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훈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연기대상 대상 | ||||
유인촌 (1990년) |
→ |
이낙훈 (1991년) |
→ |
오현경 (1992년) |
연기대상 남자 주연상[1] | ||||
신설 | → |
<colbgcolor=#FFFFA1,#5D5E00> 이낙훈 (1970년) |
→ |
김순철 (1971년) |
연기대상 최우수 남자 연기상[2] | ||||
김세윤 (1977년) |
→ |
이낙훈 (1978년) |
→ |
노주현 (1979년)[3] |
TV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 ||||
제13회 ( 1977년) |
→ |
제14회 ( 1978년) |
→ |
제15회 ( 1979년) |
김진해 (처용무) 한진희 (맏며느리) |
→ |
최불암 ( 당신) 이낙훈 ( 천녀화) |
→ |
이정길 (뜨거운 손) |
제27회 ( 1991년) |
→ |
제28회 ( 1992년) |
→ |
제29회 ( 1993년) |
유인촌 ( 야망의 세월) |
→ |
이낙훈 ( 옛날의 금잔디) 최재성 ( 여명의 눈동자) |
→ |
최민수 ( 걸어서 하늘까지) |
한국방송대상 | ||||
탤런트상 | ||||
정영숙 (1978년) |
→ |
<colbgcolor=#FFFFA1,#5D5E00> 이낙훈 (1979년) |
→ |
송재호 (1980년) |
주현 고두심 (1991년) |
→ |
이낙훈 윤여정 (1992년) |
→ |
최재성 원미경 (1993년) |
전국구 제11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민주정의당 61석
|
|||||||
이재형 | 나길조 |
|
이용훈 | |||||
김기철 | ~~~~ |
|
~~~~ |
|
박동진 | |||
정원민 | 김정호 | 윤석순 | 김종호 | |||||
최상업 | 황병준 | 류근환 | 김용수 | |||||
박태준 | 박경석 | ---- |
|
이춘구 | ||||
김현자 | ~~~~ |
|
배성동 | 김사용 | ||||
이건호 | 신상초 | ---- |
|
김윤환 | ||||
정희채 | 김춘수 | 박현태 | 이양우 | |||||
박종관 | 고귀남 | ~~~~ |
|
김집 | ||||
지갑종 | 허청일 | 이상선 | 손춘호 | |||||
정시채 | 안교덕 | 최낙철 | 김모임 | |||||
~~~~ |
|
이윤자 | 이민섭 | 이영희 | ||||
김종인 | 박원탁 | 이상희 | 이영일 | |||||
이경숙 | 조남조 | ~~~~ |
|
이낙훈 | ||||
김영구 | 황설 | 하순봉 | 곽정현 | |||||
전병우 | 정창화 | 문용주 | 김유상 | |||||
장경우 | 유수환 | 김지호 | ~~~~ |
|
||||
강창희 | 이성배 | |||||||
민주한국당 24석
|
||||||||
~~~~ |
|
이태구 | 김문석 | 황산성 | ||||
양재권 | 정규헌 | 손태곤 | 신재휴 | |||||
이정빈 | 김진기 | 이중희 | 연제원 | |||||
최수환 | 서종렬 | 손정혁 | 김노식 | |||||
이의영 | 조주형 | 강원채 | 이윤기 | |||||
윤기대 | 이홍배 | 김형래 | 김덕규 | |||||
이용곤 | ||||||||
한국국민당 7석
|
||||||||
김영광 | 이필우 | 노차태 | 조정구 | |||||
김한선 | 김유복 | 강기필 | ||||||
제12대 ▶
|
}}} }}}}}} |
<colbgcolor=#595959><colcolor=#FFFFFF> 이낙훈 李樂薰|Lee Nak-hoon |
|
|
|
출생 | 1936년 3월 27일 |
경기도
경성부 아현정 (現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 |
|
사망 | 1998년 10월 7일 (향년 62세) |
서울특별시 중구 저동 백병원 | |
본관 | 전주 이씨[4] |
가족 | 아내 최영복, 슬하 1남 1녀 |
학력 |
서울덕수국민학교[5] (
졸업) 경기중학교 ( 졸업) 경기고등학교 (50회 / 졸업)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 미학 / 중퇴) 마이애미 대학교 ( 사학 / 학사) |
종교 | 가톨릭( 세례명: 아우구스티노) |
데뷔 | 1946년 KBS 라디오 드라마 <똘똘이의 모험>[6] |
의원 선수 | 1 |
의원 대수 | 11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배우, 정치인.생전 이순재와 절친한 친구[7]였으며 서울대학교 동문인데다 커리어와 입지도 비슷하고[8], 동양방송 성우 출신이기도 하다. 1962년 로미오와 줄리엣으로 데뷔한 것이 본격적인 커리어의 시작이었으며, 이순재, 김무생 등과 함께 초기 TBC 배우/성우계의 전담 간판이었다. 이후 드라마 외에도 영화, 연극 등 많은 작품에 꾸준히 출연했다.
