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0ad7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판문하부사 | |||||||||
홍영통, 안종원, 권중화, 심덕부, 이화, 이거이, 조준, 김사형 | |||||||||
초대 이서 |
제2대 이거이 |
제3대 성석린 |
제4·5대 조준 |
||||||
제6대 성석린 |
제7대 이화 |
제8대 하륜 |
제9대 이서 |
||||||
제10대 하륜 |
제11대 성석린 |
제12대 하륜 |
제13대 성석린 |
||||||
제14대 남재 |
제15대 류정현 |
제16대 한상경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17대 심온 |
제18대 류정현 |
제19대 이직 |
제20대 황희 |
제21대 하연 |
}}} | |||
제21대 하연 |
제22대 황보인 |
||||||||
제22대 황보인 |
제23대 이유 |
||||||||
제24대 정인지 |
제25대 정창손 |
제26대 강맹경 |
제27대 정창손 |
||||||
제28대 신숙주 |
제29대 구치관 |
제30대 한명회 |
제31대 황수신 |
||||||
제32대 심회 |
제33대 최항 |
제34대 조석문 |
제35대 이준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6대 박원형 |
제37대 한명회 |
제38대 홍윤성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9대 윤자운 |
제40대 신숙주 |
제41대 정창손 |
제42대 윤필상 |
제43대 이극배 |
||||
제44대 노사신 |
제45대 신승선 |
제46대 한치형 |
제47대 성준 |
제48대 류순 |
}}} | ||||
}}}}}}}}} |
이극배 관련 틀
|
||||||||||||||||||||||||||||||||||||||||||||||||||||||||||||||||||||||||||||||||||||||||||||||||||||||||||||||||||||||||||||||||||||||||||||||||||||||||||||||||||||||||||||||||||||||||||||||||||||||||||||||||||||||||||||||||||||||||||||||||||||||||||||||||||||||||||||||||||||||||||||||||||||||||||||||||||||||||||||||||||||||||||||||||||||||||||||||||||||||||||||||||||||||||||||||||||||||||||||||||||||||||||||||||||||||||||||||||||||||||||||||||||||||||||||||||||||||||||||||||||||||||||||||||||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 |
출생 | 1422년( 세종 4) |
사망 |
1495년
7월 2일[1] (향년 72 ~ 73세) (음력 연산군 1년 6월 2일) |
재임기간 | 제43대 영의정 |
1493년
12월 23일[2] ~
1495년
4월 23일[3] (음력 성종 24년 11월 6일 ~ 연산군 1년 3월 20일) |
|
봉호 | 광릉부원군(廣陵府院君) |
시호 | 익평(翼平) |
본관 | 광주 이씨 |
자 | 겸보(謙甫) |
호 | 우봉(牛峰) |
부모 |
부친 -
이인손 모친 - 노신(盧信)의 딸 |
부인 | 최유종(崔有悰)의 딸 |
자녀 |
장남 - 이세충(李世忠) 차남 - 이세필(李世弼, ? ~ 1488) 3남 - 이세광(李世匡) 4남 - 이세주(李世柱) 장녀 - 홍효손(洪孝孫)의 처 차녀 - 남정(南禎)의 처 3녀 - 정해(鄭澥)의 처 |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성종 시기의 마지막 영의정이다.2. 생애
세조의 변덕으로 4일간 우의정을 지낸 것으로 유명한 이인손의 장남으로, 1422년( 세종 4년)에 태어났다. 무오사화와 관련하여 유명한 이극돈의 형이다.정사에서 처음 등장한 것은 《세종실록》 1442년(세종 24년) 8월 12일 기사이다. 그 무렵 유생들의 사고로 인해 성균관의 학관과 교관들이 의금부에 갇혔는데, 이 때 유학(幼學)으로 이름이 언급되었다.
