 유경험자 중 화제의 인물만 선택하며 서바이벌 올스타전을 프로그램의 특징으로 자리매김했다.

3. 시리즈 목록

3.1. 피의 게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피의 게임(시즌 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0px; padding: 7px 0;"
파일:피의 게임 로고 고화질.png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 margin: -2px -10px"
{{{#fff {{{#!folding [ 시리즈 ]
파일:피의게임1 로고 화이트.png
피의 게임
파일:피의게임2 로고 화이트.png
피의 게임2
파일:피의게임3 로고1.png
피의 게임3
}}}}}}}}}
{{{#!folding [ 플레이어 ]
{{{#!folding [ 관련 문서 ]
}}} ||

3.2. 피의 게임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피의 게임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피겜2로고1.png

{{{#!wiki style="margin-top:3px;display:inline-block;min-width:25%;min-height:2em"
{{{#!folding [ 시리즈 ]
파일:피의게임1 로고 화이트.png
피의 게임
파일:피의게임2 로고 화이트.png
피의 게임2
파일:피의게임3 로고1.png
피의 게임3
}}}}}}
[ 플레이어 ]
||<tablewidth=100%><tablebgcolor=#222><width=1000><nopad> 파일:피의게임2프로필홍진호.png ||<width=20%><nopad> 파일:피의게임2프로필하승진.png ||<width=20%><nopad> 파일:피의게임2프로필덱스.png ||<width=20%><nopad> 파일:피의게임2프로필박지민.png ||<width=20%><nopad> 파일:피의게임2프로필서출구.png ||
홍진호 하승진 덱스 박지민 서출구
파일:피의게임2프로필파이.png 파일:피의게임2프로필넉스.png 파일:피의게임2프로필신현지.png 파일:피의게임2프로필이진형.png 파일:피의게임2프로필유리사.png
파이 넉스 신현지 이진형 유리사
파일:피의게임2프로필현성주.png 파일:피의게임2프로필윤비.png 파일:피의게임2프로필케리건메이.png 파일:피의게임2프로필후지이미나.png <bgcolor=#000> 파일:피겜2로고1.png
현성주 윤비 케리건 메이 후지이 미나
사진 클릭 시 행적 문서로, 이름 클릭 시 해당 인물 문서로 이동합니다.
[ 에피소드 ]
||<tablewidth=100%><tablebgcolor=#222><width=1000> 1일차 · 2일차 · 3일차 · 4일차 · 5일차 · 6일차 · 7일차 · 8일차 · 9일차 · 10일차 · 11일차 · 12일차 ||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222><width=1000> 공개 전 정보 · 참가자 · 게임 규칙 · 방영 목록 · 평가 및 반응 · 여담 · BGM · 제작진 · ||

}}} ||

3.3. 피의 게임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피의 게임3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0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000, #000, #8B0000, #B20000)"
파일:피의게임3 로고1.png
{{{#!wiki style="margin-top:3px;display:inline-block;min-width:25%;min-height:2em"
{{{#!folding [ 시리즈 ]
파일:피의게임1 로고 화이트.png
피의 게임
파일:피의게임2 로고 화이트.png
피의 게임2
파일:피의게임3 로고1.png
피의 게임3
}}}}}}
[ 플레이어 ]
||<tablewidth=100%><tablebgcolor=#222><nopad> 파일:피의게임3프로필김경란.jpg ||<nopad> 파일:피의게임3프로필김민아.jpg ||<nopad> 파일:피의게임3프로필김영광.jpg ||<nopad> 파일:피의게임3프로필빠니보틀.jpg ||<nopad> 파일:피의게임3프로필서출구.jpg ||<nopad> 파일:피의게임3프로필스티브예.jpg ||
김경란 김민아 김영광 빠니보틀 서출구 스티브예
파일:피의게임3프로필시윤.jpg 파일:피의게임3프로필엠제이킴.jpg 파일:피의게임3프로필악어.jpg 파일:피의게임3프로필유리사.jpg 파일:피의게임3프로필이지나.jpg 파일:피의게임3프로필임현서.jpg
시윤 엠제이킴 악어 유리사 이지나 임현서
파일:피의게임3프로필장동민.jpg 파일:피의게임3프로필주언규.jpg 파일:피의게임3프로필최혜선.jpg 파일:피의게임3프로필김선태.jpg 파일:피의게임3프로필허성범.jpg 파일:피의게임3프로필홍진호.jpg
장동민 주언규 최혜선 충주맨 허성범 홍진호
사진 클릭 시 행적 문서로, 이름 클릭 시 해당 인물 문서로 이동합니다.
[ 에피소드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222> 1일차 · 2일차 · 3일차 · 4일차 · 5-6일차 · 7일차 · 8일차 · 9일차 · 10일차 · 11일차 · 12일차 ||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222> 공개 전 정보 · 참가자 · 게임 규칙 · 진행 결과 · 방영 목록 · 평가 및 반응 · BGM · 여담 · 추측 및 떡밥 · 리뷰/비하인드 · 필담 논란 · 제작진 · ||
}}} ||

