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
요미우리 자이언츠 2024 시즌 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10 카이 타쿠야 · 22 고바야시 세이지 · 24 오시로 타쿠미 · 27 기시다 유키노리 · 37 고리 다쿠야 · 67 야마세 신노스케 · 94 키타 류스케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카이 타쿠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카이 타쿠야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 시리즈 우승반지 |
||
2014 | 2015 | 2017 | |
2018 | 2019 | 2020 |
2017 APBC {{{#c7bc69 우승}}} |
2017
|
2020 도쿄올림픽 {{{#c7bc69 금메달}}} |
2021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c7bc69 우승반지}}} |
2023 |
데니스 사파테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 |
카이 타쿠야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 |
유리스벨 그라시알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포수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40 | 1947 | 1948 | 1949 | |||
타나카 요시오 한신군 |
도이가키 타케시 오사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아라카와 쇼지 쇼치쿠 |
노구치 아키라 나고야 |
히로타 쥰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히로타 쥰 요미우리 |
후지오 시게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도이 키요시 요미우리 |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야에가시 유키오 야쿠르트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무라타 신이치 요미우리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타니시게 모토노부 요코하마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야노 아키히로 한신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야노 아키히로 한신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이시하라 요시유키 히로시마 |
아이자와 츠바사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오오시로 타쿠미 요미우리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오오시로 타쿠미 요미우리 |
야마모토 유다이 DeNA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도이가키 타케시 마이니치 |
마츠이 아츠시 난카이 |
찰리 루이즈 마이니치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찰리 루이즈 마이니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오카무라 코지 한큐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무라카미 키미야스 롯데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카토 토시오 닛폰햄 |
나카자와 신지 한큐 |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
나카자와 신지 한큐 |
카가와 노부유키 난카이 |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야마시타 카즈히코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타무라 후지오 닛폰햄 |
요시나가 코이치로 다이에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나카지마 사토시 오릭스 |
요시나가 코이치로 다이에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죠지마 켄지 소프트뱅크 |
사토자키 토모야 롯데 |
호소카와 토오루 세이부 |
타노우에 히데노리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
호소카와 토오루 소프트뱅크 |
츠루오카 신야 닛폰햄 |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
이토 히카루 오릭스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스미타니 긴지로 세이부 |
타무라 타츠히로 롯데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오릭스 |
사토 토시야 롯데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포수 골든글러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와카나 요시하루 한신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키도 카츠히코 한신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타니시게 모토노부 요코하마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야노 아키히로 한신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야노 아키히로 한신 |
타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타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타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
죠지마 켄지 한신 |
타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타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이시하라 요시유키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코바야시 세이지 요미우리 |
우메노 류타로 한신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사카모토 세이시로 한신 |
야마모토 유다이 DeNA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타네모 마사유키 한큐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무라카미 키미야스 롯데 |
아리타 슈조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카토 토시오 닛폰햄 |