2. 일생
1936년 경기도 경성부 아현정(현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 서소문 근방에서 마루보시운수(조선운송)에 다니던 이재순(李載淳)[9]의 아들로 태어나 유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덕수국민학교 재학 중이던[10] 1946년 10월에 KBS 어린이 라디오극 <똘똘이의 모험>에서 2대 복남이 역을 맡아 연기계에 발을 들였으며, <학교일기>에서 노마 역까지 맡았다. 그러나 경기중학교 재학 시절이던 1950년 6.25 전쟁 때 북한군에 의해 아버지를 잃어 가세가 기울었으며, 피난 당시 경기고등학교 재학 중에도 연극을 하여 학교 내에서 유명인이 됐다. 졸업 후 연세대학교 영문과 시험에 합격했으나 어머니의 반대로 대신 서울대학교 미학과 시험을 치렀고, 한 차례 낙방 후 1954년에 합격했다.대학 재학 중에도 연극에 몰두하다 어머니의 뜻에 따라 1957년에 화물선을 타고 미국 마이애미 대학교 사학과로 유학해 접시닦이 등으로 생계를 이어가며 학업에 몰두했다. 1960년 졸업 후 실험극단 '발코니'에 입단해 뉴욕 브로드웨이에서 공연하다 1961년 귀국 후 이듬해 극단 '드라마 센터'의 개관공연에 참여했다. 뒤이어 '실험극장'에 입단하여 김순철과 오현경, 황은진, 김성옥 등과 인연을 맺기도 했다. 1963년 극단 '산하' 창립에 참여했으나 다시 실험극장으로 돌아왔고, 1964년 연극 <리어왕>에서의 열연으로 제1회 동아연극상을 받았다. 반공물과 형사물에도 많이 출연했는데, 최불암이 범인잡는 반장이라면 이낙훈은 간첩잡는 반장으로 유명했다.
1962년 KBS-TV 개국 때 TV 탤런트와 외화 번역을 맡기 시작했으며, 1964년 동양TV 개국 때 이적해 <남과 북>과 <돼지>, <아내의 모습>, <달동네> 등 숱한 드라마에 얼굴을 많이 내밀었으며, 미국유학 때 갈고 닦은 영어 실력을 바탕으로 6백만불의 사나이라든지 형사 콜롬보 같은 미국 드라마들을 꽤 많이 번역하기도 했다. 1965년 김기덕 감독 작품 <용사는 살아있다>로 은막에서도 데뷔해 <청춘극장> 같은 굵직한 영화에도 모습을 드러냈으며, <킹콩의 대역습>과 < 오! 인천>에선 유창한 영어 솜씨를 선보였다. 그 외에 1979년부터 3년간 한국텔레비전방송연기자협회(현 한국방송연기자협회) 회장도 지냈다.
1981년엔 권정달의 권유로 정치권 진출을 시도해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후보로 나가 당선했으며, 임기 4년 동안 국회 문공위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한-멕의원친선협회 부회장 등을 지냈다. 퇴임 후 1987년에 영화제작/수입사 현대필코를 세워 1989년에 박범신 소설 <밀월>을 영화화했으나 기획 미스로 흥행에 실패했고, 1990년에 외화수입사 범진영화사도 세웠으나 결과는 마찬가지였으며 혈관수술까지 받는 등 건강에도 잠깐 적신호가 켜졌다. 1991년에 KBS1 일일연속극 <옛날의 금잔디>에서 칠순이 넘은 전직 교사 역으로 열연하여 KBS 일일연속극의 부활[11]을 이끌어내 그해 KBS 연기대상 대상을 받았다.[12][13]
그 뒤에도 배우로서 연기에 계속 전념하며 1991년부터 4년 동안 모교인 경기고 연극반 출신들이 만든 '화동연우회'의 초대 회장을 맡았고, 1998년 10월에 연극 <대한국인 안중근>에서 홍석구 신부 역으로 출연하려 했지만, 동월 4일 추석연휴를 보내다 호흡곤란으로 입원하면서 출연할 수 없게 되었다. 그리고 며칠 후 지병이던 당뇨병 등의 합병증으로 회복의 기회까지 놓쳐 7일 밤 8시 40분, 서울 백병원에서 사망하였다. 결국 홍석구 신부 역은 프랑스인 사제 마르셀 펠리스(배세영) 신부가 대신 맡게 되었다.
그의 시신은 서울 강남성모병원에 안치된 후 빈소가 차려졌으며, 강우일 주교와 오웅진 신부, 전두환 전 대통령, 동료 연예인들 등이 조문을 왔으며, 김대중 대통령도 조화를 보냈다. 살아생전에 가톨릭 신자였던 만큼 9일에 압구정동 성당에서 장례 미사를 치르고 용인 천주교 묘지에 안장됐다. 더불어 KBS 연기대상의 역대 대상 수상자들 중 최초로 고인이 된 배우이며, 26년 뒤인 2024년에 오현경마저 별세하여 사망자는 2명으로 늘었다.
생전에 이순재와는 막역한 사이였다. 실제로 이순재가 정계에 입문한 것도 이낙훈의 권유가 있었다고 한다. MBC <황금어장> ' 무릎팍도사' 코너 2009년 1월 14일 방영분에서 이순재가 직접 회고한 바, 기수 상 이낙훈이 선배였고 이낙훈이 좀 노안이였던지라 당연히 나이도 자기보다 형인 줄 알고 이순재가 늘 ‘이 선생’, ’이 형’이리고 부르며 선배 대접을 해주었다.[14] 어느 날 사주를 같이 보러 갔는데 그곳에서 이낙훈이 자기보다 나이가 어린 걸 알고 나오자마자 그 자리에서 욕 한 사발 한 다음 바로 말을 놓고 친구를 먹었다고 한다.
