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11:59:42

보광운수

파일:중랑구 CI.svg 서울특별시 중랑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경성여객 대원교통[a] 메트로버스[b]
보광운수 북부운수
마을버스 중랑운수 금창운수
사라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선진교통 우성버스
마을버스[c] 대중교통 세화마을버스 태릉시장마을버스
[a] 중랑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b] 주간선버스 회사 / [c] 현 보광운수(舊 용림교통)로 통합된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보광교통 보광운수

보광운수 주식회사
寶廣運輸 株式會社
Bogwang Transportation Co., Ltd.
설립일 2015년 6월 23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이경동, 이준석
모회사 보광교통
주요 주주 보광교통: 100%
(2022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90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30억원(2022년 기준)
매출액 100억 6,466만원(2022년 기준)
순이익 3억 885만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 41억 9,483만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 11억 1,135만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 36.04%(2022년 기준)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역로 25 ( 신내동, 중랑공영차고지)[1]

1. 개요2. 운행 노선3. 폐선된 노선4. 면허 체계5. 노선 이용시 주의사항6. 보유차량7. 지배구조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2114_6205.png 파일:2236_6222.png
2114번 2236번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의 중랑공영차고지를 기점으로 삼고있는 전환 시내버스 업체. 과거에는 용림교통이란 사명으로 운행하면서 2004년 개편 전에는 주로 마을버스를 운행했으나 개편 이후로 주변의 마을버스 업체들[2]을 싹 다 합병해 시내버스 회사로 전환했다.[3] 2015년 7월, 파산으로 인해 7권역 업체인 보광교통 계열에 인수되어 보광운수로 사명을 변경했다.[4][5]

주력 노선은 면목동[6]을 제외한 중랑구 전체를 세세히 도는 형식으로 타 노선 연계 및 전철역 연계를 주력으로 삼고 있다. 용림교통 시절에는 한때 타 업체들과의 공배를 통해 중랑구 바깥으로도 진출했으나, 지금은 중랑구 안을 돌아다니는 노선들만 남은 상태다.[7]

차고지의 경우 2235번은 신내검문소 기점, 나머지는 양원역을 기점으로 삼았으나 2007년에 중랑차고지로 입주하여 천연가스 충전 문제를 해결한 상태다. 한때 BS090이 주력 차종이었으며[8] 2235번의 경우 먼 과거에는 코스모스가 주력이었으나 대차됐다. 현재는 중랑차고지 인근에 새로 택지지구가 형성됐으며 이로 인해 2114번과 2235번이 해당 구간을 연계하게끔 변경했다. 파산했던 시절엔 배차간격이 나빴으나[9] 지금은 잘 다니고 있으며 보광교통에 인수된 이후 현대차만 뽑고있다.

전국 최후 영업용 2004년식 차량을 마지막으로 굴렸던 회사이다.

보광교통의 계열사가 된 뒤로 대차 1순위 차량들을 중고 버스를 구매하고 계열사 출신 차량들을 끌어 써서 대차했다. 전부 현대차로 교체하고 있으며 자일대우버스는 2022년부로 전부 다 대차되었다. 덤으로 2235번은 소속 노선 중 연식이 오래된 차들이 주로 다니는 노선이었다.

2017년경, 정평운수보다 조금 늦은 시기에 전환시내버스업체 두번째로 저상버스를 투입했으며, 먼저 2234번 저상버스를 5대 투입했다.[10] 보광운수 최초 저상차량들의 연식은 2016년식이지만, 시범운영을 거친 실제 정식 투입 시기는 2017년 말로, 2017년 6월경에 투입된 정평운수보다 약간 늦었다. 현재는 같은 전환업체인 원버스도 저상버스를 투입했으며, 이제 성원여객만 대형차량이 없는 서울의 버스 회사가 되었으나, 2018년에 대형차량을 투입하여 서울의 모든 시내버스 회사가 대형차량을 보유하게 되었다. 또한, 현존하는 전환업체 중 유일하게 보유노선이 3개다.[11]

이 회사 노선들은 계열사인 보광교통 노선들과는 만나지 않았다.[12] 지선버스밖에 없고 중랑구, 동대문구(2) 및 노원구, 성북구(1)만 돌다 보니, 시내(0)를 경유하는 노선과 보광교통의 본진인 7권역으로 가는 노선이 없기 때문이다. 그나마 가끔씩 보광운수 차량들이 점검차 은평공영차고지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긴 했으며[13], 또 다른 계열사가 된 다모아자동차는 중랑구로 오는 270번이 있기 때문에 이 노선이 보광운수 소속 모든 노선과 만나서[14] 보광운수와 다모아자동차 270번은 서로 손인사를 한다. 게다가 보광교통도 N72번을 통해 중랑구에 오게 되어 간접적으로나마 만나게 되었다.

