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7 02:59:49

이면(조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a0000, #a52a2a 20%, #a52a2a 80%, #6a0000)"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52a2a><tablebgcolor=#a52a2a> 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 이순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소속 <colbgcolor=#fff,#1f2023> 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가족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 이봉상 · 그 외 후손)
관련 인물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생애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관련 장소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남해 관음포
관련 사건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관련 물건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작품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용모 · 창작물
평가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창작물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이순신 서명.svg }}}

}}}}}}}}} ||

이면(李葂)
1577년( 선조 10년) ~ 1597년( 선조 30년) (향년 20세)[1]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조선의 인물. 이순신의 삼남.

2. 생애

1577년 이순신 방수진의 삼남으로 태어났다. 영리하고 말타기와 활쏘기를 잘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아버지를 닮아서 무예가 출중했던 것으로 보인다.

1597년 정유재란 당시 고향 아산에 쳐들어온 일본군과 싸우다가 전사했는데 그 시기가 명량해전 직전이었는지 직후였는지는 확실치 않다. 이면의 죽음은 이순신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이순신은 아들의 죽음을 크게 슬퍼하였다. 아래는 아버지 이순신이 아들 이면이 죽었다는 것을 듣고 쓴 기록이다.
나도 모르게 낙담하여 목소리가 나오질 않았다. 통곡하고 또 통곡하도다! 하늘이 어찌 이렇게 어질지 못하실 수가 있는가. 가 죽고 가 사는 게 올바른 이치인데 네가 죽고 내가 사는 것은 무슨 괴상한 이치란 말인가. 온 세상이 깜깜하고 해조차 색이 바래보인다. 슬프다! 내 작은 아들아, 나를 버리고 어디로 갔느냐!
이순신, 《 난중일기》 정유년(1597년) 10월 14일, 3남 이면의 전사 소식을 듣고.

3. 대중매체에서

  • 2004년 KBS 드라마 《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배우 김영준이 연기했다.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명량에서의 패전을 분풀이하려 이순신의 고향 아산을 습격하여 주민들을 마구 도륙하고 학살하자 마을 청년들을 규합해 왜군들과 격렬하게 맞서 싸우다가 와키자카의 칼에 희생된다.
  • 2023년 노량: 죽음의 바다에서는 배우 여진구가 연기한다. 노량 대첩 배경 시점에서는 이미 죽은 사람이라서 직접 등장은 이순신의 악몽, 환상 속뿐이다. 극 초반에는 이순신이 꿈에서 이면이 왜군에게 둘러 싸여 죽을 위기에 처하자 구해주려고 달려갔지만, 뒤에서 갑자기 왜군 망령들이 이순신의 몸을 붙잡아 움직이지 못하게 했고, 이순신은 이면의 죽음을 눈앞에서 보다가 꿈에서 깨어났다. 이후 과거 회상에서 이순신이 진린을 포함한 명나라 군대와 회의하고 있을 때 이면의 죽음이 보고되고 이에 이순신은 충격에 오늘은 회의를 여기까지 하자며, 일어나려고 하다가 다리의 힘이 풀려 쓰러질 뻔하는 등 이순신이 얼마나 충격을 받았는지 묘사했다.

    진린은 이면을 살해한 왜군을 우연히 찾아내 이순신과 거래할 때 쓸만하다고 생각해 잡은 걸 이순신에게 비밀로 부치고, 이후 이순신이 고니시와 시마즈의 협공 위기에도 출전하겠다고 하자 진린은 이면을 살해한 왜군을 이순신에게 대령하며 이들을 죽이고 원한을 풀어 이 이상 다 끝난 전쟁을 계속하지 말자고 설득한다. 하지만 이순신은 이들은 이면을 살해한 자들이 아니라고 진린의 제안을 거절하며, 이면의 원한을 푸는 걸 거부한다.[2]

    노량 대첩 막바지에 이순신이 탄 판옥선에도 왜군이 들어와 난전이 펼쳐질 때 이순신은 죽어간 자신의 전우들이[3] 나타나 함께 싸우는 환상을 보는데, 마지막으로 이면이 나타나 아버지와 함께 싸우겠다는 말을 남기며 사라진다.

[1] 세는나이로 21세. [2] 이순신의 전투 목적은 왜군에게 최대한의 피해를 입혀 다시는 왜란이 재발하지 않도록 막는 것이기에 아들을 살해당한 원한을 풀겠다고 그 목적을 포기할 수 없었다. [3] 정운, 어영담, 이억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8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8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