26세이던[A] 1447년(세종 29년)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에 문과 급제했다. 사헌부 감찰로 관직 생활을 시작했고 #, 이후 병조의 좌랑이 되었으며 # 정랑으로 승진한 후에는 삼남 지방의 수령과 만호들 중 불법을 저지른 사람들을 탄핵시켰다. #
1455년(세조 원년) 세조가 왕이 된 직후에는 즉위에 공이 있다하여 3등 추충좌익공신으로 봉해졌다. # 그뒤 판통례문사와 예조 참의를 지냈고 # #, 1457년(세조 3년)에는 공조 참의와 경상도관찰사를 같이 맡았다. # 1년 뒤에는 첨지중추원사도 겸했다. 3
1459년(세조 5년)에는 '광릉군(廣陵君)'에 봉해졌으며 # 얼마 뒤, 병조 참판 직을 제수받아 한성으로 복귀했다. # 그뒤 지금의 서울특별시장 격인 한성부윤 직과 경창부윤을 거쳐 # # 예조 참판으로 일했다. # 그 사이에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반대로 명나라에서 사신이 올 경우 영접을 하기도 했다. # #
1460년(세조 6년)에는 당시 함길도 도체찰사였던 신숙주와 함께 야인 토벌에 공을 세웠다. # 그 뒤 경기도 관찰사를 거쳐 # 이조, 형조, 예조의 판서를 각각 지낸 후 # # # 평안도 관찰사로 부임했다. # 재직 중 아버지 이인손의 상을 당했고 #, 상이 끝난 후 충청도와 전라도에 방어진을 설치하기 좋은 곳을 가리기 위해 순찰사로 파견갔다. # 돌아온 후 사복장을 거쳐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 #, 병조판서 재직 중에 이시애의 난이 일어나자 이를 토벌하러 함길도로 간 평안도 절도사 한계미 대신 임시로 그 직을 맡았다가 곧 정식으로 절도사를 거쳐 관찰사까지 지냈다. # #
예종 즉위 후에는 의정부 우참찬으로 제수받고 # 곧 다시 병조판서로 복귀했다. #
성종 시기에도 계속 관직 생활을 이어나갔다. 의정부 좌참찬과 동지사를 지내고 전라도로 내려가 기근에 허덕이는 백성들을 구휼했다. 병조판서를 다시 역임했으며, 왜구의 침략을 대비하자는 한명회의 건의로 하삼도( 충청도 · 전라도 · 경상도)로 내려가 # 군열을 순찰했다. # 1479년(성종 10년)에는 광릉부원군으로 봉해졌고 #, 이후 영중추부사로서 호조판서를 겸했으며 # #, 나중에 우의정을 거쳐 성종이 죽기 1년 전인 1493년(성종 24년)에는 영의정 직까지 맡아 성종 시기 최후의 영의정으로 기록되었다. #
연산군이 즉위한 지 6달 뒤인 1495년(연산군 1년) 6월에 향년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A]
3. 가족과 후손
세조의 변덕으로 4일 간(...) 우의정을 지낸 것으로 유명한 이인손의 장남이다. 이극배의 할아버지는 청백리이자 참의를 지냈던 탄천 이지직이고, 이극배의 증조할아버지는 광주 이씨의 중흥조라 할 수 있는 둔촌 이집이다. 나머지 형제 넷도 고관 대작이 되었고, 이극배의 조카와 사촌 형제들도 모두 참판과 참의를 지냈다. 그의 광주 이씨 가문은 조선 전기 때 "팔극"이라 불렸을 정도로 상당한 이름을 날렸다.남동생이 4명이며, 그중 셋째 동생이 무오사화와 관련하여 유명한 이극돈이다. 광해군 시대의 주요 인물이었던 이이첨은 이극돈의 5대손이며, 막내 남동생인 이극균의 5대손이 이덕형이다. 아랫 동생 이극감의 아들은 이세좌인데, 바로 폐비 윤씨에게 사약을 배달한 장본인이라 하여 갑자사화 때 화를 입은 그 사람 맞다. 이세좌의 손자는 영의정까지 오른 이준경이다. 이들은 갑자사화 때 어린 아이라서 죽지는 않고 귀양을 갔다. 훗날 이준경은 명종 말과 선조 초기에 대표적인 원로 신하가 된다. 즉, 이극배의 집안은 조선 초 · 중기의 정치사를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명문가라고 할 수 있다.
부인은 경주 최씨로, 좌필선 최유종의 딸이다. 슬하에 4남 3녀를 두었다.
4. 대중매체
5. 묘역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88호[7] | ← | 90호 | → | 91호 |
상설고문진보대전 | 광주 이씨 광릉부원군파 묘역 | 양호거사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0호 | |
광주 이씨 광릉부원군파 묘역 廣州 李氏 廣陵府院君派 墓域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산 12-1, 12-4 |
시대 | 조선 시대 |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
수량 / 면적 | 분묘 12基, 석물 41基, 토지 2,279.8㎡ |
지정연도 | 1993년 4월 10일 |
관리자 (관리단체) |
광주 이씨 광릉부원군파 종회 |
<colbgcolor=#b82642> 광주 이씨 광릉부원군파 묘역[8] |
현재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에 이극배 및 자손들의 묘역이 있다. 이극배의 묘는 쌍분이다.
묘 앞에는 묘비, 상석, 장명등이 각각 1기, 문 · 무인석이 1쌍 씩 있다. 묘의 동쪽에는 그의 일생을 기록한 신도비가 있다. 이극배 사후 1년 뒤인 1496년( 연산군 2년)에 세운 것으로, 예조판서였던 신종호가 글을 지었다.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문을 올리고 그 위에 구름 모양을 조각한 지붕돌을 세운 형태이다. 그리고 신도비를 보호하기 위해 비각을 세웠다.
[1]
율리우스력
6월 23일
[2]
율리우스력
12월 14일
[3]
율리우스력
4월 14일
[A]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 기준.
[A]
[6]
〈
야인시대〉의
구마적 역으로 유명한
1966년 생 배우와는 동명이인.
[7]
89호
보타사 마애좌상은 2014년 7월 2일에 해제되고,
보물 1828호로 승격했다.
[8]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