2020년 1월에 보광교통과 함께 다모아자동차에 인수되었고 이후 다모아자동차 로고가 부착되었다.[15]

고상버스의 전면 노선번호판이 특이한데, 다른 서울 시내버스 업체들과 달리 연두색 바탕에 흰색 숫자가 적힌 종이를 붙이고 다닌다.[16] 때문에 밤에는 노선번호판 뒤에서 나오는 흰색 조명으로 인해 번호가 잘 안 보인다.[17] 2021년 하반기에 2114번 일부 차량들의 노선번호판 바탕색이 진해지고 숫자도 더 커졌다. 현재는 교체가 되지 않은 구형 차량들이 대차되며 모든 차량이 새로운 노선번호판으로 교체되었다. 그리고 중랑구의 시내버스 회사 중 한 가지의 제조사 차량만을 사용한 회사이기도 하다[18][19].

2. 운행 노선

밑줄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한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2113 중랑공영차고지 송곡여고. 양원역 - 망우사거리 - 중랑구청사거리 - 서울의료원 - 신내4단지 - (← 화랑대역 ←) - 묵동구길 - (← 동구햇살아파트 ←) - 태릉입구역 석계역 8~11
2114 중랑공영차고지 신내데시앙포레아파트 - 중랑경찰서 - 봉화산역 - 신안2차아파트 - 태릉입구역 - 석계역 - 태릉입구역 - 묵2동주민센터 - 중화역입구 → 태릉시장 → 중랑역.동부시장 → 중화2동새마을금고 → 중화역입구 태릉시장 8~11
2236 중랑공영차고지 양원숲초등학교 - 신내역 - 봉화산역 - 중랑구청사거리 - 양원숲초등학교 - 양원역 - 망우역 - 중화역 신이문역 8~13

3. 폐선된 노선

  • 1116: 솔샘터널 - 길음역. 2006년 12월에 4012번 인가댓수를 긁어모아서 신설되었다. 차고지가 중랑인데도 막상 길음동을 운행하다보니 차량관리가 잘 되지 않았다. 결국 생긴지 1달만에 상월곡역에서 길음역으로 잘렸다. 이후 2008년 8월에 폐선되고 1112번과 통합하여 1117번이 되었으며, 운행회사도 도원교통이 맡다보니 기존 차량들은 2113, 2114, 2235번으로 흩어졌다.
  • 2234: 중랑공영차고지 - 중랑구립도서관. 2023년 3월 13일부로 2235번과 통합되어 2236번으로 변경.
  • 2235: 중랑공영차고지 - 신이문역. 2023년 3월 13일부로 2234번과 통합되어 2236번으로 변경.
  • 4012: 고속터미널 - 세종문화회관. 고속터미널에서 남산3호터널→ 시청 세종문화회관→남산도서관→ 한남대교를 경유하여 고속터미널로 단방향 운행했던 노선. 소공로, 무교로 경유라는 점을 빼면 401, 402번과 경유지가 딱 절반씩 중복되는 극악의 노선이었다. 게다가 배차간격도 길어서 당연히 공기수송. 처음에는 마을버스 출신의 썩어가는 코스모스를 투입하다가 대우 BS106 CNG로 대차하였지만 2006년 12월 경 개편때 사라졌다. 이 CNG 신차들은 이후 1116번에서 운행하다가 솔샘터널 회차문제로 2234번에서 운행하던 중형차량과 트레이드 되었다.
  • 4427: 대치동( 한티역) - 압구정동. 개편 전 윤성운수에서 운행했던 마을버스였다가 용림교통에 인수되면서 지선버스로 승격된 노선. 2005년 9월 경 폐선되었다. 4427번에서 다니던 그 썩어가던 코스모스를 투입해서 만든 노선이 바로 4012. 개편 때 새로 뽑은 BS090 디젤차도 있었으나 코스모스가 대차될 때 같이 조기대차되었다.

4. 면허 체계

  • 서울 709314, 9369
  • 서울 7525##호, 31##~33##호, 3610호, 4003호, 62##

5. 노선 이용시 주의사항

  • 2113: 태릉고, 송곡고, 원묵고의 통학버스 역할을 하다보니 등교시간대에 못타는 경우가 있다. 석계역 방면은 중랑구청 사거리에서 7시 20분~30분 사이에 통과하는 버스를 주의하면 된다.

    <대체노선>
    중랑구청사거리~신내6단지아파트 241

    신내우체국~태릉고등학교 2236

    이수아파트앞, 시장입구~묵동교 대체노선 없음

    묵동구길~석계역 2012 탑승 후, 봉화산역에서 2114로 환승
  • 2114: 태릉입구역~석계역 구간에서 동부시장 방면과 중랑차고지 방면이 동시에 선다. 앞에 안내판을 확실히 확인하고 타는 것이 좋다.[20]

