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09:15:01

압뒬메지트 1세

압둘메지드 1세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22222, #c70125 20%, #c70125 80%, #b22222);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오스만 베이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오스만 1세 오르한 무라트 1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오스만 술탄
<rowcolor=#fff>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무라트 1세 바예지트 1세 메흐메트 1세 무라트 2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제7대 제6대2 제7대2
메흐메트 2세 무라트 2세 메흐메트 2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오스만 파디샤
<rowcolor=#fff>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메흐메트 2세 바예지트 2세 셀림 1세 쉴레이만 1세
<rowcolor=#fff>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셀림 2세 무라트 3세 메흐메트 3세 아흐메트 1세
<rowcolor=#fff> 제15대 제16대 제15대2 제17대
무스타파 1세 오스만 2세 무스타파 1세 무라트 4세
<rowcolor=#fff>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이브라힘 메흐메트 4세 쉴레이만 2세 아흐메트 2세
<rowcolor=#fff>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무스타파 2세 아흐메트 3세 마흐무트 1세 오스만 3세
<rowcolor=#fff>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무스타파 3세 압뒬하미트 1세 셀림 3세 무스타파 4세
<rowcolor=#fff> 제30대 제31대 제32대 제33대
마흐무트 2세 압뒬메지트 1세 압뒬아지즈 무라트 5세
<rowcolor=#fff> 제34대 제35대 제36대
압뒬하미트 2세 메흐메트 5세 메흐메트 6세
}}}
오스만 가문 당주
오스만 군주 · 튀르키예 대통령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thumbnail.svg.png
보편 칼리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정통 칼리파
초대 제2대 제3대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제4대 제5대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하산 이븐 알리1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우마이야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야지드 1세 마르완 1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아브드 알 말리크 왈리드 1세 술라이만 우마르 2세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야지드 2세 히샴 왈리드 2세 야지드 3세
제13대 제14대
마르완 2세
아바스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알 만수르 알 마흐디 알 하디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알 아민 알 마문 알 무타심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알 와시크 알 무타와킬 알 문타시르 알 무스타인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알 무타즈 알 무흐타디 알 무타미드 알 무타디드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알 무크타피 알 카히르 알 라디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알 무타키 알 무스탁피 알 무티 알 타이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알 카디르 알 카임 알 무크타디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알 라시드 알 묵타피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알 무스타디 알 나시르 알 자히르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알 무스타심 알 하킴 1세 알 무스탁피 1세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알 하킴 2세
제45대 제44대2 제46대 제45대2
알 무스타심 알 무타와킬 1세 알 와시크 2세 알 무스타심
제44대3 제47대 제48대 제49대
알 무스타인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알 카임 알 무타와킬 2세 알 무스탐식
제54대 제53대2 제54대2
알 무타와킬 3세 알 무스탐식 알 무타와킬 3세
오스만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셀림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오스만 2세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무라트 4세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마흐무트 1세 오스만 3세 무스타파 3세 압뒬하미트 1세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셀림 3세 무스타파 4세 마흐무트 2세 압뒬메지트 1세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압뒬아지즈 무라트 5세 압뒬하미트 2세 메흐메트 5세
제29대 제30대
메흐메트 6세 압뒬메지트 2세
^^ 1: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지만 하산도 잠깐 동안이지만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한다. }}}}}}}}}
<colbgcolor=#c70125><colcolor=#ffffff>
오스만 제국 제31대 파디샤
압뒬메지트 1세
عبد المجيد برنجی | I. Abdülmecit
파일:Abdulmejid_portrait.jpg
출생 1823년 4월 25일
오스만 제국 코스탄티니예
(現 튀르키예 마르마라주 이스탄불도 이스탄불 광역시)
사망 1861년 6월 25일 (향년 38세)
오스만 제국 코스탄티니예
(現 튀르키예 마르마라주 이스탄불도 이스탄불 광역시)
묘소 이스탄불 야부즈 모스크
재위기간 오스만 파디샤
1839년 7월 2일 ~ 1861년 6월 25일
서명 파일:압뒬메지트 1세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70125><colcolor=#fff> 아버지 마흐무트 2세
어머니 베즈미얄렘 술탄(출신: 조지아)
배우자 세르벳세쟈 카든에펜디 (출신: 체르케스)
셰브케프자 술탄 (출신: 체르케스)
뒤즈디딜 카든에펜디 (출신: 우비흐인[1])
티리뮈즈간 카든에펜디 (출신: 샵수그인[2])
귈제말 카든에펜디 (출신: 보스니아)
페레스튀 술탄 (출신: 우비흐인)
마히타브 카든에펜디 (출신: 다게스탄 출신 체첸인)
귈뤼스튀 하늠 (출신: 압하지야)
자녀 무라트 5세, 압뒬하미트 2세, 메흐메트 5세, 메흐메트 6세, 메흐메트 부르하네딘[3]를 포함한 19남 27녀
종교 이슬람 (수니파) }}}}}}}}}
1. 개요2. 생애
2.1. 어린시절2.2. 즉위2.3. 개혁안2.4. 사망
3. 여담

[clearfix]

1. 개요

오스만 제국의 31대 술탄이자 25대 파디샤. 마흐무트 2세의 아들이다.

2. 생애

2.1. 어린시절

1823년에 마흐무트 2세의 사실상 장남[4]으로 태어났다.

2.2. 즉위

마흐무트 2세가 결핵으로 사망하고 왕위에 오른 직후 탄지마트 개혁을 실시하였으며, 1843년부터 새로운 궁전인 돌마바흐체 궁전을 세우기 시작하여 1856년에 완공했다.[5]

러시아가 흑해 방면까지 세력을 확장하여 오스만 제국을 위협하자 러시아에 전쟁을 선포했으며, 전쟁이 종결된 후에는 백성들에게 시민권을 보장하고 종교에 따른 차별을 없애고자 했다.

2.3. 개혁안

압뒬메지트 1세의 주요 개혁안은 다음과 같다.[6]
  • 오스만 리라 발행
  • 징병제 도입
  • 새로운 국기와 국가
  • 서구 재정 시스템 도입
  • 서유럽인 판사 등용
  • 대학, 교육부 설립
  • 새로운 의회 창설
  • 노예시장 철폐
  • 동성애 비범죄화
  • 비무슬림에 대한 인두세( 지즈야) 폐지
  • 터번 착용 금지, 페즈와 유럽 복식 허용 및 관료 한정 의무화.

2.4. 사망

1861년에 결핵으로 사망하였다. 그의 시신은 야우즈 셀림 모스크에 안치되었다.

3. 여담

  • 아일랜드 대기근이 발생하자 아일랜드 측에 식량과 자금을 원조한 적이 있다. 이에 아일랜드인들이 감사 편지를 보내고, 일부 도시에선 도시의 문장에 오스만을 상징하는 초승달과 별을 추가하는 등으로 보답했다. 튀르키예어 자료


[1] 체르케스의 일파. [2] 체르케스의 일파. [3] 바예지트 오스만의 할아버지 [4] 이전에 태어난 왕자는 요절을 했다. [5] 본래 목조건물이던 궁전이 1814년의 대화재로 불탄 것을 청나라 원명원처럼 베르사유 궁전을 본 따 훨씬 더 화려하게 재건한 것이다. 결국 국력이 쇠잔한 오스만 제국의 재정에 막대한 타격을 입혀 파산을 초래하기까지 했다. 사실상 오스만 제국 판 경복궁 중건인 셈. [6] 일부는 보수적인 종교 세력 울레마의 반발로 시행되지 못했다. [7] 비공식적으로는 무라트 3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