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73180><tablebgcolor=#073180>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
감독 | 22 다카쓰 신고 |
1군 |
73
시마 모토히로(수석코치 겸 배터리코치) · 89
이토 도모히토(투수코치) · 98
이시이 히로토시(투수코치) 78 오마츠 쇼이츠(수석타격코치) · 74 스기무라 시게루(타격코치) · 87 후쿠카와 마사카즈(타격코치) 75 모리오카 료스케(내야수비·주루코치) · 82 마츠모토 유이치(외야수비·주루코치 겸 작전코치) |
|
2군 |
88
이케야마 타카히로(2군 감독) · 77
오바나 타카오(투수 수석코치) · 72
오노데라 치카라(투수코치) · 84
마츠오카 켄이치(투수코치) 79 시로이시 노리유키(수석 겸 수비·주루코치) · 81 사토 신이치(외야수비·주루코치) · 76 미야데 류지(타격코치) 83 키누가와 아츠시(배터리코치) · 95 도바시 카츠유키(육성수석코치) 92 야마모토 테츠야(육성투수코치)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틀: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시마 모토히로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 |
||||
2013 | 2021 |
2015 프리미어 12 {{{#c63 동메달}}} |
2015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포수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40 | 1947 | 1948 | 1949 | |||
타나카 요시오 한신군 |
도이가키 타케시 오사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아라카와 쇼지 쇼치쿠 |
노구치 아키라 나고야 |
히로타 쥰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히로타 쥰 요미우리 |
후지오 시게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도이 키요시 요미우리 |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야에가시 유키오 야쿠르트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무라타 신이치 요미우리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타니시게 모토노부 요코하마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야노 아키히로 한신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야노 아키히로 한신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이시하라 요시유키 히로시마 |
아이자와 츠바사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오오시로 타쿠미 요미우리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오오시로 타쿠미 요미우리 |
야마모토 유다이 DeNA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도이가키 타케시 마이니치 |
마츠이 아츠시 난카이 |
찰리 루이즈 마이니치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찰리 루이즈 마이니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오카무라 코지 한큐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무라카미 키미야스 롯데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카토 토시오 닛폰햄 |
나카자와 신지 한큐 |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
나카자와 신지 한큐 |
카가와 노부유키 난카이 |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야마시타 카즈히코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타무라 후지오 닛폰햄 |
요시나가 코이치로 다이에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나카지마 사토시 오릭스 |
요시나가 코이치로 다이에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죠지마 켄지 소프트뱅크 |
사토자키 토모야 롯데 |
호소카와 토오루 세이부 |
타노우에 히데노리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
호소카와 토오루 소프트뱅크 |
츠루오카 신야 닛폰햄 |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
이토 히카루 오릭스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스미타니 긴지로 세이부 |
타무라 타츠히로 롯데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오릭스 |
사토 토시야 롯데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
노동조합 일본프로야구선수회 역대 회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
<rowcolor=#ffffff>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나카하타 키요시 1985~1989 |
하라 타츠노리 1989~1992 |
오카다 아키노부 1992~1995 |
쇼다 코우조 1995~1998 |
후루타 아츠야 1998~2005 |
|
<rowcolor=#ffffff>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미야모토 신야 2005~2008 |
아라이 타카히로 2008~2012 |
시마 모토히로 2012~2017 |
스미타니 긴지로 2017~2021 |
아이자와 츠바사 2021~ |
}}} ||
|
|
<colbgcolor=#073180>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No.73 | |
시마 모토히로 嶋基宏 | Shima Motohiro |
|
출생 | 1984년 12월 13일 ([age(1984-12-13)]세) |
기후현 카이즈군 카이즈정 (現 기후현 카이즈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츄쿄대학 부속 츄쿄고등학교 - 코쿠가쿠인대학 |
신체 | 179cm, 84kg |
포지션 | 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06년 대학생·사회인 드래프트[1] 3순위 (라쿠텐) |
소속팀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07~2019)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020~2022) |
지도자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코치 보좌 (2022, 선수 겸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배터리코치 겸 작전보좌 (2023)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수석코치 겸 배터리코치 (2024~) |
[clearfix]
1. 개요
라쿠텐의 프랜차이즈 스타 포수 시절 |
前 일본프로야구 선수. 現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수석코치 겸 배터리코치.