6. 보유차량

6.1. 현재 보유차량

6.1.1. 현대자동차

6.2. 과거 보유차량

6.2.1. 자일대우버스

6.2.2. 현대자동차

6.2.3. 기아

7. 지배구조

2022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보광교통
100.00% 모회사

8.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영인운수 정평운수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제일교통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1] 상법상 본점 주소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로24길 19 ( 수색동, 은평공영차고지)이다. [2] 대중교통, 세화마을버스, 윤성운수, 태릉시장마을버스 [3] 이 때문에 현재 중랑구를 운행하는 마을버스 회사는 중랑운수와 금창운수밖에 없다. [4] 한 기사에 따르면 무리한 사세 확장과 그 사이에서 발생한 사기사건이 파산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 [5] 준공영제 적용 회사임에도 파산이 된다는 점을 알리는 계기가 됐다. [6] 면목동은 경성여객 북부운수가 있으므로 제외. 반대로 이 회사들의 소속 노선 중 중화동과 묵동을 가는 노선이 없다. [7] 아무리 나가봤자 석계역, 신이문역 정도다. [8] 2004년 9~10월에 2113, 2114, 2234번 차량을 모두 BS090 NGV 차량으로 교체. 기존 BM090은 한성운수로 2대, 부산으로 대부분 매각했고 BS090 시제차도 한성운수로 매각했다. 반면 2235번은 코스모스 일색이었고 4427번은 코스모스, BM090, BS090 디젤차가 섞여다니다가 각각 2007, 2005년에 BS090/BS106으로 대차된다. [9] 중랑공영차고지에서 가스 충전을 할 수 없어 한성운수 번동차고지까지 공차 회송했기 때문이다. [10] 보광운수 노선 중 유일하게 투입될 노선일 것으로 보였으나 2018년 12월에 신이문역 회차로 저상이 들어가기 힘들 것으로 보였던 2235번에 저상이 들어가면서 깨졌다. 2113번은 일부 1차선 도로로 다니는 문제가 있고(양원역과 신내지하차도 구간의 샛길도 대형차량이 가기엔 버거운 편), 2114번은 회차구간 중 이화교의 교각을 경유하는 문제가 있어 일반적인 대형 저상버스 투입이 힘들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저상버스를 투입한다면 2113번에는 중형 저상버스를 투입할 수 밖에 없으며, 반대로 2114번은 저상버스 투입 불가 노선이 되었다. [11] 원래는 모든 업체가 4개씩 보유하고 있었으나, 보광운수의 2234번과 2235번이 2236번으로 통합되면서 하나 줄었다. 나머지 업체들도 노선수가 많았으나, 통폐합을 거쳐 4개만 남게 된 것. [12] 서로 계열사인 우신운수 우신버스, 대원교통 대원여객,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같은 경우에는 자사끼리 노선이 만나기라도 하지 이 동네는 안 만난다. [13] 이제는 다모아자동차와도 계열사가 되었기 때문에 은평공영차고지 외에도 다모아자동차의 차고지인 상암공영차고지로 점검받으러 원정가는 경우도 보이고 있다. 이런 경우에는 보광운수 외에도 보광교통 또한, 상암공영차고지로 점검받으러 갈 수가 있다. [14] 2113번은 망우역 근처에서, 2114번은 중랑역 근처에서, 2236번은 망우사거리-송곡고등학교와 상봉지하차도 삼거리-망우사거리에서 만난다. [15] 저상버스 중문에도 다모아자동차가 사용하는 출입문 경고 스티커를 부착했고, 운전석 격벽에 휴대폰 보관함까지 설치했다. 다만, 다모아자동차가 사용하는 주황색 스티커는 붙이지 않았다. [16] 2015년에 차량 교체를 하면서 바꾼 방식이며, 후면에도 똑같이 붙였다. [17] 신흥운수, 원버스, 정평운수의 일부 고상 차량들, 동성교통, 남성버스의 광역버스 노선들도 비슷한 문제를 겪었는데 해당 차량들의 경우에는 BLU가 아닌, 과거 개편 직후에 자주 사용하던 검은색 바탕의 노선번호 스티커를 전면 행선판에 붙이는 방식을 2010년대 말기까지 고수했기 때문이다. 신흥운수는 신흥기업 시절인 2019년까지만 하더라도 검은색 스티커를 붙이고 운행하는 06~08년 제작 동글이 차량들을 쉽게 볼 수 있었으나, 해당 차량들은 2019까지 거의 다 에디슨모터스 저상버스로 교체되었다. 그렇지만 2019년 완전 퇴역 및 에디슨모터스 대차 직전까지도 BLU가 아닌 개편 직후의 검은색 스티커를 장착하고 운행하다가 그 검은색 스티커를 부착한 모습 그대로 에디슨모터스 차량으로 대차되고 퇴역하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현재 남아있는 고상버스들은 BLU를 장착하고 도입한 2010년대의 유로6 차량들이다. 원버스와 정평운수도 저상버스 도입과 함께 스티커가 많이 사라졌다. 하지만 동성교통과 남성버스의 광역버스 차량들은 곡면으로 된 차량 특성상 BLU 설치가 힘들어서 현재까지도 여전히 스티커를 붙인다. [18] 현재는 100% 현대차를 쓰고, 과거 2007년부터 2014년까지는 100% 대우차를 사용했었다. [19] 보광운수 외에는 마을버스 회사인 중랑운수, 금창운수가 해당한다. [20] 그래도 정 모르겠으면 물어보는게 좋다. [21] 서울 시내버스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사각램프 BS090을 굴렸다. 서울 전체로 보면 경성운수의 마지막 1대를 금천07번에 굴렸다가 2019년 9월에 NEW BS090으로 대차되었다.