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구청역 (세림병원) |
||
계양 방면
갈 산 ← 1.0 ㎞ |
인천 1호선 (I118) |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부평시장 1.1 ㎞ → |
장암 방면
굴포천 ← 0.9 ㎞ |
7호선 (759) |
석남 방면
산 곡 1.6 ㎞ → |
역명 표기 | ||
7호선 |
부평구청 Bupyeong-gu Office 富平區廳 / 富平区厅 / [ruby(富平区庁, ruby=プピョングチョン)] |
|
인천 1호선 | ||
주소 | ||
인천 1호선 |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지하189 ( 청천동 112-1) | ||
7호선 | ||
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지하527 ( 갈산동 193-45) | ||
운영 기관 | ||
인천 1호선 | 인천교통공사 | |
7호선 | ||
개업일 | ||
인천 1호선 | 1999년 10월 6일 | |
7호선 | 2012년 10월 27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 (
인천 1호선) 지하 3층 ( 7호선)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인천 1호선, 7호선) |
[clearfix]
1. 개요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I118번.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지하189 ( 청천동 112-1) 소재.
- 서울 지하철 7호선 759번. 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지하527 ( 갈산동 193-45) 소재.
2. 역 정보
역 안내도 (
크게보기)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역이 부평구청 사거리에서 조금 북쪽으로 치우쳐진 부평대로 방향에 있다보니 출구가 비교적 사람들의 왕래가 적은 곳에 위치해 있었으나,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사가 길주로 상에 지어진 후 부평구청이나 부평세림병원, 여성문화회관 등 근처에 새로운 출구가 생겼다. 현재는 총 9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고, 기존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구청역의 3번 출구와 4번 출구는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에 따라 각각 8번 출구와 9번 출구로 번호가 바뀌었다.
그러나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구청역에서 내려서 실제로 부평구청으로 가려면 ㄱ자로 된 통로를 길게 지나가야만 한다. 부평구청역인데 부평구청에 가기가 어려운 현실. 심지어 경사로도 있다.
역 내부는 깔끔하며 여러 사진전시회를 자주 갤러리에 여는 편이다. 또한 공연장도 설치되어 있는데, 공연은 마술 등이 가끔 열리는 편.[1]
인천교통공사와 서울교통공사의 협약에 따라 석남연장선 개통 후 2021년 12월 31일까지 이 역에서 인천교통공사와 서울교통공사 승무원 간의 승무 교대가 이루어졌다. 이는 대한민국 최초로 운행 도중 관할 구간 변경에 따른 승무 교대[2]가 이루어진 사례이다. 따라서 역 관할이 넘어가는 2022년 1월 1일 전까지는 3번 출구 지하에 위치하는 서울교통공사 부평구청기술지원반[3]에서 두 회사 소속의 기관사가 승무 교대를 진행하였다. 2022년 1월 1일 이후엔 온수역에서 승무 교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7호선의 경우 한때 2012년 10월 27일에 개통된 직후부터 석남역까지 연장이 될 때까지 약 9년간 종착역을 맡고 있었다. 2021년 5월 22일에 개통된 석남연장선에 의해 종착역의 지위는 잃었지만, 같은 해 12월 31일까지 평일 출퇴근시간에 일부 열차가 여전히 이 역에서 시종착했었고, 산곡역 방면으로 Y자 회차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했었으나, 2022년 1월 1일 부로 부평구청 착발 열차가 폐지되면서 종착역의 지위를 완전히 잃어버렸다. 부평구청행은 폐지되었으나 석남역 첫번째 종료열차가 부평구청역 Y자 회차선에서 주박한다.[4] 해당열차는 다음날 석남발 3번째 열차로 운행한다.
출근 시간대 7호선 석남발 열차는 이 역부터는 앉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본격적인 가축수송에 돌입한다.[5]
추가로 기후동행카드는 승차같은 경우 7호선, 인천1호선에서 둘다 불가능하나, 하차는 7호선에서만 가능하다.
