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00:13:02

부일영화상

대한민국의 영화 시상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3대 영화상
파일:daejongawards.png
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
파일:bluedragonawards3.png
파일:청룡영화상 로고.png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
기타 영화상
부일영화상 황금촬영상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춘사국제영화제 디렉터스컷 어워즈 올해의 독립영화상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올해의 영화상
들꽃영화상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벡델데이
폐지
씨네21 영화상 | 대한민국 영화대상 | 더 서울 어워즈
}}}}}}}}} ||


1. 개요2. 역대 수상
2.1. 작품상·감독상2.2. 주연상2.3. 조연상2.4. 신인상
3. 기록

1. 개요

부산일보사가 주최하는 영화 시상식이다.

1958년 3월 27일 부산 국제극장에서 제1회 시상식이 개최된 후 부산 지역 최대의 문화행사로 자리잡았으나 1970년대 들어 한국 영화계가 불황을 겪게 되면서 1973년 제16회를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 1996년 시작된 부산국제영화제의 성공으로 부산이 영상 산업 도시로 부각되는 흐름 속에서 2008년 35년만에 부활하여 부산국제영화제 기간 중에 개최하고 있다.

국내 3대 영화상인 대종상(1962년), 청룡영화상(1963년), 백상예술대상(1965년)보다 먼저 시작하여 현존 국내 영화상 중에는 가장 역사가 오래된 영화상이다.

다만, 흔히 언급되는 것처럼 최초의 영화상은 아니다. 최초의 한국 영화상은 1955년 사망한 배우 이금룡(李錦龍)을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붙인 금룡상(金龍賞)으로 1955년 10월 28일 제정되어 동년 12월 28일 제1회 금룡상 수상자가 선정되었으며, 1956년 1월 3일 시상식이 거행되었다.[1] 그러나 금룡상은 제2회 대회에서 아무도 심사위원 과반 득표라는 기준을 넘지 못해 시상 대상 없이 허무하게 끝났고 이후 재정 문제로 상 자체가 흐지부지 없어졌다. 그나마 제1회도 작품상도 없이 3명의 수상자가 전부라는 점에서 최초라는 것을 제외하면 사실상 존재감은 없다. 이외에도 1957년에는 (구)영평상[2], 1958년에는 전남일보상[3], 한국영화상[4], 대종상의 전신인 우수국산영화상[5] 등이 있었다.

2. 역대 수상

2.1. 작품상·감독상

<rowcolor=#fff> 연도 회차 최우수작품상 최우수감독상
1958 1 잃어버린 청춘 유현목 (잃어버린 청춘)
1959 2 인생차압 유현목 ( 인생차압)
1960 3 10대의 반항 김기영 ( 10대의 반항)
1961 4 로맨스 빠빠 이성구 (젊은 표정)
1962 5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신상옥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1963 6 아낌없이 주련다 유현목 (아낌없이 주련다)
1964 7 고려장 김기영 (고려장)
1965 8 잉여인간 유현목 ( 잉여인간)
1966 9 갯마을 김수용 ( 갯마을)
1967 10 만추 이만희 ( 만추)
1968 11 산불 김수용 (안개)
1969 12 카인의 후예 정소영 ( 미워도 다시 한번)
1970 13 독 짓는 늙은이 정소영 (잊혀진 여인)
1971 14 동춘 정진우 ( 동춘)
1972 15 분례기 유현목 (분례기)
1973 16 석화촌 정진우 ( 석화촌)
2008 17 밤과 낮 나홍진 ( 추격자)
2009 18 마더 윤제균 ( 해운대)
2010 19 홍상수 ( 하하하)
2011 20 고지전 김태용 ( 만추)
2012 21 은교 이한 ( 완득이)
2013 22 설국열차 류승완 ( 베를린)
2014 23 명량 홍상수 ( 우리 선희)
2015 24 무뢰한 곽경택 ( 극비수사)
2016 25 베테랑 이준익 ( 동주)
2017 26 택시운전사 김성수 ( 아수라)
2018 27 공작 이창동 ( 버닝)
2019 28 기생충 김태균 ( 암수살인)
2020 29 벌새 정지우 ( 유열의 음악앨범)
2021 30 모가디슈 이준익 ( 자산어보)
2022 31 헤어질 결심 김한민 ( 한산: 용의 출현)
2023 32 콘크리트 유토피아 정주리 ( 다음 소희)
2024 33 리볼버 김성수 ( 서울의 봄)

