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02:29:55

삼국지/지명/유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삼국지/지명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유주(중국)
,
,
,
,
,

삼국지 | 三國志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colbgcolor=#980000> 삼국 조조 실존 인물 · 가공 인물 · 조위정통론
유비 실존 인물 · 가공 인물 · 촉한정통론
손권 실존 인물 · 가공 인물
관련 정보 인물 · 연표 · 지명 · 관직 · 이름 표기 · 삼국지연의/수혜자 · 삼국지연의/피해자 · 삼국지연의/미등장인물
관련 작품 소설 · 만화 · · 영화 · 애니메이션 · 드라마 · 라디오 드라마 · 게임 }}}}}}}}}

후한 13주
사례
司隸
연주
兗州
예주
豫州
기주
冀州
유주
幽州
병주
幷州
옹주
雍州
양주
涼州
익주
益州
청주
靑州
서주
徐州
형주
荊州
양주
揚州
교주
交州

파일:260년유주지도.png
1. 개요2. 연국(燕國)3. 범양군(范陽郡)4. 대군(代郡)5. 상곡군(上谷郡)
5.1. 광녕군(廣寧郡)
6. 어양군(漁陽郡)7. 우북평군(右北平郡)8. 요서군(遼西郡)9. 요동군(遼東郡)
9.1. 중료군(中遼郡)
10. 창려군(昌黎郡)11. 현도군(玄菟郡)12. 낙랑군(樂浪郡)13. 대방군(帶方郡)14. 같이보기

1. 개요

원래 연나라 영역이었던 곳으로, 기원전 107년에 처음 자사를 설치할 때, 이 방면을 맡는 자사의 감찰 구역이 원래 연나라 땅을 가리키던 지방 이름인 유주(幽州)와 겹쳤기에 유주자사부가 되었다. 현재의 허베이성 북부와 베이징시· 톈진시 일대. 연나라의 영향이 강하게 남았기에, 원래 병주자사부 소속이었던 대군을 제외한 이 지방 사람들은 스스로 '연인(燕人)'을 자처하기도 했으며, 후대에는 유주를 장악한 모용선비의 국호로도 사용되었다.

후한 말에 유주 동부지역은 요동태수 공손도가 차지해 스스로 평주목을 자칭했고, 유주 서부지역은 공손찬이 차지했다. 유주목 유우는 실질적으로 유주 서부를 통치하는 공손찬을 간섭했고, 공손찬은 내심 유우의 명망을 질투했기에, 그 불화가 극심해지다가 결국 193년에 공손찬이 유우를 살해해 버렸다. 공손찬은 한 때 유주 서부를 근거지로 삼아 기주·병주·청주에 영향력을 투사하는 당대 최대 군벌로 군림했지만 이 일로 민심을 크게 잃었고, 특히 근거지였던 유주 서부마저 선우보를 위시한 반공손찬 세력이 생겨나 세력이 급속도로 축소된다. 공손찬이 원소에게 패망한 뒤 원소가 아들 원희을 유주자사로 삼았기에 명목상 유주 서부는 원소 세력이 차지한 것이 되었으나, 선우보가 조조에 협력하여 원소와 대립하는 등 유주 서부를 완전히 통제하지는 못했다. 207년에 원소의 뒤를 이은 원상과 원희가 멸망하면서 유주 서부는 조조가 장악했다. 213년에 조조가 구주를 회복한다는 명분으로 유주를 폐지하고 기주에 합병했는데, 220년에 조비가 선양을 받은 뒤에 유주자사를 다시 설치했다.

한편 유주 동부의 공손도의 세력은 대를 이어 세습되어 유지되었다. 공손도는 요동군·요동속국도위부·현도군·낙랑군을 차지해 제멋대로 이를 '평주(平州)'로 분할했다. 이후 공손강은 요동속국도위부 지역을 포기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때부터 한동안 오환족 선비족의 영역이 되었다. 244년 선비족이 내부해오자 요동속국도위를 다시 설치했는데, 어느 시점에 창려군으로 격상되었다. 서진 때인 276년에 평주를 다시 설치했다.
  • 치소(治所): [후한]연국 계현
    • 평주목·평주자사: [190?]요동군 양평현
  • 190년?: 공손도가 평주목을 자칭하고, 요동군·요동속국도위부를 분할해 요서군·중료군 설치.
  • 204년?: 공손강이 요서군·중료군을 폐지하고, 낙랑군을 분할해 대방군 설치.
  • 213년: 유주자사부 폐지.
  • 220년: 유주자사부 복구.
  • 238년: 공손연이 패망하여 평주가 폐지됨.
  • 244년: 요동속국도위 재설치. 후일 요동속국도위부를 창려군으로 승격.
  • 247년: 상곡군을 분할해 광녕군 설치.
  • 276년: 평주 재설치. 요동군·현도군·낙랑군·대방군·창려군이 평주에 이속.
  • 277년: 어양군을 폐지하여 연국에 합병.

2. 연국(燕國)

원래 진(秦)나라 연나라 수도를 점령하면서 설치한 광양군(廣陽郡)이었다.[1] 후한 초기인 26년에 팽총이 연왕을 자칭하면서 연국에 소속되었으나, 29년에 패망하여 환원되었다. 37년에는 광양군을 폐지하여 상곡군에 합병시켰으나, 96년에 다시 광양군을 설치했다.
지명 [진]광양군→[-73]광양국→[10]광양군, [96]광양군→[221]연국→[222]광양군→[232]연국
소속 진(秦)→[전한]유주자사부→[26]연국→[29]유주자사부→[37]상곡군에 합병, [96]유주자사부→[213]기주→[220]유주→[서진]유주
치소 계현
분합 [277]어양군 병합: 노현·옹노현·천주현·안락현
출신 계현: 서막
광양현: 사인
봉작 조간: 연공(221~222)
조우: 연왕(232~265)
사마기: 연왕(26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광양군: 계현, 범양현, 양향현, 역현, 용성현, 성현, 탁현, 방성현, 안차현 이외 미상
전한 광양국(4현 20,740호 70,658구): 계현, 방성현, 광양현, 음향현
광양국광유군(廣有郡), 계현→벌융현(伐戎縣), 음향현→음순현(陰順縣)
후한 광양군(5성 44,550호 280,600구): 계현, 광양현, 창평현, 군도현, 안차현
서진 연국(10현 29,000호): 계현, 안차현, 창평현, 군도현, 광양현, 노현, 안락현, 천주현, 옹노현, 호노현 }}}}}}}}}
  • 계현(薊縣): 유주자사 및 연국 치소
    • 소속: [진]광양군→[전한]유주자사부 광양국→[후한]광양군→[서진]유주 연국
    • 위치: 《39.88952, 116.35542》 베이징시 시청구(北京市西城区)
    • 봉작
    • 여릉알(戾陵遏): 《39.96111, 116.10164》
  • 광양현(廣陽縣)
    • 소속: [전한]유주자사부 광양국→[후한]광양군→[서진]유주 연국
    • 위치: 《39.75495, 116.20100》 베이징시 팡산구 창양진(北京市房山区长阳镇)
    • 봉작
  • 창평현(昌平縣)
    • 소속: [전한]유주자사부 상곡군→[후한]광양군→[서진]유주 연국
    • 위치: 《40.10690, 116.29030》 베이징시 창핑구 스거좡가도(北京市昌平区史各庄街道)
  • 군도현(軍都縣)
    • 소속: [진]상곡군→[전한]유주자사부 상곡군→[후한]광양군→[서진]유주 연국
    • 위치: 《40.15690, 116.21110》 베이징시 창핑구 마츠커우지구(北京市昌平区马池口地区)
  • 안차현(安次縣)
    • 소속: [진]광양군→[전한]유주자사부 발해군→[후한]광양군→[서진]유주 연국
    • 위치: 《39.54152, 116.64211》 허베이성 랑팡시 안츠구 베이스지아우향 구셴촌(河北省廊坊市安次区北史家务乡古县村)
    • 봉작
      • 왕민(王敏): 안차후(185~186)
    • 상도향(常道鄕): 《39.53972, 116.55060》
  • 음향현(陰鄕縣): 후한 폐지

3. 범양군(范陽郡)

원래 이름은 탁군(涿郡)이나, 226년에 범양군으로 개칭했다.
지명 [-111?]탁군→[226]범양군→[265]범양국(范陽國)
소속 [한]유주자사부→[213]기주→[220]유주→[서진]유주
치소 탁현
설치 [215]용성현, [서진]장향현
전출 [265]북신성현→기주 고양국
출신 탁현: 유비, 노식
방성현: 유방
용성현: 손례
현 미상: 장비, 간옹
봉작 사마수: 범양왕(26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한 탁군(29현 195,607호 782,764구): 탁현, 주현, 곡구현, 고안현, 남심택현, 범양현, 여오현, 용성현, 역현, 광망국, 막현, 고양현, 주향국, 안평현, 번여국, 성국, 양향국(良鄕縣), 이향국, 임향국, 익창국, 양향국(陽鄕國), 서향국, 요양현, 중수현, 무원현, 아릉현, 아무국, 고곽국, 신창국
탁군원환군(垣翰郡), 주현→주병현(逎屛縣), 범양현→순음현(順陰縣), 용성현→심택현(深澤縣), 막현→언부현(言符縣), 고양현→고정현(高亭縣), 안평현→광망정현(廣望亭縣), 번여국→악부현(握符縣), 성국→의가현(宜家縣), 양향국(良鄕縣)→광양현(廣陽縣), 이향국→장부현(章符縣), 익창국→유질현(有秩縣), 양향국(陽鄕國)→장무현(章武縣), 서향국→이풍현(移風縣), 무원현→원한정현(垣翰亭縣), 아릉현→아륙현(阿陸縣), 고곽국→광제현(廣堤縣)
후한 탁군(7성 102,218호 633,754구): 탁현, 주국, 고안현, 범양국, 양향현, 북신성현, 방성현
서진 범양국(8현 11,000호): 탁현, 양향현, 방성현, 장향현, 주현, 고안현, 범양현, 용성현 }}}}}}}}}
  • 탁현(涿縣): 범양군 치소
    • 소속: [진]광양군→[한]유주자사부 탁군→[서진]유주 범양국
    • 위치: 《39.48722, 115.96815》 허베이성 바오딩시 줘저우시(河北省保定市涿州市)
    • 누상리(樓桑里): 《39.42589, 115.94578》
      《수경주》에는 탁현의 역정(酈亭)에 있는 유비의 출신지로 기재되어 있다. 다만 몇몇 문헌에서는 유비의 옛 집에 뽕나무가 있던 것에서 그 지명을 따왔다는 이야기가 있어, 유비 생전에도 쓰였던 지명인지는 의문점이 있다. 남북조시대 중에 유비가 살던 옛 집을 유비의 사당으로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당나라 때 중건되어 명나라 정덕제가 '칙건삼의궁(敕建三義宮)'이라 사액한 이름이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삼국지연의』에는 '누상촌(樓桑村)'[2]으로 등장한다.[3]
  • 주현(遒縣)
    • 지명: [전한]주현(逎縣)→[후한]주국(遒國)→[147]주현(遒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탁군→[서진]유주 범양국
    • 위치: 《39.54050, 115.70555》 허베이성 바오딩시 라이수이현 자오거좡진 반청촌(河北省保定市涞水县赵各庄镇板城村)
  • 고안현(故安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탁군→[서진]유주 범양국
    • 위치: 《39.28800, 115.56625》 허베이성 바오딩시 이현 가오모향(河北省保定市易县高陌乡)
    • 오완관(五阮關): 《39.42680, 115.16985》
    • 함향(閻鄕): 《39.23989, 115.05406》?
  • 범양현(范陽縣)
    • 지명: [후한]범양국(范陽國)
    • 소속: [진]광양군→[한]유주자사부 탁군→[서진]유주 범양국
    • 위치: 《39.13516, 115.69672》 허베이성 바오딩시 딩싱현 구청진(河北省保定市定兴县固城镇)
    • 봉작
      • 조거: 범양후(211~217)
      • 조민(曹敏): 범양왕(224~226)
  • 양향현(良鄕縣)
    • 지명: [전한]양향국(良鄕國)
    • 소속: [진]광양군→[한]유주자사부 탁군→[서진]유주 범양국
    • 위치: 《39.64267, 116.08009》 베이징시 팡산구 더우뎬진(北京市房山区窦店镇)
  • 북신성현(北新城縣)
    • 지명: [전한]북신성현(北新成縣)
    • 소속: [전한]기주자사부 중산국→[후한]유주자사부 탁군→[265]기주 고양국→[서진]기주 고양국
    • 위치: 《38.96057, 115.57202》 허베이성 바오딩시 서수이구 차오허진(河北省保定市徐水区漕河镇)
  • 방성현(方城縣)
    • 소속: [진]광양군→[전한]유주자사부 광양국→[후한]탁군→[서진]유주 범양국
    • 위치: 《39.37329, 116.25701》 허베이성 랑팡시 구안현 펑춘향 팡청이촌(河北省廊坊市固安县彭村乡方城一村)
    • 봉작
      • 유방: 방성후(236~)→방성자(264~)
    • 독항정(督亢亭): 《39.36217, 116.11518》?
  • 용성현(容城縣): 후한 폐지→215년 재설치
    • 소속: [진]광양군→[전한]유주자사부 탁군→[후한]폐지, [215]기주 탁군→[서진]유주 범양국
    • 위치: 《39.12166, 115.86748》 허베이성 바오딩시 룽청현 지아광향 청쯔촌(河北省保定市容城县贾光乡城子村)
    • 봉작
  • 장향현(長鄕縣): 후한 폐지→서진 재설치
    • 지명: [전한]양향국(陽鄕國)
    • 소속: [전한]유주자사부 탁군→[후한]폐지, [서진]유주 범양국
    • 위치: 《39.52053, 116.21911》 허베이성 바오딩시 줘저우시 이허좡진 창안청촌(河北省保定市涿州市义和庄镇长安城村)
  • 곡구현(穀丘縣): 후한 폐지
  • 광망국(廣望國): 후한 폐지
  • 주향국(州鄕國): 후한 폐지
    • 위치: 《38.50557, 116.24902》 허베이성 창저우시 허젠시 리우구쓰진 둥스샹촌(河北省沧州市河间市留古寺镇东石相村)
  • 번여국(樊輿國): 후한 폐지
    • 지명: [후한]번여정(樊與亭)
    • 위치: 《38.98590, 115.70650》 허베이성 바오딩시 서수이구 추이좡진 리우좡촌(河北省保定市徐水区崔庄镇刘庄村)
  • 성국(成國): 후한 폐지
    • 지명: [진]성현(成縣)
    • 소속: [진]범양군→[전한]유주자사부 탁군→[후한]폐지
  • 이향국(利鄕國): 후한 폐지
  • 임향국(臨鄕國): 후한 폐지
    • 지명: [후한]임향(臨鄕)
    • 위치: 《39.37196, 116.20337》 허베이성 랑팡시 구안현 둥완향 쑨좡촌(河北省廊坊市固安县东湾乡孙庄村)
  • 익창국(益昌國): 후한 폐지
    • 위치: 《39.12146, 116.46989》 허베이성 랑팡시 바저우시 캉셴좡진 싸다이잉촌(河北省廊坊市霸州市康仙庄镇撒袋营村)
  • 서향국(西鄕國): 후한 폐지
  • 아릉현(阿陵縣): 후한 폐지
    • 위치: 《38.78014, 116.19426》 허베이성 창저우시 런추시 위춘향 난링청촌(河北省沧州市任丘市于村乡南陵城村)
  • 아무국(阿武國): 후한 폐지
    • 지명: [진]아무현(阿武縣)
    • 소속: [진]하간군→[전한]유주자사부 탁군→[후한]폐지
    • 위치: 《38.31287, 116.04220》 허베이성 창저우시 셴현 두안춘진 난황친좡얼촌(河北省沧州市献县段村镇南皇亲庄二村)
  • 고곽국(高郭國): 후한 폐지
    • 위치: 《38.74673, 116.04417》 허베이성 창저우시 런추시 칭타향 톈먼커우촌(河北省沧州市任丘市青塔乡天门口村)
  • 신창국(新昌國): 후한 폐지