동료 원로 배우 선우용여도 이순재와 함께 나온 예능에서 회고를 하기를 순풍산부인과에서 이낙훈이 박영규( 박영규)의 아버지 역으로 나왔을 때 극중 손녀 박미달을 안아야 하는 씬이 있었는데, 땀을 뻘뻘 흘리며 힘이 없어서 안지를 못했다고 하며, 그 후 일주일 뒤 바로 사망했다고 안타까워 했다.[15] 영상
KBS를 대표하는 배우 중 한 사람이었기 때문에 모던코리아에도 의외로 자주 등장한다. 다만 인용된 자료들을 보면 배우로서가 아니라 프로그램 진행자(특히 다큐멘터리)로서도 많은 활약을 한 것을 알 수 있다.
3. 활동 내역
3.1. TV 드라마/시트콤
- 1964년 초설(TBC)
- 1964~1965년 눈이 나리는데(TBC)
- 1965년 나는 나대로(TBC)
- 1965년 연애소동(TBC)
- 1965년 TV지정석: 다릿목(TBC)
- 1965년 TV지정석: 정(TBC)
- 1965년 TV지정석: 공주성의 최후(TBC)
- 1965년 로맨스 가족(TBC)
- 1965년 바이엘 극장: 행방없는 사체(TBC)
- 1965년 바이엘 극장: 끈덕진 복수(TBC)
- 1965년 바이엘 극장: 정부(TBC)
- 1965년 바이엘 극장: 명동 살인사건(TBC)
- 1965년 바이엘 극장: 용의자(TBC)
- 1965년 연속사극 정경부인(TBC)
- 1965년 형사수첩: 백사장 살인사건(TBC)
- 1965년 형사수첩: 아베크 살인사건(TBC)
- 1965년 형사수첩: 제3의 용의자(TBC)
- 1965년 형사수첩: 어리석은 모정(TBC)
- 1965년 형사수첩: 유괴(TBC)
- 1966년 너는 너 나는 나(TBC)
- 1966년 애인을 교환합시다(TBC)
- 1966년 형사수첩: 누가 돌을 던졌는가(TBC)
- 1966년 우수부인(TBC)
- 1966년 인생화보(TBC)
- 1966년 오늘은 왕(TBC)
- 1966년 만고강산(TBC)
- 1966년 빙우(TBC)
- 1966~1967년 대원군(TBC)
- 1967년 그런데로 한세상(TBC)
- 1968년 사랑도 미움도(TBC)
- 1968~1969년 김옥균(TBC)
- 1969~1969년 금고할아버지(TBC)
- 1969년 배덕자(TBC)
- 1969년 124군부대(TBC)
- 1969년 제3국인(TBC)
- 1969~1970년 북에서 온 여인(TBC)
- 1969~1970년 무지개가족(TBC)
- 1970년 요꼬하마 김(TBC)
- 1970년 아내의 모습(TBC)
- 1970년 특별수사반: 5,000만원(TBC)
- 1970년 특별수사반: 뒤를 쫓아라(TBC)
- 1970년 동경유학생(TBC)
- 1970년 개미가족(TBC)
- 1970~1971년 첫남자(TBC)
- 1970~1971년 영친왕전하(TBC)
- 1970~1971년 흙손(TBC)
- 1971년 쌍무지개 뜨는 언덕(TBC) - 이창훈 역
- 1971년 유호극장: 봄나들이(TBC)
- 1971년 여인(TBC)
- 1971년 유호극장: 돼지(TBC)
- 1972년 형제(TBC) - 한동민 역
- 1972년 유랑극시리즈: 육혈포 강도(TBC)
- 1972년 만년형사(TBC)
- 1972년 유랑극시리즈: 검사와 여선생(TBC)
- 1972~1973년 생명(TBC) - 최동준 역
- 1973년 두 나그네(TBC)
- 1973년 세나의 집(TBC)
- 1973년 달래(TBC)
- 1973년 지난여름(TBC)
- 1973년 여보 정선달(TBC) - 특별출연
- 1974년 윤지경(TBC) - 윤현 역
- 1974~1975년 맏딸(TBC)
- 1974~1975년 인목대비(TBC) - 김제남 역
- 1975년 하얀장미(TBC)
- 1975년 의형제(TBC)
- 1975년 토요무대: 그늘(TBC)
- 1975~1983년 추적(TBC/KBS1)
- 1975년 님(TBC)
- 1975년 두 남편(TBC)
- 1975년 형사: 인과응보(TBC)
- 1975년 매화(TBC)
- 1976년 딸이 더 좋아(TBC)
- 1976년 별당아씨(TBC) - 유점도사 박현옥 역
- 1976~1977년 천녀화(TBC)
- 1977년 명작초대석: 불행한 여자의 행복(TBC)
- 1977년 그건 그려(TBC)
- 1977년 허부인전(TBC)
- 1977년 서울야곡(TBC)
- 1978년 언약(TBC)
- 1978년 파도여 말하라(TBC)
- 1978년 칸나의 뜰(TBC)
- 1979년 달동네(TBC) - 황 영감 역
- 1979년 종이달(TBC)
- 1979년 땅과 하늘사이(TBC)
- 1979년 철이의 군함(TBC)
- 1980~1981년 달동네(TBC/KBS1) - 김 과장 역
- 1980년 100분 드라마: 왜?(KBS1)
- 1981년 고향집(KBS1)
- 1981년 TV문학관: 배따라기(KBS1)