GS25가 과거 역 환승통로 내에 입점해 있었다가 기약없이 휴업중이었으나, 운임구역 밖에 있던 CU의 입지를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며 부활해 있다.
역사 부지가 부평동, 청천동, 갈산동 부지에 전부 걸쳐 GS25가 과거 역 환승통로 내에 입점해 있었다가 기약없이 휴업중이었으나, 운임구역 밖에 있던 CU의 입지를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며 부활해 있다.
역사 부지가 부평동, 청천동, 갈산동 부지에 전부 걸쳐져 있다.[6]
2.1. 역명
역명은 4, 5번 출구 앞에 위치한 부평구청을 따서 지었으며, 인천 도시철도 측의 부역명은 부평구청 맞은 편에 위치한 병원의 이름에서 딴 세림병원이었으나, 로이문화예술실용전문학교로 바뀌었다. 2023년 5월 서울 지하철 7호선 부역명에 세림병원이 추가되었다. 네이버나 카카오맵으로 검색하면 부역명이 붙어있다. 해당 건물과 부역명의 건물들 모두 7호선의 출구로 나가면 바로 앞에 존재한다.주변에 관공서도 많고, 사거리를 중심으로 모두 다른 동이다보니 특정 지명을 따지 않고 인근에서 가장 상징적인 구청으로 역 이름을 지정한 것이 특징이다. 서북쪽 블럭은 청천동, 동북쪽 블럭은 갈산동, 남쪽 블럭은 부평동이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건설 당시 가칭 역명은 역세권에서 가장 영역이 큰 청천동에서 이름을 단 '청천역'이었다. 그러나 청천역으로 하는 것은 갈산동, 부평동에서 반발이 터져 나와 역명 선호도 조사를 할 때 애로사항이 많았다. 정작 부평동은 부평역, 갈산동은 갈산역[7]이라는 이름을 가져갔음에도 불구하고 청천역으로 쓰는 것에 반대했던 것이다.
마침 당시 인천직할시 북구청의 협소한 청사 문제(현 부평구보건소)를 해결하기 위해 신청사를 이 역 인근에 짓기로 했으므로, 1호선이 개통할 때는 신청사를 사용할 것이라 생각해 1994년에 인천시 고시를 통해 이 역을 북구청역으로 결정했다. 1995년에 북구의 일부를 계양구로 분리하고 북구가 부평구로 개칭됨에 따라 역명도 부평구청역으로 바뀌었다. 이로써 인천 1호선에 3연속 부평이 들어가게 되었다.
2.2. 환승
인천 1호선 건설지에 따르면 이 역에서는 인천 3호선과 환승계획이 미리부터 반영되어 있던지라, 인천 1호선 본선 하부에 받침보와 'H'형 강재를 매립해두었다. 인천 3호선 계획이 폐기되고 지금의 7호선과의 환승역이 된 것인데, 그래서인지 환승동선이 나름 괜찮다.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서울 지하철 7호선은 그냥 승강장의 끝(부평시장 방향), 정확히는 직진하여 밑으로 내려가는 계단이 있는 쪽에서 갈아타면 되는 형태이다.
7호선→1호선(부평, 송도) 승강장의 끝(산곡 방향)에서 환승한다.
7호선→1호선(갈산, 계양) 승강장의 중간에서 환승한다.
계양역 방향 첫번째 칸이나 송도달빛축제공원역 방향 마지막 칸에서 환승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환승에 대한 난이도가 상당히 낮은 편에 속한다. (환승 통로가 부평시장역 방향으로 나 있다.) 하지만, 서울 지하철 7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경우는 방향 구분이 확실할 뿐더러 심지어 인천 1호선 양쪽 방향 노선의 환승통로가 서로 이어지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탓에 환승통로 안에서는 인천 1호선에서 각각 반대쪽 방향으로 건너가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에, 방향을 잘못 잡으면 엉뚱하게 반대 방향으로 환승하거나( 계양역 방향으로 갈 생각이었는데 엉뚱하게 송도달빛축제공원역 방향으로 가거나 그 반대의 경우) 잘못 온 걸 뒤늦게나마 깨닫고 자기가 갈 방향으로 환승하더라도 7호선 쪽 승강장을 다시 거쳐서 가야 하는 불편이 있으므로 계양역과 송도달빛축제공원역 방향 구분을 확실히 해두자. 7호선 석남역 방향 승강장 기준으로 첫번째 칸이 정차하는 지점은 송도달빛축제공원역 방향으로의 환승통로와 가깝고, 중간에 있는 칸들은 계양역 방향으로의 환승통로와 가까우며, 마지막 칸은 환승통로가 아닌 일반 출구와 가깝다.
