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2 18:47:13

접면


<rowcolor=#fff> ' 기하학· 위상수학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평면기하학에 대한 내용은 틀:평면기하학 참고.
기본 대상
공리 유클리드 기하학 · 비유클리드 기하학
도형 기본 도형 평면 · 부피 · 꼬인 위치 · 각기둥 · 각뿔 · 원기둥 · 원뿔 · ( 공 모양) · 전개도 · 겨냥도 · 다면체 ( 정다면체) · 정사영 · 대칭( 선대칭 · 점대칭)
곡면 타원면 · 타원포물면 · 쌍곡포물면 · 원환면
프랙털 도형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 시에르핀스키 사각형( 멩거 스펀지) · 망델브로 집합 · 코흐 곡선 · 드래곤 커브
기타 다포체 · 초구 · 준구 · 일각형 · 이각형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 · 스킴 · 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 타원곡선
미분기하학 미분다양체 · 측지선 · 곡률( 스칼라 곡률 · 리만-크리스토펠 곡률 텐서 · 리치 텐서) · 열률 · 텐서 · 쌍곡 공간( 쌍곡삼각형 · 푸앵카레 원반) · 타원 공간( 구면삼각형) · 아핀접속
위상수학 위상 공간 유계 · 옹골 집합 · 다양체 · 택시 거리 공간 · 연결 공간 · 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
위상도형 사영평면 · 뫼비우스의 띠 · 클라인의 병 · 매듭( /목록)
주요 성질·정리 분리공리 · 우리손 거리화정리( 우리손 보조정리) · 베르 범주 정리
대수적 위상수학 호모토피 · 사슬 복합체 · 호몰로지 이론( 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 사상류 군 · 닐센-서스턴 분류
기타 차원 · 좌표계 · 거리함수 · 그물 ·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건너기 문제 · 사이클로이드
정리·추측
실베스터-갈라이 정리 · 해안선 역설 · 바나흐-타르스키 역설 · 라이데마이스터 변환 · 오일러 지표 · 푸앵카레 정리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미해결
분야
논증기하학 · 대수기하학 · 미분기하학 · 해석 기하학 · 매듭이론 · 프랙털 이론 · 정보기하학 · 위상 데이터분석 }}}}}}}}}

1. 개요2. 곡면의 접면3. 임계점4. 관련 문서

1. 개요

tangent plane

접평면 또는 줄여서 접면은 곡면 위의 한 점을 접하는 접선들이 놓여 있는 평면을 말한다.

접선(tangent line)이 1개인 경우는 일변수함수인 곡선 기울기가 대표적이다.

접면은 이변수함수의 곡면 위의 한 점을 접하는 기울기가 2개이다보니 접선들이라는 표현보다는 평면의 접점을 가리키는 접평면(접면)이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2. 곡면의 접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평면 문서
2.9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namu_접면_에시.png
오목한 곡면을 가지는 다변수함수의 최솟값 접면 예

다변수함수 [math( z= x^2 + y^2 )]의 오목한 곡면을 3D 모델링으로 얻었을때 접선의 방정식 [math( z= ax+b )]와 [math( z= ay+b )]로부터 기울기 값을 의미하는 편미분을 계산하면[1][2]

[math(\begin{aligned} z&=ax+b &\to \dfrac{\partial f}{\partial x} x \\ z&=ay+b &\to \dfrac{\partial f}{\partial y} y \end{aligned})]

이 두 식을 더한 총 2개의 증가량으로 표현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접평면 [math( z)]는

[math( z= \dfrac{\partial f}{\partial x} x + \dfrac{\partial f}{\partial y} y)]

임을 조사할 수 있다.

이것을 일반화하면

[math( (z - z_0)= \dfrac{\partial f}{\partial x} (x-x_0) + \dfrac{\partial f}{\partial y} (y-y_0) )]

이어서 미소 변화량인 증분으로 표현해보면

[math( \Delta z= \dfrac{\partial f}{\partial x} \Delta x + \dfrac{\partial f}{\partial y} \Delta y )]

접평면 근사식을 얻을수있다.

또한 [math( {\partial f}/{\partial x} )]를 [math( f_x )]의 편미분으로 표현해보면

[math( {\rm d} z= f_x \,{\rm d}x + f_y\, {\rm d}y )]

전미분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곡면 [math(f(x,\,y,\,z)=0)]위의 점의 위치 벡터 [math(\mathbf{r}_{0}=(x_{0},\,y_{0},\,z_{0}))]일 때, 이 점 위의 접면의 방정식은 [math(\mathbf{r}=(x,\,y,\,z))]에서

[math(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f(\mathbf{r}_{0})\boldsymbol{\cdot} (\mathbf{r}-\mathbf{r}_{0})=0 )]

으로 주어진다.

3. 임계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임계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관련 문서


[1] 구텐베르크 프로젝트 - Calculus Made Easy , Silvanus P. Thompson 1914 ,THE MACMILLAN CO. https://www.gutenberg.org/files/33283/33283-pdf.pdf [2] 구텐베르크 프로젝트 - Elementary Illustrations of the Differential and Integral Calculus by De Morgan 1899 Kegan Paul, Trench, Tr ̈ubner & Co., Ltd., London https://www.gutenberg.org/files/39041/39041-pdf.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