현역 시절엔 명포수 출신이었던 노무라 카츠야 감독의 조련 아래 뛰어난 수비 실력을 주무기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초창기와 2013년 첫 우승을 지탱했던 프랜차이즈 스타임과 동시에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에도 선출되었으며, 말년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이적해 현역 생활을 마치고 코치를 맡고 있다.
2. 현역 시절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 단골 출전 학교인 아이치현의 츄쿄대학 부속 츄쿄고등학교와 코쿠가쿠인대학을 졸업하고 2006년 대학생·사회인 드래프트에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에 3순위로 지명받아 입단했다.2.1.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시절
신인인 2007년부터 팀의 개막 로스터에 신인으로썬 유일하게 포함되었으며 125경기에 출전해 올스타전에도 출장학 도루저지율 리그 2위를 찍는 등의 활약을 보여줬다. 다만 리그 포일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타율 .183의 부족한 타격 실력이 과제로 남았다.2008년과 2009년엔 다른 포수들과 주전 자리를 놓고 경쟁하느라 확고하게 자리를 잡지 못했지만, 2010년에 기량이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커리어 첫 규정타석 도달과 함께 처음이자 마지막 타율 3할(.315)을 기록하고 베스트나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골든글러브 수상은 라쿠텐 구단 창단 이래 최초.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연고지인 센다이시가 많은 피해를 입었고[2], 이후 피해 지역의 부흥 지원을 위해 개최된 자선시합에서 팬들에게 "보여줍시다. 야구의 저력을(見せましょう、野球の底力を)"이라는 멘트를 남기며 주목을 받았다. 정규시즌에선 에이스인 다나카 마사히로와 배터리를 짠 경기에서 18승 2패 방어율 0.998이란 뛰어난 성적으로 최우수 배터리상[3]을 수상했다.
2012년은 부상으로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으나 리그 2위이자 개인 최고의 수비율 .997를 기록했다. 그리고 같은 해에 일본프로야구선수회[4] 제8대 회장으로 선출되어 사상 최연소인 27세 취임 및 퍼시픽리그 최초의 선수협 회장이 되었다.
2013년에는 구단 창설 이래 최초의 퍼시픽리그 우승과 일본시리즈 제패에 공헌했고, 작년에 이어 다나카 마사히로와 함께 2번째 최우수 배터리상과 함께 3년 만의 베스트나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2015년에는 프리미어12의 일본대표팀에 선발되기도 했고, 이후 2018년까지 꾸준히 라쿠텐의 주전 포수로 출장을 이어갔으나 2019년엔 요통 악화로 57시합 출장에 공수 양면에서 매우 악화된 성적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라쿠텐 구단은 시마에게 삭감량 제한[5]을 넘기는 연봉을 제시했고, 시마는 이 제안을 거절한 채 출장 기회를 잡을 수 있는 다른 구단을 찾기 위해 자유계약으로 풀어줄 것을 요청하여 팀을 떠나게 되었다.
이후 뎁스가 좋지 못한 투수진을 이끌어 줄 베테랑 포수를 원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 2년 총액 5천만엔의 계약을 맺고 이적했다.