4. 대군(代郡)

조(趙)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전한 때까지 이어졌으나, 후한 초기 오르도스 지방을 점거한 흉노가 세력을 더 확장하였기에 39년에 대군을 폐지했다가, 남흉노 선우가 한나라에 투항한 뒤인 50년에 복구했다. 삼국시대 동안 대군 북부의 현들이 무더기로 폐지되었는데, 오르도스 영역을 포기한 215년 무렵의 일로 추정된다.
소속 조(趙)→진(秦)→[전한]병주자사부→[39]흉노, [50]유주자사부→[213]기주→[220]유주→[서진]유주
치소 [진]대현, [후한]고류현→[215?]대현
전입 [서진]중산국 광창현
폐지 [215?]고류현·상건현·도인현·반지현·권장현·북평읍·동안양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군(9현[4]): 대현, 당성현, 연릉현, 신평서현, 평읍현, 동안양현, 노성현, 반지현, 참합현, 고류현, 광창현, 영구현, 원양현(原陽縣·연혁 미상)
전한 대군(18현 56,771호 278,754구): 상건현, 도인현, 당성현, 고류현, 마성현, 반지현, 연릉현, 권장현, 차여현, 평읍현, 양원현, 동안양현, 참합현, 평서현, 대현, 영구현, 광창현, 노성현
대군엽적군(厭狄郡), 상건현→안덕현(安德縣), 도인현→도인현(道仁縣), 반지현→반부현(班副縣), 권장현→권취현(狋聚縣), 평읍현→평호현(平胡縣), 동안양현→경안현(竟安縣), 평서현→평보현(平葆縣), 대현→엽적정현(厭狄亭縣), 광창현→광병현(廣屛縣), 노성현→노순현(魯盾縣)
후한 대군(11성 20,123호 126,188구): 고류현, 상건현, 도인현, 당성현, 마성현, 반지현, 권장현, 북평읍, 동안양현, 평서현, 대현
서진 대군(4현 3,400호): 대현, 광창현, 평서현, 당성현 }}}}}}}}}
  • 대현(代縣): 대군 치소
    '대곡현(代谷縣)'으로도 불린다.
    • 소속: [진]대군→[전한]병주자사부 대군→[후한]유주자사부 대군→[서진]유주 대군
    • 위치: 《39.89156, 114.67670》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위현 다이왕청진(河北省张家口市蔚县代王城镇)
    • 비호구(飛狐口): 《39.56765, 114.65480》
      중산국 광창현-상산관-홍상관을 거쳐 중산국 당현까지 비호도(飛狐道)를 이룬다.
  • 당성현(當城縣)
    • 소속: [진]대군→[전한]병주자사부 대군→[후한]유주자사부 대군→[서진]유주 대군
    • 위치: 《39.96149, 114.76077》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위현 시허잉진(河北省张家口市蔚县西合营镇)
  • 평서현(平舒縣)
    • 지명: [진]신평서현(新平舒縣)→[전한]평서현
    • 소속: [진]대군→[전한]병주자사부 대군→[후한]유주자사부 대군→[서진]유주 대군
    • 위치: 《39.73349, 114.17246》 산시성 다퉁시 광링현 쭤퇀향 바이퇀난푸촌(山西省大同市广灵县作疃乡百疃南堡村)
  • 고류현(高柳縣): 215년 무렵 폐지
    • 소속: [진]대군→[전한]병주자사부 대군→[후한]유주자사부 대군→[215?]폐지
    • 위치: 《40.35370, 113.75209》 산시성 다퉁시 양가오현(山西省大同市阳高县)
  • 상건현(桑乾縣): 215년 무렵 폐지
    • 소속: [전한]병주자사부 대군→[후한]유주자사부 대군→[215?]폐지
    • 위치: 《40.15080, 114.69254》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위현 베이수이취진(河北省张家口市蔚县北水泉镇) 북부
  • 도인현(道人縣): 215년 무렵 폐지
    • 소속: [전한]병주자사부 대군→[후한]유주자사부 대군→[215?]폐지
    • 위치: 《40.11907, 113.96828》 산시성 다퉁시 양가오현 구청진(山西省大同市阳高县古城镇)
  • 마성현(馬城縣): 215년 무렵 폐지
    • 소속: [전한]병주자사부 대군→[후한]유주자사부 대군→[215?]폐지
    • 위치: 《40.67043, 114.40530》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화이안현(河北省张家口市怀安县)
  • 반지현(班氏縣): 215년 무렵 폐지
    • 소속: [진]대군→[전한]병주자사부 대군→[후한]유주자사부 대군→[215?]폐지
    • 위치: 《39.84484, 113.39037》 산시성 숴저우시 화이런시 마신좡향 구지아포촌(山西省怀仁市马辛庄乡古家坡村)
  • 권정현(狋氏縣): 215년 무렵 폐지
    '狋'는 '의'로 읽히고 '氏'는 지명으로 쓰일 때는 '지'로 읽히지만, '狋氏'는 '권정'으로 읽는다.
    • 소속: [전한]병주자사부 대군→[후한]유주자사부 대군→[215?]폐지
    • 위치: 《39.95511, 113.85168》 산시성 다퉁시 양가오현 유짜이진 허우구이런촌(山西省大同市阳高县友宰镇后贵任村)
  • 북평읍(北平邑): 215년 무렵 폐지
    • 지명: [진]평읍현(平邑縣)→[후한]북평읍
    • 소속: [진]대군→[전한]병주자사부 대군→[후한]유주자사부 대군→[215?]폐지
    • 위치: 《40.02933, 113.74886》 산시성 다퉁시 윈저우구 쉬바오향(山西省大同市云州区许堡乡)
  • 동안양현(東安陽縣): 215년 무렵 폐지
    • 소속: [진]대군→[전한]병주자사부 대군→[후한]유주자사부 대군→[215?]폐지
    • 위치: 《40.02716, 114.24615》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양위안현 촤이구퇀진(河北省张家口市阳原县揣骨疃镇)
  • 연릉현(延陵縣): 후한 폐지
    • 소속: [진]대군→[전한]병주자사부 대군→[후한]폐지
    • 위치: 《40.67435, 114.07886》 산시성 다퉁시 톈전현 신핑바오진 신핑촌(山西省大同市天镇县新平堡镇新平村)
  • 차여현(且如縣): 후한 폐지
  • 양원현(陽原縣): 후한 폐지
  • 참합현(參合縣): 후한 폐지
    • 소속: [진]대군→[전한]병주자사부 대군→[후한]폐지
    • 위치: 《40.40116, 113.88020》 산시성 다퉁시 양가오현 뤄원짜오진 우지아바오촌(山西省大同市阳高县罗文皂镇吴家堡村)

5. 상곡군(上谷郡)

연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전한 때까지 이어졌으나, 후한 초기 오르도스 지방을 점거한 흉노가 세력을 더 확장하였기에 39년에 상곡군을 폐지했다가, 50년에 복구했다.
소속 연(燕)→진(秦)→[전한]유주자사부→[39]흉노, [50]유주자사부→[213]기주→[220]유주→[서진]유주
치소 [진]저양현→[삼국]거용현→[서진]저양현
광녕군: 하락현
분합 [274]광녕군: 하락현·반현·탁록현
폐지 [274]광녕현, [삼국]영현·구무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상곡군(12현): 저양현, 이여현, 영성현, 군도현, 상란현, 거용현, 반현, 여현, 차거현, 하락현 이외 미상
전한 상곡군(15현 36,008호 117,762구): 저양현, 천상현, 반현, 군도현, 거용현, 구무현, 이여현, 영현, 창평현, 광녕현, 탁록현, 차거현, 여현, 여기현, 하락현
상곡군삭조군(朔調郡), 저양현→저음현(沮陰縣), 천상현→색천현(塞泉縣), 반현→수무현(樹武縣), 이여현→삭조정현(朔調亭縣), 영현→박강현(博康縣), 창평현→장창현(長昌縣), 광녕현→광강현(廣康縣), 탁록현→포륙현(抪陸縣), 차거현→구거현(久居縣), 여현→곡무현(穀武縣), 여기현→기현(祁縣), 하락현→하충현(下忠縣)
후한 상곡군(8성 10,352호 51,204구): 저양현, 반현, 영현, 광녕현, 거용현, 구무현, 탁록현, 하락현
서진 상곡군(2현 4,070호): 저양현, 거용현
광녕군(3현 3,950호): 하락현, 반현, 탁록현 }}}}}}}}}
  • 거용현(居庸縣): 상곡군 치소
    • 소속: [진]상곡군→[한]유주자사부 상곡군→[서진]유주 상곡군
    • 위치: 《40.45900, 115.97830》 베이징시 옌칭구 옌칭진(北京市延庆区延庆镇)
    • 거용관(居庸關): 《40.28805, 116.06870》
      '서관(西關)'으로도 불렸으며, 지금은 현존하는 만리장성의 주요 관문으로 남아있지만, 오호십육국시대 이전까진 장성과 연결되지 않았다.
  • 저양현(沮陽縣)
    • 소속: [진]상곡군→[한]유주자사부 상곡군→[서진]유주 상곡군
    • 위치: 《40.32557, 115.72881》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화이라이현 샤오난신바오진 딩저우잉촌(河北省张家口市怀来县小南辛堡镇定州营村)
  • 영현(寧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지명: [진]영성현(寧城縣)?→[전한]영현(寧縣)→[후한]영현(甯縣)
    • 소속: [진]상곡군→[한]유주자사부 상곡군→[삼국]폐지
    • 위치: 《40.86319, 114.74007》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완취안구 완취안진(河北省张家口市万全区万全镇)
  • 구무현(雊瞀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한]유주자사부 상곡군→[삼국]폐지
    • 위치: 《40.13002, 114.99375》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위현 타오화진 우지아좡촌(河北省张家口市蔚县桃花镇吴家庄村)
  • 천상현(泉上縣): 후한 폐지
  • 이여현(夷輿縣): 후한 폐지
    • 소속: [진]상곡군→[전한]유주자사부 상곡군→[후한]폐지
    • 위치: 《40.48420, 116.14730》 베이징시 옌칭구 융닝진 시후이링촌(北京市延庆区永宁镇西灰岭村)
  • 차거현(且居縣): 후한 폐지
    • 소속: [진]상곡군→[전한]유주자사부 상곡군→[후한]폐지
    • 위치: 《40.42976, 115.41320》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화이라이현 신바오안진(河北省张家口市怀来县新保安镇)
  • 여현(茹縣): 후한 폐지
    • 소속: [진]상곡군→[전한]유주자사부 상곡군→[후한]폐지
    • 위치: 《40.48953, 115.27145》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샤화위안구(河北省张家口市下花园区)
  • 여기현(女祈縣·女祁縣): 후한 폐지
  • 상란현(上蘭縣): [진]상곡군→전한 폐지
    • 위치: 《40.44869, 115.78583》 베이징시 옌칭구 장산잉진 둥먼잉촌(北京市延庆区张山营镇东门营村)