환승루트는 막장환승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환승 시간조율이 개막장이다. 인천1호선이든 7호선이든 환승하려고 열차에서 내리는 순간 대부분 20~30초 뒤에 출발하므로 시간적 여유를 갖고 하나 앞차를 타던가, 포기하고 뒷차를 타던가 해서 여유롭게 이동하도록 하자. 타임어택을 감수하고 뛰다가 다치면 자기만 손해고, 남이 다치면 민폐다. 장암/도봉산행의 평시 배차간격이 12~15분가량으로 매우 길다 보니 말 다했다. 보통 인천 1호선 플랫폼에서 7호선으로 경주가 시작되는데 사람들이 도착은 했으나 대다수의 7호선 열차는 무심하게 문 닫고 그냥 가 버린다.
또한 이 역을 비롯한 7호선 석남~ 까치울 구간은 서울 전용 정기권 사용 구역이 아닌데, 이는 7호선중에서 장암~ 온수 구간만 서울특별시 소유이기 때문이다. 즉 서울 전용 정기권은 서울특별시 예산으로 적자가 보전되는 특성상, 경기도 부천시가 소유한 까치울~ 상동 구간 / 인천광역시가 소유한 삼산체육관~ 석남 구간은 서울 전용 정기권 사용 구역에서 제외되는 것. 따라서 석남~까치울 구간에서 서울 전용 정기권으로는 승차가 안되며, 하차시에는 1회 추가 차감된다.
한편으로 인천광역시 예산으로 운영되는 인천 도시철도 정기권은 이 역을 비롯한 7호선 석남~삼산체육관 구간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이렇게 인천광역시 소유 노선에서 사용 가능하니 참고할 것.
3. 역 주변 정보
부평구청, 신트리공원, 인천광역시여성가족재단[9], 인천광역시교육청북구도서관, 부평세무서, 부평경찰서 등의 공공시설이 있으며, GM 한국사업장 본사 및 부평공장이 근처에 있다. 2015년 이 역 인근에 인천문예전문학교가 이전했다. 또한 청리단길[10]과 굴포먹거리타운[11]도 있다.이 역의 동쪽으로 굴포천이 합류하는 곳이 있는데, 수질은 옛날에 비해 많이 좋아진 편이다.
3.1. 출구 정보
부평구청역 출구 정보 | |
1 |
부평세관 부평공업고등학교 |
2 | 인천여성문화회관 |
3 |
인천여성문화회관 갈산2동행정복지센터 갈산중학교 갈산초등학교 갈월초등학교 굴포천 |
4 |
부평구청 신트리공원 부평정보도서관 인천개흥초등학교 |
5 |
부평구청 부평구의회 |
6 |
부원초등학교 부평여자고등학교 부평우체국 부평세림병원 |
7 |
인천마장초등학교 산곡2동행정복지센터 |
8 |
인천부평경찰서 부평세무서 |
9 | 한국지엠부평지사 정문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9cde><bgcolor=#759cce> 연도 ||
||
||<bgcolor=#759cce> 총합 ||<bgcolor=#759cce>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8,731명 | 20,902명 | 36,952명 | 비고 | ||||
2001년 | 11,283명 | ||||||||
2002년 | 11,006명 | ||||||||
2003년 | 14,889명 | ||||||||
2004년 | 14,030명 | ||||||||
2005년 | 13,684명 | ||||||||
2006년 | 14,345명 | ||||||||
2007년 | 13,523명 | ||||||||
2008년 | 12,869명 | ||||||||
2009년 | 12,294명 | }}}}}}}}} | |||||||
2010년 | 12,395명 | 미개통 | |||||||
2011년 | 13,197명 | ||||||||
2012년 | 13,501명 | 12,915명 | 26,416명 | [12] | |||||
2013년 | 14,086명 | 16,244명 | 30,330명 | ||||||
2014년 | 14,659명 | 19,166명 | 33,825명 | ||||||
2015년 | 15,185명 | 20,902명 | 36,087명 | ||||||