- 1981년 갈대를 기르는 땅(KBS2)
- 1982년 현대입지전: 고독한 횃불(KBS1) - 유일한 역
- 1982년 TV문학관: 어떤 여름방학(KBS1)
- 1984년 사랑하는 사람들(KBS1)
- 1985년 드라마게임: 다 큰나무(KBS2)
- 1985~1986년 빛과 그림자(KBS2)
- 1985년 전웅실록: 오성장군 김홍일(KBS1) - 이승훈 역
- 1985년 TV문학관: 우리들의 불꽃(KBS1)
- 1985년 TV문학관: 해녀 뭍에 오르다(KBS1)
- 1986년 TV문학관: 하늘만큼 먼 나라(KBS1)
- 1986년 TV문학관: 거미의 집(KBS1)
- 1986년 초혼가(KBS1)
- 1986년 노다지(KBS1) - 윤하섭 역
- 1986년 남십자성(KBS1)
- 1987년 큰 형수(KBS2)
- 1987년 땅에서도 이루어지소서(KBS1)
- 1988년 사로잡힌 영혼(KBS1) - 일점도사 역
- 1988년 조선백자 마리아상(KBS1)
- 1989년 MBC 베스트셀러극장: 신 용비어천가(MBC) - 보도국장 역
- 1989년 일출(KBS2)
- 1989년 바람과 구름과 비(KBS2) - 산수도인 역
- 1989년 조명하(KBS1) - 공장 사장 역
- 1990년 구리반지(KBS1)
- 1990년 드라마게임: 행복의 비탈길(KBS2)
- 1990년 조선왕조 오백년: 대원군 - 이규경 역
- 1991년 너두 늙어봐라(KBS1) - 이 노인 역
- 1991년 옛날의 금잔디(KBS1) - 윤인섭 역
- 1991년 드라마게임: 아버지의 모자(KBS2)
- 1991년 가을꽃 겨울나무(KBS2)
- 1992년 이별없는 아침(KBS2)
- 1992년 아버지(KBS1)
- 1992년 비 오는 날 오후(KBS2)
- 1992년 MBC 베스트극장: 거북이의 꿈(MBC)
- 1992년 겨울새(SBS)
- 1992년 장미정원(SBS) - 이 회장 역
- 1993년 연인(KBS2) - 이인상 역
- 1993년 희망(KBS2) - 지영달 역
- 1993년 우리들 뜨거운 노래(SBS) - 민찬호의 아버지 역
- 1993년 뜨거운 강(MBC)
- 1993~1994년 공룡선생(SBS)
- 1993년 드라마게임: 할머니의 남자(KBS2)
- 1994년 박봉숙 변호사: 2천만원짜리 저녁(SBS)
- 1994년 인간극장: 얼어붙은 시간(KBS1)
- 1994년 성냥갑 속의 여자(SBS)
- 1994년 사랑은 없다(SBS)
- 1995년 드라마게임: 미시부부(KBS2)
- 1995년 또 하나의 시작(KBS2)
- 1995년 장녹수(KBS2) - 김처선 역
- 1995년 해풍( PSB)
- 1995년 김구(KBS1) - 김가진 역
- 1995년 이가사 크리스티(SBS)
- 1995년 코리아게이트(SBS) - 이종찬 역
- 1995년 LA 아리랑: 요세미티에서 사랑을(SBS) - 여운계의 데이트 상대 역(특별출연)
- 1996년 드라마게임: 사랑전선 북상 중(KBS2)
- 1996년 덕혜: 조선의 마지막 왕녀(MBC) - 고종 역
- 1996년 만강(SBS) - 사또 역(특별출연)
- 1996년 만남(SBS) - 박 회장 역
- 1996년 드라마게임: 깊은 바다(KBS2)
- 1997년 불타는 노을(SBS)
- 1997년 드라마스페셜: 마지막 인사(KBS2)
- 1997년 욕망의 바다(KBS2) - 신학규 역
- 1997년 옴니버스 코미디 천일야화(SBS)
- 1997년 SBS 70분 드라마: 가방을 든 남자(SBS)
- 1997년 아름다운 죄(SBS) - 특별출연
- 1998년 삼김시대(SBS) - 김상만 역
- 1998년 MBC 베스트극장: 정아이야기(MBC)
- 1998년 결혼 7년(KBS2)
- 1998년 전설의 고향: 방울소리(KBS2)
- 1998년 미스터Q(SBS) - 윤상대 역
- 1998년 순풍산부인과(SBS) - 박영규의 아버지 역[16][17]
3.2. 영화
- 1961년 구두닦이 - 오석 역
- 1965년 란의 비가 - 허규식 역
- 1965년 용사는 살아있다 - 남일도 역
- 1965년 갯마을 - 성칠 역
- 1966년 친정어머니 - 완규(아심의 오빠) 역
- 1966년 계룡산 - 떡바우(머슴) 역
- 1966년 불타는 청춘
- 1966년 간첩작전 - 현정훈 역
- 1966년 태양은 다시 뜬다 - 동길(춘보의 차남) 역
- 1966년 잘 있거라 일본땅 - 정남식 역
- 1966년 스타베리 김[18] - 솔개미 역
- 1967년 청춘극장 - 장일수 역
- 1967년 임금님의 첫사랑 - 엄장수 역
- 1967년 안개낀 초원
- 1967년 원죄 - 한동석 역
- 1967년 안방마님 - 덕만 역
- 1967년 강명화 - 방한모(병천의 친구) 역