5.1. 광녕군(廣寧郡)

274년에 상곡군을 분할해 설치했다.
  • 하락현(下落縣): 광녕군 치소
    • 소속: [진]상곡군→[한]유주자사부 상곡군→[274]광녕군→[서진]유주 광녕군
    • 위치: 《40.37951, 115.18146》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줘루현(河北省张家口市涿鹿县)
  • 반현(潘縣)
    • 소속: [진]상곡군→[한]유주자사부 상곡군→[274]광녕군→[서진]유주 광녕군
    • 위치: 《40.27591, 115.14471》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줘루현 바오다이진 간좡촌(河北省张家口市涿鹿县保岱镇甘庄村)
  • 탁록현(涿鹿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상곡군→[274]광녕군→[서진]유주 광녕군
    • 위치: 《40.21584, 115.39692》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줘루현 판산진 구청촌(河北省张家口市涿鹿县矾山镇古城村)
  • 광녕현(廣寧縣): 274년 폐지
    • 지명: [후한]광녕현(廣甯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상곡군→[274]폐지
    • 위치: 《40.79126, 114.88594》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차오둥구(河北省张家口市桥东区)

6. 어양군(漁陽郡)

원래 연나라가 설치한 군인데, 서진 때인 277년에 폐지되어 연국에 합병되었다.
소속 연(燕)→진(秦)→[한]유주자사부→[213]기주→[220]유주→[277]연국에 합병
치소 [진]어양현→[266?]옹노현
설치 [서진]연국 호노현(재설치)
폐지 [238]호노현, [266?]어양현, [277]광평현, [삼국]평곡현·제해현
출신 옹노현: 전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어양군(12현): 어양현, 천주현, 백단현 이외 미상
전한 어양군(12현 68,802호 264,116구): 어양현, 호노현, 노현, 옹노현, 천주현, 평곡현, 안락현, 제해현, 광평현, 요양현, 백단현, 활염현
어양군통로군(通路郡), 어양현→득어현(得漁縣), 호노현→거부현(舉符縣), 노현→통로정현(通路亭縣), 천주현→천조현(泉調縣), 제해현→돈덕현(敦德縣), 광평현→평광현(平獷縣), 요양현→요술현(要術縣)
후한 어양군(9성 68,456호 435,740구): 어양현, 호노현, 노현, 옹노현, 천주현, 평곡현, 안락현, 제해현, 광평현 }}}}}}}}}
  • 어양현(漁陽縣): 어양군 치소→266년 무렵 폐지
    • 소속: [진]어양군→[한]유주자사부 어양군→[266?]폐지
    • 위치: 《40.37148, 116.84046》 베이징시 미윈구(北京市密云区)
  • 노현(潞縣)
    • 지명: [전한]노현(路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어양군→[277]연국→[서진]유주 연국
    • 위치: 《40.01222, 116.98839》 허베이성 랑팡시 싼허시 치신좡진 다싱좡촌(河北省廊坊市三河市齐心庄镇大邢庄村)
  • 옹노현(雍奴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어양군→[277]연국→[서진]유주 연국
    • 위치: 《39.5932, 117.0303》 톈진시 우칭구 다량진 얼바이후촌(天津市武清区大良镇二百户村)
  • 천주현(泉州縣)
    • 소속: [진]어양군→[한]유주자사부 어양군→[277]연국→[서진]유주 연국
    • 위치: 《39.31765, 117.01611》 톈진시 우칭구 천쥐진 아이얼촌(天津市武清区陈咀镇艾二村)
    • 표류읍(漂楡邑): 《39.06070, 117.35490》
  • 안락현(安樂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어양군→[277]연국→[서진]유주 연국
    • 위치: 《40.17000, 116.60650》 베이징시 순이구 마포진 량정좐촌(北京市顺义区马坡镇良正卷村)
    • 봉작
      • 유선: 안락현공(264~)
        유선이 항복한 이후 안락공에 봉해졌는데, 그 식읍에 대해서는 기록이 서로 다르다. 『화양국지』에선 상용군 북무현에 있는 안락향이 유선의 식읍이라고 했는데, 『삼국지』 후주전에는 264년 3월에 유선을 안락현공에 봉했다고 나온다. 유선이 항복한 당시에는 안락향공으로 봉해졌다가, 사마소가 264년에 오등작을 도입하면서 안락현공으로 책봉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 광평현(獷平縣): 277년 무렵 폐지
    • 소속: [한]유주자사부 어양군→[277?]폐지
    • 위치: 《40.56480, 117.06270》 베이징시 미윈구 가오링진 스샤촌(北京市密云区高岭镇石匣村)
  • 호노현(狐奴縣): 238년 폐지→서진 재설치
    • 소속: [한]유주자사부 어양군→[238]폐지, [서진]유주 연국
    • 위치: 《40.19460, 116.75400》 베이징시 순이구 베이샤오잉진 시푸촌(北京市顺义区北小营镇西府村)
  • 평곡현(平谷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한]유주자사부 어양군→[삼국]폐지
    • 위치: 《40.17640, 117.16170》 베이징시 핑구구 산둥좡진 베이쓰촌(北京市平谷区山东庄镇北寺村)
  • 제해현(厗奚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한]유주자사부 어양군→[삼국]폐지
    • 위치: 《40.65585, 117.07275》 베이징시 미윈구 가오링진 톈좡촌(北京市密云区高岭镇田庄村)
  • 요양현(要陽縣): 후한 폐지
    • 위치: 《40.32184, 117.11562》 베이징시 핑구구 전뤄잉진 상전촌(北京市平谷区镇罗营镇上镇村)?
  • 백단현(白檀縣): 후한 폐지
    • 소속: [진]어양군→[전한]유주자사부 어양군→[후한]폐지
    • 위치: 《40.99523, 117.38131》 허베이성 청더시 롼핑현 다툰진 샤오청쯔촌(河北省承德市滦平县大屯镇小城子村)
  • 활염현(滑鹽縣): 후한 폐지(평곡현에 합병)
    명제 때 '염전현(鹽田縣)'으로 개명했다고 전하나,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다.
    • 위치: 전한 말에 박륙성(博陸城)으로 이전했다.
      • 전한: 《40.86070, 117.35000》 허베이성 청더시 롼핑현 창산위진 둥잉쯔촌(河北省承德市滦平县长山峪镇东营子村) 서북부
      • 박륙성: 《40.16638, 117.07106》 베이징시 핑구구 다싱좡진 베이청쯔촌(北京市平谷区大兴庄镇北城子村)

7. 우북평군(右北平郡)

원래 연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언제부터 북평군(北平郡)으로 약칭되었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서진 때 정식으로 북평군으로 개명되었으며, 『삼국지연의』에서는 후한 말 시점부터 북평군으로 등장한다. 전한 때 우북평태수는 장성 둔수 임무를 위해 토은현에 주둔해 있었으나, 후한 때에는 평강현이 폐지되었기에 토은현이 수현(首縣)이 되었는데, 후한 말까지 우북평태수의 치소도 그곳으로 이전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장제스가 북양군벌을 멸망시켜 북벌에 성공한 것을 기념해 베이징을 베이핑(北平)으로 고쳤는데, 이를 두고 우북평이 지금의 베이징이라 여기는 경우가 있으나, 엄연히 다른 지역이다.
지명 우북평군→[서진]북평군
소속 연(燕)→진(秦)→[한]유주자사부→[213]기주→[220]유주→[서진]유주
치소 [진]무종현→[전한]평강현→[삼국]토은현→[서진]서무현
출신 토은현: 정보
무종현: 전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우북평군(16현): 무종현, 창성현, 석양현, 자현(薋縣), 광성현, 백랑현, 서무현, 자현(字縣), 석성현, 정릉현 이외 미상
전한 우북평군(16현 66,689호 320,780구): 평강현, 무종현, 석성현, 연릉현, 준마현, 자현(薋縣), 서무현, 자현(字縣), 토은현, 백랑현, 석양현, 창성현, 여성현, 광성현, 취양현, 평명현
우북평군북순군(北順郡), 연릉현→포무현(鋪武縣), 준마현→준마현(俊麻縣), 자현(薋縣)→포목현(裒睦縣), 서무현→북순정현(北順亭縣), 백랑현→복적현(伏狄縣), 석양현→석음현(夕陰縣), 창성현→숙무현(淑武縣), 여성현→갈석현(揭石縣), 광성현→평로현(平虜縣), 취양현→독목현(篤睦縣), 평명현→평양현(平陽縣)
후한 우북평군(4성 9,170호 53,475구): 토은현, 서무현, 준마현, 무종현
서진 북평군(4현 5,000호): 서무현, 토은현, 준마현, 무종현 }}}}}}}}}
  • 토은현(土垠縣): 우북평군 치소
    • 소속: [한]유주자사부 우북평군→[서진]유주 북평군
    • 위치: 《39.82787, 118.16492》 허베이성 탕산시 펑룬구(河北省唐山市丰润区)
  • 서무현(徐無縣)
    • 소속: [진]우북평군→[한]유주자사부 우북평군→[서진]유주 북평군
    • 위치: 《40.18240, 117.97878》 허베이성 탕산시 쭌화시(河北省唐山市遵化市)
  • 준마현(俊靡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우북평군→[서진]유주 북평군
    • 위치: 《40.38872, 117.53526》 허베이성 청더시 싱룽현 싱룽진 싼이촌(河北省承德市兴隆县兴隆镇三义村)
  • 무종현(無終縣)
    • 소속: [진]우북평군→[한]유주자사부 우북평군→[서진]유주 북평군
    • 위치: 《40.04300, 117.41180》 톈진시 지저우구(天津市蓟州区)
  • 평강현(平剛縣): 후한 폐지
    • 위치: 《41.39230, 118.82212》 내몽골 자치구 츠펑시 닝청현 뎬쯔진 헤이청촌(内蒙古自治区赤峰市宁城县甸子镇黑城村) 성지
  • 석성현(石成縣): 후한 폐지
    • 소속: [진]우북평군→[전한]유주자사부 우북평군→[후한]폐지
    • 위치: 《40.94254, 119.60251》 랴오닝성 차오양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산쥐쯔진 황지아뎬촌(辽宁省朝阳市喀喇沁左翼蒙古族自治县山咀子镇黄家店村) 성지
  • 연릉현(延陵縣): 후한 폐지
    • 지명: [진]정릉현(廷陵縣)→[전한]연릉현
    • 소속: [진]우북평군→[전한]유주자사부 우북평군→[후한]폐지
    • 위치: 《42.15707, 118.95190》 내몽골 자치구 츠펑시 훙산구 원중진 싼옌징촌(内蒙古自治区赤峰市红山区文钟镇三眼井村) 성지
  • 자현(薋縣): 후한 폐지
    • 소속: [진]우북평군→[전한]유주자사부 우북평군→[후한]폐지
    • 위치: 《41.66478, 119.31771》 랴오닝성 차오양시 젠핑현 싼지아자치향 시후촌(辽宁省朝阳市建平县三家自治乡西胡村) 투청쯔툰(土城子屯)
  • 자현(字縣): 후한 폐지
    • 소속: [진]우북평군→[전한]유주자사부 우북평군→[후한]폐지
    • 위치: 《41.22203, 119.37002》 랴오닝성 차오양시 링위안시 청관진 안장쯔촌(辽宁省朝阳市凌源市城关镇安杖子村) 성지
  • 백랑현(白狼縣): 후한 폐지
    이곳 근처에 있던 산에서 조조 답돈이 마주쳐 싸웠는데, 장료의 활약으로 답돈이 패했다.
    • 소속: [진]우북평군→[전한]유주자사부 우북평군→[후한]폐지
    • 위치: 《41.04050, 119.64828》 랴오닝성 차오양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핑팡쯔진 황다오잉쯔촌(辽宁省朝阳市喀喇沁左翼蒙古族自治县平房子镇黄道营子村) 성지
  • 석양현(夕陽縣): 후한 폐지
    • 소속: [진]우북평군→[전한]유주자사부 우북평군→[후한]폐지
    • 위치: 《40.02079, 117.98509》 허베이성 탕산시 쭌화시 당위진 양지아위촌(河北省唐山市遵化市党峪镇杨家峪村)
  • 창성현(昌城縣): 후한 폐지
    • 소속: [진]우북평군→[전한]유주자사부 우북평군→[후한]폐지
    • 위치: 《39.57686, 118.09589》 허베이성 탕산시 펑난구(河北省唐山市丰南区)
  • 여성현(驪成縣): 후한 폐지
  • 광성현(廣成縣): 후한 폐지
    • 소속: [진]우북평군→[전한]유주자사부 우북평군→[후한]폐지
    • 위치: 《40.80790, 119.80390》 랴오닝성 후루다오시 젠창현 망니우잉쯔향(辽宁省葫芦岛市建昌县牤牛营子乡)
  • 취양현(聚陽縣): 후한 폐지
  • 평명현(平明縣): 후한 폐지