4. 해외 리메이크

4.1. Spille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pille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여담

  • 약칭은 피겜. 각 시즌 별 정식 명칭은 '피의 게임(넘버)'이지만, Wavve 홈페이지에선 '피의게임 시즌(넘버)'로 표기된다.
  • MBC와 Wavve에서 공동 제작하나, 세부적으론 매 시즌마다 제작사가 바뀐다.
  • 프로그램 로고가 매번 바뀌고, 한 시즌에서도 2개 이상 로고 디자인을 사용한다.
  • 참가자들의 이름을 표기하거나, 게임 제목을 표기할 때 자막에서 띄어쓰기를 생략한다.[3] 이유는 불명. 나무위키에선 참가자 이름은 방송과 동일하게, 게임 제목은 맞춤법을 적용해 표기하였다.
  • 시즌 2부터 회차 제목은 해당 에피소드에서 등장하는 대사에서 차용했다.
  • 제목 피의 게임에서 '피'는 혈액 P로 시작하는 영단어 두가지 뜻을 의미한다. 아쉽게도 영문 번역에서는 이런 중의적인 의미를 살리지 못했고, 전자인 'Game of Blood'로 번역되었다. 혈액의 게임이라는 제목에 걸맞게 여러 디자인에서 빨간색이 강조된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P의 의미
공통 정치(Politics), 피라미드(Pyramid), 불공평한(Partial), 피카레스크(Picaresque)
시즌 1 기생충(Parasite), 피자상자(Pizza box)
시즌 2 판도라의 상자(Pandora's box), 유령(Phantom)
시즌 3 낙원(Paradise), 평행(Pararel), 양극화(Polarization) }}}
  • 매번 탈락자가 발표되는 장면에서 주최자는 '탈락자는 다시는 피의 게임으로 돌아올 수 없습니다'라고 말하는데, 정작 탈락자들은 알고 보니 숨겨진 세력으로 재등장하거나, 결승전에 관전자로 오거나, 유령 플레이어로 참여하거나, 다른 출연자의 공백을 비우기 위해 투입되거나, 후속 시즌에서 재출연하는 등 잘도 피의 게임으로 돌아오고 있다(...).
  • 시즌 1 당시 일반인 참가자들의 개인 방송에서 실시간으로 리뷰를 진행할 때 여러 스포일러성 발언이 많이 나온 탓인지, 시즌 2 부터는 참가자들의 리뷰 방송(유튜브 업로드용)은 생방송 진행이 사실상 금지되고 제작진들에게 검수를 받은 뒤 업로드한다.[4] 시즌 2 당시에는 추측의 영역이었으나, 시즌 3에서 악어의 발언을 통해 사실로 확인되었다.
  • Wavve에서 제작한 다른 서바이벌 프로그램 출연자들이 피의 게임을 계기로 재출연하거나, 다른 프로그램에서 인상적인 참가자들이 피의 게임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 방송 내외적인 유사성이나 접점으로 인해 시즌 2 이후로는 두뇌 서바이벌 팬덤에서 더 지니어스의 정신적 후속작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현정완 PD는 인터뷰를 통해 더 지니어스의 팬임을 밝히기도 했으니, 이러한 유사성은 오마주라는 평가를 받는다. 더불어 더 지니어스의 정종연 PD가 제작한 데블스 플랜과 비슷한 시기에 방영하며 데블스 플랜과 대비 및 라이벌 구도를 띄는 점은 재미있는 부분이다.
    {{{#!folding 더 지니어스와 접점 [ 펼치기 · 접기 ]
[게임 내적인 유사성]
  • 한 회전의 게임은 '메인매치(머니챌린지) - 데스매치'로 진행한다. (시즌 2,3)
  • 플레이어의 게임 화폐는 최종 우승 상금으로 반영된다. (시즌 1,2)

[게임 외적인 유사성]
  • 배경 음악으로 일렉트로닉 음반이나 사운드트랙을 다수 채용하며, 여타 예능과 달리 드라마틱한 반전에 집중하는 연출을 보여준다.
  • 국내 게임 서바이벌 프로그램 중에서는 해외에 판권 수출 및 방영에 성공한 프로그램이다.