나카자와 신지 한큐 |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오오미야 타츠오 닛폰햄 |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나카지마 사토시 오릭스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타무라 후지오 닛폰햄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타카다 마코토 오릭스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죠지마 켄지 다이에-소프트뱅크 |
사토자키 토모야 롯데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사토자키 토모야 롯데 |
호소카와 토오루 세이부 |
츠루오카 신야 닛폰햄 |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
호소카와 토오루 오릭스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스미타니 긴지로 세이부 |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
이토 히카루 오릭스 |
스미타니 긴지로 세이부 |
오노 쇼타 닛폰햄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와카츠키 켄야 오릭스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 ||
}}} ||
카이 타쿠야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62번 | ||||
아리마 쇼 (2013) |
→ |
카이 타쿠야 (2014~2019) |
→ |
우미노 타카시 (2020~)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19번 | |||||
아리엘 미란다 (2018~2019) |
→ |
카이 타쿠야 (2020~2024) |
→ | 결번 | |
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10번 | |||||
나카타 쇼 (2021~2023) |
→ |
카이 타쿠야 (2025~) |
→ | 현역 |
}}} ||
|
|
<colbgcolor=#000000><colcolor=#fd5a1e> 요미우리 자이언츠 No.10 | |
카이 타쿠야 [ruby(甲斐, ruby=かい)] [ruby(拓也, ruby=たくや)] | Takuya Kai |
|
출생 | 1992년 11월 5일[1]([age(1992-11-05)]세) |
오이타현 오이타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요시칸고등학교 |
신체 | 167cm | 87kg | O형 |
포지션 | 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10년 육성선수 드래프트 6순위 ( 소프트뱅크) |
소속팀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1~2024) 요미우리 자이언츠 (2025~) |
국가대표 |
|
등장곡 | ぱんち☆ゆたか - 〈あなたに贈る歌〉 |
응원가 | 응원단 자작곡[2] |
연봉 | 2025 / ¥210,000,000 |
[clearfix]
1. 개요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의 포수. 현재 일본프로야구 최고의 수비력을 자랑하는 포수로 인정받는다.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초등학교 3학년 때 야구를 시작했고 처음엔 내야수로 출전했었다. 고등학교 입학 후 본격적으로 포수로 전향해 2학년 때 주전 포수로써 야구부를 팀을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 오이타현 예선 8강까지 이끌었지만 2024년까지 팀 동료로 뛴 이마미야 켄타가 이끄는 메이호 고교를 만나 완봉패를 당하며 8강에서 떨어졌다. 고교 통산 40홈런을 쳤는데 이중 25개를 3학년 때 몰아쳤다.3학년 마지막 대회를 치른 후 2010년 드래프트에 참가했고, 소프트뱅크의 육성선수 6순위로 지명받아 프로에 입단했다. 드래프트가 끝난 뒤 실시하는 육성선수 드래프트 지명 순번에서도 뒤로 밀려나 6순위로 지명을 받았다는 점에서 이때까지만 해도 카이에 대한 기대치는 그렇게 크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3]
2.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2.1. 2017 시즌 이전
2011년부터 2013년까지는 1군 출전도 없이 2, 3군 경기에만 주로 출전했다. 그러다가 2014년 6월 7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 전에서 데뷔 첫 1군 경기 출전을 달성했다. 당시 등록명은 이름만 따온 타쿠야. 이날은 대수비로만 출전해 타석에 서지는 못했다.2015년 역시 개막전 1군 엔트리 등록은 이뤄냈지만 이후 별다른 활약 없이 수비로 1경기에 나서는데 그쳤다.
2016년 6월 16일 야쿠르트 스왈로즈와의 메이지진구 야구장 원정경기에서 9회 대타로 출전해 데뷔 첫 안타와 타점인 적시 2루타를 날렸다. 하지만 이 안타 이후에도 별다른 기회는 보장받지 못했고 13경기에 출전해 수비기회 18회(척살 16회, 보살 2회)가 전부였다.
2.2.2. 2017 시즌
등록명을 풀네임으로 바꾸며 시즌을 맞이했다. 미야자키 스프링 캠프에서 팀내 포수들과 치열한 주전 경쟁 끝에 개막전 엔트리 진입에 성공. 4월 2일 치바 롯데 마린즈와의 홈경기에서 데뷔 후 처음으로 선발 출장했다. 5월 2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홈경기에서 프로 첫 홈런을 역전 만루홈런으로 장식하는 진기록도 세웠다. 이 해엔 주로 히가시하마 나오와 센가 코다이, 이시카와 슈타, 마츠모토 히로키 등 젊은 선발 투수들과 배터리를 이뤘으며 커리어 최다인 103경기에 출전하며 히가시하마의 다승왕과 센가의 최고 승률 타이틀 획득에 공헌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와 일본시리즈에서도 히가시하마와 센가의 선발 등판때 마스크를 쓰며 호흡을 맞추었고. 10월 28일 홈구장에서 열린 일본시리즈 1차전에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를 상대로 센가와 본인의 포스트시즌 첫 승리와 일본시리즈 역사상 최초의 육성선수 출신 투수의 1차전 등판과 첫 승리를 같은 육성선수 출신인 본인이 함께 합작하면서 팀의 일본시리즈 제패에 공헌했다.시즌 종료 후 10월 12일에 제 1회 APBC 일본 대표팀으로 선출되었다. 11월 9일에는 육성선수 출신의 포수로서는 사상 최초의 골든 글러브 수상에 성공했고 같은 달 17일에는 육성 출신 선수로서 첫 베스트 나인까지 수상했다. 12월 19일 연봉 협상에서 3,100만엔 인상된 4,000만엔(추정)에 계약하며 육성선수 성공 신화를 작성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103경기 257타석 207타수48안타 5홈런 18타점 30득점 4도루 타율 .232 출루율 .323 장타율 .372 OPS .695 또한 이 시즌 도루저지율은 .324를 기록하면서 이때부터 강한 어깨를 야구계에 어필하기도 하였다.
