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23:11:28

이조라인


{{{#!wiki style="color: #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러시아인 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바시키르인 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아바르인 모르드바인 카자흐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인 다르긴인 우드무르트인 마리인 오세트인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다인
쿠미크인 야쿠트인 레즈긴인
벱스인 독일계 러시아인 우즈벡 투바인 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 타지키스탄계 러시아인 부랴트인
칼미크인
, 몽골계 러시아인,
라크인
조지아계 러시아인 아슈케나짐 몰도바인
, 루마니아계 러시아인,
한국계 러시아인
, 고려인,
,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 메스케티 튀르크,
노가이인 키르기스 코미인 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
, 그리스계 러시아인,
하카스인 스페인계 러시아인
, 바스크계 러시아인,
폴란드계 러시아인 사모예드족
쿠르드계 러시아인
, 야지디,
에벤키, 에벤족 투르크멘 사미족 루툴인
아굴인 리투아니아계 러시아인 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 핀란드계 러시아인,
라트비아계 러시아인 세투인
,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
축치인 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 쇼르인 케레크 압하스인 나나이족
아시리아인 아랍계 러시아인 나가이바크 돌간인 러시아 흑인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 니브흐 우디인 인도계 러시아인 샵수그인
위구르인 케트인 재러 베트남인 이텔멘족 쿠만딘인
헝가리계 러시아인 울치족 텔레우트인 타트인
탈리시인,
, 이란계 러시아인
체코계 러시아인
유카기르 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
슬로바키아인 카라칼파크인 차후르인
프랑스계 러시아인 소요트 일본계 러시아인 이탈리아계 러시아인 덴마크계 러시아인
오스트리아계 러시아인 영국계 러시아인 스웨덴계 러시아인 아일랜드계 러시아인 노르웨이계 러시아인
네덜란드계 러시아인 스위스계 러시아인 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미국계 러시아인 세르비아계 러시아인
아이누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colbgcolor=#fafafa,#1a1a1a> 핀우그
리아족
<colbgcolor=#fafafa,#1a1a1a> 핀페
름족
발트핀족 핀란드인 | 카렐인 | 잉그리아인 | 벱스인 | 크벤인 | 이조라인 | 에스토니아인( 버로인) | 세투인 | 리보니아인 | 보디인
사미족 사미인
볼가핀족 모르드바인 | 마리인
페름족 우드무르트인 | 코미인
우고
르족
마자르족 헝가리인 | 세케이인
오브우
고르족
한티인 | 만시인
사모예드족 에네츠인 | 네네츠인 | 응가나산인 | 셀쿠프인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자치 지역 파일:카렐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렐리야 공화국 | 파일:모르도비야 공화국 국기.svg 모르도비야 공화국 | 파일:네네츠 자치구 기.svg 네네츠 자치구 | 파일:코미 공화국 국기.svg 코미 공화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Mari_El.svg.png 마리 엘 공화국 | 파일:한티-만시 자치구 기.svg 한티-만시 자치구 | 파일:1280px-Flag_of_Udmurtia.svg.png 우드무르티야 공화국 | 파일:야말로-네네츠 자치구 기.svg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다수 거주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Sami_flag.svg.png 라플란드 | 파일:Flag_of_Szekely_Land.svg 세케이푈드
언어 및 문화
언어 우랄어족
사상 범우랄주의 | 범투란주의
신화 핀란드 신화 | 에스토니아 신화 | 헝가리 신화 }}}}}}}}}

파일:Flag of Izhorians.png
이조라인의 깃발
1. 개요2. 상세

1. 개요

파일:izhorians.jpg

네바강과 나르바강 사이에 거주하던 소수민족. 원래 상트페테르부르크 일대 이조라(Ижора) 지역의 원주민으로서 20세기 초에는 2만여 명의 인구가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대부분 러시아인에게 동화되면서 겨우 250여 명만 남아있다.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보디인과 밀접한 관계이다. 이조라인이라는 민족명은 이조라강에서 유래되었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우랄어족 발트핀어군에 속하는 이조라어(Ižoran keel, Ижорский язык)이나 오늘날 화자가 극소수(300여 명)만 남았다.

민족명은 이조라 강에서 유래했다.

2. 상세

이조라인들이 거주하던 이조라 지역은 토질이 척박하고 발트해에서 춥고 쌀쌀한 바닷바람이 불며 늪지대가 많았기 때문에 농업에 불리했다. 이조라인들은 주로 호밀빵에 생선을 곁들여 먹었다고 전해진다. 원래 소나무를 숭배하던 토속신앙을 가졌던 이조라인들은 정교회로 개종 이후에도 나무에 대한 여러 터부를 가지고 있었다. 이조라인들은 중세 초 러시아의 노브고로드 공국의 영향을 받고 조공을 바치던 부족으로 12세기 무렵 보디인이나 카렐인 같은 이웃 민족들과 분화된 것으로 보이며, 종종 리보니아 검우 기사단이나 리투아니아인의 공격을 받았다. 노브고로드 공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 사이에서 이조라를 두고 전쟁이 일어나면서 이조라인들은 리투아니아에도 조공을 납부했다.

15세기 노브고로드 공국이 모스크바 공국에 병합되면서 이조라인도 모스크바 공국의 신민이 되었다. 16세기 후반 스웨덴 루스 차르국은 이조라를 두고 전쟁을 벌였는데 이조라인은 양쪽 군대 모두에게서 학살과 약탈을 당하는 수난을 겪었다. 1617년부터 1721년동안 스웨덴이 이조라를 지배하면서 과거 러시아 문화를 받아들였던 이조라인들은 핀인 스웨덴인의 문화를 흡수하게 되었다.

대북방전쟁 도중 표트르 대제는 이조라를 공격하여 1703년 자신의 이름을 딴 신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하였다. 1721년 뉘스타드 조약으로 대북방전쟁은 스웨덴의 패배로 끝났고, 러시아 제국의 새로운 수도 페테르부르크와 가깝다는 이유로 이조라인들은 새로 수도로 유입되는 러시아인들과의 통혼이 증가했다. 교외 지역에 거주하던 가난한 이조라인이 거주하던 지역에도 정교회 사원이 세워지고 19세기 후반부터는 근처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일하러 가는 청년들이 늘어나면서 20세기 초반에는 대부분의 이조라인이 러시아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오시프 스탈린 시대 농업 집단화 과정에서 전통적인 이조라인 촌락이 대거 해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까지만 해도 상당수의 이조라인이 남아있었으나 레닌그라드 주를 중심으로 뿔뿔이 흩어지면서 이조라인 정체성과 언어는 급속도로 사멸되기 시작했고, 한 때 2만여 명에 달했던 이조라인 인구는 오늘날 1천여 명 정도(이조라어가 구사 가능한 인구는 3백여 명)로 극소수만 남았다.

오늘날 러시아 내에는 이조라인 781명2021년 통계 기준이 거주하고 있고,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서는 812명이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밖에도 에스토니아에서 2011년 조사 결과 56명이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