2.2.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시절
이적 첫 해인 2020년엔 연습경기에서 데드볼로 오른손 부상을 당해 결장이 불가피해졌으나, 코로나19로 정규시즌 개막이 6월로 연기된 탓에 개막까지 여유가 생긴 데다 주전 포수였던 나카무라 유헤이가 상반신 통증으로 팀을 이탈하게 되면서 개막전부터 주전 포수를 꿰찼다. 그러나 7월 11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수비 도중 또 다시 오른발 주상골 골절을 당하면서 2군에 내려가야 했고, 결국 10월에야 다시 1군으로 콜업되었으나 최종적으로 작년보다 더 줄어든 20시합 출장에 타율 .098(41타수 4안타) 0홈런 4타점의 부진한 성적에 그치고 말았다.2021년에도 15시합 출장에 그쳤지만 벤치에서 베테랑으로써 팀의 분위기를 복돋우는 무드 메이커 역할을 수행했고, 같은 해 야쿠르트가 20년 만의 일본시리즈 제패에 성공하면서[6] 이적한 팀에서 또 다시 우승을 맛보는 경사를 누렸다.
2022년엔 코치 보좌를 맡으면서 선수 겸 코치로 뛰게 되었고, 9월 27일에 은퇴를 선언했다. 10월 3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전에서 은퇴경기를 치르며 선수 생활을 마감했고, 팬들과의 마지막 인사 때 과거 2011년 본인의 발언을 따온 "보여줍시다.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저력을!"이란 멘트를 남기며 2022년 일본시리즈 제패에 도전하는 동료들을 응원했다.[7]
3. 플레이 스타일
리그 수준급의 도루 저지율을 기록할 정도의 빠르고 정확한 송구가 강점. 소개란에서 서술한 대로 노무라 카츠야의 지도[8]를 받으며 리드에서도 준수한 평가를 받는다.타격은 타율 3할을 1번 찍은 것 외엔 평범한 성적을 기록한 전형적인 수비형 포수였지만 좌완 투수에게 강했다.
4. 여담
- 노무라 카츠야 감독은 포수의 두뇌가 좋지 않으면 안된다는 지론을 가지고 있어 코치에게 주전포수 후보 여러 명의 중학생 시절의 성적표를 가져올 것을 지시했는데, 이들 중 시마의 학창 시절 성적이 가장 좋아 당시 신인이었던 시마를 곧바로 1군에서 기용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 전임 회장인 아라이 타카히로에게 선수회 회장을 처음 제의받았을 때 거절했지만, 아라이의 끈질긴 설득과 열정에 결국 회장직을 수락했다.
5. 관련 문서
[1]
2005년부터 2007년까진 고교야구 선수를 뽑는 드래프트와 대학야구, 사회인야구 선수를 뽑는 드래프트를 분리해서 진행했다.
[2]
도시 파괴에 사망자, 부상자, 이재민이 많이 발생한 것은 말할 것도 없고, 홈구장인
미야기 구장도 피해를 본 탓에 시즌 초반에 임시로
홋토못토 필드 고베를 대체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3]
1991년부터 제정된 상으로, 센트럴/퍼시픽 양 리그에서 각각 배터리(투수 1명-포수 1명) 1쌍을 선정해 시상한다.
[4]
이 단체는
KBO 리그의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와 달리 노동조합으로 인정받고 있다.
[5]
일본프로야구는 규정상 연봉 1억엔 미만일 시 최대 25%, 1억엔 이상일 시 최대 40% 삭감이 가능하며 규정 이상의 삭감엔 선수 본인의 동의가 필요하다.
[6]
시마 본인도 엔트리엔 들어갔으나
나카무라 유헤이가 시리즈 전 경기에 풀이닝 출장하며 맹활약한 탓에 경기엔 출장하지 못했다.
[7]
그러나 아쉽게도 야쿠르트는 4차전 이후의 수비 붕괴와 빈타로 작년의 상대였던
오릭스 버팔로즈에게 우승을 내주고 말았다.
[8]
노무라는
야쿠르트 스왈로즈 감독 시절
후루타 아츠야를 열중쉬어 자세로 세워놓고 플레이에 대한 지적을 했는데 라쿠텐 감독을 맡으면서 시마에게도 같은 방식으로 조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