8. 요서군(遼西郡)

원래 연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전한 때까지 요서군 영역은 현대의 롼허(灤河) 하류 지역에 본거지를 두면서 한편으로는 동북쪽으로 현대의 다링허(大凌河) 중·하류 지역에 월경지를 두고 있는 기괴한 형세였다. 아무래도 연나라 때부터 연나라가 설치한 장성을 수비하기 위해 상곡군·어양군·우북평군·요서군·요동군과 각각 분담하고자, 요서군 본 지역 북부에는 우북평군의 장성 둔수 영역이 설정되고 그 동쪽에 요서군의 둔수 영역이 설정되다보니 이런 형세가 된 것으로 보인다.
소속 연(燕)→진(秦)→[한]유주자사부→[213]기주→[220]유주→[서진]유주
치소 [진]양락현→[전한]저려현→[삼국]양락현
폐지 [서진]임유현·영지현
출신 해양현: 한당
영지현: 공손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요서군: 양락현, 도하현, 유성현, 영지현, 안평현, 해양현, 비여현 이외 미상
전한 요서군(14현 72,654호 352,325 구): 저려현, 해양현, 신안평현, 유성현, 영지현, 비여현, 빈종현, 교려현, 양락현, 호소현, 도하현, 문성현, 임유현, 유현
저려현→서려현(鉏慮縣), 영지현→영지정현(令氏亭縣), 비여현→비이현(肥而縣), 빈종현→면무현(勉武縣), 교려현→금로현(禽虜縣), 도하현→하복현(河福縣), 문성현→언로현(言虜縣), 임유현→빙덕현(馮德縣), 유현→선무현(選武縣)
후한 요서군(5성 14,150호 81,714구): 양락현, 해양현, 영지현, 비여현, 임유현
서진 요서군(3현 2,800호): 양락현, 비여현, 해양현 }}}}}}}}}
후한은 다링허 이북에 위치한 장성의 운영을 중단하고 부용된 오환족들을 통제하여 다링허 유역을 유지했기에 장성 주변에 설치되었던 현들이 대거 폐지되어, 저려현이 폐지되었기에 롼허 하류 지역의 양락현이 수현(首縣)이 되었다. 그러나 『후한서』 조포열전에 따르면 영제 때 조포는 요서태수로 부임한 뒤에 자신의 일가족들을 임지로 불러왔는데, 일가족이 유성현 근처를 지나가다가 선비족들에게 붙잡혔다는 기록이 있다. 유성현은 롼허 일대가 아니라 다링허 중류 지역에 있던 곳으로, 요서태수는 여전히 장성 둔수 지역에 주둔해 있던 것이 확인되는 것이다. 이를 두고 후한의 양락현이 여전히 장성 지역에 남아있었다고 보는 의견이 많으나, 이 시점에 다링허 중·하류 지역에는 요동속국도위가 설치되어 있었기에, 양락현 또한 다링허 유역에 있을 수 없다. 따라서 후한 말까지 우북평·요서태수의 치소는 수현(首縣)에 위치한 것이 아니라, 전한 때의 치소를 그대로 이용했던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 양락현(陽樂縣): 요서군 치소
    • 소속: [진]요서군→[한]유주자사부 요서군→[서진]유주 요서군
    • 위치: 전한 때 다링허 유역에 있었다. 후한 때 롼허 유역으로 교치(僑置)된 것으로 보인다.
      • 전한: 《41.48671, 120.92833》 랴오닝성 진저우시 이현 리우룽타이진(辽宁省锦州市义县刘龙台镇) 구청궈(古城沟)
      • 후한: 《39.77494, 119.03823》 허베이성 친황다오시 루룽현 하보향 량선강촌(河北省秦皇岛市卢龙县蛤泊乡梁深港村)


      낙랑군 수성현에 갈석산이 있다는 주장은 후대에 위조된 것으로 보인다.
  • 해양현(海陽縣)
    • 소속: [진]요서군→[한]유주자사부 요서군→[서진]유주 요서군
    • 위치: 《39.68349, 118.67431》 허베이성 탕산시 롼저우시 구마진 장볜좡촌(河北省唐山市滦州市古马镇张边庄村)
  • 영지현(令支縣): 서진 폐지
    • 소속: [진]요서군→[한]유주자사부 요서군→[서진]폐지
    • 위치: 《39.99891, 118.66396》 허베이성 탕산시 첸안시(河北省唐山市迁安市)
    • 고죽성(孤竹城): 《39.82640, 118.86890》
    • 노룡구(盧龍口)·노룡새(盧龍塞): 《40.38375, 118.35250》
      옛 백단현-옛 평강현을 거쳐 옛 유성현까지 새외도(塞外道)를 이루며, 근세까지 중원 지역에서 요동 지방으로 이동할 때 보통 이 길을 사용했다.
  • 비여현(肥如縣)
    • 소속: [진]요서군→[한]유주자사부 요서군→[서진]유주 요서군
    • 위치: 《40.00867, 118.88160》 허베이성 탕산시 첸안시 샤관잉진 다위수촌(河北省唐山市迁安市夏官营镇大榆树村)
  • 임유현(臨渝縣): 서진 폐지
    • 소속: [한]유주자사부 요서군→[서진]폐지
    • 위치: 전한 때 다링허 유역에 있었다. 후한 때 롼허 유역으로 교치(僑置)된 것으로 보인다.
      • 전한: 《41.54526, 121.41334》 랴오닝성 진저우시 이현 주다오링진 푸싱푸촌(辽宁省锦州市义县九道岭镇复兴堡村) 유지
      • 후한: 《39.91299, 119.55477》 허베이성 친황다오시 하이강구 시강진(河北省秦皇岛市海港区西港镇)
    • 갈석(碣石): 《39.99333, 119.89747》
      고문헌에 '갈석'은 보통 '갈석산'이 아니라 이곳을 지칭한다. 5개의 우뚝솓은[碣] 암초가 가지런히[然] 놓여있다고 하여 이를 '갈연(碣然)하다'라고 표현했고, 갈연하게 놓인 돌[石]들이란 의미에서 갈석이란 이름을 얻었다. 시황제가 순행 중에 들른 곳이기도 한데, 당시에 행궁으로 쓰던 갈석궁(碣石宮)의 유적지가 발견되기도 했다.
    • 방해도(傍海道)
      임유현에서 갈석-옛 도하현을 지나 요동군 요수현에 이르는 길로, 현대의 발해만 연안을 따라간다. 그러나 근세 이전에는 이 길이 잘 사용되지 않았는데, 자연적으로 이 일대는 크고 작은 하천들의 하구가 반복되는 습지 지형이었고, 특히 비가 오면 통행이 불가능해지는 상황이 자주 일어났기에, 군대의 행군에는 최악의 조건이었기 때문이다. 당태종 안시성 전투 패배 후 안전한 퇴각로 확보에 실패하여 어쩔 수 없이 이 경로로 퇴각할 수밖에 없게 되었는데, 그들이 온갖 생고생을 하며 이곳을 '요택(遼澤)'이라 부른건 이런 지형 여건 때문이었다.
  • 저려현(且慮縣): 후한 폐지
    • 위치: 《41.71332, 120.24001》 랴오닝성 차오양시 차오양현 다먀오진 워포궈촌(辽宁省朝阳市朝阳县大庙镇卧佛沟村) 투청쯔툰(土城子屯)성지
  • 신안평현(新安平縣): 후한 폐지
    • 지명: [진]안평현(安平縣)→[전한]신안평현
    • 소속: [진]요서군→[전한]유주자사부 요서군→[후한]폐지
    • 위치: 《39.73980, 118.72886》 허베이성 탕산시 롼저우시 롼청가도 장칸촌(河北省唐山市滦州市滦城街道张坎村)
  • 유성현(柳城縣): 후한 폐지
    • 소속: [진]요서군→[전한]유주자사부 요서군→[후한]폐지
    • 위치: 《41.48399, 120.42089》 랴오닝성 차오양시 차오양현 리우청진 위안타이쯔촌(辽宁省朝阳市朝阳县柳城镇袁台子村) 리우청(柳城)유지
  • 교려현(交黎縣): 후한 폐지
    후한 때 부리영(夫犂營) 또는 부려영(扶黎營)은 이곳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 위치: 《41.27127, 121.36590》 랴오닝성 진저우시 링하이시 바이타이쯔향 왕지아워푸촌(辽宁省锦州市凌海市白台子乡王家窝铺村) 왕지아(王家)성지
  • 호소현(狐蘇縣): 후한 폐지
    • 위치: 《41.27380, 120.64050》 랴오닝성 차오양시 차오양현 둥다툰향(辽宁省朝阳市朝阳县东大屯乡) 북부
  • 문성현(文成縣): 후한 폐지
    • 위치: 《40.84873, 120.12838》 랴오닝성 후루다오시 젠창현 얼다오완쯔자치향 시보지촌(辽宁省葫芦岛市建昌县二道湾子自治乡西簸箕村)
  • 유현(絫縣): 후한 폐지
    • 위치: 《39.68174, 119.16087》 허베이성 친황다오시 창리현 창리진 둥강쯔촌(河北省秦皇岛市昌黎县昌黎镇东岗子村)

9. 요동군(遼東郡)