2.2.3. 2018 시즌
자신의 한 시즌 최다 출전 기록을 133경기로 갱신하였다. 다만 타율은 지난해보다 떨어진 363타석 타율 .213으로 부진하였으나 7개의 홈런을 쏘아올리며 뜬금포 능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0.447의 높은 도루저지율을 기록했다. 이는 정규시즌 1위의 기록. (2018년 도루 저지율 0.400조차 기록한 포수가 없다는데서 볼 수 있듯이 압도적인 성적.)2018년 일본시리즈에서 14타수 2안타(타율 .143) 무타점으로 공격에서는 매우 부진했지만 팀도루 1위 팀이던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도루 시도 6번을 전부 막아내는 등 히로시마의 강점인 기동력 야구를 완벽히 무력화시키며 일본시리즈 MVP를 수상했다. 포스트시즌으로 범위를 넓혀보면 퍼스트 스테이지에서 정상급의 빠른 발을 자랑하는 닛폰햄의 니시카와 하루키에게 도루 2개를 허용한 것을 제외하면 도루 시도를 전부 잡아냈다.
2.2.3.1. 2018 시즌 일본시리즈에서의 진기록
- 1시리즈에서 6번 도루 저지를 기록한 포수는 1952년 히로타 쥰(요미우리) 이후 66년만의 타이 기록이며 두 번째 기록이다.
- 6연속 도루 저지는 1952년 히로타 쥰(요미우리), 1958년 후지오 시게루(요미우리)[4]의 기록을 경신했다.
- 2017년 일본시리즈에서도 도루저지 1회를 성공하여, 2년에 걸친 일본시리즈에서 7연속 도루 저지 행진 중이다. 저지율은 당연히 10할.
- 2018년 일본시리즈에서 6차전을 치르는 동안 양 팀 모두 딱 1번 도루를 성공했는데 재밌게도 그 도루를 성공한 선수가 카이 본인이었다.
2.2.4. 2019 시즌
커리어 처음으로 타율이 2할 5푼을 넘기고(.260) 11홈런을 기록하며 커리어하이를 찍었다. 시즌 후 열린 2019 WBSC 프리미어 12에도 발탁되어 대표팀의 우승에 기여하였다.2.2.5. 2020 시즌
컨택이 이전으로 회귀하는 바람에 2할 초반의 낮은 타율에 머물렀다. 대신 장타력은 죽지 않아서 10홈런을 넘겼다.2.2.6. 2021 시즌
2021년에는 도쿄 올림픽 대표팀에 선발되어 금메달을 목에 거는 영예를 안았다.
2.2.7. 2022 시즌
2022년에는 장점은 퇴색되고 단점만 부각되면서 소프트뱅크 타선의 구멍으로 전락해 팀의 적폐로 몰리고 말았다. 시즌 전에 후지모토 히로시 신임 감독에게 떨어지는 컨택 능력을 지적받고 대선배 죠지마 켄지의 어드바이스를 받으며 타격 개선에 나섰는데 오히려 성적이 더 폭락해서 컨택은 2할도 어려울만큼 더욱 답이 없어졌고 10홈런 내외는 기대할 수 있던 장타력도 완전히 죽어버렸다. 심각한 점은 타격에서만 이렇게 된 것이 아니라는건데 한때 대표팀 승선이 보증되는 수준이던 수비력과 어깨도 이전보다 퇴보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공수에서 완전히 답이 없어진 상태.그러나 이렇게 부진한 시즌을 보내고도 골든글러브와 베스트나인을 수상했다. 골든글러브는 받을 만 했지만 문제는 베스트나인. 타율 .180 1홈런 OPS .498 wRC+ 58 WAR 0.5이라는 처참한 타격 성적으로 타율 .251 8홈런 OPS .718 wRC+ 120 WAR 3.7을 기록한 모리 토모야를 41표 차이로 제치고 베스트나인으로 선출되었다. 아무리 베스트나인이 명분상 공격뿐만이 아닌 전반적인 성적을 바탕으로 평가한다지만 누가 봐도 자격이 없어보이는 성적임에도 이러한 결과가 나왔으니 당연하게도 대다수의 야구팬들은 어이가 없고 황당하다는 반응.