2016년 | 15,177명 | 21,486명 | 36,663명 | ||||||
2017년 | 15,052명 | 21,243명 | 36,295명 | ||||||
2018년 | 15,024명 | 21,323명 | 36,347명 | ||||||
2019년 | 15,225명 | 21,727명 | 36,952명 | ||||||
2020년 | 11,241명 | 16,988명 | 28,229명 | ||||||
2021년 | 11,313명 | 14,232명 | 25,545명 | ||||||
2022년 | 11,863명 | 12,411명 | 24,274명 | ||||||
2023년 | 12,279명 | 12,939명 | 25,218명 | ||||||
2024년 | |||||||||
출처
|
|||||||||
:
인천교통공사 자료실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7호선이 개통하기 이전까지 부평구청역은 수요가 많은 역이 아니었다. 역세권의 범위가 꽤 넓어서 버스 환승까지 포함하면 갈산지구 및 산곡동 북부, 삼산동 · 부개동 · 부평동 일부까지 포함하고 있음에도 유독 이용객이 적은 편이었다. 대략 하루 평균 12,000~14,000명 수준으로 인천 1호선 평균 수준의 수요에 그쳤는데, 2012년 7호선의 개통이 부평구청역의 위상을 수직 상승시켰다.
인천 1호선에서는 12위로 중상위권, 7호선에서는 35위로 중하위권이다.
7호선 개통 직전인 2011년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13,197명이지만, 개통 직후인 2013년에는 30,330명으로 무려 2배 이상 상승했고, 2019년 기준으로는 36,952명이 이용하는 역이 되었다.
그 이유는 가산디지털단지역, 이수역, 고속터미널, 청담역, 건대입구역상권으로 이어주는 7호선을 바로 탈 수 있다는 메리트가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인천 1호선만 있을 때에는 굳이 이 역에서 열차를 타지 않고 버스로 한 번에 목적지까지 가도 큰 지장이 없었는데, 7호선이 개통되면서 서울 강남권으로 한 번에 갈 수 있는 역이 되면서 먼 곳에서 이 역까지 버스를 타고 오는 환승객 및 지하철로 옮겨온 수요가 늘어난 것이다. 실제로 이 역의 환승객 범위는 43번 버스를 통해 무려 청라국제도시까지 미친다! 7호선 개통의 나비효과는 인천 1호선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인천 1호선조차 7호선 연장 개통 이전에 비해 약 2~3천 명이 더 증가했다. 두 노선의 목적지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승하차객 숫자가 깎일 이유가 없었고 오히려 덩달아 연쇄적인 효과를 보았다.
이처럼 부평구청역은 개통 이래 최고의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전성기는 그리 오래가지 않을 전망이다. 7호선이 서구의 석남역까지 연장되었고, 7호선 청라연장선 연장도 사실상 확정되고, 착공되고 있는 상황이라, 이들 지역에서의 환승객이 대거 빠질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석남역 개통 이전인 2019년 7호선 이용객이 21,727명에 이르렀으나 개통 이후인 2023년 12,939명으로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
5. 승강장
5.1.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
역명판 |
인천 1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지도에 표현되어 있는 것과 다르게 실제로는 상당한 곡선 승강장이며, 이는 인천 1호선이 실제로는 부평대로 밑을 따라가지 않고 서쪽(세림병원 인근)으로 다소 돌아서 가기 때문이다.