- 1967년 흙 - 유정한(살여울 갑부) 역
- 1967년 젯트부인 - 도치석(상진의 친구) 역
- 1967년 남남북녀 - 김 주임(형기의 선배) 역
- 1967년 두견새 우는 사연 - 만석(노총각) 역
- 1967년 여왕벌
- 1967년 가고파 - 이태섭 역
- 1967년 일지매 삼검객 - 최길보 역
- 1967년 안개 - 조한수 역
- 1967년 섬마을 선생 - 중갑(영주의 약혼자) 역
- 1967년 엘리지의 여왕 - 김 선생(가요학원장) 역
- 1967년 암행어사: 쌍마패 편 - 왕거인 역
- 1967년 처녀귀신 - 박덕호(고한수의 친구) 역
- 1967년 후회 - 장만석(용덕의 장남) 역
- 1967년 관광열차 - 아사달 역
- 1967년 연합전선 - 김성오 중사 역
- 1968년 형사수첩 - 전승기(공범, 운전수) 역
- 1968년 모정의 비밀
- 1968년 청등홍등 - 천만석(대지주의 아들) 역
- 1968년 나그네 검객 황금 108관 - 최가 역
- 1968년 순애보 - 명근(잡지사 편집장) 역
- 1968년 죽어도 한은 없다 - 수규(형남의 남편) 역
- 1968년 밀명 - 탁 소위 역
- 1968년 갈망 - 우세일 역
- 1968년 즐거운 청춘
- 1968년 구슬공주 - 뚝쇠 역
- 1968년 사직골 구서방 - 장명일(날치기꾼) 역
- 1968년 이수 - 백천 역
- 1968년 정든 님 - 만복 역
- 1968년 독수공방 - 김석중(포도대장) 역
- 1968년 그대 이름은 - 고승태 역
- 1968년 낙엽 - 박성환(동료 교사) 역
- 1968년 강산에 꽃이 피네 - 장 부장 역
- 1968년 칠보반지 - 선전관 역
- 1968년 방랑대군 - 효령대군 역
- 1968년 재혼
- 1968년 황혼의 부루스 - 삼렬(북한 간첩) 역
- 1968년 소라의 꿈
- 1968년 지옥의 십자로
- 1968년 분녀 - 왕 서방 역
- 1969년 어느 지붕밑에서 - 의사 역
- 1969년 장마루촌의 이발사 - 소경(동진의 친구) 역
- 1969년 사랑이라는 것은
- 1969년 목메어 불러봐도 - 종배 역
- 1969년 꽃네 - 만복 역
- 1969년 명동나그네 - 한 사장 역
- 1969년 식모 삼형제 - 허달(세탁소 주인) 역
- 1969년 안개낀 상해
- 1969년 심야의 대결 - 장 전무 역
- 1969년 파란 눈의 며느리 - 고민(고 영감의 차남) 역
- 1969년 봄·봄 - 몽태 역
- 1969년 상해탈출
- 1969년 떠나도 마음만은 - 혜영의 오빠 역
- 1969년 십오야의 복수 - 김진국 역
- 1969년 지옥에서 온 신사
- 1969년 주차장 - 기자 A 역
- 1969년 내일은 죽을지라도 - 문호식 역
- 1969년 250조
- 1969년 원님댁 - 이학준(석주의 친구) 역
- 1969년 늦어도 그 날까지 - 강성웅(외과 레지던트) 역
- 1969년 전하 어디로 가시나이까 - 홍영식 역
- 1969년 명동 출신
- 1969년 팔도사위 - 안성진 역
- 1969년 재생 - 김경훈(김연호의 아들, 와세다대 재학생) 역
- 1969년 노래하는 박람회
- 1970년 지하여자대학 - 박명호(작곡가) 역
- 1970년 낙엽따라 가버린 사랑 - 우동식 역
- 1970년 떠나야할 사람은 - 형식(훈의 생부) 역
- 1970년 민비와 마검 - 오카모토 류노스케 역
- 1970년 왜 여자만이 울어야 하나 - 준길(고아, 변호사) 역
- 1970년 신부일기
- 1970년 안개속의 탈출 - 윤 부장(신문사 문화부장) 역
- 1970년 아빠품에 - 동식(정일의 친구) 역
- 1970년 무영탑 - 팽개(부석의 제자, 석수) 역
- 1970년 당신은 여자 - 강현수(소설가) 역
- 1970년 대답해 주세요
- 1970년 울기는 왜 울어
- 1970년 명동부르스
- 1970년 젊은 아들의 마지막 노래 - 괴뢰(북한군) 부대장 역
- 1970년 버림받은 여자
- 1970년 번개같은 사나이
- 1970년 위험한 관계
- 1970년 속눈썹이 긴 여자
- 1970년 세조대왕
- 1970년 할아버지는 멋쟁이
- 1970년 비에 젖은 두 여인 - 꼬마 역
- 1971년 세상만사 뜻대로 - 달수(작은사위) 역
- 1971년 아무도 모르게 - 노인(산장지기) 역
- 1971년 개구장이 도련님 - 만석(영두네 집 하인) 역
- 1971년 내일의 팔도강산 - 이 사장 역
- 1971년 누야 와 시집안가노
- 1971년 빨간 마스크의 여인 - 마츠나카 역
- 1971년 떡국 - 우정(성숙의 남편) 역
- 1971년 슬픔을 외면할 때 - 박달수 역
- 1971년 사랑이 스쳐간 상처 - 이성우(의사, 미선의 남편) 역
- 1971년 케이라스의 황금[19]
- 1971년 미스리 - 지점장 역
- 1971년 대전장