2.2.8. 2023 시즌
개막 직후에는 2할대 중반대의 타율로 그럭저럭 괜찮은 출발을 보이면서 전년도의 타격 부진을 만회하는 듯 싶었으나 얼마 못 가 1할대 타율로 회귀해버렸다.그나마 2할 초반이라도 쳐주고 10홈런 언저리는 때렸던 2021년까지의 폼이라면 모를까 포수 포지션임을 감안해도 명색이 주전 타자인 선수가 2년 연속으로 OPS가 5할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은 상당히 골치아픈 상황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라인업에서 빼 버리자니 카이만큼의 수비력을 보여줄 포수도 마땅치 않다는게 문제.[5]
6월 13일까지 성적은 .222 .250 .379에 5홈런을 기록중이다. 장타력이 예년대로 돌아와서 작년보다 장타율이 1할 5푼가량 높지만 6볼넷 46삼진으로 볼삼비는 더 안 좋아졌다. 그래도 최종적으로 타율은 .202로 공갈포였지만 10홈런을 치며 타석에 안 서는 것만도 못했던 작년보단 훨씬 나은 성적을 기록했다.
시즌후 다년계약 제시를 받았지만 이를 고사하고 현상유지된 연봉에 계약을 했다.
2.2.9. 2024 시즌
홈런은 절반으로 줄었지만 컨택이 나아진 덕분에 2019년과 비슷한 성적을 기록했다. 다만 강점으로 평가받던 어깨가 약해졌는지 자랑하던 도루 저지율이 2할대로 떨어진 것이 흠.시즌 종료 후 FA를 선언했고 12월 17일 자정 요미우리 이적을 발표했다. #
2.3.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
2.3.1. 2025 시즌
3. 플레이 스타일
3.1. 수비
카이 캐논[6]이란 별명이 붙을 정도로 일본프로야구 포수들 중 최정상급의 도루 저지 능력을 보여준다. 포구 순간부터 2루까지 공이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인 일명 '팝 타임'[7]이 평균 1.83초[8]에 측정된 공식 기록상 가장 빠른 기록은 1.71초[9]를 기록할 정도의 강한 어깨를 가지고 있어 도루 저지 능력은 카이를 넘어설 선수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멀리던지기 기록은 115m로 일본 야구계에서 정상급은 아니지만 본인 말로는 어깨 힘보단 송구 동작이 빠른 것이라고 한다. 일본 방송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포구 전부터 송구를 위한 디딤발을 먼저 움직이고, 공을 최대한 자기 얼굴 가까이까지 당겨서 포구하는 것이 자신의 요령이라고 한다. 일본내 코치들의 말로도 몸이 작고 발이 빨라서 스텝을 빨리 잘 밟기 때문에 송구가 빠르고 정확하다는 분석을 한다. 실제로 포구해서 공을 꺼내 던지는 시간까지가 미친듯이 빠르다.
개인의 도루 저지율을 집계하기 시작한 건 1956년으로, 과거에 가장 오랜 기간동안 도루저지율 1위를 기록한 선수는 킨테츠 버팔로즈의 나시다 마사타카(1979~1983)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후루타 아츠야(1990~1994)였다. 팀 최장기록은 전신인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시절의 죠지마 켄지(2001~2004)다. 센트럴리그 최고 도루 저지율은 1993년 후루타가 기록한 .644이며, 퍼시픽리그 최고 도루 저지율은 1966년 후쿠즈카 카츠야( 한큐)가 기록한 0.625이다. 후루타는 18시즌동안 활약하며 도루 저지율 1위 최다 10회, 3위 이상 14회, 1991년 4월에는 12연속 도루저지라는 기록을 세웠다.
호크스 대선배인 노무라 카츠야는 난카이 호크스 시절인 1963년에 그의 유일한 리그 도루 저지율 1위를 기록했는데, 150경기에 포수로 풀이닝 출장하여 143 도루 시도, 76 도루 저지, 저지율 0.531와 강한 어깨를 뽐냈다. 게다가 전 경기에 4번타자로 출전하여 타율 0.291(8위), 52홈런(1위), 135타점(1위)까지 기록했는데 가이 타쿠야가 이 선배 포수들을 어디까지 능가할 수 있을지 앞으로가 기대되는 선수다. #
도루 저지 이외의 수비능력도 상당히 준수한데 블로킹이나 포구, 경기 운영 능력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다. 2군이긴 하지만 웨스턴 리그에서 뛰던 2014년엔 포수로서 무실책 시즌을 치르기도 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프레이밍이 좋지 못하다는 점. 일본의 세이버메트릭스 사이트인 델타에서 매년 선정하는 최고의 수비수 포수 부문에서 다른 수비수치들은 다 양호한데 프레이밍에서 마이너스를 받아 1위를 하지 못했다.