2.2. 주연상

<rowcolor=#fff> 연도 회차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1958 1 김승호 ( 시집가는 날) 주증녀 (실락원의 별)
1959 2 김승호 ( 인생차압) 최은희 (지옥화)
1960 3 김진규 (비극은 없다) 조미령 ( 10대의 반항)
1961 4 김진규 (박서방) 문정숙 (흙)
1962 5 김진규 ( 성춘향) 최은희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1963 6 신영균 ( 연산군) 이민자 (아낌없이 주련다)
1964 7 신성일 (가정교사) 황정순 ( 혈맥)
1965 8 김진규 ( 벙어리 삼룡) 김혜정 (아내는 고백한다)
1966 9 신성일 (흑맥) 최은희 ( 청일전쟁과 여걸 민비)
1967 10 신영균 (물레방아) 문정숙 ( 만추)
1968 11 박노식 (안개꽃 필 무렵) 주증녀 ( 산불)
1969 12 김진규 ( 카인의 후예) 문희 ( 카인의 후예)
1970 13 황해 ( 독 짓는 늙은이) 전계현 (잊혀진 여인)
1971 14 남궁원 (필녀) 윤정희 (첫경험)
1972 15 이순재 (분례기) 김지미 ( 옥합을 깨뜨릴 때)
1973 16 김희라 ( 석화촌) 윤정희 ( 석화촌)
2008 17 김윤석 ( 추격자) 수애 ( 님은 먼 곳에)
2009 18 하정우 ( 멋진 하루) 김혜자 ( 마더)
2010 19 정재영 ( 이끼) 문소리 ( 하하하)
2011 20 류승범 ( 부당거래) 정유미 ( 옥희의 영화)
2012 21 최민식 (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김민희 ( 화차)
2013 22 황정민 ( 신세계) 한효주 ( 감시자들)
2014 23 송강호 ( 변호인) 심은경 ( 수상한 그녀)
2015 24 이정재 ( 암살) 전도연 ( 무뢰한)
2016 25 이병헌 ( 내부자들) 손예진 ( 비밀은 없다)
2017 26 송강호 ( 택시운전사) 윤여정 ( 죽여주는 여자)
2018 27 이성민 ( 공작) 김희애 ( 허스토리)
2019 28 기주봉 ( 강변호텔) 전도연 ( 생일)
2020 29 이병헌 ( 남산의 부장들) 정유미 ( 82년생 김지영)
2021 30 유아인 ( 소리도 없이) 전종서 ()
2022 31 박해일 ( 헤어질 결심) 탕웨이 ( 헤어질 결심)
2023 32 이병헌 ( 콘크리트 유토피아) 김서형 ( 비닐하우스)
2024 33 정우성 ( 서울의 봄) 김금순 ( 정순)

2.3. 조연상

1959년 제2회부터 시상.
<rowcolor=#fff> 연도 회차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1959 2 최남현 ( 자유결혼) 황정순 ( 인생차압)
1960 3 최남현 ( 구름은 흘러도) 엄앵란 ( 구름은 흘러도)
1961 4 최무룡 (지상의 비극) 최지희 (정열없는 살인)
1962 5 이예춘 (현해탄은 알고 있다) 도금봉 ( 상록수)[6]
1963 6 허장강 ( 연산군) 한은진 ( 열녀문)
1964 7 김희갑 (쌀) 최지희 ( 김약국의 딸들)
1965 8 신영균 ( 잉여인간) 태현실 ( 잉여인간)
1966 9 남궁원 (순교자) 황정순 ( 갯마을)
1967 10 정민 윤인자
1968 11 허장강 ( 사격장의 아이들) 황정순 (만선)
1969 12 최봉 ( 카인의 후예) 전계현 ( 미워도 다시 한번)
1970 13 허장강 ( 봄·봄) 문정숙 (당신)
1971 14 이순재 (거북이) 한은진 (만종)
1972 15 김희라 ( 옥합을 깨뜨릴 때) 안인숙 (분례기)
1973 16 허장강 ( 소장수) 전양자 (밀녀)
2008 17 김민준 (사랑) 김해숙 ( 무방비도시)
2009 18 김인권 ( 해운대) 김보연 ( 불신지옥)
2010 19 유준상 ( 하하하) 윤여정 ( 하녀)
2011 20 고창석 ( 고지전) 김여진 ( 아이들…)
2012 21 조진웅 (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박지영 ( 후궁: 제왕의 첩)
2013 22 류승룡 ( 광해, 왕이 된 남자) 장영남 ( 늑대소년)
2014 23 곽도원 ( 변호인) 김영애 ( 변호인)
2015 24 이경영 ( 소수의견) 문정희 ( 카트)
2016 25 김의성 ( 부산행) 박소담 ( 검은 사제들)
2017 26 김희원 (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김수안 ( 군함도)
2018 27 주지훈 ( 공작) 김선영 ( 허스토리)
2019 28 박명훈 ( 기생충) 이정은 ( 기생충)
2020 29 이희준 ( 남산의 부장들) 이레 ( 반도)
2021 30 허준호 ( 모가디슈) 김선영 ( 세자매)
2022 31 임시완 ( 비상선언) 이수경 ( 기적)
2023 32 김종수 ( 밀수) 고민시 ( 밀수)
2024 33 송중기 ( 화란) 임지연 ( 리볼버)