- 1971년 황금독수리 - 하세가와 역
- 1971년 가슴이 터지도록
- 1971년 동과 서 - 성훈 역
- 1971년 연애교실
- 1971년 들개 - 만복 역
- 1971년 만나봐도 지금은 - 장 부장 역
- 1971년 말썽난 총각 - 백 교수 역
- 1971년 여창
- 1971년 성난 해병결사대
- 1971년 대감신랑
- 1971년 늦기 전에
- 1971년 춘색한녀 - 최 대감 역
- 1971년 죽도록 사랑했노라
- 1971년 어느 여도박사
- 1971년 쌍벌한 - 팔복 역
- 1971년 간다고 잊을소냐
- 1971년 내 아내여 - 박 대위 역
- 1971년 세 남매 - 계장 역
- 1971년 대합실의 여인 - 안성학 역
- 1972년 봄 여름 가을 그리고 겨울
- 1972년 새남터의 북소리 - 용팔 역
- 1972년 목소리 - 민규(정치보위부장) 역
- 1972년 밤길 - 욱 역
- 1972년 결혼반지 - 성태 역
- 1972년 아내여 미안하다 - 허 사장 역
- 1972년 미움이 변하여 - 장호(변호사) 역
- 1972년 엄마 찾아 천리길
- 1972년 작은 꿈이 꽃필 때(일명: 불타라 청춘) - 강 선생 역
- 1972년 헤어져도 사랑만은 - 김무열(광희의 친구) 역
- 1973년 해벽 - 남 과장 역
- 1973년 하숙인생
- 1973년 비련의 벙어리 삼룡 - 돌이 역
- 1973년 씻김불 - 노어부 역
- 1974년 설야 - 한순호(양부) 역
- 1974년 갈매기의 꿈 - 정인 역
- 1974년 멋진 사나이들 - 이상철 역
- 1974년 2박 3일 - 김주섭(동아은행 부장) 역
- 1974년 나상 - 김 회장 역
- 1974년 새마을 가족[20] - 윤근(아들) 역
- 1975년 정형미인 - 신태민 역
- 1975년 애처일기
- 1975년 망나니 - 김치삼(숙영의 백부) 역
- 1975년 연인들
- 1975년 잔류첩자 - 특무대장 역
- 1975년 타인의 숨결 - 신부
- 1975년 잃어버린 노래[21]
- 1975년 마지막 포옹 - 고 원장 역
- 1976년 강력계 - 박준걸(수사반장) 역
- 1976년 킹콩의 대역습 - 캡틴 김 역
- 1976년 울면 바보야
- 1976년 배덕자 - 박 주임 역
- 1976년 판문점 도끼살인
- 1977년 말해버릴까
- 1977년 돌종 - 손순 역
- 1977년 특별수사반 박쥐 - 박 반장 역
- 1978년 난중일기 - 선조 역[22]
- 1978년 판문점 미류나무 작전 - 이민우 역
- 1979년 여수
- 1979년 돌의 초상 - 최 노인 역
- 1979년 축 총각졸업 - 최 사장 역
- 1979년 나팔수 - 이 원장 역
- 1982년 오! 인천
- 1989년 밀월 - 제작
- 1989년 껄떡쇠 - 제작
- 1990년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 아버지 역
- 1990년 코리안 커넥션 - 조승환 역
- 1991년 사랑과 눈물
- 1993년 비오는 날 수채화 2 - 김 의원 역
- 1994년 증발 - 윤대보 역
- 1995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곽 교수 역
- 1995년 살아있는 갈대
3.3. 연극
- 1962년 시나리오 - 왈드먼 역
- 1962년 로미오와 줄리엣
- 1963년 열 개의 인디안 인형 - 워그레이브 역
- 1963년 안티고네 - 사령 역
- 1964년 순교자 - 장 대령 역
- 1964년 리어왕 - 리어 왕 역
- 1965년 청혼소동 - 박 군수 역
- 1965년 안도라 - 신부 역
- 1966년 증인(미공연) - 남 대령 역
- 1967년 화니 - 세자르 역
- 1969년 막난이 - 마당쇠 역
- 1969년 3개의 단막무대: 교행 - 이동숙 역
- 1969년 맥베스 - 맥베스 역(김순철과 더블캐스팅)
- 1970년 우리 읍내 - 웹 역(박규채와 더블캐스팅)
- 1971년 소
- 1971년 여름과 연기, 그리고 바람
- 1971년 햄릿 - 클로디어스 왕 역
- 1972년 오셀로 - 오셀로 역
- 1972년 맹진사댁 경사 - 김명정 역
- 1973년 춘향전 - 제작
- 1974년 티타임의 정사
- 1974년 그해 치네치타의 여름
- 1991년 그건 당신이 결정하세요 - 기획
- 1995년 볼포네 1995 - 판사 역
- 1996년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3.4. 라디오 드라마
- 1946년 똘똘이의 모험(KBS) - 복남이(2대) 역
3.5. 광고
- 동아제약 치옥탄 에스 지면광고 (1969~1975)
- 동아제약 판피린 에스: 앵무새 편 (1985)
- 롯데칠성음료 델몬트 오렌지쥬스 (1986)