2021년까지의 도루 저지율 평균은 .388이며 최고 였던 시즌은 21년의 .452로 아직도 더 발전중이다. 옛날의 5할, 6할대의 전설적인 기록에는 못 미치지만 야구 분석이 세분화되어 있고 선수들의 주력도 향상된 현재에 4할 중반대의 도루 저지율은 대단한 수치라고 할 수 있다.
다만 2022년 이후엔 2년 연속으로 실책 1위를 기록하고 3할대 도루저지율은 유지했지만 도루 허용 1위를 기록하면서 강점이던 수비가 흔들린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2024년에도 타격 성적은 나아졌지만 도루저지율이 2할대로 떨어져버렸다.
3.2. 타격
준수한 장타력을 가지고 있으나 정확성이 떨어진다. 요코하마와 주니치에서 활약한 명포수 타니시게 모토노부는 카이의 수비능력과 더불어 "제대로 맞으면 넘어간다"라며 그의 장타력을 극찬하기도. 하지만 상술했듯 일단 맞춰야 넘어가든가 할 텐데 타격 정확성이 안 좋아서 홈런이 많이 나오진 않는게 아쉬울 따름.일단 장타력에선 10홈런 정도는 충분히 기대할 수는 있으니 정확도를 개선한다면 공수 모두 출중한 포수로 성장할 가능성도 있었고 2019 시즌에 드디어 .260에 11홈런을 치면서 컨택도 좋은 포수로 발전했나 싶었지만 직후에 다시 타율이 2할 2푼대 이하로 회귀하며 사실상 19시즌은 플루크가 되고 말았다.
선구안 역시 2022년까지 통산 BB/K가 0.42로 좋지 않다.
4. 연도별 기록
- 볼드체는 1위 입상 성적.
카이 타쿠야의 NPB 통산 기록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출장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사구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2011 | 소프트뱅크 | 1군 기록 없음 | |||||||||||||||
2012 | |||||||||||||||||
2013 | |||||||||||||||||
2014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000 | |
2015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000 | |
2016 | 13 | 7 | 1 | 1 | 0 | 0 | 1 | 1 | 0 | 1 | 0 | 4 | .167 | .286 | .333 | .619 | |
2017 | 103 | 257 | 48 | 8 | 3 | 5 | 30 | 18 | 4 | 26 | 2 | 68 | .232 | .323 | .372 | .695 | |
2018 | 133 | 363 | 67 | 13 | 1 | 7 | 27 | 37 | 2 | 26 | 0 | 103 | .213 | .274 | .328 | .602 | |
2019 | 137 | 454 | 98 | 15 | 0 | 11 | 42 | 43 | 9 | 50 | 1 | 114 | .260 | .346 | .387 | .733 | |
2020 | 104 | 360 | 61 | 15 | 0 | 11 | 44 | 33 | 4 | 43 | 3 | 80 | .211 | .317 | .377 | .694 | |
2021 | 143 | 479 | 92 | 15 | 0 | 12 | 42 | 44 | 6 | 44 | 2 | 142 | .227 | .305 | .353 | .658 | |
2022 | 130 | 405 | 58 | 9 | 1 | 1 | 25 | 27 | 1 | 38 | 5 | 85 | .180 | .275 | .223 | .498 | |
2023 | 139 | 420 | 74 | 16 | 1 | 10 | 35 | 44 | 0 | 31 | 3 | 117 | .202 | .269 | .333 | .602 | |
2024 | 119 | 392 | 88 | 25 | 0 | 5 | 34 | 43 | 1 | 31 | 1 | 89 | .256 | .317 | .372 | .690 | |
NPB 통산 (11시즌) |
1023 | 3137 | 587 | 117 | 6 | 62 | 280 | 290 | 27 | 290 | 17 | 778 | .223 | .303 | .343 | .646 |
5. 여담
- 외래어 표기법으로 이름을 읽으면 가이 다쿠야가 된다.