연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연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유지하고 있던 지역이었다. 전한 때인 기원전 126년에 폐지된 창해군(滄海郡·蒼海郡)을 합병했다. 189년에 공손도가 요동태수로 부임하면서 요동군 주변의 군·현을 장악하고 대를 이어 세습했다. 이듬해 공손도는 요동후(遼東侯)를 자칭했는데, 군 단위의 식읍을 갖는 후(侯)로 특별한 사례였다. 또한 요동군을 분할해 요서군(遼西郡)과 중료군(中遼郡)을 설치했는데, 당시 요동군 관할인 요동속국도위부에 전한 때에는 요서군 영역이었던 곳이 있었으므로 이를 요서군으로 승격시키고, 지리적으로 첸산(千山) 산맥과 구분되는 요동군 동남부 지역을 중료군으로 분할한 것이라 추측된다. 공손도가 죽은 뒤 후계자가 된 공손강은 요동후 칭호를 버리고 한나라 조정의 양평후 책봉을 받아들였으며, 요서군 운영을 포기하고 중료군을 폐지한 것으로 보인다.
지명 요동군→[277]요동국(遼東國)→[283]요동군
소속 연(燕)→진(秦)→[한]유주자사부→[190?]평주→[238]유주→[276]평주→[서진]평주
치소 양평현
중료군: (미상)
분합 [190?]중료군→[204?]요동군에 합병: 서안평현·동답현·북풍현·역성현
폐지 [서진]요수현·평곽현·북풍현
출신 양평현: 공손도 일족
봉작 공손도: 요동후(190?~204?)
사마유: 요동왕(277~28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요동군: 양평현, 험독현, 후성현 이외 미상
전한 요동군(18현 55,972호 272,539구): 양평현, 신창현, 무려현, 망평현, 방현, 후성현, 요수현, 요양현, 험독현, 거취현, 고현현, 안시현, 무차현, 평곽현, 서안평현, 문현, 번한현, 답지현
양평현→창평현(昌平縣), 망평현→장설현(長說縣), 요수현→순목현(順睦縣), 요양현→요음현(遼陰縣), 무차현→환차현(桓次縣), 서안평현→북안평현(北安平縣), 문현→문정현(文亭縣)
후한 요동군(11성 64,158호 81,714구)[5]: 양평현, 신창현, 무려현요수현, 망평현거취현, 후성현역성현, 안시현, 평곽현, 서안평현, 문현, 번한현북풍현, 답지현
서진 요동국(8현 5,400호): 양평현, 문현, 거취현, 낙취현, 안시현, 서안평현, 신창현, 역성현 }}}}}}}}}
238년에 사마의 공손연을 멸망시키고 양평현에서 15세 이상 남자 7,000여 명을 모두 죽여서 경관(京觀)을 만드는 학살을 저질렀다. 이 일로 요동군 치안에 문제가 생겼는지, 239~240년에 청주에서 동답현·문현·북풍현 출신 난민들이 출몰하는 현상도 발견된다.
  • 양평현(襄平縣): 요동군 및 동이교위(東夷校尉) 치소
    • 소속: [진]요동군→[한]유주자사부 요동군→[서진]평주 요동국
    • 위치: 《41.26785, 123.19407》 랴오닝성 랴오양시 바이타구(辽宁省辽阳市白塔区) 고성
    • 봉작
    • 연리(延里): 위치 미상
    • 수산(手山): 《41.21540, 123.09631》
    • 담연(淡淵): 《41.34691, 122.85821》
  • 신창현(新昌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요동군→[서진]평주 요동국
    • 위치: 《41.07035, 122.95277》 랴오닝성 안산시 첸산구 둥안산진 주푸촌(辽宁省鞍山市千山区东鞍山镇旧堡村) 유지
  • 요수현(遼隧縣): 서진 폐지
    • 지명: [전한]요수현(遼隊縣)
    • 소속: [전한]유주자사부 요동군→[후한]요동군?→[서진]폐지
    • 위치: 《41.25893, 122.78741》 랴오닝성 랴오양시 랴오양현 리우하오진 가오리청촌(辽宁省辽阳市辽阳县柳壕镇高力城村)
  • 거취현(居就縣)
    • 소속: [전한]유주자사부 요동군→[후한]요동군?→[서진]평주 요동국
    • 위치: 《41.03560, 123.41296》 랴오닝성 랴오양시 랴오양현 허란진 량지아촌(辽宁省辽阳市辽阳县河栏镇亮甲村) 성지
    • 실위산(室僞山): 《40.70302, 123.17527》
  • 안시현(安市縣)
    후대 고구려 안시성의 전신이다. 당시의 안시성은 한나라 안시현성 인근의 산성이다.
    • 소속: [한]유주자사부 요동군→[서진]평주 요동국
    • 위치: 《40.80142, 122.61790》 랴오닝성 안산시 하이청시 간왕진 상지아허촌(辽宁省鞍山市海城市感王镇上夹河村) 성지
    • 요구(遼口): 《40.77132, 122.51668》
      고대의 요수(遼水)는 지금보다 약간 동쪽으로 흘렀고, 요수의 하구 또한 안시현 근처에 형성되어 있었다.
  • 문현(汶縣)
    • 지명: [전한]문현(文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요동군→[서진]평주 요동국
    • 위치: 《40.54297, 122.65474》 랴오닝성 잉커우시 다스차오시 탕츠진 잉서우궈촌(辽宁省营口市大石桥市汤池镇英守沟村)
  • 평곽현(平郭縣): 서진 폐지
    • 소속: [한]유주자사부 요동군→[서진]폐지
    • 위치: 《40.40111, 122.36578》 랴오닝성 잉커우시 가이저우시(辽宁省营口市盖州市) 성지
    • 봉작
  • 무차현(武次縣): 후한 폐지
    • 소속: [-128]창해군?→[-126]요동군→[전한]유주자사부 요동군→[후한]폐지
    • 위치: 《40.41815, 124.01618》 랴오닝성 단둥시 펑청시 펑산가도 다리수촌(辽宁省丹东市凤城市凤山街道大梨树村) 리우지아푸(刘家堡)성지
  • 번한현(番汗縣): 후한 폐지?
    • 소속: [-128]창해군?→[-126]요동군→[전한]유주자사부 요동군→[후한]폐지
    • 위치: 《40.02095, 123.74679》 랴오닝성 단둥시 둥강시 룽왕먀오자치진(辽宁省丹东市东港市龙王庙自治镇)?
      중국학자들은 현대의 평안북도 박천군으로 비정하나 잘못된 견해라 보인다.
    • 만번한(滿番汗)?: 《39.98436, 123.44504》
      연나라가 설치한 성곽들 가운데 가장 동쪽에서 발굴된 성곽 유적으로, 번한현은 이 지역 인근에 있었던 것이라 추측된다.

9.1. 중료군(中遼郡)

공손도가 190년 무렵에 설치했다고 하는 군으로, 정확하게 어디에 해당하는지 알 수 없다. 요동군은 지리적으로 첸산(千山) 산맥으로 나뉘어서, 산맥 이북의 요하 유역지역과 산맥 이남의 해안지역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산맥 이남 지역은 요동군과 낙랑군 사이에 있어 공손도 세력의 중부에 해당했다. 아마도 이 지역에 있던 현들을 분할해 중료군을 설치했던 것이 아닐까 짐작된다. 중료군은 공손도가 죽은 204년 무렵에 운영이 중단되어 요동군에 다시 합병된 것으로 보인다.

『속한서』 군국지에 기재된 요동군·요동속국도위·현도군의 현 목록은 매우 부정확하다. 무려현은 요동군과 요동속국도위에 중복되어 기재되었고, 후성현은 요동군과 현도군에 중복되어 기재되었다. 현도군 현으로 기재된 서개마현과 상은태현은 시기상 후한 때 실재(實在)할 수 없는 현이다. 후한 때에도 있던 것이 분명한 거취현과 요수현은 누락되어 있고, 현도군 소속임이 분명한 망평현은 요동군에만 기재되어 있다. 삼국시대에는 요동군에 북풍현과 동답현이란 지명이 등장하고, 『진서』 지리지에는 역성현과 낙취현이란 지명이 새로 등장하는데, 이 중 동답현과 낙취현은 답지현이 개명된 것이라는 추론을 쉽게 얻어낼 수 있지만, 북풍현과 역성현은 그러하지 못하다. 공교롭게도 이 두 지명은 《광개토대왕릉비》에도 등장하는 지명이다. 아마도 후한 때인 106년에 제3현도군이 보강되면서 변경된 요동군의 정확한 연혁과 몇몇 지명의 변동을 『속한서』 저자가 인지하지 못하여 이와 같은 오류를 일으킨 것이라 보인다. 북풍현과 역성현은 후한 때 등장한 것으로, 각각 전한 때의 번한현과 무차현을 대체한 현이라 생각되며, 《광개토대왕릉비》에 언급된 광개토대왕의 순행로를 추적해보면 그 대강의 위치를 짐작할 수 있다.
  • 서안평현(西安平縣)

    • 현지에서는 '안평현'으로 불렀고, '서안평'은 중앙 조정에서 다른 군의 안평현과 구분하기 위해 임의로 붙인 이름이다. 안평현 중에서 가장 동북쪽에 있으나 이미 진나라 때부터 '동안평'과 '신안평'이 있었기에,(...) '서안평'으로 부른 것으로 보인다. 왕망이 '북안평'으로 나름 합리적인 명명을 하긴 했지만, 전근대에 그가 어떤 취급을 받았는지를 생각하면...
    • 소속: [-128]창해군?→[-126]요동군→[한]유주자사부 요동군→[190?]평주 중료군?→[204?]요동군→[서진]평주 요동국
    • 위치: 《40.19671, 124.47495》 랴오닝성 단둥시 전안구 주롄청진 상젠촌(辽宁省丹东市振安区九连城镇上尖村) 고성
    • 안평구(安平口): 《40.21410, 124.53899》
  • 동답현(東沓縣)
    • 지명: [전한]답지현(沓氏縣)→[190?]동답현→[서진]낙취현(樂就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요동군→[190?]평주 중료군?→[204?]요동군→[서진]평주 요동국
    • 위치: 《39.50460, 121.65820》 랴오닝성 다롄시 와팡뎬시 톄시가도 장뎬촌(辽宁省大连市普兰店市铁西街道张店村) 성지
    • 답진(沓津): 《38.76237, 121.13278》
      답저(沓渚)·마석진(馬石津) 등으로도 불렸다. 이곳을 답지현으로 비정하는 의견도 있다.
    • 동답(東沓)?: 《39.15630, 122.02720》
      후한 말에 답지현이 이곳으로 이전하여 동답현이 되었다고 보는 의견도 있다.
    • 삼산(三山): 《38.87790, 121.82520》
  • 북풍현(北豐縣): 후한 설치?→서진 폐지
    • 소속: [후한]유주자사부 요동군→[190?]평주 중료군?→[204?]요동군→[서진]폐지
    • 위치: 《39.98521, 123.63309》 랴오닝성 단둥시 둥강시 샤오뎬쯔진(辽宁省丹东市东港市小甸子镇)?
  • 역성현(力城縣): 후한 설치?
    • 소속: [후한]유주자사부 요동군→[190?]평주 중료군?→[204?]요동군→[서진]평주 요동국
    • 위치: 《40.29088, 123.28093》 랴오닝성 안산시 슈옌 만족 자치현 슈옌진 훙신촌(辽宁省鞍山市岫岩满族自治县岫岩镇宏新村) 성지?

10. 창려군(昌黎郡)

원래 후한 때인 121년에 전한 때의 요동군 서부 지역과 요서군 동부 지역을 합쳐 설치한 요동속국도위부(遼東屬國都尉部)였다. 요동속국도위는 지금의 다링허(大凌河) 유역 일대를 관할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원래 이 지역은 연나라가 설치한 장성을 유지하기 위해 억지로 현을 설치하고 한족 주민들을 이주시켜와 우북평군·요서군·요동군이 분담하여 관리한 지역인데, 후한 때에는 이런 식으로 장성을 유지하는 것이 무의미하다고 여기고, 다링허 유역의 현을 대부분 폐지하고 이 지역에 사는 동호 계열의 유목민인 오환족 선비족을 부용시켜 관리하려 했다. 이에 원칙적으로는 요동군 태수의 지휘를 받는 속국도위를 설치해 최소한의 한족 인력만 다링허 유역에 상주시키고 요동속국도위가 후한에 부용되어 있는 오환족과 선비족을 징집하여 이 지역을 관리하게 했다.

후한 말 공손찬이 이곳의 장사(長史)를 맡아 명성을 얻었다. 189년에 공손도가 요동태수로 부임하자, 사적인 원한이 있던 요동속국도위 공손소를 양평으로 소환해 그를 때려죽였는데, 다링허 유역은 이렇게 공손도의 영역이 된 것으로 보인다. 공손도는 요동군을 분할해 요서군과 중료군을 설치했다고 전하는데, 아마도 요동속국도위부의 일부는 원래 요서군이었던 지역이었기에, 요동속국도위부를 요서군으로 격상시킨 것이라 짐작된다. 204년 무렵에 공손도를 계승한 공손강이 공손도가 자의적으로 설치한 요서군과 중료군의 운영을 중단했는데, 결국 당시 오환족 수령이었던 답돈의 영역이 되었던 것 같다. 207년에 답돈이 멸망한 뒤에는 이 지역을 차지한 세력이 없었고, 그렇게 완전히 오환족과 선비족들의 터전이 되었다. 이후 237년에 유주자사 관구검이 요동의 공손연을 공격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해 다시 이 지역으로 진입했는데, 이때 이 지역의 오환족들이 관구검에 항복했고, 244년에는 이 지역의 선비족들도 내부하자 위나라에서 요동속국도위를 재설치했다. 나중에 창려군으로 승격했는데, 정확한 시점은 확인되지 않는다.
지명 [121]요동속국도위부→[190?]요서군?, [244]요동속국도위부→[삼국]창려군
소속 [121]유주자사부 요동군→[190?]평주→[204?]폐지, [244]유주→[276]평주→[서진]평주
치소 [후한]창료도 황룡정, [244]창려현
설치 [244]창려현 및 빈도현(재설치)
폐지 [204?]창료도·빈도현·도하현·무려현·험독현·방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후한 요동속국도위부(6성)[6]: 창료도, 빈도현, 도하현, 무려현, 험독현, 방현
서진 창려군(2현 900호): 창려현, 빈도현 }}}}}}}}}
  • 창려현(昌黎縣): 244년 설치·요동속국도위-창려군 치소
    흔히 전한 때의 교려현과 같은 곳으로 보나, 『수경주』에 설명된 창려현의 위치를 분석해 봤을 때 둘은 다른 지역임이 분명하다.
    • 소속: [244]유주 요동속국도위부→[서진]평주 창려군
    • 위치: 《41.29114, 120.06921》 랴오닝성 차오양시 차오양현 성리진 자오지아완촌(辽宁省朝阳市朝阳县胜利乡赵家湾村) 상청쯔(上城子)성지?
    • 범성(凡城): 《41.01102, 118.70127》
    • 마수산(馬首山): 《41.18375, 120.16854》
  • 빈도현(賓徒縣): 204년 무렵 폐지?→244년 재설치
    • 지명: [전한]빈종현(賓從縣)→[후한]빈도현
    • 소속: [전한]유주자사부 요서군→[후한]요동속국도위부→[190?]평주 요서군?→[204?]폐지, [244]유주 요동속국도위부→[서진]평주 창려군
    • 위치: 《41.06742, 120.85823》 랴오닝성 후루다오시 난퍄오구 타이지툰진 샤오황디촌(辽宁省葫芦岛市南票区台集屯镇小荒地村) 성지
  • 창료도(昌遼道): 121년 무렵 설치→204년 무렵 폐지?
    흔히 전한 때의 교려현과 삼국시대 이후의 창려현과 같은 것으로 보나, 『수경주』에서는 엄연히 창려현과는 다른 곳으로 설명하고 있다. 후한 때 요동속국도위 치소는 창료도 황룡정(黃龍亭)으로, 원래는 '천료(天遼)'였다고 한다.
    • 소속: [121?]유주자사부 요동속국도위부→[후한]요동속국도위부→[190?]평주 요서군?→[204]폐지
    • 위치: 《41.57959, 120.46232》 랴오닝성 차오양시 솽타구(辽宁省朝阳市双塔区) 고성
    • 극성(棘城): 《41.61647, 120.71247》
      막호발 공손연을 멸망시킬 때 참전한 공으로 이민족 작위 솔중왕(率眾王)의 일종인 '솔의왕(率義王)'에 책봉되었는데 그때 이곳을 거점으로 삼았다. 그 세력이 훗날 모용부로 성장했다.
  • 도하현(徒河縣): 204년 무렵 폐지?
    • 소속: [진]요서군→[전한]유주자사부 요서군→[후한]요동속국도위부→[190?]평주 요서군?→[204]폐지
    • 위치: 《41.01857, 121.23808》 랴오닝성 진저우시 타이허구 냥냥궁진 가오산촌(辽宁省锦州市太和区娘娘宫镇高山村) 성지
  • 무려현(無慮縣): 204년 무렵 폐지?
    • 소속: [전한]유주자사부 요동군→[후한]요동속국도위부→[190?]평주 요서군?→[204]폐지
    • 위치: 《41.48977, 121.82245》 랴오닝성 진저우시 베이전시 랴오툰진 다량지아촌(辽宁省锦州市北镇市廖屯镇大亮甲村)
    • 의무려산(醫巫閭山): 《41.70919, 121.69426》
  • 험독현(險瀆縣): 204년 무렵 폐지?
    • 소속: [진]요동군→[전한]유주자사부 요동군→[후한]요동속국도위부→[190?]평주 요서군?→[204]폐지
    • 위치: 《41.33170, 122.51595》 랴오닝성 안산시 타이안현 신카이허진 리야오촌(辽宁省鞍山市台安县新开河镇李窑村) 쑨청(孙城)성지
  • 방현(房縣): 204년 무렵 폐지?
    • 소속: [전한]유주자사부 요동군→[후한]요동속국도위부→[190?]평주 요서군?→[204]폐지
    • 위치: 《41.02235, 121.98654》 랴오닝성 판진시 다와현 칭수이진 샤오칭촌(辽宁省盘锦市大洼县清水镇小清村) 옌탄(盐滩)유지