- 애경산업 스파크 (1987)
- 논노 로데 (1987)
- 조선무약 솔표 솔감탕: 목욕 전 편 (1988): 이영하, 선우은숙과 공동출연
- 조선무약 솔표 우황청심원: 해외수출 편 (1989)
- 조선무약 솔표 솔감탕: 콩나물국 없다 편 (1990): 반효정과 공동출연
- 조선무약 솔표 우황청심원: 전통-수출-신뢰 편 (1990): 반효정 및 음정희와 공동출연
4. 수상 경력
- 제1회 동아연극제 남우주연상 (1964, 리어왕)
- 제9회 부일영화상 우수 신인상 (1966, 갯마을)
- TBC 연기대상 남자 주연상[23] (1970)
- 제7회 중도영화가요제 영화 부문 남우조연상 (1972)
- TBC 연기대상 공로상 (1972)
- 제14회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1978, 천녀화)
- TBC 연기대상 최우수 남자 연기상[24] (1978)
- 제6회 한국방송대상 TV 연기자상 (1979)
- KBS 연기대상 대상 (1991, 옛날의 금잔디)
- 제28회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1992, 옛날의 금잔디)
- 제19회 한국방송대상 TV 연기자상 (1992, 옛날의 금잔디)
- KBS 연기대상 공로상 (1998)
- SBS 연기대상 특별상 (1998)
5. 선거 이력
<rowcolor=#FFFFF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
5,776,624 (35.60%) | 당선 (56번) | 초선 |
6. 참고 자료
- 1991년 12월 28일 동아일보 인터뷰 기사
- 1997년 12월 22일 KBS2 <엄앵란 이택림의 사랑방> 이낙훈 편
-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프로필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항목
7. 둘러보기
전국구 제11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민주정의당 61석
|
|||||||
이재형 | 나길조 |
|
이용훈 | |||||
김기철 | ~~~~ |
|
~~~~ |
|
박동진 | |||
정원민 | 김정호 | 윤석순 | 김종호 | |||||
최상업 | 황병준 | 류근환 | 김용수 | |||||
박태준 | 박경석 | ---- |
|
이춘구 | ||||
김현자 | ~~~~ |
|
배성동 | 김사용 | ||||
이건호 | 신상초 | ---- |
|
김윤환 | ||||
정희채 | 김춘수 | 박현태 | 이양우 | |||||
박종관 | 고귀남 | ~~~~ |
|
김집 | ||||
지갑종 | 허청일 | 이상선 | 손춘호 | |||||
정시채 | 안교덕 | 최낙철 | 김모임 | |||||
~~~~ |
|
이윤자 | 이민섭 | 이영희 | ||||
김종인 | 박원탁 | 이상희 | 이영일 | |||||
이경숙 | 조남조 | ~~~~ |
|
이낙훈 | ||||
김영구 | 황설 | 하순봉 | 곽정현 | |||||
전병우 | 정창화 | 문용주 | 김유상 | |||||
장경우 | 유수환 | 김지호 | ~~~~ |
|
||||
강창희 | 이성배 | |||||||
민주한국당 24석
|
||||||||
~~~~ |
|
이태구 | 김문석 | 황산성 | ||||
양재권 | 정규헌 | 손태곤 | 신재휴 | |||||
이정빈 | 김진기 | 이중희 | 연제원 | |||||
최수환 | 서종렬 | 손정혁 | 김노식 | |||||
이의영 | 조주형 | 강원채 | 이윤기 | |||||
윤기대 | 이홍배 | 김형래 | 김덕규 | |||||
이용곤 | ||||||||
한국국민당 7석
|
||||||||
김영광 | 이필우 | 노차태 | 조정구 | |||||
김한선 | 김유복 | 강기필 | ||||||
제12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C97><tablebgcolor=#004C97>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C97><tablebgcolor=#004C97>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강창희 | 고귀남 | 고원준 | 고판남 | 곽정출 |
곽정훈 | 구용현 | 권영우 | 권익현 | 권정달 | |
김기철 | 김모임 | 김사용 | 김숙현 | 김식 | |
김영구 | 김영선 | 김용대 | 김용수 | 김용태 | |
김유상 | 김윤환 | 김재호 | 김정남 | 김정례 | |
김정호 | 김종기 | 김종인 | 김종호 | 김중권 | |