- 2018년 시즌 후 결혼 사실을 밝혔다. 배우자는 동갑내기 전직 유치원 교사로 2018년 개막전 당시 혼인신고를 마쳤고 이미 가을에 아들을 출산했다고 한다. #
-
선술했듯 소프트뱅크의 최하위픽, 전체 97명중 94순위 픽,
요미우리 자이언츠 제외 11구단 전체 최하위 픽으로 사실상 프로를 밟는데 의의를 두는 지명순위였지만 그걸 다 극복하고 주전으로 발돋움한 인간승리자이다. 물론 일본프로야구는
전체 최하위 픽이 2000안타 치고 명구회를 간 사례도 있다보니 이런 사례가 카이만 있는 것은 아니다.
당장 입단동기 센가 코다이도[10]
- 이대호와 인연이 있다. 이대호가 소프트 뱅크 호크스에서 뛰던 시절 타쿠야가 3군에 있었다. 신입 선수가 어느새 나라를 대표하는 포수가 된 걸 보고 이대호가 뿌듯해 하는 장면이 유튜브에 올라와 있다. # 이대호가 등번호 좋은 거( 10번) 달았다고 말하자 “대호형 살 좀 빠진 듯?” 이라고 만랩 사회생활을 시전했다(...)
- 놀랍게도 30살[11]이지만 얼굴은 40대보다 늙었다.
6. 관련 문서
[1]
같은 팀 동료인
나카무라 아키라와 생일이 같다.
[2]
巡ったチャンスを その手で掴みとれ 拓也今ここで 見せてやれ(한 바퀴 돌아온 기회를 그 손으로 붙잡아라 타쿠야 지금 여기서 보여줘라)'''
[3]
여담으로 당해 소프트뱅크에 지명받은 선수들은 기묘하게도 정규 드래프트 지명자 5명 중 2순위
야나기타 유키를 제외한 나머지가 주전 정착에 실패해 모두 타팀으로 이적하거나 은퇴하고 육성 드래프트에서도 상위순번 3명은 모두 1군도 못 밟고 은퇴한 반면, 기대치가 사실상 없던 하위 순번에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진출한 4순위
센가 코다이,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1군에 자리잡고 국대에도 선출된 5순위
마키하라 타이세이, 이 항목의 6순위 카이 타쿠야를 배출하며 야나기타를 빼면 최하위권 중에서도 가장 급이 낮았던 선수들이 제일 성공했다.
[4]
이 2명의 포수는 후배인
모리 마사히코에게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주전 포수 자리를 넘겨준다.
[5]
FA로 데려온
미네이 히로키는 이전부터 작년의 카이처럼 공수 양면에서 모자란 모습을 계속 보여준 탓에 이적 당시 요코하마 팬들도 딱히 아까워하지도 않을 정도로 기대가 없었기에 예상대로 카이에게 밀려 잉여자원이 되고 말았고, 드래프트에서 상위 지명으로 입단한 우미노 타카시와 쿠키 류헤이는 아마추어 시절 기대치보다 한참 못 미치는 성적을 찍고 있고 지난해 적은 표본이긴 했지만 준수한 타격을 보여준 와타나베 리쿠는 수비쪽에서 아직 갈 길이 멀다. 그나마 포수 경력이 있는
쿠리하라 료야도 있지만 이쪽은 포지션을 바꾼 뒤 타격이 터졌고
3루수에 자리잡아서 포수로 복귀할 이유가 없다는 게 문제.
[6]
유래는
기동전사 건담에 등장하는
건캐논과
카이 시덴이라고 한다.
[7]
Pop time. 공이 미트, 글러브에 들어갈 때 나는 '팡(팝)' 소리에서 따온 은어다. 보통 1.9 이하면 어깨가 강한 선수, 2초 내외면 도루 맛집인 물어깨로 평가받는다. (물론 도루 저지는 투수의 퀵모션도 중요해서 1.3초 이내로 끊어줘야한다.)
야디에르 몰리나가 늘 1.8초대를 유지하던 것으로 유명.
[8]
MLB 기준으로도 탑레벨이다.
[9]
비공식이지만 세계 기록인 1.67초까지 기록한 적이 있다고 한다.
[10]
센가는 전체 90순위. 이쪽도 상당한 하위픽이었다.
[11]
30대가 아니라 30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