11. 현도군(玄菟郡)

전한 때인 기원전 107년에 설치된 군으로 원래는 조선을 멸망시킨 뒤 이듬해에 옥저를 복속시키려는 목적으로 설치했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남옥저 이외에는 현을 설치해 운영하는 데 실패했고, 이에 기원전 82년에 동예를 복속시키려던 목적으로 설치했던 임둔군(臨屯郡)을 합병하여, 단단대령 이동의 한반도 동북부를 영역으로 두는 군이 되었다. 그러나 옥저· 동예 집단은 현도군의 통치에 협조적이지 않았고, 임둔군을 합병했음에도 여전히 독립된 군으로 운영하는 데 난항을 겪자, 기원전 75년에 남아있던 7현을 모두 낙랑군에 넘겨주고 낙랑군 북부에 있던 현들을 넘겨받아 요동군과 인접하게 되었다. 보통 학자들은 옥저에 있던 현도군을 제1현도군이라 부르고, 요동 지방으로 이전하게 된 현도군을 제2현도군이라 부른다.

그러나 요동지역 또한 안정적인 지역이라 할 수는 없었는데, 당시 부여에 부용되어 있던 고구려 계통 집단들이 현도군의 통치에서 계속 이탈해 나갔기에, 전한 말에는 3개 현만 남아있을 정도로 제2현도군 또한 크게 위축되었다. 신나라와 후한이 교체되는 시점에 현도군은 고구려의 꾸준한 공격을 받았고, 『삼국사기』에 따르면 기원후 14년에 고구려가 현도군을 '멸망'시켰다고 전한다. 실제로 현도군이 멸망했는지, 서기 2세기가 될 때까지 100년 가까이 현도군은 역사에 등장하지 않는다. 105년 고구려 태조대왕의 침공으로 요동군 6현이 약탈당하는 일이 발생했는데, 그 이듬해인 106년에 현도군에 요동군의 3현이 이속하여 보강되는 조치가 취해지면서 현도군이 다시 역사에 등장한다. 3세기의 삼국시대 사람들이 기원전 75년에 이전한 현도군 치소를 '현도고부(玄菟故府)'로 부른 것으로 보아, 3세기 당시에 현도군은 제2현도군과는 또 다른 곳에 있던 것으로 여겨지는데, 학자들은 이를 제3현도군으로 부른다. 후일 고구려가 요하 유역에 현도성을 설치해 운영한 곳과 동일한 위치로 여겨지고 있다.

제3현도군이 106년 이전에 설치되었다는 것 외에 정확히 언제 설치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학자들에 따라서는 후한 초기에도 존재는 했던 것으로 보는 경우가 있고, 『삼국사기』의 기록을 불신하여 1세기 말에 이전한 것으로 보는 경우도 있으며, 후한 초기에는 없었다가 106년 무렵에 다시 설치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소속 옥저→[-107]유주자사부→[-75]교치, [-75]유주자사부→[14]멸망?, [106?]유주자사부→[190?]평주→[238]유주→[276]평주→[서진]평주
치소 [-107]부조현(옥저성), [-75]고구려현(현도고부), [106?]고구려현
폐지 [서진]후성현·요양현·건의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한 제2현도군(3현 45,006호 221,845구): 고구려현, 상은태현, 서개마현
상은태현→하은현(下殷縣), 서개마현→현도정현(玄菟亭縣), 고구려→하구려(下句驪)[7]
후한 제3현도군(6성 1,594호 43,163구[8]): 고구려현, 서개마현망평현[9], 상은태현건의현?[10], 고현현, 후성현, 요양현
서진 현도군(3현 3,200호): 고구려현, 망평현, 고현현 }}}}}}}}}
『속한서』 군국지에는 140년 무렵에 현도군에 소속된 현 목록으로 고구려현·고현현·후성현·요양현·상은태현·서개마현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중 후성현은 요동군에도 중복되어 기재되어 있고, 입지상 제3현도군에 소속되었을 것임이 분명하고 실제 『진서』 지리지에서 현도군 소속으로 기록된 망평현은 현도군이 아니라 요동군 소속의 현으로 나온다. 따라서 군국지의 요동군·현도군 현 목록은 신빙성이 부족하다. 군국지에서는 현도군에 소속된 곳이 6성(城)이라고 하는데, 고구려현과 106년에 요동군에서 이속된 3현 외에는 정확히 무슨 현들이 있었는지 파악하지 못하고, 6성의 숫자를 맞추기 위해 전한 때의 현도군 현이었던 상은태현·서개마현을 기재한 것으로 보인다. 전한 때의 2현은 이 시점에 고구려의 영역이 되어있던 것으로 보이는 만큼, 2현이 제3현도군에 교치된 것이 확인되지 않는 이상 이 현들이 후한 때에도 존재했다고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 군국지를 정정해 망평현을 현도군 소속으로 보면, 남은 1개 현은 이름을 알 수 없는 미상의 현이 된다.

5개 현의 위치는 대략 확인이 되는데, 이를 분석해 보면 현도군 최북단에 위치한 망평현 이외 3개현이 고구려 방향의 동쪽에 집중된 것이 확인된다. 제3현도군이 고구려뿐만 아니라 선비족 또한 방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강되었음을 생각해 보면, 미상의 현은 서쪽에 위치했을 것이란 추론을 얻어낼 수 있는데, 마침 제3현도군 영역 내에 한나라 성터로 판정되는 유적이 한 곳이 있고 또 현성 규모인 것도 확인이 되므로, 미상의 현 위치도 파악된다. 공손도가 요동후를 자칭한 뒤에 부친인 공손연을 제멋대로 건의후(建義侯)로 추봉했는데, 당시 시호는 보통 1글자만 사용했으며 '建'자는 애초에 시법(諡法)에 없는 글자이므로, '건의'는 시호가 아니라 지명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건의라는 지명을 쓰는 군·현은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공손연은 원래 요동군 출신이었으나 현도군에 망명하여 살았는데, 공손도가 그 망명지를 봉토로 설정했기에 건의후가 된 것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미상의 현 이름은 '건의현(建義縣)'으로 추측된다.
  • 고구려현(高句驪縣): 현도군 치소
    전한 때인 기원전 75년에 옮겨온 제2현도군의 치소가 되었는데, 후한 때 고구려현이 교치되었다.
    • 소속: [한]유주자사부 현도군→[서진]평주 현도군
    • 위치: 교치되기 이전 원래의 고구려현이 있던 곳을 현도고부(玄菟故府)라고 불렀다.
    • 요산(遼山): 《41.61494, 125.08022》
    • 양구(梁口): 《41.25639, 124.44947》
      고구려와 위나라 사이에 비류수 전투가 일어난 곳이다. 고구려 기록에는 '양맥의 골짜기[梁貊之谷]'으로 쓰여있으며, 원래 양맥(梁貊)이란 고구려 계통의 집단이 살던 곳이다. 그 지리적 입지를 봤을 때 양맥은 전한 때에는 한나라에 부용된 '고구려'로 보이며, 대무신왕 이전까진 부여에 종속된 대수맥(大水貊) '고구려'와는 별개의 집단이었던 것 같다. 따라서 왕망이 고구려후 추(騶)를 죽인 것은 양맥으로 부르던 집단의 수장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기원후 14년에 고구려(대수맥)가 현도군과 양맥을 정복했다고 하는데, 이때 양맥 집단이 고구려에 통합되었으며, 제2현도군도 멸망한 것으로 보인다.
  • 망평현(望平縣)
    • 소속: [전한]유주자사부 요동군→[106?]현도군→[후한]현도군→[서진]평주 현도군
    • 위치: 《42.11620, 123.60954》 랴오닝성 톄링시 톄링현 신타이쯔진 신타이쯔촌(辽宁省铁岭市铁岭县新台子镇新台子村) 추타이(邱台)유지
    • 부산(富山): 《42.37893, 123.46012》?
  • 고현현(高顯縣)
    • 소속: [전한]유주자사부 요동군→[106]현도군→[후한]현도군→[서진]평주 현도군
    • 위치: 《41.60318, 123.43453》 랴오닝성 선양시 쑤자툰구 사허푸진 웨이지아촌(辽宁省沈阳市苏家屯区沙河铺镇魏家村) 성지
  • 후성현(候城縣): 서진 폐지
    • 소속: [진]요동군→[전한]유주자사부 요동군→[106]현도군→[후한]현도군→[서진]폐지
    • 위치: 《41.82015, 123.66851》 랴오닝성 선양시 훈난구 둥링가도 상보관촌(辽宁省沈阳市浑南区东陵街道上伯官村) 성지
  • 요양현(遼陽縣): 서진 폐지
    • 소속: [전한]유주자사부 요동군→[106]현도군→[후한]현도군→[서진]폐지
    • 위치: 《41.53592, 122.92814》 랴오닝성 선양시 랴오중구 츠위퉈진 폔푸촌(辽宁省沈阳市辽中区茨榆坨镇偏堡村) 유지
  • 건의현(建義縣)?: 106년 이전 설치?→서진 폐지
    • 소속: [106?]유주자사부 현도군→[후한]현도군→[서진]폐지
    • 위치: 《41.81324, 122.90924》 랴오닝성 선양시 신민시 첸당푸진 다구청쯔촌(辽宁省沈阳市新民市前当堡镇大古城子村) 성지
    • 봉작
  • 상은태현(上殷台縣): 고구려에 멸망
    왕망이 부용된 고구려(양맥)를 '하구려'로 비하하고, 상은태는 '하은'으로 고친 것을 볼 때, 대수맥(大水貊)을 자칭하고 있던 고구려 집단이 '소수맥(小水貊)'으로 부르던 집단으로 추측된다. 14년에 제2현도군이 고구려에 멸망한 후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구다국(句茶國)으로 독립한 것으로 보인다. 구다국은 26년에 개마국이 멸망하자 고구려에 항복했다.
    • 위치: 《40.63848, 124.31611》 랴오닝성 단둥시 펑청시 스청진(辽宁省丹东市凤城市石城镇) 일대?
  • 서개마현(西蓋馬縣): 고구려에 멸망
    서안평현에 흐르던 하천의 상류에 있던 인접 현으로, 14년에 제2현도군이 멸망한 후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개마국(蓋馬國)으로 독립한 것으로 보인다. 개마국은 26년에 고구려에 정복되었다.