김지호 | 김진재 | 김집 | 김춘수 | 김현욱 | |
김현자 | 나길조 | 나석호 | 남재두 | 남재희 | |
류근환 | 류수환 | 문병량 | 문용주 | 박경석 | |
박권흠 | 박동진 | 박원탁 | 박유재 | 박윤종 | |
박익주 | 박재홍 | 박종관 | 박태준 | 박현태 | |
배명국 | 배성동 | 봉두완 | 손춘호 | 신능순 | |
신상식 | 신상초 | 심명보 | 안갑준 | 안교덕 | |
안병규 | 양창식 | 염길정 | 오세응 | 오한구 | |
왕상은 | 유경현 | 유상호 | 윤국노 | 윤길중 | |
윤석순 | 이건호 | 이경숙 | 이낙훈 | 이대순 | |
이민섭 | 이범준 | 이병직 | 이상선 | 이상익 | |
이상희 | 이성배 | 이세기 | 이양우 | 이영일 | |
이영희 | 이용호 | 이용훈 | 이윤자 | 이자헌 | |
이재우 | 이재형 | 이재환 | 이종찬 | 이진우 | |
이찬혁 | 이춘구 | 이치호 | 이태섭 | 이한동 | |
이해원 | 이효익 | 이흥수 | 임방현 | 임철순 | |
장경우 | 장성만 | 전병우 | 정남 | 정동성 | |
정석모 | 정선호 | 정시채 | 정원민 | 정재철 | |
정종택 | 정창화 | 정휘동 | 정희채 | 조기상 | |
조남조 | 조상래 | 조정제 | 조종호 | 지갑종 | |
진의종 | 채문식 | 천영성 | 최낙철 | 최명헌 | |
최상업 | 최영철 | 최창규 | 하순봉 | 한병채 | |
허청일 | 현경대 | 홍성우 | 홍우준 | 홍종욱 | |
황병준 | 황설 | 황인성 |
}}} }}}}}} |
[1]
당시에는 대상이 따로 없었고, 남자·여자 주연상이 최고의 상이었다.
[2]
당시에는 대상이 따로 없었고, 최우수 남자·여자 연기상이 최고의 상이었다.
[3]
다만 이 해에는 최고의 상으로 대상이 부활하여
강부자가 대상을 수상했다.
[4]
시조 39세, 안천대군파 20세손 낙(樂) 항렬. 아버지 이재순(李載淳)은 19세손 순(淳) 항렬.
[5]
現 서울덕수초등학교
[6]
이 인터뷰에서 이 때부터 연기 활동을 시작했다고 간주하고 있다.
[7]
이순재는
무릎팍도사 출연 당시 이낙훈이 젊을때 연기하다가 NG를 내던 일화를 회고할 때 “이낙훈 군”이라고 불렀다.
[8]
단, 나이는 이순재가 위지만, 이낙훈은 10살 때 아역 배우로 일찌감치 연기 커리어를 시작했기 때문에 경력상으로는 훨씬 더 선배다.
[9]
도쿄미술학교를 졸업하고 한동안
마루보시운수(조선운송)에서 일했다.
8.15 광복 후 1947년부터 1950년까지 조선운수주식회사 사장으로 재직했다.
[10]
4학년 때 그를 가르친 은사가 아동문학가
방기환(1923~1993)이었다.
[11]
원래 TBC와
MBC가 치열하게 싸우던 장르였으나 경쟁과다를
이유로 박통시절 정부가 금지크리를 먹였고 1995년까지
지상파 일일극은 없었다. 지금은
넷플릭스 같은 OTT로 인해 KBS를 제외하면 거의 자멸 위기이기는 하지만....
[12]
여담으로
KBS 9시 뉴스는
뉴스 방영 직전에 편성된 이 드라마의 인기에 힘입어
시청률 1위로 올라선 후
현재까지 20년 넘게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지키고 있다.(...)
[13]
소감으로 연초에 연기했던 설특집 드라마
너두 늙어봐라에 같이 출연했던 선배
석금성처럼 70이 넘어서도 연기를 계속하고 싶다는 소망을 밝혔는데 안타깝게도 60대 초반에 사망하면서 이루어지지 못했다.
[14]
아닌게 아니라 이낙훈이 사망하기 전에 막
환갑을 겨우 넘긴 나이였는데 당시 드라마를 보면 나이가 더 들어보였다. 건강이 좋지 못한데다 일찍 머리가 새서 그런 듯. 그 뿐만 아니라 이낙훈은 위에도 적혀있듯이 유년 시절에 아역 성우로 방송계에 발을 일찍 들인 케이스라 대학 이후에 연기 커리어가 시작된 이순재보다 경력이 위이긴 했다.
[15]
정확한 사망일자는 마지막 순풍산부인과 촬영일인 7월로부터 약 2개월 후에 사망했다. 아무래도 촬영을 같이 한 지 얼마 안 된 시점에서 고인이 바로 사망해 기억에 약간 오류가 있었는 듯 하다.
[16]
12회, 110회.
[17]
선우용여의 말에 의하면 극중 손녀인 미달이를 들어 올리는 장면이 있었는데 힘이 들어 그러지 못했고 출연 이후 2달 뒤에 별세했다. 고인의 유작인 셈.
[18]
홍콩과의 합작 영화.
[19]
이탈리아와의 합작 영화.
[20]
국립영화제작소 홍보영화.
[21]
문화영화.
[22]
실존인물과 배우 모두 같은
전주 이씨이다.
[23]
저 당시 남자 주연상이 실질적인 연기대상이었다.
[24]
저 당시 최우수남자연기상이 실질적인 연기대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