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23:29

튀르키예-카타르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아메리카 · 아프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키프로스 5+1 회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튀르키예·이란·아랍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튀르키예·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유럽 · 아프리카 · 아메리카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튀르키예 카타르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이전2.2. 21세기
3. 문화 교류4. 관련 문서

1. 개요

튀르키예 카타르의 관계에 대한 문서. 카타르는 2010년대에 사우디를 포함한 다른 아랍권 국가들과 단교조치되자 튀르키예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양국은 이슬람 협력기구의 회원국이다.

양국간의 교류와 협력이 많은데, 튀르키예 에르도안 정의개발당 정권과 카타르는 이집트의 이슬람주의 정당 무슬림 형제단을 원조하는데 협력하는 관계였다.[1]

무슬림 형제단이 무너졌지만 카타르는 시리아 내전에서 튀르키예와 튀르키예의 괴뢰군인 시리아 국민군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추후에 카타르는 시리아와 튀르키예의 쿠르드족 집단을 테러단체로 규정하는 등, 튀르키예의 또 다른 형제국 수준으로 발전했다.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이전

오스만 제국이 카타르 일대를 지배한 적이 있었다.

카타르는 20세기에 영국의 보호령에서 독립한 뒤에 튀르키예와 수교했다. 양국은 이후에 이슬람 협력기구에도 가입했다.

2.2. 21세기

2009년 8월 19일, 카타르가 튀르키예와 카타를 잇는 가스관 건설에 긍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

2010년대에 카타르가 다른 아랍권국가들과 단교조치되는 상황이 되면서 양국관계도 바뀌기 시작했다. 튀르키예가 카타르에 튀르키예군 주둔 파견법안(!)을 승인하고, #, 카타르에 모든 지원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 또한 이란은 단교사태에 위기를 겪고 있는 카타르에 식량수송을 하는 등 지원하기 시작했다. # 그리고 튀르키예는 사우디의 카타르 내 튀르키예군 철군 요구에 대해 일축하면서 카타르에 튀르키예군 주둔계획을 실행하겠다고 밝혔다. # # 게다가 튀르키예는 카타르 내 튀르키예군기지를 폐쇄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 그리고 튀르키예는 카타르와 군사합동훈련을 시작했다. # 2018년에 카타르 왕실 전용기를 에르도안에게 선물했다. #

카타르와 튀르키예, 이란이 26일 3개국 간 교역을 증진하기 위한 공동 실무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 #

튀르키예 에르도안 대통령이 카타르를 방문했다. #

튀르키예가 경제위기에 빠지자 카타르와 통화스와프를 체결했다. #

2023년에 튀르키예 대지진이 발생하자, 카타르는 월드컵 경기장 및 숙소 설치에 사용했던 컨테이너들을 이주민들을 위해 튀르키예에 배송했다. 또한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국왕은 전 세계 정상들 중 최초로 지진 이후 튀르키예를 방문해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을 만났다. #

3. 문화 교류

양국은 언어, 문화, 종교 등에서 매우 가깝다. 튀르키예 드라마는 카타르에서도 인기가 많은 편이다.

튀르키예 청년 실업률이 증가하자 카타르로 근무하는 튀르키예인들이 늘었으며, 튀르키예군 일부는 카타르에 주둔하여 카타르의 치안 유지 및 카타르 정규군과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4. 관련 문서



[1] 물론 무르시의 무슬림 형제단 정권이 붕괴한 이후 이집트는 카타르와 튀르키예를 모두 견제하는 추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