12. 낙랑군(樂浪郡)

전한 때 한무제가 기원전 108년에 조선을 멸망시키고 설치한 군으로, 당초 조선에 부용되어있던 진번국과 임둔국까지 복속시키기 위해 각각 진번군(眞番郡) 임둔군(臨屯郡)을 함께 설치했고, 이듬해에는 옥저를 대상으로 현도군까지 설치했지만, 낙랑군 이외에는 제대로 운영되지 못했다. 고조선 4군의 운영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기에, 기원전 82년에는 진번군과 임둔군을 폐지하여 각각 낙랑군과 현도군에 합병시켰다. 이에 따라 낙랑군은 진번군을 합병해 한반도 서북부와 요동 지방 일부를 관할하게 되었다. 기원전 75년에는 임둔군과 통합된 현도군마저 운영이 포기되어, 현도군은 요동 지방으로 이전해 버렸고, 기존에 현도군이 관할하던 7개 현은 낙랑군으로 이속되었다.

고조선 4군 중 낙랑군만 제대로 운영될 수 있었던 이유는 당시 고조선이 예맥 계통의 토착민들만으로 구성된 나라가 아니라, 춘추전국시대 진-한 교체기의 혼란을 피해 이민 온 한족 계열의 이주민들도 상당한 규모였기 때문으로, 애초에 당시 고조선은 위만조선으로 그 이주민 집단이 왕위까지 차지했을 정도였다. 당초 위만조선에 합류하지 않았던 기존의 예맥계 집단이 남하하여 마한을 세웠는데, 위만조선도 멸망하자 이번에는 낙랑군에 합류하지 않은 세력이 남하했는데 그들이 진한이 되었다. 신라 또한 그들 스스로 밝혔듯 이때 남쪽으로 내려온 예맥계 이주민이 세운 나라였다.

신나라가 멸망하자 낙랑군의 토착 호족인 왕조라는 인물이 낙랑군을 장악했는데, 30년에 광무제가 왕조를 토벌하여 후한의 영역이 되었다. 후한 정권은 이민족을 적극적으로 군·현의 통제에 두기보다는 이민족 수장들을 책봉하여 그저 조세와 징병의 의무만 부과하는 것을 선호했다. 이에 현도군에서 넘어왔던 영동 7현을 포기하고 각각 현지의 옥저· 동예 수장들을 후(侯)로 책봉해 독립시켰다. 이때 독립된 나라들은 111년에 화려국이 고구려에 정복당한 것을 마지막으로 모두 고구려에 복속되었는데, 245년에 관구검의 침공으로 고구려의 영향력이 일시 위축되면서 잠시 독립을 되찾게 되었다. 서진 때는 교지군과 같은 유배지로 각광을 받았는지(...) 사마씨 정권에 저항하던 하후현· 이풍· 장집· 하후패 등의 남은 친족들이 이곳으로 추방된 일이 있다. 서진은 274년 낙랑군과 대방군을 평주 동이교위에 소속시키며, 적극적으로 동방에 개입하려고 했는데 이 과정에서 동이교위가 동방 정책의 중심이 되면서 낙랑과 대방은 점점 세력이 쇠퇴해져 갔다.

하지만 서진의 적극적인 동방 정책이 무색하게 팔왕의 난 영가의 난의 연이은 대전란, 그로 인한 서진의 멸망과 오호십육국시대의 개막으로 290년~300년대 경부터 낙랑, 대방과 중국 본토와의 연결 고리는 사실상 끊긴 것이나 다름이 없어졌다. 결국 311년 고구려 미천왕이 낙랑군과 중국 본토를 연결하던 회랑 지대인 서안평을 장악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313년 미천왕에 의해 낙랑군은 완전히 멸망하였다. 주민들은 대부분 고구려 사회의 일부로 동화되었고 유민들 중 일부는 모용선비 모용외에게 귀부하였는데 모용외는 유민들이 정착한 요서 지역에 낙랑군을 재설치하여 '낙랑군'이라는 이름은 한동안 요서 지역에서 이어진다.
소속 조선→[한]유주자사부→[190?]평주→[238]유주→[276]평주→[서진]평주
치소 조선현
분합 [204?]대방군: 대방현·열구현·소명현·장잠현·제해현·함자현·해명현
폐지 [삼국]남감현·증지현·점제현·패수현·낙도현
봉작 공손연: 낙랑공(232~237)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한 낙랑군(25현 62,812호 406,748구): 조선현, 남감현, 패수현, 함자현, 점제현, 수성현, 증지현, 대방현, 사망현, 해명현, 열구현, 장잠현, 둔유현, 소명현, 누방현, 제해현, 혼미현, 탄열현, 동이현, 불이현, 잠태현, 화려현, 야두매현, 전막현, 부조현
낙랑군낙선군(樂鮮郡), 패수현→낙선정현(樂鮮亭縣), 증지현→증토현(增土縣), 해명현→해환현(海桓縣)
후한 낙랑군(18성 61,492호 257,050구): 조선현, 남감현, 패수현, 함자현, 점제현, 수성현, 증지현, 대방현, 사망현, 해명현, 열구현, 장잠현, 둔유현, 소명현, 누방현, 제해현, 혼미현, 낙도현
서진 낙랑군(6현 3,700호): 조선현, 둔유현, 혼미현, 수성현, 누방현, 사망현 }}}}}}}}}
  • 조선현(朝鮮縣): 낙랑군 치소
    • 소속: [한]유주자사부 낙랑군→[서진]평주 낙랑군
    • 위치: 《38.98315, 125.71580》 평안남도 평양시 토성동( 평양직할시 락랑구역 락랑1동) 낙랑토성
    • 왕험성(王險城): 《39.01678, 125.73629》?
      고조선의 수도였던 곳으로, 낙랑군 치소는 왕험성 인근에 별도로 성을 설치하여 운영되었다.
  • 사망현(駟望縣)
  • 둔유현(屯有縣)
  • 수성현(遂城縣)
    • 지명: [전한]수성현(遂成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낙랑군→[서진]평주 낙랑군
    • 위치: 《39.26227, 126.12192》 평안북도 성천군 용암리( 평안북도 성천군 룡산리) 성재등 룡산리토성
      서진 때 당빈 진(秦)나라 장성과 새(塞)를 보수했는데, 수성현의 갈석산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이 일로 인해 진나라의 장성이 수성현까지 이어진 것으로 오인되어서, 서진 때부터 진나라 장성이 수성현까지 이어졌다는 문헌 기록이 등장한다. 그러나 낙랑군은 고조선이 멸망한 이후에 세워진 군이었고, 진나라는 전국시대에 각 나라가 세웠던 장성들을 연결하고자 오르도스 지방에 새로운 장성을 설치한 것이므로, 연나라가 세운 장성의 동쪽 끝인 양평현을 넘어서는 새로운 장성을 설치했다고 보기 어렵다. 당장 전한의 자료를 바탕으로 삼은 《 한서》 〈지리지〉의 주석에는 장성이 언급되지 않는다. 확실하게 알 수 있는 점은, 수성현이 서진 때 변새(邊塞)가 설치된 낙랑군의 최전방 지역이었던 것이라는 점이며, 이곳의 갈석산이 고구려와 접경했다는 점일 것이다. 수성현의 '遂'자 때문인지 현대의 황해도 수안군에 비정되기도 하나, 이런 정황을 살펴보면 성천군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 단단대령(單單大領): 《39.31019, 126.80952》
      단단대산령(單單大山領)으로도 불렸는데, 삼국시대 당시에는 낙랑군과 동예 세력의 접경지대였다.
    • 갈석산(碣石山): 《39.55634, 126.67090》?
      현대의 민봉산 산봉우리를 '갈연하다'라고 하여 요서군의 '갈석'과 동일한 이름이 붙은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요서군에 있는 산 이름인 '갈석산'과는 또 다른 곳으로, 여러 문헌에서도 요서 갈석산을 '대갈석산'이라 지칭하여 수성현에 있던 갈석산과는 구분했다. 하지만 낙랑군에 갈석산이 있었다는 내용 또한 와전된 것으로, 《한서》 〈지리지〉의 주석에는 갈석산에 대한 언급이 없다.
  • 누방현(鏤方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낙랑군→[서진]평주 낙랑군
    • 위치: 《38.99804, 126.18098》 평안남도 강동군 삼등면( 평양특별시 강동군 삼등리) 일대?
      『수경주』에 조선현 동쪽에 위치한 현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대동강의 지류인 남강 유역에 있던 현으로 보인다. 성천군 일대로 비정하기도 하는데, 성천군은 비류강 유역으로, 당시에는 고구려와 접경하고 있던 지역이라 판단된다.
  • 혼미현(渾彌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낙랑군→[서진]평주 낙랑군
    • 위치: 《39.61380, 125.96500》 평안남도 개천군( 평안남도 개천시) 일대?
      과거에는 현대의 평안남도 평원군으로 비정하기도 했으나, 근래에 기원전 45년에 낙랑군에서 호구조사를 한 간독이 발견되었고, 이를 분석해 보면 혼미현은 낙랑군의 중북부 지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판정되기에, 평원군에 위치했던 것으로 볼 수 없다. 서진 때에 수성현이 낙랑군의 동북 방향에서 고구려와 접경하고 있었으므로, 낙랑군의 중북부 지역에서 고구려와 접경하고 있던 것은 혼미현이라 추정된다.
  • 남감현(𧦦邯縣): 서진 이전 폐지
    과거에는 '𧦦'자에 해당하는 폰트가 없어 이체자인 '䛁'으로 옮겨적은 사례가 있다. '염감현'·'염한현'·'남한현' 등 다양하게 읽히고 있는데, '𧦦'은 운서에는 반절(反切)이 '염'으로 되어있지만 맹강의 주석에는 '男'과 음이 같다고 적혀있어 명확하다 할 수 있는 것은 없고, '邯'은 조나라의 수도 한단을 가리킬 때만 '한'으로 읽는다. 삼국시대 당시 사람의 의견을 중시해 '남감현'으로 적었다. 현대의 순천시로 비정되기도 한다.
  • 증지현(增地縣): 서진 이전 폐지

  • 《한서》 〈지리지〉의 주석에 따르면 패수(浿水)[11]가 서쪽으로 증지현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고 한다.
  • 점제현(占蟬縣): 서진 이전 폐지
    • 지명: [전한]점제현(黏蟬縣)
      '占'은 간독과 『한서』 지리지에는 '黏'으로 적혔고, 『점제현신사비』에서는 '秥'으로 적혔다. 원래 정식 이름은 '黏蟬縣'이나 후한 때 전서가 사실상 퇴출당하고 예서가 공식화되면서 '占蟬縣'으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秥蟬縣'은 '黏'을 비석에 새기기 어려워 대신 적은 사례라 생각된다. '蟬'은 '선'으로 읽을 수 있어 '점선현'으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지명으로 쓰일 때는 '제'로 읽는다. 《한서》 〈지리지〉의 주석에 열수가 서쪽으로 점제현에 이르러 바다에 들어간다고 쓰여 있는데, 점제현신사비가 평안남도 용강군에서 출토되어 열수(列水)가 대동강이라는 사실을 입증하는 증거가 되었다.
    • 소속: [한]유주자사부 낙랑군→[서진?]폐지
    • 위치: 《38.86008, 125.25723》 평안남도 용강군 해운면 성현리( 남포직할시 온천군 성현리) 토성
  • 패수현(浿水縣): 서진 이전 폐지