갈산 ↑ | |||
하 | ㅣ | ㅣ | 상 |
↓ 부평시장 |
상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경인교대입구· 계산· 임학· 박촌· 계양 방면 |
하 | 부평· 인천시청· 인천터미널· 원인재·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
5.2. 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 |
역명판 |
서울 7호선 승강장은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인천교통공사 운영 노선이지만, 역명판은 디자인서울, 글씨체도 서울남산체를 반영한 역명판이 있다.
언뜻 보기에는 직선 승강장처럼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완만한 곡선 승강장이다. 이는 7호선 위 도로인 길주로가 부평구청 부근에서 미묘하게 휘어지기 때문이다.
굴포천 ↑ | |||
하 | ㅣ | ㅣ | 상 |
↓ 산곡 |
상 | 서울 지하철 7호선 | 부천시청· 온수· 대림· 장암 방면 |
하 | 산곡· 석남 방면 |
6. 연계 버스
6.1. 1, 9번 출구
6.2. 3, 4번 출구
6.3. 5, 6번 출구
6.4. 7, 8번 출구
7. 둘러보기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장암 -
도봉산 -
수락산 -
마들 -
노원 -
중계 -
하계 -
공릉 -
태릉입구 -
먹골 -
중화 -
면목 -
사가정 -
용마산 -
중곡 -
군자 -
어린이대공원 -
건대입구 -
자양 -
청담 -
강남구청 -
학동 -
논현 -
반포 -
내방 -
이수 -
남성 -
숭실대입구 -
상도 -
장승배기 -
신대방삼거리 -
보라매 -
신풍 -
대림 -
남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철산 -
광명사거리 -
천왕 -
온수 -
까치울 -
부천종합운동장 -
춘의 -
신중동 -
부천시청 -
상동 -
삼산체육관 -
굴포천 -
부평구청 -
산곡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계양 -
귤현 -
박촌 -
임학 -
계산 -
경인교대입구 -
작전 -
갈산 -
부평구청 -
부평시장 -
부평 -
동수 -
부평삼거리 -
간석오거리 -
인천시청 -
예술회관 -
인천터미널 -
문학경기장 -
선학 -
신연수 -
원인재 -
동춘 -
동막 -
캠퍼스타운 -
테크노파크 -
지식정보단지 -
인천대입구 -
센트럴파크 -
국제업무지구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홍미영 부평구청장 “빠르고 안전한 시민의 발 되길 기대”」, 2013-10-31, 경향신문
[2]
일본에서 볼 수 있는 형태와 동일하다. 이는 한국은 일본과 달리 속차주의(차량 우선)이고, 일본은 속선주의(관할 우선)인데 7호선은 속선주의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3]
현
인천교통공사 7호선운영지원단
[4]
평일 #7405, 주말,공휴일 #7309.
[5]
까치울역까지 내리는 승객이 거의 없이 타기만 하며,
온수역에서야 비로소
1호선과 좌석회전이 이루어지며 앉을 기회가 생긴다. 간혹 운이 좋으면
부천종합운동장역에서
서해선으로 환승하는 승객이 있어서 앉을 기회가 있다.
[6]
바로 전 역인
굴포천역은 부평구청역보다 더 심한 것이 부평동, 갈산동, 삼산동, 부개동 무려 4개의 동에 전부 걸쳐져 있다. 전전역인
삼산체육관역은 아예
타 지자체에 걸쳐있다. 그나마 다음역인
산곡역은 확실하게 산곡동에 자리잡고 있다는 것.
[7]
근데 웃긴 건 그 갈산역은 정작 위치가 청천동에 있는 아이러니함을 보여준다. 동 경계 사이에 있지만.
[8]
농담이 아니라
인천교통공사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에서도 칼 같이 문 닫고 출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9]
수영장을 비롯한 체육 시설이 있으나, 여성 전용이므로 남성은 이용할 수 없다. 이 건물의 대부분은 여성 전용 구역이고, 성인 여성만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10]
카페가 모여있는 곳이다.
[11]
큰 기대는 하지 말자. 규모가 작은 편이다. 하지만 유명한 맛집이 꽤 많은 편이다.
[12]
7호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10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 6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3]
실제 5번 출구와는 다소 거리가 있어 2~3분 정도 걸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