[기타 접점]
  • 더 지니어스에서 플레이어로 참가한 장동민, 이상민, 홍진호, 최연승은 피의 게임의 MC나 플레이어로 참여했다.
}}}
'피의 게임'은 두뇌 게임과 정치에 따른 서바이벌 방식, MC 장동민, 이상민의 출연 등이 tvN '더 지니어스'를 연상케 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현정완 PD는 "내가 원래 '더 지니어스', '소사이어티 게임'과 그걸 만든 정종연 PD님의 엄청난 팬이었다. 비교가 될 수 있으면 그것만으로도 기뻤다. 매우 특별하고 독창적이게 해야 한다라기 보다는 기존 베이스에서 변형할 수 있었다고 생각했다. 거기에 나의 색깔, 포인트를 넣은 것 같다"고 밝혔다.
- 현정완 PD 인터뷰 기사 출처
  • 더 지니어스와 같은 게임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고질적인 비판 요소인 '게임 아이디어의 고갈'이라는 문제를 공유하고 있다. 시즌 2에서 이러한 문제점과 비판이 극심했기에, 시즌 3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게임을 선보이고 있다.
  • 코리아보드게임즈가 게임 자문을 맡아 보드게임을 모티브로 한 게임이 다수 등장했다.[코]
    {{{#!folding 게임 별 모티브 정리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시즌 등장 게임 모티브
시즌1 돈·벌레 게임 스컬[코]
시즌2 정글 메이즈 어메이징 라비린스[코]
컬러턴 턴코트[코]
시크릿 다이스 요트 다이스[코]
미스터리 넘버 다빈치 코드[코]
아브라카왓[코]
패턴블록 매치매드니스
메인컬러 메인컬러
숫자 경매 하이 소사이어티
히든 미션 애그너램
시즌3 미스터리 타임 바다거북 수프
스위치 포커 코바야카와[코]
예측승패 스컬킹
블라인드 베팅 인디언 포커
히든코드 파라오코드[코]
크리미널 메모리 전지적 추리 시점[코]
선과 악 시크릿 히틀러[코]
레지스탕스 아발론[코]
블랙 빌리지 카르카손[코]
}}}

5.1. 사용된 BGM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피의 게임/BGM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외부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avve 인스타그램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MBC 홈페이지 (시즌 1)
파일:bigc_logo_icon_square.png 빅크 홈페이지 (시즌 1)
파일:wavve 아이콘.svg Wavve 시즌 1
파일:wavve 아이콘.svg Wavve 시즌 2
파일:wavve 아이콘.svg Wavve 시즌 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MBC 앰뚜루마뚜루 (시즌 1-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Wavve 시즌 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Wavve 시즌 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Wavve 시즌 3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NaverTV 시즌 1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NaverTV 시즌 2
파일:키노라이츠 아이콘.svg 키노라이츠 시즌 1
파일:키노라이츠 아이콘.svg 키노라이츠 시즌 2
파일:키노라이츠 아이콘.svg 키노라이츠 시즌 3
파일:왓챠 아이콘.svg 왓챠 시즌 1
파일:왓챠 아이콘.svg 왓챠 시즌 2
파일:왓챠 아이콘.svg 왓챠 시즌 3
파일:iOS Apple TV 아이콘.svg Apple TV+
파일:IMDb 아이콘.svg IMDb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위키백과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피의 게임 갤러리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피의게임2 마이너 갤러리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피의게임3 갤러리
파일:더쿠 아이콘.svg 피의 게임 카테고리
[스포일러] 이를 증명하듯 시즌 1, 2 모두 자신의 생존에 치중하며 다른 이들을 일방적으로 이용하고 배신하는 '노골적인 승리지상주의 플레이'로 거센 비판과 불호 의견을 받은 참가자가 끝내 우승했다. [2] 더 지니어스에선 생존자가 5인 이하가 되면 거의 매번 게스트를 투입한 메인매치를 진행했으며, 결승전에서 탈락자들의 아이템 지원 및 참여 요소가 존재했다. 더 타임 호텔에서도 생존자가 4인이 되자 게스트를 투입했으며, 결승전 1라운드에서 탈락자가 정보에 영향을 줄 수 있었다. [3] 예시: 퀸 와사비→퀸와사비 / 후지이 미나→후지이미나 / 엠제이 킴→엠제이킴. [4] 시즌 1 당시 우승자의 개인 방송 및 SNS를 통해 우승자 스포일러가 우수수 쏟아진 여파도 있지만, 더 인플루언서처럼 대놓고 우승자가 스포일러된 사태가 있다 보니 더욱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코] 모티브 보드게임이 코리아보드게임즈가 판권을 소유한 경우. [코] [코] [코] [코] [코] [코] [코] [코] [코] [코] [코] [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