  • 《한서》 〈지리지〉의 주석에 따르면 패수가 발원하는 곳이라고 한다.
  • 낙도현(樂都縣): 서진 이전 폐지
    전한 때에는 탄열현이 있었는데, 후한 때에는 탄열현이 없어지고 대신 낙도현이 등장한다. 『삼국사기』에선 23년에 대무신왕이 낙랑군을 멸망시켰다고 하는데, 아마 이때 멸망한 것이 탄열현을 가리키고 후한 때 탄열현의 남은 부분을 재편한 것이 낙도현이라 추측된다.
    • 지명: [전한]탄열현(吞列縣)→[후한]낙도현
    • 소속: [한]유주자사부 낙랑군→[서진?]폐지
    • 위치: 탄열현과 낙도현은 동일한 위치에 있었다고 할 수 없는 것 같다.
  • 잡현(霅縣): 전한 폐지
    霅은 '삽'·'잡'·'합' 등으로 다양하게 읽히는데, 『설문해자』에 등재된 반절(反切)에 따라 '잡'으로 읽는다. 원래 진번군의 치소였으나 기원전 82년에 낙랑군으로 편입되었고, 기원전 75년에 현도군이 요동 지방으로 이전하였을 무렵에 폐지된 것으로 추측된다. 기원전 45년에 실시된 호구조사를 기록한 간독에도 등장하지 않는다. 폐현된 이후에는 낙랑군 직할의 잡장(霅障) 또는 잡양장(霅陽障)이 되었는데, 『한서』 지리지에 기재된 '운장(雲障)'은 잡장을 잘못 기록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진번군 위치에 논란이 있어 비정이 곤란하다.
    • 지명: [-108]잡현→[-82]잡양현(霅陽縣)?
    • 소속: [-108]진번군→[-82]유주자사부 낙랑군→[-75?]폐지
  • 임예현(臨穢縣): 연혁 미상
    전한 시대의 간독에서 발견되는 지명이나, 한때 임둔군에 소속된 동예 지역의 현으로 추측될 뿐,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 남옥저(南沃沮): 30년 독립
    제1현도군의 치소였으나 기원전 75년에 낙랑군으로 이속했다.
    • 지명: [전한]부조현(夫租縣)
    • 소속: [-107]유주자사부 현도군→[-75]낙랑군→[전한]낙랑군→[30]독립
    • 위치: 《39.90214, 127.54397》 함경남도 함흥시 일대
  • 전막국(前莫國)?: 30년 독립
    • 지명: [전한]전막현(前莫縣)
    • 소속: [-107]유주자사부 현도군?→[-75]낙랑군→[전한]낙랑군→[30]독립
    • 위치: 《40.05163, 128.07991》 함경남도 홍원군 일대?
  • 동이국(東暆國)?: 30년 독립
    • 지명: [전한]동이현(東暆縣)
      임둔군의 치소였다. 그러나 기원전 45년에는 279호에 2,013명이 사는 정도로 철저히 몰락했다.
    • 소속: [-108]임둔군→[-82]유주자사부 현도군→[-75]낙랑군→[전한]낙랑군→[30]독립
    • 위치: 《39.11250, 127.13290》 함경남도 문천군 풍상면 마전리( 강원도 법동군 마전리) 일대?
  • 잠태국(蠶台國)?: 30년 독립
    • 지명: [전한]잠태현(蠶台縣)
    • 소속: [-108]임둔군?→[-82]유주자사부 현도군→[-75]낙랑군→[전한]낙랑군→[30]독립
    • 위치: 《39.25833, 127.31662》 함경남도 문천군( 강원도 문천시) 일대?
  • 불내국(不耐國): 30년 독립
    불내국은 당시 동예 중에서 가장 세력이 강한 나라였다. 관구검 환도성에 '불내성(不耐城)'이란 비문을 새기고 갔다는 얘기는, 당시 관구검에게 협력했던 불내국에도 비문을 세웠다는 것이 오전(誤傳)된 것이라 추측된다.
    • 지명: [전한]불이현(不而縣)
    • 소속: [-108]임둔군?→[-82]유주자사부 현도군→[-75]낙랑군→[전한]낙랑군→[30]독립
    • 위치: 《39.51884, 127.28232》 함경남도 영흥군 순녕면 소라리( 함경남도 금야군 새동리) 소라리토성
  • 화려국(華麗國): 30년 독립
    • 지명: [전한]화려현(華麗縣)
    • 소속: [-108]임둔군?→[-82]유주자사부 현도군→[-75]낙랑군→[전한]낙랑군→[30]독립
    • 위치: 《39.60873, 126.83715》 함경남도 영흥군 요덕면 ( 함경남도 요덕군) 일대?
  • 야두국(邪頭國): 30년 독립
    • 지명: [전한]야두매현(邪頭昧縣)
    • 소속: [-108]임둔군?→[-82]유주자사부 현도군→[-75]낙랑군→[전한]낙랑군→[30]독립
    • 위치: 《39.72417, 127.40654》 함경남도 정평군 일대?
      『설문해자』에 면(鮸)·분(魵) 등이 야두국의 특산물이라 소개되어 있어, 해안지대에 위치했음을 알 수 있다.

13. 대방군(帶方郡)

204년 무렵에 공손강이 낙랑군 둔유현 이남에 있던 7현을 재편하여 설치한 군인데, 이 현들은 전한 때에는 낙랑군 남부도위부 소속이었다. 현재의 재령평야 일대에 해당하는데, 현대에는 개간되어 평야가 되었고 또한 서해갑문이 설치되어 대동강의 범위가 길어졌기에 간과하기 쉽지만, 재령평야는 후대에 김자점이 간척을 시작하면서 조성된 것이며, 원래는 바닷물이 이곳까지 들어와 '고재령만(古載寧灣)'을 이루고 있었다. 대방군 설치 당시 이 지역은 인구 상당수가 한(韓)으로 유출되어 매우 쇠락한 상황이었다고 전하는데, 공손강은 고구려의 꾸준한 위협을 받는 낙랑군을 대신하여 이 지역을 개발하는 데 상당한 공을 들였다. 덕분에 서진 때에는 낙랑군이 3,700호 규모밖에 되지 않았음에도, 대방군은 4,900호로 오히려 낙랑군보다 큰 군이 되었다. 서진 황족 사마요가 이곳에 유배되기도 했다.

그러나 서진의 멸망과 오호십육국시대의 도래로 인한 중국 본토와의 연결이 끊어지면서 낙랑군과 마찬가지로 대방군은 고립되었고 결국 낙랑군이 고구려에 의해 멸망한 지 1년 후인 314년 고구려에 의해 멸망한다. 주민 대부분은 이후 고구려 사회로 흡수되었으나, 일부 유민은 대방군에 우호적이던 한성백제로 이주하여 백제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고, 또다른 일부는 요서로 이주하면서 대방군이 요서에 교치되기도 하였는데 남북조시대인 430년대 북위가 이를 폐지했다.
소속 [204?]평주→[238]유주→[276]평주→[서진]평주
치소 대방현
전입 [204?]낙랑군 대방현·열구현·소명현·장잠현·제해현·함자현·해명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서진 대방군(7현 4,900호): 대방현, 열구현, 남신현, 장잠현, 제해현, 함자현, 해명현 }}}}}}}}}
한국 사학계에서는 진번군의 후신으로 보고 있는 것이 통설이다. 상술했듯이 대방군 지역은 전한 당시에는 낙랑군 남부도위부였으며, 같은 시기에 원래 임둔군·현도군 소속이던 단단대령 이동의 7현에는 동부도위가 운영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남부도위부는 당연히 원래있던 진번군을 통합하면서 설치한 것으로 보는 것이다. 특히 후한 때에는 도위부가 치민 권한을 행사하며 사실상 군에서 독립되어 있던 일이 많았기에, 이를 두고 '변군(邊郡)의 특수성'이라는 거창한 이름을 붙여가며 '부도위(部都尉)'가 설치된 도위부는 이민족의 특별자치구역이란 근거를 전혀 찾을 수 없는 설정을 붙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학설은 한나라의 지방 통치체제에 대한 몰이해에서 나온 것으로, 도위부가 치민 권한을 행사하기 시작한 것은 엄연히 후한 이후의 일이고, 도위부는 변군에서만 설치되었던 것도 아니며 도위부 중엔 현을 전혀 관할하지 않고 장성이나 변새만 관할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른바 '부도위론'은 당시의 통치체제를 설명할 수 없는 명백한 오류이다. 진번군을 대방군의 전신이라 확정짓는 것 역시 이러한 오류에 근거한 것이므로 재고가 필요하다.
  • 대방현(帶方縣): 대방군 치소
  • 열구현(列口縣)
    고조선을 침공한 전한의 수군(水軍)이 주둔했던 곳이다.
  • 장잠현(長岑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낙랑군→[204?]평주 대방군→[서진]평주 대방군
    • 위치: 《38.23799, 125.79218》 황해도 재령군 하성면 아양리( 황해남도 신원군 아양리) 토성
    • 기리영(崎離營): 《38.25753, 126.03701》?
      기리영 전투가 있던 곳으로, 대방군의 남쪽 경계에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 해명현(海冥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낙랑군→[204?]평주 대방군→[서진]평주 대방군
    • 위치: 《38.24951, 125.09306》 황해도 장연군( 황해남도 장연군) 일대?
      현대의 황해도 해주시로 비정하기도 하나, 다른 대방군 현들의 분포를 봤을 때 대방군의 영역이 해주까지 미쳤는지 의문이 있다.
  • 소명현(昭明縣)
    • 지명: [265]남신현(南新縣)
      사마소의 이름을 피휘하여 남신현이 되었다.
    • 소속: [한]유주자사부 낙랑군→[204?]평주 대방군→[서진]평주 대방군
    • 위치: 《38.40806, 125.46300》 황해도 신천군 북부면 청산리( 황해남도 신천군 청산리) 토성
  • 제해현(提奚縣)
  • 함자현(含資縣)
    • 소속: [한]유주자사부 낙랑군→[204?]평주 대방군→[서진]평주 대방군
    • 위치: 《38.53897, 125.58951》 황해도 안악군 대원면 복사리( 황해남도 안악군 복사리) 일대?
      『한서』 지리지에는 함자현이 현재의 서흥강으로 비정되는 대수(帶水)의 발원지로 소개되어 있으나, 염사치의 행적을 봤을 때 함자현은 고재령만 연안지대나 그 이서인 지금의 안악군 일대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복사리에서 한나라 때의 건물지가 출토되었는데, 그 인근에서 함자현 출신 인물의 무덤이 발굴되기도 했다. 아마도 대수의 발원지란 내용은 다른 현에 삽입되어 있어야 할 것이 함자현에 잘못 기재된 것으로 보인다. 대방군 7현 중에 유적 등을 근거로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현은 제해현과 해명현 2곳인데, 제해현이 대수의 발원지라 추측된다.

14. 같이보기

파일:실제 지도 후한 13주.png

[1] 참고로 연나라는 이 지역을 점령당하자 수도를 요동군으로 옮겼다. [2] 삼국시대 이전에는 '촌(村)'이란 글자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고, 사람들은 향(鄕)의 치소가 있는 읍(邑) 안이나 전지(田地) 주변에 조성된 거주 구역인 '리(里)'에서 생활했다. 간혹 성벽이 둘리지 않은 향의 치소를 '취(聚)'라고 불렀다. 당시에 자연적으로 발생한 촌락들은 보통 군·현의 통제에서 벗어난 유랑민들이 거주하는 경우로 '야(野)'로 통칭하는 통치영역 바깥에 있는 것이었기에, 현대의 '마을'과 같은 개념은 없었다. 연의가 성립된 시점의 지명으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3] 연의의 설정 덕에 누상촌은 "천하의 그릇 유비가 돗자리를 짜고, 만인지적 장비가 돼지를 잡고 있으며, 의협의 적란운 관우가 서당 훈장을 하고 있고, 치세의 능신 난세의 간옹...?이 동네 백수를 하고 있으며, 송대의 무기인 언월도를 82근으로 선뜻 만들어 주는 대장장이가 있으며, 황건적의 5만 군사를 무찌르는 500명의 동네청년이 있고, 의협을 위해 자기 재산을 선뜻 내주는 장세평 같은 상인이 있는 오늘도 평화로운 동네."라는 장난스러운 수식이 붙기도 한다. [4] 발견된 지명은 13곳이다. [5] 『속한서』 군국지의 무려현은 요동속국도위부에 중복되어 있고 후성현은 현도군에 중복되어 있다. 망평현은 현도군 소속임이 분명하다. 또한 요수현과 거취현이 폐지되었다고 보기 어려우며, 북풍현과 역성현이 후한 때 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군국지 저자가 후한 때의 요동군 주변의 변동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여 오류를 저지른 것으로 판단되며, 후한 때에는 무차현과 번한현이 각각 역성현과 북풍현으로 대체된 것으로 보인다. [6] 『속한서』 군국지에서 요동속국도위부의 호구는 누락되었고 장액속국도위부의 호구를 4,656호 16,952구로 적었는데, 장액속국도위부는 독립된 행정구역이 아니므로 이 수치는 원래 요동속국도위부의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7] 왕망이 고구려를 고쳐 하구려(下句驪)로 칭했다는 것은 현도군에 예속된 고구려 계통 집단인 '양맥'을 지칭하는 것이지, 고구려현의 이름을 '하구려현'으로 고친 것이 아니다. [8] 인구(口) 수치에 비해 세대(戶)가 너무 적다. 10,594호의 오기(誤記)라 판단된다. [9] 후한 때에는 서개마현이 존재할 수 없으며, 현도군 소속임이 분명한 망평현이 누락되어 요동군 소속으로 기재되었다. 『속한서』 군국지 저자가 후한 때의 요동군 주변의 변동상황을 파악하지 못하여 오류를 저지른 것으로 판단된다. [10] 후한 때에는 상은태현이 존재할 수 없다. 후한 말 공손도가 자신의 아버지 공손연을 '건의후(建義侯)'로 추봉했는데, '건의'는 현도군에 소속된 현의 이름으로 보인다. [11] 패수의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으나, 전한 때(정확히는 낙랑군 설치 이후)의 패수는 청천강으로 추정된다. 패수로 추정되는 강 중 대동강은 《한서》 〈지리지〉의 각주 내용과 《점제현신사비》의 출토 위치를 보면 열수(列水)임이 확실하고, 압록강은 마자수(馬紫水)라는 별개의 이름으로 불리고 있었기 때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