2.4. 신인상

1960년 제3회부터 시상.
<rowcolor=#fff> 연도 회차 우수신인상
1960 3 이수현 (가난한 애인들)
1961 4 남양일 (젊은 표정)
1962 5 공미도리[7] (현해탄은 알고 있다)
1963 6 태현실 (아름다운 수의)
1964 7 최난경 (쌀)
1965 8 남석훈
1966 9 고은아, 이낙훈 ( 갯마을)
1967 10 남정임, 문희
1968 11 윤정희 (안개)
1969 12 남진
1970 13 김지수 (여성상위시대)
1971 14 김희라 ( 동춘), 김창숙 (만종)
1972 15 윤여정 ( 화녀)
1973 16 전영 (항구의 등불)
<rowcolor=#fff> 연도 회차 신인남자연기상 신인여자연기상 신인감독상
2008 17 임지규 ( 은하해방전선) - 오점균 ( 경축! 우리 사랑)
2009 18 소지섭 ( 영화는 영화다) 서우 ( 미쓰 홍당무) 양익준 ( 똥파리)
2010 19 송새벽 ( 방자전) 김새론 ( 여행자) 우니 르콩트 ( 여행자)
2011 20 이제훈 ( 고지전) 강소라 ( 써니) 박정범 (무산일기)
2012 21 김성균 (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김고은 ( 은교) 이광국 ( 로맨스 조)
2013 22 김준구 ( 미운오리새끼) 정은채 (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김병우 ( 더 테러 라이브)
2014 23 이주승 (셔틀콕) 임지연 ( 인간중독) 정주리 ( 도희야)
2015 24 변요한 ( 소셜포비아) 이유영 () 홍석재 ( 소셜포비아)
2016 25 태인호 ( 영도) 김태리 ( 아가씨) 윤가은 ( 우리들)
2017 26 구교환 ( 꿈의 제인) 최희서 ( 박열) 이현주 ( 연애담)
2018 27 김충길 ( 튼튼이의 모험) 김다미 ( 마녀) 전고운 ( 소공녀)
2019 28 성유빈 ( 살아남은 아이) 전여빈 ( 죄 많은 소녀) 김의석 ( 죄 많은 소녀)
2020 29 김대건 ( 호흡) 강말금 ( 찬실이는 복도 많지) 조민재 ( 작은 빛)
2021 30 하준 ( 잔칫날) 이유미 ( 어른들은 몰라요) 홍의정 ( 소리도 없이)
2022 31 이효제 ( 좋은 사람) 최성은 ( 십개월의 미래) 이정재 ( 헌트)
2023 32 김선호 ( 귀공자) 김시은 ( 다음 소희) 이지은 ( 비밀의 언덕)
2024 33 김영성 ( 빅슬립) 정수정 ( 거미집) 이정홍 ( 괴인)

3. 기록



[1] 1회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작품상 없음. 감독상 이강천( 피아골). 시나리오상 없음. 연기상 노경희( 막난이 비사). 녹음상 이경순( 춘향전). [2] 지금의 영평상과는 주관 단체명까지 똑같지만 다른 상이다. 2회 시상 후 중단됨 [3] 1회 시상 후 중단 [4] 산업경제신문사 주최, 1회 시상 후 중단 [5] 문교부 주관. 3회 시상 후 한국최우수영화상(1회)을 거쳐 대종상으로 개편됨. [6] 일부 언론에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로 나왔으나 주최측인 부산일보 기사에 따르면 '상록수'다. [7] 孔美都里. 본명은 공순경으로 재일교포다. [8] 1958년 잃어버린 청춘, 1959년 인생차압, 1963년 아낌없이 주련다, 1965년 잉여인간, 1972년 분례기 [9] 1958, 1959년 2연속 수상 [10] (1960년 비극은 없다, 1961년 박서방, 1962년 성춘향, 1965년 벙어리 삼룡, 1969년 카인의 후예) [11] 1960, 1961, 1962년 3연속 수상 [12] 1959년 지옥화, 1962년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1966년 청일전쟁과 여걸 민비 [13] 1963년 연산군, 1968년 사격장의 아이들, 1970년 봄·봄, 1974년 소장수 [14] 1959년 인생차압, 1966년 갯마을, 1968년 만선 [15] 2017년 여우주연상 죽여주는 여자, 2010년 여우조연상 하녀, 1972년 신인상 화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